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88B1 - 포강 수입장치 - Google Patents

포강 수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88B1
KR101370988B1 KR1020120145894A KR20120145894A KR101370988B1 KR 101370988 B1 KR101370988 B1 KR 101370988B1 KR 1020120145894 A KR1020120145894 A KR 1020120145894A KR 20120145894 A KR20120145894 A KR 20120145894A KR 101370988 B1 KR101370988 B1 KR 10137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ort
rod
flange
hamm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진
Original Assignee
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진 filed Critical 서성진
Priority to KR102012014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988B1/ko
Priority to CN201310313635.2A priority patent/CN10385978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수입솔뭉치의 왕복 슬라이딩 타격 시 체결 부위가 빠지지 않도록 구조를 견고하게 개선하고, 충격 완화구조를 추가하며,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중량 및 자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적으로도 이점이 있는 포강 수입장치가 게시된다. 포강 수입장치는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항타 파이프와, 항타 파이프의 전방 단부 측에 결합되며 전방은 항타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은 항타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함마부와, 항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함마부의 전후방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전단부에 수입솔체결홈이 형성되며 수입솔체결홈의 후방 측에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항타봉과, 항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항타봉의 후방 단부 측에 결합되어 함마부의 후진시 함마부의 후단면에 타격되는 후방타격부와, 수입솔체결홈에 체결되는 수입솔뭉치부 및 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가 내부에 마련되어 항타봉의 외측에 고정되며 후단에 함마부가 타격됨에 따라 충격력을 수입솔뭉치부로 전달하는 전방타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후방타격부 및 완충부의 구조를 통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음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수입솔뭉치부(6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중량 및 자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포강 수입장치{DEVICE FOR CLEANING BORE}
본 발명은 포강 수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타 구조에 의한 충격력을 이용하여 수입솔뭉치로 포강의 청소를 수행하는 포강 수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강은 곡사포, 직사포, 전차포 및 박격포 등의 각종 총포류의 포신 내경을 일컫는 것으로서, 포신은 포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입(청소)을 수행하여야 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8503호에 따르면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가 게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강 수입장치는 관형몸체(110)와, 타격함마몸체(210)와, 안내봉(310)과 내부후방타격판(410)과, 전방타격판(510) 및 수입솔뭉치(610)로 구성된다.
관형몸체(110)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상의 부재로서, 후방 단부에는 수입봉(11)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수입봉체결부(111)가 구비되며, 전방 단부에는 나사체결부(112)가 구비된다.
타격함마몸체(210)는 관형몸체(11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후방함마부(211) 및 전방함마부(212)로 구성된다. 후방함마부(211)에는 나사체결부(112)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전방함마부(212)는 후방함마부(2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타격함마몸체(210)에는 후방함마부(211)와 전방함마부(212)의 중앙을 관통하는 안내봉통과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봉(310)은 안내봉통과공(213)을 통과하여 타격함마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안내봉(310)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타격판체결부(311)가 구비되어 타격함마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내부후방타격판(410)은 안내봉(31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어 관형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무게추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타격판(510)의 후방 단부에는 타격면(511)이 형성되며, 전방 단부에는 수입솔체결부(512)가 형성된다. 전방타격판(510)의 후방 단부에는 안내봉(310)의 전방타격판체결부(311)가 결합되어 타격면(511)이 타격함마몸체(210)의 전방함마부(212)의 타격을 전달받는다. 수입솔뭉치(610)는 전방타격판(510)의 수입솔체결부(512)에 결합된다.
아울러, 타격함마몸체(210)는 후방함마부(211)의 후방 단면 및 전방함마부(212)의 전방 단면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214)가 형성되어, 충격시 소음을 저감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강 수입장치는 수입봉(11)이 전방으로 가압되면 타격함마몸체(210)의 전방함마부(212)가 전방타격판(510)의 타격면(511)에 충돌하여 타격력을 수입솔뭉치(610)로 전달하고, 수입봉(11)이 후방으로 후퇴하면 타격함마몸체(210)의 후방함마부(211)의 후방 단부가 내부후방타격판(410)에 충돌하여 타격력을 수입솔뭉치(610)로 전달한다.
