KR101371600B1 - 열전도형 전열기 - Google Patents

열전도형 전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00B1
KR101371600B1 KR1020130110813A KR20130110813A KR101371600B1 KR 101371600 B1 KR101371600 B1 KR 101371600B1 KR 1020130110813 A KR1020130110813 A KR 1020130110813A KR 20130110813 A KR20130110813 A KR 20130110813A KR 101371600 B1 KR101371600 B1 KR 10137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element
heat transfer
outs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나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나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나에너지
Priority to KR10201301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형 전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구비된 발열부와, 내부에 발열부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열부 및 전열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전열부를 통해 전달 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발열부는 전열부가 노출되는 곳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 따르면, 전열부 내부에서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발열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도형 전열기{Heat conduction type electric heater}
본 발명은 열전도형 전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을 절감하고 열효율이 향상되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전도형 전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기(Electric heater, 電熱器)는 저항선에 전류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장치로서, 전기 밥솥, 전기 다리미, 전기 난방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열기 중 전기 난방 등에 사용되는 전열기는 저항선 등의 발열체에 공급된 전류의 발열 작용으로 열을 발생시켜 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의 발산 형태에 따라, 공기 중에 직접 발산하는 직접 난방 방법과,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통한 열 전도체 등과 같은 매개체를 가열하여 간접적으로 난방하는 간접 난방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난방 방법은 발열체의 열을 대류되는 공기가 직접 가열시킴에 따라 가동 중에는 난방 온도를 유지하나 난방에 따른 가동을 마치면 바로 온도가 저하되므로 지속적인 가동이 필요하여 에너지 소비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간접 난방 방법은 매개체가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것으로, 가동을 중단하여도 매개체가 열을 가지고 있어 가동을 마친 상태에서도 난방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접 난방 방법 중 열전도 효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매개체로 사용하는 경우, 설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열전도형 전열기는 니크롬선 등과 같은 저항체로 구성된 발열체를 감싸고 있는 전열 파이프를 상하의 방열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발열체의 양 끝단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된 열을 전열 파이프를 통해 방열판으로 열전도에 의해 전달하면 방열판에서 발산되는 열을 통해 난방을 수행한다. 그러나, 고온 상태의 전열 파이프가 방열판의 외부인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 중 화상을 입는 등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열판의 외부로 노출된 전열 파이프 부분을 별도의 절연 캡이나 몰딩(Molding) 구조 등을 이용하여 감싸도록 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절연 캡이나 몰딩 구조 등에 대한 추가 비용으로 인해 비용과 제조 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 이외에도, 외부로 노출된 전열 파이프 부분에 대한 방수, 방습이 어렵고, 여전히 외부로 노출된 절연 캡이나 몰딩 구조 등을 건드릴 가능성이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용을 절감하고 열효율이 향상되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전도형 전열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열부 내부에서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열효율이 향상되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전도형 전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구비된 발열부와, 내부에 상기 발열부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열부 및 상기 전열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전열부를 통해 전달 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전열부가 노출되는 곳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방열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전열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전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발열체 및 상기 방열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전열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전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 발열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발열체는 상기 방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전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양 단이 각각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발열체는 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의 개방된 끝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한 쌍의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열부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중공 형상으로 관통된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몸체 및 상기 파이프 몸체의 양 단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몸체의 양 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이프 몸체는 양 단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중앙부의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열부는, 상기 한 쌍의 접속 단자와 상기 한 쌍의 연결체의 내부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판상 형상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방열 돌기 및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열부의 일부를 삽입하거나 안착시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 따르면, 전열부 내부에서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발열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 따르면,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절연체나 몰딩 구조를 추가하지 않아 비용 및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 따르면, 발열부 중 전열부가 방열부에 고정되는 부분에만 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열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열전도형 전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100)는 발열부(110), 전열부(120) 및 방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열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발열부(110)는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발열부(110)에 구비되는 발열체는 니켈-크로뮴 합금(니크롬선), 철-크로뮴-알루미늄 합금, 니켈-크로뮴-철 합금 등과 같이 전기 저항이 큰 합금 저항선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100)의 발열부(110)는, 전열부(120)가 노출되는 곳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113)로 구성될 수 있다. 발열부(1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전열부(120)는 내부에 발열부(110)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도 4의 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열부(120)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10)를 감싸 외부와 격리시켜 발열부(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류에 의해 발열부(1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열부(120)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1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가 구부러진 "U"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열부(120)가 "U" 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열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110)에 전류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접속 단자(도 4의 114)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접속 단자(도 4의 114)는 같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도형 전열기(100)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열부(120)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가 구부러진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열부(120)의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전열부(1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방열부(130)는 