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138B1 - 식물 지지체 - Google Patents

식물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138B1
KR101371138B1 KR1020110035369A KR20110035369A KR101371138B1 KR 101371138 B1 KR101371138 B1 KR 101371138B1 KR 1020110035369 A KR1020110035369 A KR 1020110035369A KR 20110035369 A KR20110035369 A KR 20110035369A KR 101371138 B1 KR101371138 B1 KR 10137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plant
main body
plant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555A (ko
Inventor
김철재
Original Assignee
김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재 filed Critical 김철재
Priority to KR102011003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1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를 바꿔 다양한 형상을 연출함과 동시에 자연석을 대체할 수 있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지지체는 돌기들이 사방으로 뻗는 방사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적어도 3개의 돌기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돌기가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식물 지지체{Supportimg structure for plant}
본 발명은 식물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를 바꿔 다양한 형상을 연출함과 동시에 자연석을 대체할 수 있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풍란(風蘭)은 온대성 다년초로서 뿌리를 흙에 내리지 않고 나무나 바위 등에 부착해서 살아가는 착생(着生) 식물인 동시에 외부에 노출된 뿌리를 통해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과 양분을 흡수, 합성해서 살아가는 기근(氣根) 식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풍란은 특유의 향과 고고함,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계란(桂蘭), 선초(仙草), 불사초(不死草) 등으로 불리며,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인기를 끌며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풍란 재배방법은 통기 구멍이 있는 화분에 수태(죽은 이끼)를 채우는 방법, 자연석이나 인공석에 풍란의 뿌리를 활착시키는 석부작, 괴목에 기르는 목부작, 황토나 고령토 등 점토로 일정 두께를 가진 화분을 성형한 다음 투수성을 가지도록 저온 소성하여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방식에 의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석부작은 풍란을 부착할 수 있는 자연석을 선택하여 함몰부분이나 요입부 등에 풍란을 놓고 접착제로 뿌리를 자연석에 고정한 후 습도 유지를 위해 뿌리 사이에 이끼, 부엽토, 황토와 같은 식재를 채워 수반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키운다.
석부작은 수석이나 현무암 등의 자연암석을 주로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특히 화산 폭발시 형성된 제주석은 기이한 모양의 화산탄과 현무암, 각종 용암석으로 석부작의 좋은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석부작의 재료를 채취는 자연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자연석과 비슷하게 만든 인조석을 이용함으로써 환경 파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지만 자연석과 마찬가지로 형상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다양한 형상 변화를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형상으로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다른 자연석 또는 인조석을 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자연석이나 인조석은 수반에 올려놓아 장식을 하게 되는 데 자연석이이나 인조석은 구조적 안정감이 없어 수반에 접착제 또는 에폭시로 접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위치를 바꿔 다양한 형상을 연출함과 동시에 자연석을 대체할 수 있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지지체는 돌기들이 사방으로 뻗는 방사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적어도 3개의 돌기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돌기가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사면체의 내부 일 지점에서 상기 사면체의 각 꼭지점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지지부는 상기 돌기의 단부에서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각 돌기들을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들의 단부에 입구가 형성된 연결통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돌기들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위치를 바꿔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고, 3개의 돌기가 지면 또는 구조물의 바닥에 닿아 식물지지부를 지지하므로 요철이나 편평도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어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석을 대체할 수 있어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난과 같은 식물을 키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식물 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체의 요부를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식물 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식물 지지체가 수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식물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체는 크게 식물지지부(11)와, 받침부(15)를 구비한다.
식물지지부(11)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 식물지지부(11)는 풍란(1)을 지지한다. 풍란 외에도 다양한 착생(着生) 식물이 재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받침부(15)는 식물지지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안착된다. 구조물로서 테이블이나 도 12에 도시된 수반(9)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지지부(11) 및 받침부(15)는 본체(10)를 형성하는 돌기들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본체(10)는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뻗는 방사상으로 4개의 돌기들(13,17,18,19)로 구비된다. 각 돌기들은 동일한 형상과 굵기, 길이를 갖는다. 본체(10)를 이루는 각 돌기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면 사면체의 궤적이 그려진다. 즉, 본체(10)는 사면체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중심이 형성되므로 정사면체의 궤적을 그린다. 그리고 각 돌기들은 정사면체의 내부 일 지점, 즉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기는 약 109.5도의 간격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사면체의 구조를 갖는 본체(10)는 방사상 구조에 의해 3개의 돌기(17,18,19)가 받침 역할, 즉 받침부(15)를 구성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돌기(13)는 상방을 향하여 식물을 지지하는 역할, 즉 식물지지부(1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체(10)는 사면체의 구조를 가져 3개의 돌기(17,18,19)가 하나의 돌기(13)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시 본체(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의 요철이나 편평도에 관계없이 넘어지지 않도록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수반에 올려놓더라도 접착제 로 접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체(10)는 놓는 위치에 따라 받침부(15)를 구성하는 돌기 및 식물지지부(11)를 구성하는 돌기들이 바뀔 수 있다. 본체(10)를 구성하는 4개의 돌기들 중 임의로 선택된 3개의 돌기가 받침부를 구성한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들(17,18,19)로 받침부를 구성하는 것 외에도 13,17,19의 돌기들, 13,18,19 13,17,19의 돌기들이 받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를 구성하는 돌기들을 제외한 나머지 돌기가 식물지지부를 구성한다.