하지만, 종래의 포강 수입장치는 안내봉(310)이 전방타격판(510)에 전방타격판체결부(311)를 통해 나사 체결됨에 따라, 장시간 왕복 슬라이딩 타격에 의해 나사 체결 부위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포강의 수입이 양호하지 못하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내부후방타격판(410)에 타격함마몸체(210)의 후방이 타격하는 경우 돌기부(214)를 통한 충격 완화효과는 한계가 있어 여전히 소음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내부후방타격판(410)에 큰 충격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보관 시 안내봉(310)이 의도치 않게 관형몸체(110)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어 운반이 어렵고 자칫 안전사고의 위험성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입솔뭉치(610)의 교체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자재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8503호(2011.08.16)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입솔뭉치의 왕복 슬라이딩 타격 시 체결 부위가 빠지지 않도록 구조를 견고하게 개선하고, 충격 완화구조를 추가하며,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중량 및 자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적으로도 이점이 있는 포강 수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는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항타 파이프와, 상기 항타 파이프의 전방 단부 측에 결합되며 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함마부와, 상기 항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함마부의 전후방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전단부에 수입솔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입솔체결홈의 후방 측에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항타봉과, 상기 항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항타봉의 후방 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함마부의 후진시 상기 함마부의 후단면에 타격되는 후방타격부와, 상기 수입솔체결홈에 체결되는 수입솔뭉치부 및 상기 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항타봉의 외측에 고정되며 후단에 상기 함마부가 타격됨에 따라 충격력을 상기 수입솔뭉치부로 전달하는 전방타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는 수입솔뭉치부의 왕복 슬라이딩 타격 시 체결 부위가 빠지지 않아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후방타격부 및 완충부의 구조를 통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음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수입솔뭉치부(6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중량 및 자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타봉과 전방타격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의 수입솔뭉치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의 완충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변형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포강 수입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100)는 항타 파이프(20)와, 함마부(30)와, 항타봉(40)과, 후방타격부(50)와, 수입솔뭉치부(60)와, 전방타격부(70)와, 완충부(80) 및 잠금핀(90)을 포함한다.
항타 파이프(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 형태인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항타 파이프(20)의 후방 측에는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핀삽입홀(91)이 관통 형성된다.
함마부(30)는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전방 단부 측에 결합되며, 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즉, 함마부(30)는 내부가 중공의 관 형상이며,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 부위는 항타 파이프(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방 부위는 항타 파이프(20)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 경우, 함마부(30)의 중앙 통공 부위에 항타봉(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결국, 항타 파이프(20)는 함마부(30)와 결합되어 항타봉(40)을 따라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항타봉(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함마부(30)의 전후방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전단부에 수입솔체결홈(41)이 형성된다. 아울러, 항타봉(40)에는 테이퍼부(42)가 형성된다. 테이퍼부(42)는 상기 수입솔체결홈(41)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항타봉(40)의 후방 측에는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핀삽입홀(91)이 관통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항타봉(40)은 테이퍼부(42)를 기준으로 후방측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동일 직경 부위를 따라 함마부(30)는 슬라이딩 안내된다. 아울러, 항타봉(40)은 테이퍼부(42)를 기준으로 전방측은 후방측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큰 직경을 갖는 연장 부위에 걸림턱(43)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43)의 후단은 전방타격부(70)의 전단에 걸려 고정되며, 걸림턱(43)의 전단에는 후술할 수입솔뭉치부(60)의 제1 수입솔조립부(62)가 밀착 고정된다. 걸림턱(43)의 전방으로는 전방이 개구된 수입솔체결홈(41)이 형성된다.
후방타격부(50)는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항타봉(40)의 후방 단부 측에 결합된다. 후방타격부(50)의 중공으로 항타봉(40)이 끼워져 고정되며, 이 경우 후방타격부(50)는 항타봉(40)에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후방타격부(50)는 함마부(30)의 후진시 상기 함마부(30)의 후단면에 타격된다. 아울러, 상기 후방타격부(50)의 후단부에 완충삽입부(51)가 형성된다. 완충삽입부(51)는 후방타격부(50)의 후단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입솔뭉치부(60)는 포강을 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입솔체결홈(41)에 체결된다. 상기 수입솔뭉치부(60)는 수입솔체결홈(41)에 나사 체결되어 항타봉(40)에 일체로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입솔뭉치부(60)는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와, 수입솔(65)과, 체결볼트(66)와, 너트(67) 및 와셔(68)를 구비한다.
제1 플랜지(62)는 내부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경면에 제1 수입솔조립부(61)가 형성되며, 상기 항타봉(40)의 단부에 끼워진다. 제2 플랜지(64)는 내부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경면에 상기 제1 수입솔조립부(62)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 수입솔조립부(63)가 형성되며, 상기 항타봉(40)에 끼워진다. 제2 플랜지(64)는 제1 플랜지(62)의 전방에 배치된다. 수입솔(65)은 상기 제1 수입솔조립부(61)와 제2 수입솔조립부(63)의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수입솔(65)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 수입솔뭉치부(6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제1 플랜지(62) 및 제2 플랜지(64)를 분해하여 수입솔(65)만을 교체 가능하며, 장착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지고 유지보수에 있어 유리하다.