전열부(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며, 발열부(110)에서 발생된 열을 전열부(120)를 통해 전달 받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즉, 방열부(130)는 전열부(1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열부(110)로부터 열 전도에 의해 전열부(120)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여 난방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열부(130)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전도성 전열기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증대되고 설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30)는 일 측으로 전열부(120)의 "U"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중앙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타 측으로 전열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110)의 접속 단자(도 4의 114a, 114b)가 노출되도록 전열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30)는 판상 형상의 방열판(131), 방열판(131)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방열 돌기(132), 방열판(131)의 표면에 형성되고 전열부(120)의 일부를 삽입하거나 안착시켜 고정하는 고정 홈(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 돌기(132)는 방열판(131)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의 방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방열판(13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으로부터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홈(133)은 전열부(120)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해 원통 형상의 전열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부(130)의 고정 홈(133)은 전열부(120)를 표면을 감싸 고온의 전열부(120)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고, 전열부(120)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전열부(12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방열부(130)로부터 발산되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 홈(133)에 원통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전열부(120)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전열부(1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 홈(133)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 날개(133a, 133b)를 굽힘 가공하여 전열부(120)의 양 측면과 상부를 폐쇄하여 전열부(120)를 감싸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열부(120)의 형상, 고정 홈(133)의 형태, 전열부(120)의 고정 구조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1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가 구부러진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발열부(11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구비되고, 전열부(120)가 노출되는 곳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11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110)는 크게 제1 발열체(111), 제2 발열체(112), 비발열체(113) 및 한 쌍의 접속 단자(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열체(111)는 방열부(130)에 삽입 고정되는 전열부(120)의 일단에 위치하며, 전열부(120)의 수용 공간(121a) 내에서 전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발열체(111)는 방열부(130)에 삽입 고정되는 전열부(120)의 타단에 위치하며, 전열부(120)의 수용 공간(121a) 내에서 전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발열체(111)와 제2 발열체(1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열부(130)의 고정 홈(133)에 의해 감싸여 방열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열부(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열체(111)와 제2 발열체(1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130)의 고정 홈(133)에 그대로 전달되고 방열판(13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는 니크롬선과 같이 전기 저항이 큰 금속 합금 저항선을 나선형으로 구부린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발열체(113)는 방열부(13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전열부(12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양 단이 각각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발열체(113)는 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 저항이 작고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발열체(111), 비발열체(113) 및 제2 발열체(112)는 서로 다른 재질이 연결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연결 부위는 납땜(Soldering), 용접(Welding) 등의 다양한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비발열체(113)는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 발열체(111), 비발열체(113) 및 제2 발열체(112)는 처음부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접속 단자(114)는 각각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의 개방된 끝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제1 발열체(111)의 끝단에는 제1 접속 단자(114a)가 연결되고, 제2 발열체(112)의 끝단에는 제2 접속 단자(114b)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단자(114a, 114b)는 전기 저항이 작고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속 단자(114a, 114b)는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120)는 크게 파이프 몸체(121)와 한 쌍의 연결체(122)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몸체(12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의 내부에 중공 형상으로 관통된 수용 공간(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몸체(121)에 형성된 수용 공간(121a)은 스프링 형상의 발열부(110)를 감쌀 수 있도록 스프링 형상의 발열부(110) 전체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관통된 중공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결체(122)는 파이프 몸체(121)의 양 단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접속 단자(1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 몸체(121)의 양 단을 밀폐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114a)가 노출된 파이프 몸체(121)의 일단에는 제1 연결체(122a)가 형성되고, 제2 접속 단자(114b)가 노출된 파이프 몸체(121)의 타단에는 제2 연결체(12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 몸체(121)는 양 단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중앙부의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몸체(121)는 발열부(110)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 단자(114)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중앙부가 구부러진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V" 자 형상은 물론, 중앙부의 2 군데가 절곡되어 "ㄷ" 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120)는 한 쌍의 접속 단자(114)와 한 쌍의 연결체(122)의 내부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1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전도성 전열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방수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전열부(120)는 한 쌍의 연결체(122)의 둘레에 일정한 두께의 방수체(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100)에서 발열부(1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서 발열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 형상의 수용 공간(121a)이 형성된 "I"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속 단자(114a), 제1 발열체(111), 비발열체(113), 제2 발열체(112) 및 제2 접속 단자(114b)를 연결한 "I" 자 형상의 발열부(110)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발열체(111)와 제2 발열체(112)는 전기 저항이 큰 금속 합금 저항선을 사용하고, 비발열체(113)와 한 쌍의 접속 단자(114)는 전기 저한이 작고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비발열체(113)와 한 쌍의 접속 단자(114)를 제1 발열체(111) 및 제2 발열체(112)와 다른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1 접속 단자(114a), 제1 발열체(111), 비발열체(113), 제2 발열체(112) 및 제2 접속 단자(114b)를 연결하는 부위를 납땜, 용접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접속 단자(114a), 제1 발열체(111), 비발열체(113), 제2 발열체(112) 및 제2 접속 단자(114b)를 모두 니크롬선과 같이 전기 저항이 큰 금속 합금 저항선의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긴 저항선을 발열부(110)의 양 끝단과 비발열 구간(B)에서는 선형으로 유지하고, 발열 구간(A, C)에서만 나선형으로 구부려 스프링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여 발열부(110)를 제작할 수 있다.