본체(1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도자기, 유리, 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본체(10)의 각 돌기들은 동일한 길이 및 굵기, 모양, 각도를 갖는다.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기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식물 지지부(21)를 구성하는 돌기(23)는 받침부(25)를 구성하는 돌기들(27,28,29)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25)를 구성하는 3개의 돌기들(27,28,29)은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20)를 놓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들(27,28,29)로 받침부(25)를 구성하거나, 본체를 돌려 다른 3개의 돌기들(21,28,29)로 받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하나의 돌기(27)가 식물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다른 3개의 돌기들(23,27,29)로 받침부를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돌기(28)가 식물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다른 3개의 돌기들(23,27,28)로 받침부를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돌기(29)가 식물지지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체(20)의 놓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물지지부(21)의 형상과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지지부(31)를 구성하는 돌기(32)는 받침부(35)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돌기와 이루는 각도가 다른 돌기들과 이루는 각도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물지지부의 돌기(32)는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식물지지부의 돌기(32)는 식물받침부의 어느 하나의 돌기(37)와 이루는 각도가 식물받침부의 다른 하나의 돌기(39)와 이루는 각도가 다르다.
상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본체를 구성하는 각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 또는 굵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40)는 여섯 개의 돌기들을 갖는다. 각 돌기들은 본체(40)의 중앙에서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뻗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기는 90도 간격을 유지한다. 도시된 예에서 세개의 돌기(47,48,49)가 받침부(45)를 구성하고, 나머지 세개의 돌기(42,43,44)가 식물지지부(41)를 구성한다. 받침부 (45) 및 식물지지부(41)를 구성하는 돌기는 본체(40)의 놓는 위치에 따라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지지체는 본체가 다섯 개의 돌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개의 돌기가 받침부를 구성하고, 나머지 두개의 돌기가 식물지지부를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지지부(51)를 구성하는 돌기(53)에 수용공간부(55)가 마련된다. 수용공간부(55)는 돌기(53)의 단부에서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다. 수용공간부(55)에는 토양(57)이 채워지고, 토양(57)에 식물(7)이 식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풍란과 같은 착생(着生) 식물 외에도 다양한 식물들을 관상용으로 재배할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본체(60)는 3개의 돌기(67,68,69)가 받침부(65)를 구성하고, 하나의 돌기(63)가 식물지지부(61)를 구성한다. 그리고 식물지지부를 구성하는 돌기(63)에 형성된 수용공간부(62)에는 꽃을 꽂을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부(62)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 외에도 화병으로 활용될 수 있어 그 활용이 다양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0)는 3개의 돌기(77,78,79)가 받침부(75)를 구성하고, 하나의 돌기(73)가 식물지지부(71)를 구성하고, 식물지지부를 구성하는 돌기(73)에 수용공간부(72)가 형성된다. 수용공간부(72)는 받침부(75)를 구성하는 각 돌기들(77,78,79)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각 돌기들(77,78,79)로 연장되는 수용공간부(72)의 연장길이는 다르게 형성된다. 받침부(75)의 어느 하나의 돌기(79)에는 단부 근처까지 수용공간부(72)가 연장되고, 다른 돌기(78)에는 돌기의 절반 길이까지 수용공간부(72)가 연장되고, 또 다른 돌기(77)에는 돌기의 1/4길이까지 수용공간부(72)가 연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본체(70)는 통상적인 블로어 성형공법에 의해 사출성형함으로써 수용공간부(7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75)를 구성하는 각 돌기들(77,78,79)에 수용공간부(72)의 연장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어느 돌기(77,78,79)의 수용공간부로 꽃을 꽂느냐에 따라 꽃의 노출부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령, 꽃대의 길이에 따라 돌기들을 선택하여 그 돌기들의 수용공간부로 꽃대를 꽂을 수 있으므로 길이가 다른 여러 꽃대를 한꺼번에 꽂는 경우 길이를 일률적으로 맞추기 위해 꽃대를 자를 필요가 없다. 또한, 수용공간부의 길이가 다르므로 노출된 꽃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식물 지지부(121)를 구성하는 돌기(123)는 받침부(125)를 구성하는 돌기들(127,128,129)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받침부(125)를 구성하는 3개의 돌기들(127,128,129)은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본체(120)에 수용공간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25)를 구성하는 돌기들(127,128,129)까지 연장되는 수용공간부(123)는 각 돌기의 단부 근처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부는 각 돌기들마다 하나씩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30)의 식물지지부(131)를 구성하는 돌기(133)에 수용공간부(141)가 형성되는 것 외에도 받침부(135)를 구성하는 돌기들(137,138,139)에도 각각 수용공간부(143,145,147)가 형성된다.