체결볼트(66)는 상기 제2 플랜지(64)의 전방에서 수입솔체결홈(41)에 나사 체결된다. 체결볼트(66)는 상기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를 항타봉(4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너트(67)는 상기 제2 플랜지(64)와 체결볼트(66)의 사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볼트(66)에 나사체결된다. 이 경우, 너트(67)에는 와셔(68)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입솔뭉치부(60)가 항타봉(40)에서 분리된 경우, 너트(67)는 체결볼트(66)의 단부에 체결되어 체결볼트(66)와의 사이에서 제1 플랜지(62) 및 제2 플랜지(64)를 고정한다. 따라서, 수입솔뭉치부(60)의 분리 보관이나 이동 시 유리하다.
전방타격부(70)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부(42)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71)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항타봉(40)의 외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타격부(70)의 후단에 함마부(30)가 타격됨에 따라, 충격력을 수입솔뭉치부(60)로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전방타격부(70)는 나사 체결이나 기타 다른 체결 수단을 통해 항타봉(4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며, 항타봉(40)에 형성된 테이퍼부(42)에 걸림부(71)가 걸려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타격부(70)에 반복된 충격력이 가해져도 나사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견고하다. 이 경우, 전방타격부(70)는 함마부(30)로부터의 충격력을 수입솔뭉치부(60)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항타봉(40)과의 고정을 위한 연결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완충부(8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항타봉(40)이 관통된다. 아울러, 완충부(80)는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타격부(50)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완충요입부(81)가 형성된다. 완충요입부(81)는 후방타격부(50)의 완충삽입부(51)가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항타 파이프(20)의 전진 시 후방타격부(50)의 완충삽입부(51)는 완충부(80)의 완충요입부(81) 측으로 삽입되며, 이 경우, 완충삽입부(51)와 완충요입부(81) 간의 경사 접촉 구조에 의해 항타봉(40)의 기링 방향 충격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어 완충된다.
잠금핀(90)은 항타 파이프(20) 및 항타봉(40)에 형성된 핀삽입홀(91)에 삽입되어 항타 파이프(20)와 항타봉(40)을 서로 구속한다. 이 경우, 잠금핀(90)은 체인(92)을 통해 보호캡(93)에 연결되며, 보호캡(93)은 항타 파이프(20)의 후단측에 연결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입솔뭉치부(60)의 왕복 슬라이딩 타격 시 체결 부위가 빠지지 않아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후방타격부 및 완충부의 구조를 통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음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수입솔뭉치부(6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중량 및 자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일부 부호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가 결합되고, 그 사이에 수입솔(65)이 설치되며, 체결볼트(66)가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를 모두 관통한다.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를 관통한 체결볼트(66)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방타격부(70)의 내부에 체결된다. 전방타격부(70)는 제1 플랜지(62)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전방타격부(70)와 제1 플랜지(62)의 사이에는 너트(66b)가 체결된다.
상기 전방타격부(70)와 체결되는 체결볼트(66)의 반대측 단부에는 고리부재(66a)가 체결된다. 이 경우, 체결볼트(66)의 반대측 단부에는 보호캡(66c)이 체결되어 보관 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66)와 전방타격부(70)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직경 방향을 관통하는 잠금핀 연결공(75)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포신 손질 시 후미의 잠금핀(90)을 분리하여 잠금핀 연결공(75)에 삽입 조립한 후 청소를 수행하며, 청소 완료 후 잠금핀(90)을 다시 후미에 고정하며, 수입솔뭉치부는 나사 해체하여 별도 분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핀(90)은 체인(9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105mm 포신용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12는 도 10의 변형 예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포강 수입장치는 155mm 포신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포강 수입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포강 수입장치 20 : 항타 파이프
30 : 함마부 40 : 항타봉
41 : 수입솔체결홈 42 : 테이퍼부
50 : 후방타격부 51 : 완충삽입부
60 : 수입솔뭉치부 61 : 제1 수입솔조립부
62 : 제1 플랜지 63 : 제2 수입솔조립부
64 : 제2 플랜지 65 : 수입솔
66 : 체결볼트 67 : 너트
68 : 와셔 70 : 전방타격부
80 : 완충부 81 : 완충요입부
90 : 잠금핀

Claims (5)

  1.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항타 파이프(20);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전방 단부 측에 결합되며, 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은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함마부(30);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함마부(30)의 전후방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전단부에 수입솔체결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수입솔체결홈(41)의 후방 측에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부(42)가 형성되는 항타봉(40);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항타봉(40)의 후방 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함마부(30)의 후진시 상기 함마부(30)의 후단면에 타격되는 후방타격부(50);
    상기 수입솔체결홈(41)에 체결되는 수입솔뭉치부(60); 및
    상기 테이퍼부(42)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71)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항타봉(40)의 외측에 고정되며, 후단에 상기 함마부(30)가 타격됨에 따라 충격력을 상기 수입솔뭉치부(60)로 전달하는 전방타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강 수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타격부(50)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완충삽입부(51)가 형성되고;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항타봉(40)이 관통되고 상기 항타 파이프(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타격부(5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삽입부(51)가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완충요입부(81)가 형성된 완충부(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강 수입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솔뭉치부(60)는:
    외경면에 제1 수입솔조립부(61)가 형성되어 상기 항타봉(40)에 끼워지는 제1 플랜지(62);
    외경면에 상기 제1 수입솔조립부(62)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 수입솔조립부(63)가 형성되며, 상기 항타봉(40)에 끼워져 상기 제1 플랜지(6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64);
    상기 제1 수입솔조립부(61)와 제2 수입솔조립부(63)의 사이에 결합되는 수입솔(65); 및
    상기 제2 플랜지(64)의 전방에서 상기 수입솔체결홈(4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1 플랜지(62)와 제2 플랜지(64)를 상기 항타봉(40)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강 수입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64)와 상기 체결볼트(66)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볼트(66)에 나사체결되는 너트(67)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입솔뭉치부(60)가 상기 항타봉(40)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너트(67)는 상기 체결볼트(66)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66)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플랜지(62) 및 제2 플랜지(64)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강 수입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 파이프(20) 및 항타봉(40)에는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관통되는 핀삽입홀(91)이 형성되고, 상기 핀삽입홀(91)에 삽입되어 상기 항타 파이프(20)와 항타봉(40)을 서로 구속하는 잠금핀(9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강 수입장치.
