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21B1 -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21B1
KR101371221B1 KR1020120021085A KR20120021085A KR101371221B1 KR 101371221 B1 KR101371221 B1 KR 101371221B1 KR 1020120021085 A KR1020120021085 A KR 1020120021085A KR 20120021085 A KR20120021085 A KR 20120021085A KR 101371221 B1 KR101371221 B1 KR 10137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hinge housing
backrest
cen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16A (ko
Inventor
심영수
류태희
백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102012002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는, 등받이 중앙부의 좌,우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날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날개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누구나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제 1톱니부와 제 2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톱니부와 제 2톱니부의 감합에 의해 날개부가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날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날개부를 누르는 힘에 따라 날개부가 젖혀지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사용자가 착석하여 누르는 힘에 따라 날개부가 회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보다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Chair for adjusting angle of seat back}
본 발명은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의 좌,우측 날개부의 각도가 조절되어 안락감이 향상될 수 있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좌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의자는 종류에 따라 상기 좌석부가 회전하거나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도 하고, 상기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37173호에 개시된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눕히거나 세우는 것이 가능할 뿐, 등받이의 좌,우측 날개부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상기 등받이를 중앙부와 좌,우측 날개부로 구분하고, 상기 등받이의 좌,우측 날개부가 상기 중앙부보다 앞으로 돌출되거나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좌,우측 날개부의 돌출량 또는 경사 각도가 표준 체형의 사용자에 따라 설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이나 선호도에 따른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몸이 작고 마른 사람들의 경우 상기 좌,우측 날개부가 등을 지지할 수 없으며, 몸이 크고 뚱뚱한 사람의 경우 상기 좌,우측 날개부 사이에 몸이 끼게 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의 날개부 각도가 조절가능한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등받이 중앙부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날개부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가 회동되었다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날개 힌지 하우징과,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 축과, 일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날개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날개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끼워지고, 일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부에 비틀림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중앙부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이 누르는 힘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는, 등받이 중앙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날개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날개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누구나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제 1톱니부와 제 2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톱니부와 제 2톱니부의 감합에 의해 날개부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직접 날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날개부를 누르는 힘에 따라 날개부가 젖혀지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사용자가 착석하여 누르는 힘에 따라 날개부가 회동되어, 사용자의 등을 보다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 사이의 결합수단이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2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 1회전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 2회전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2)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2)는, 등받이부(10)와, 좌석부(12)와, 다리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1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등받이 중앙부(20)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좌, 우측 날개부(이하, '날개부'라 칭함)(30)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와 상기 날개부(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 중앙부(20)는 폼 재질로 이루어진 중앙 쿠션부(21)와, 상기 중앙 쿠션부(21)를 지지하는 중앙 프레임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30)도 폼 재질로 이루어진 날개 쿠션부(31)와, 상기 날개 쿠션부(31)를 지지하는 날개 프레임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와 상기 날개부(30)는 각각 별도의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쿠션부(21)와 날개 쿠션부(31)은 별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 쿠션부(21)와 상기 날개 쿠션부(31)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앙 쿠션부(21)와 상기 날개 쿠션부(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 쿠션부(21)와 상기 날개 쿠션부(31)가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와 상기 날개 프레임부(32)를 각각 감싸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와 상기 날개 프레임부(32)가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중앙 쿠션부(21)와 상기 날개 쿠션부(31) 없이,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와 상기 날개 프레임부(32)가 바로 외관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30)는 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날개 쿠션부(31)와 상기 날개 프레임부(32)가 모두 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의 좌,우측에서 각각 형성되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의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의 각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40)은, 중앙 힌지 하우징(24)(25), 날개 힌지 하우징(34), 힌지축(80), 탄성부재(60), 제 1회전 지지부재(90), 제 2회전 지지부재(110), 제 1고정부재(70), 제 2고정부재(50) 및 압축 탄성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24)(25)은,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에서 상기 힌지축(80)이 관통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24)(25)은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의 측면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2개의 제 1,2중앙 힌지 하우징(24)(25)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내측에는 지지부(18)에 의해 지지된 내측 원통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은, 상기 날개 프레임부(32)의 측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은,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과 상기 제 2중앙 힌지 하우징(25)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 1,2중앙 힌지 하우징(24)(25)과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턱들(34a)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들(34a)사이에는 걸림홈들(34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들(34a)과 상기 걸림홈들(34b)은 후술하는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와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80)은, 제 1축부(81)와, 상기 제 1축부(8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축부(81)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축부(82)와, 상기 제 2축부(82)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축부(82)보다 직경이 큰 제 3축부(83)로 구분된다. 