"I"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와 "I" 자 형상의 발열부(110)를 각각 제작하고 난 후에는, "I" 자 형상의 발열부(110)를 파이프 몸체(121)의 일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파이프 몸체(121)의 수용 공간(121a) 내에 위치시킨 후, 파이프 몸체(121)의 양 끝단에 발열부(110)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 단자(114)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연결체(122)를 형성(또는, 결합)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I"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의 일단(도 5의 예에서는 제1 접속 단자(114a)가 노출된 부분)을 반대쪽 타단(도 5의 예에서는 제2 접속 단자(114b)가 노출된 부분)을 향하도록 파이프 몸체(121)의 중앙부를 구부려 "U"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열체(111)와 제2 발열체(112)가 위치하는 "U"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의 양 끝단(A, C)은 방열부(130)의 고정 홈(133)에 삽입 고정되고, 비발열체(113)가 위치하는 "U" 자 형상의 파이프 몸체(121)의 중앙부(B)는 방열부(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형 전열기에 따르면, 전열부 내부에서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발열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 중 전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절연체나 몰딩 구조를 추가하지 않아 비용 및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발열부 중 전열부가 방열부에 고정되는 부분에만 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열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전도형 전열기
110: 발열부 111: 제1 발열체
112: 제2 발열체 113: 비발열체
114: 접속 단자 120: 전열부
121: 파이프 몸체 122: 연결체
130: 방열부 131: 방열판
132: 방열 돌기 133: 고정 홈

Claims (8)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구비된 발열부;
    내부에 상기 발열부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열부; 및
    상기 전열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전열부를 통해 전달 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방열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전열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전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발열체;
    상기 방열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전열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전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 발열체; 및
    상기 방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전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양 단이 각각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되며,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발열체는 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1 발열체 및 상기 제2 발열체의 개방된 끝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한 쌍의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중공 형상으로 관통된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몸체; 및
    상기 파이프 몸체의 양 단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몸체의 양 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몸체는 양 단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중앙부의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한 쌍의 접속 단자와 상기 한 쌍의 연결체의 내부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판상 형상의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방열 돌기; 및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열부의 일부를 삽입하거나 안착시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형 전열기.
KR1020130110813A 2013-09-16 2013-09-16 열전도형 전열기 KR10137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13A KR101371600B1 (ko) 2013-09-16 2013-09-16 열전도형 전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13A KR101371600B1 (ko) 2013-09-16 2013-09-16 열전도형 전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00B1 true KR101371600B1 (ko) 2014-03-06

Family

ID=5064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13A KR101371600B1 (ko) 2013-09-16 2013-09-16 열전도형 전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695Y1 (ko) * 2000-07-31 2001-01-15 김두년 칸막이 겸용 라디에이터
KR200221296Y1 (ko) * 2000-11-14 2001-04-16 주식회사네오테크 전기식 온돌배관의 히터연결용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695Y1 (ko) * 2000-07-31 2001-01-15 김두년 칸막이 겸용 라디에이터
KR200221296Y1 (ko) * 2000-11-14 2001-04-16 주식회사네오테크 전기식 온돌배관의 히터연결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114955A (pt) Tecido térmico
JP2006190639A (ja) 自己調整型ヒ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523255A (ja) ワイヤメッシュ・ヒータ用の電気エネルギー伝達システム
KR20220050888A (ko) 전류 피드스루
JP2006518087A (ja) 電気式ヒートトレース
CN104224430B (zh) 热疗设备的发热装置
KR200492882Y1 (ko) 가열장치용 플렉시블 히터
KR101371600B1 (ko) 열전도형 전열기
KR100450116B1 (ko) 피티씨 히터
KR101293029B1 (ko) 전기히터용 히터장치
KR101815557B1 (ko) 히터
KR102274247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200412695Y1 (ko) 탄소섬유사와 도선과의 연결구조
KR101760375B1 (ko) 냉각수 가열장치
KR20200091346A (ko)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JP2015109274A (ja) 電気ヒータ
KR100817794B1 (ko) 일체형 방열 장치
KR100766870B1 (ko) 초고온 급속가열용 일체형 그래파이트 가열기
KR100474333B1 (ko) 전열기의 발열체 단자 구조
JP2011253691A (ja) シースヒータのリード線接続端子
JP3083206U (ja) ケースを設けた安全加熱器
CN111051792A (zh) Ptc加热器
KR101084770B1 (ko) 기체연료 공급시스템용 가열장치
CN220935341U (zh) 电热装置
KR200358168Y1 (ko) 전열기용 전기발열체의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