한편, 도 9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80)는 3개의 돌기(87,88,89)가 받침부(85)를 구성하고, 하나의 돌기(83)가 식물지지부(81)를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80)는 반죽한 흙을 빚어 성형한 후 건조한 다음 가마에서 구워 만들어진다. 이때 초벌구이 후 유약을 바를 때 각 돌기들의 단부를 제외시킨다. 따라서 각 돌기들(81,87,88,89)의 단부에는 유약이 발라지지 않은 흡습부(91,93,95,97)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흡습부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물을 주지 않아도 되므로 장시간 착생식물의 재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3개의 돌기(107,108,109)가 받침부(105)를 구성하고, 하나의 돌기(103)가 식물지지부(101)를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연결통로(110)가 형성된다. 연결통로(110)는 각 돌기들(103,107,108,109)을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돌기들(103,107,108,109)의 단부에 연결통로의 입구(111,113,115,11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110)에는 토양을 채워 각 돌기들에 식물을 식재하거나, 물을 채워 꽃을 꽂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들의 단부에 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캡(121,123,125,127)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103의 돌기가 식물지지부(101)를 구성하는 경우 돌기(103)의 캡(121)을 분리하고, 받침부(105)를 구성하는 돌기들(107,108,109)에는 캡(123,125,127)을 씌워 화분 또는 화병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놓는 위치를 변화시켜, 가령 107의 돌기를 식물지지부(101)로 구성하는 경우 돌기(107)의 캡(123)을 분리하고, 받침부(105)를 구성하는 돌기들에는 캡을 씌운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식물지지부
13: 돌기 15: 받침부
55: 수용공간부 57: 토양
91: 흡습부 110: 연결통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4개의 돌기들이 사방으로 뻗는 방사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3개의 돌기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돌기가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기가 나머지 돌기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식물지지부는 상기 돌기의 단부에서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체.
  5. 4개의 돌기들이 사방으로 뻗는 방사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3개의 돌기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돌기가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기가 나머지 돌기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각 돌기들을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들의 단부에 입구가 형성된 연결통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돌기들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체.
KR1020110035369A 2011-04-15 2011-04-15 식물 지지체 KR10137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69A KR101371138B1 (ko) 2011-04-15 2011-04-15 식물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69A KR101371138B1 (ko) 2011-04-15 2011-04-15 식물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55A KR20120117555A (ko) 2012-10-24
KR101371138B1 true KR101371138B1 (ko) 2014-03-07

Family

ID=4728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69A KR101371138B1 (ko) 2011-04-15 2011-04-15 식물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1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404A (ja) * 1997-10-13 1999-04-27 Kikouen:Kk 園芸植物寄せ植え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寄せ植え方法
KR200312606Y1 (ko) * 2003-02-18 2003-05-12 한국자원재생공사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
JP2005192435A (ja) 2003-12-26 2005-07-21 Burein Chiyairudo:Kk 異形の植物鉢
KR100933307B1 (ko) 2008-04-04 2009-12-22 이종섭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404A (ja) * 1997-10-13 1999-04-27 Kikouen:Kk 園芸植物寄せ植え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寄せ植え方法
KR200312606Y1 (ko) * 2003-02-18 2003-05-12 한국자원재생공사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
JP2005192435A (ja) 2003-12-26 2005-07-21 Burein Chiyairudo:Kk 異形の植物鉢
KR100933307B1 (ko) 2008-04-04 2009-12-22 이종섭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55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96851U (zh) 立式竹质绿色植物架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101371138B1 (ko) 식물 지지체
US20090119988A1 (en) Aerial plant planter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CN203896850U (zh) 卧式竹质绿色植物架
KR101202026B1 (ko) 황토 석부작 제조 방법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US20140059929A1 (en) Self contained planter for growing seeds
KR101293317B1 (ko) 조개형 화분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KR200214427Y1 (ko)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KR200425490Y1 (ko) 난 재배용 참숯화분
KR200463419Y1 (ko) 옹부작
KR200417567Y1 (ko) 다단 화분틀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KR20240022367A (ko) 공기 흐름을 개선한 난초 화분
JP3202450U (ja) プラン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ランダ用プランター
JPH0646286Y2 (ja) 観賞用組込み植木鉢
JP3108080U (ja) 周りに凹凸がある植木鉢
JP3025630U (ja) 植栽領域を表面に有する焼成造形物
KR20230001276U (ko) 풍란재배용 석부작 구조
KR19990045855A (ko) 숯을이용한난초용화분
KR20140001506U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