상기 제 3축부(8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삽입 너트(58)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 2중앙 힌지 하우징(25)내에 삽입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비틀림 탄성부재(60)로서, 그 일단(60a)은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60b)은 후술하는 제 1고정부재(70)의 코일 결합홈(70a)에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60)로서 비틀림 탄성부재(60)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부려지면서 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부림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는,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내측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는 플랜지부(91)와, 상기 플랜지부(9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내측에 삽입되는 축부(92)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91)는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과 상기 제 2중앙 힌지 하우징(25) 사이에 위치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의 축부(92)에는 절개홈(93)과,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94)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93)은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지지부(18)와 결합되어,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가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의 플랜지부(91) 내측에는 제 1톱니부(9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는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는 후술하는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제 2톱니부(114)와 감합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와 제 2톱니부(114)는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시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기부(9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돌기부(96)는 상기 제 1톱니부(95)보다 축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돌기부(96)는 후술하는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제 2돌기부(115)와 걸림된다.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에 삽입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통부(111)와, 상기 통부(11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들(112) 사이는 홈부(113)를 이룬다.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돌출부(112)와 홈부(113)는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의 걸림홈(34b)과 걸림턱(34a)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110)의 제 1톱니부(95)와 감합되는 제 2톱니부(114)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 2톱니부(114)보다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돌기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는 F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되, R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하도록 경사진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돌기부(115)는 상기 통부(11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플랜지부(116)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는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와 감합되었다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제 1돌기부(96)와 상기 제 2돌기부(115)가 걸리게 되어, 상기 감합이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제 2톱니부(114)는 후술하는 압축 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톱니부(95)에 감합되고, 상기 날개 프레임부(32)가 소정 각도 이내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이 유지된다. 한편, 상기 날개 프레임부(32)가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에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제 2돌기부(115)가 상기 제 1돌기부(96)에 의해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탄성부재(60)에 축적된 비틀림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날개 프레임(32)이 R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지지플랜지부(116)에는 상기 제 2돌기부(115)에 대응하는 원주방향 위치에 내측홈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부(117)는 후술하는 제 2고정부재(50)의 걸림돌기(53a)와 동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고정부재(50)의 걸림돌기(53a), 상기 제 2돌기부(115)와 상기 내측홈부(117)가 모두 3개씩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로 인해 상기 날개 프레임부(32)는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에 대해 120도만큼 회전하였을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부재(7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중앙 힌지 하우징(25)의 외측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70)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상기 힌지축(80)이 관통한다. 상기 제 1고정부재(70)에는 코일 결합홈(70a)이 형성되어, 상기 비틀림 탄성부재(60)의 단부(60b)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2고정부재(50)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외측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2고정부재(50)는 플랜지부(51)와, 축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52)에는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출부들(5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출부(53)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53a)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출부들(53)사이는 홈부(53c)를 이루며, 이에 의해 상기 지지돌출부들(53)이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 2고정부재(50)의 축부(52)에는 결합홈(52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2a)은 상기 중앙 프레임부(22)의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의 지지부(18)의 일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 2고정부재(50)가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재(50)의 축부(52)에는 반경방향으로 핀 결합홈(52b)이 형성되고, 상기 핀 결합홈(52b)에는 삽입 너트(58)나 삽입핀(미도시)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 너트(58)가 삽입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상기 삽입 너트(58)에 의해 상기 제 2고정부재(50)가 상기 힌지축(80)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압축 탄성부재(100)는,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34)내에 삽입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압축 탄성부재(100)는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를 상기 제 1중앙 힌지 하우징(24)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의자(2)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날개부(30)를 잡고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상기 날개부(3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몸집이 작고 마른 사람인 경우, 상기 날개부(30)를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부(30)를 상기 등받이 중앙부(20)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의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제 2톱니부(114)가 맞물리면서 단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날개부(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틀림 탄성부재(60)의 비틀림 에너지는 증가된다. 따라서, 몸이 작고 마른 사람들일 수록 상기 날개부(30)의 회전 각도를 보다 증가시켜 상기 날개부(30)가 사용자의 등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몸이 크고 뚱뚱한 사람인 경우 상기 날개부(30)의 회전각도를 감소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부(30)를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1회전 지지부재(90)의 제 1돌기부(96)와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제 2돌기부(115)가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이 해제된다.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이 해제되면, 상기 비틀림 탄성부재(60)의 비틀림 에너지에 의해 상기 날개부(3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날개부(30)가 복귀하는 동안, 상기 제 2고정부재(50)의 걸림돌기(53a)가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110)의 지지플랜지부(116)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이 방지된다. 상기 날개부(3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다시 상기 제 1톱니부(95)와 제 2톱니부(114)가 감합된다. 상기 날개부(3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뒤로 젖혀짐에 따라 몸이 크거나 뚱뚱한 사람의 등도 상기 날개부(30)에 끼이지 않고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몸이 크고 뚱뚱할 수록 상기 날개부(30)의 회전 각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날개부(30)를 회전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이 작고 마른 사람인 경우에도 상기 날개부(30)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으며, 몸이 크고 뚱뚱한 사람인 경우에도 상기 날개부(30) 사이에 사용자의 몸이 끼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날개부(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락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톱니부(95)와 상기 제 2톱니부(114)의 감합에 의해 상기 날개부(3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30)를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날개부(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등받이 중앙부와 날개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예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200)는, 중앙 프레임부(210)와 날개 프레임부(220)로 구성된 등받이와, 상기 중앙 프레임부(210)에 형성된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211)(212)과,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221)(222)과, 상기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211)(212)과 상기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221)(22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240)과, 상기 힌지축(240)에 끼워진 토션 스프링(230)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없이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뒤로 젖혀졌다가 탄성 복원되는 것이 상기 제 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앙 프레임부(210)와 날개 프레임부(220)는 각각 중앙 쿠션부(미도시)와 날개 쿠션부(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쿠션부(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부(210)에는 상기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221)(222)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211)(212)은 축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 힌지 하우징(211)(212)사이에 상기 한 쌍의 날개 힌지 하우징(221)(222)이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230)은 일단(230a)은 상기 중앙 프레임부(210)에 고정되고, 타단(230b)은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에 고정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230)은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상기 중앙 프레임(21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비틀림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는 상기 중앙 프레임부(210)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초기 위치된다. 기울어진 각도는 표준 체형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착석하면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사용자의 등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사용자의 등이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를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토션 스프링(230)에는 비틀림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를 누르는 힘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뒤로 젖혀지게 되고, 사용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어나서 누르는 힘이 없어지거나 줄어들게 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날개 프레임부(22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200)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날개부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300)는, 중앙 프레임부(310)와 날개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게 형성된 것이 상기 실시예들과 상이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중앙 프레임부(310)에서 상기 날개부(320)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부(310)의 두께(t1)는 일정하고 상기 날개부(320)만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날개부(320)의 두께만 줄어드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날개부(320)의 단부 두께(t2)는 상기 날개부(320)가 탄성 변형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석하여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날개부(320)가 젖혀지거나 탄성 복원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10: 등받이부
12: 좌석부 14: 다리부
17: 내측 원통부 18: 지지부
20: 중앙부 21: 중앙 쿠션부
22: 중앙 프레임부 24, 25: 중앙 힌지 하우징
30: 날개부 31: 날개 쿠션부
32: 날개 프레임부 34: 날개 힌지 하우징
40: 결합수단 50: 제 2고정부재
60: 비틀림 탄성부재 70: 제 1고정부재
80: 힌지축 90: 제 1회전 지지부재
100: 압축 탄성부재 110: 제 2회전 지지부재

Claims (12)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등받이 중앙부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날개부와;
    상기 등받이 중앙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가 회동되었다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날개 힌지 하우징과;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 축과;
    일단은 상기 등받이 중앙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날개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날개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중앙부는,
    폼 재질로 이루어진 중앙 쿠션부와, 상기 중앙 쿠션부를 지지하는 중앙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 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 1톱니부와, 상기 제 1톱니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돌기부를 포함하는 제 1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톱니부와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톱니부와, 상기 제 2톱니부보다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제 1돌기부와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톱니부와 제 2톱니부의 감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 2돌기부를 포함하는 제 2회전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에 상기 제 1톱니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고정시키는 제 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상기 중앙 힌지 하우징과 상기 날개 힌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들과, 상기 복수의 리브들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제 2톱니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21085A 2012-02-29 2012-02-29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KR10137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085A KR101371221B1 (ko) 2012-02-29 2012-02-29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085A KR101371221B1 (ko) 2012-02-29 2012-02-29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16A KR20130099516A (ko) 2013-09-06
KR101371221B1 true KR101371221B1 (ko) 2014-03-10

Family

ID=4945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085A KR101371221B1 (ko) 2012-02-29 2012-02-29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52A (ja) * 2002-09-09 2004-04-02 Takano Co Ltd 身体サポート機構付き安楽椅子
KR200422529Y1 (ko) * 2005-10-25 2006-07-31 황종혁 요추이완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07054181A (ja) *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JP2010063821A (ja) * 2008-09-12 2010-03-25 Kokuyo Co Ltd 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52A (ja) * 2002-09-09 2004-04-02 Takano Co Ltd 身体サポート機構付き安楽椅子
JP2007054181A (ja) *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KR200422529Y1 (ko) * 2005-10-25 2006-07-31 황종혁 요추이완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10063821A (ja) * 2008-09-12 2010-03-25 Kokuyo Co Ltd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16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59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US10736426B2 (en) Headrest device, sofa accessory having the headrest device
KR101272501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200390006Y1 (ko) 겨드랑이 받침용 의자
KR101754071B1 (ko) 요추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294994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KR101490435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20150046490A (ko) 의자
KR101371221B1 (ko) 등받이 각도 조절 의자
KR20190135813A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547268B1 (ko) 등받이판의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10609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829664B1 (ko) 의자용 헤드 각도조절장치
US20200245768A1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CN201328553Y (zh) 椅背的调整结构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JP7307537B2 (ja) 椅子
KR101358007B1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072327B1 (ko)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KR200468333Y1 (ko) 의자의 틸팅 장치
KR101615272B1 (ko)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0422115Y1 (ko) 수평회동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KR101495325B1 (ko)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