KR1020120145894A 2012-12-14 2012-12-14 포강 수입장치 KR10137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94A KR101370988B1 (ko) 2012-12-14 2012-12-14 포강 수입장치
CN201310313635.2A CN103859780B (zh) 2012-12-14 2013-07-24 内孔清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94A KR101370988B1 (ko) 2012-12-14 2012-12-14 포강 수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988B1 true KR101370988B1 (ko) 2014-03-10

Family

ID=5064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94A KR101370988B1 (ko) 2012-12-14 2012-12-14 포강 수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0988B1 (ko)
CN (1) CN103859780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579B1 (en) * 1999-10-08 2001-08-07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Gun cleaning system
US20040074523A1 (en) 2000-11-29 2004-04-22 Markku Paanan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he barrel of the gun
KR101058503B1 (ko) 2011-02-10 2011-08-23 주식회사 정후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KR20120045840A (ko) * 2010-11-01 2012-05-09 손원호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68804B (zh) * 2008-10-09 2012-01-04 济南海鹰机电制造有限公司 多功能自动擦炮机
KR101046234B1 (ko) * 2010-01-27 2011-07-04 수성정밀기계(주) 포구 자동 청소 장치
CN102357491A (zh) * 2011-10-21 2012-02-22 河南航天工业总公司 一种擦拭炮管或其他管道内壁的擦拭机
CN202588738U (zh) * 2012-06-12 2012-12-12 吴春 一种伸缩式喷水清洗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579B1 (en) * 1999-10-08 2001-08-07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Gun cleaning system
US20040074523A1 (en) 2000-11-29 2004-04-22 Markku Paanan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he barrel of the gun
KR20120045840A (ko) * 2010-11-01 2012-05-09 손원호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KR101058503B1 (ko) 2011-02-10 2011-08-23 주식회사 정후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9780B (zh) 2015-12-02
CN103859780A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2038B1 (en) Shock-absorbing bolt for a crossbow
KR101058503B1 (ko)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US8037947B2 (en) Impact tool with shock absorbing element
WO2004017010A3 (en) Recoil system for the receiver of a firearm
FI114903B (fi) Kallioporakone
EP1910039B1 (de) Schlagwerk für eine wenigstens schlagend antreibbare Handwerkzeugmaschine
KR101370988B1 (ko) 포강 수입장치
KR102291932B1 (ko) 댐핑 기능이 향상된 전동 해머드릴
KR101237944B1 (ko)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US5119554A (en) Pintail ejector assembly for fastener installation tooling
US20080164042A1 (en) Hand-held power tool with pneumatic percussion mechanism
KR101980594B1 (ko) 충격 및 진동 감소와 경량화가 이루어진 진동방지용 해머
US201901013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line
EP2283978A2 (de)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CN104697400B (zh) 一种减震气枪
CN108426485B (zh) 一种基于伸缩反拉解锁机构的伸缩式警棍
JP3556714B2 (ja) 打撃工具の空打ち防止装置
US3919759A (en) Drill drifting device
DE102019107988A1 (de) Schlagwerkzeug
US20080120887A1 (en) Hunting and Sporting Firearm
CN108871054B (zh) 一种带辅件的伸缩式反拉解锁警棍
CN211466271U (zh) 新型射钉器
KR19990004372U (ko) 양궁용 진동흡수장치
CN108827069B (zh) 一种伸缩反拉内藏式解锁机构及解锁方法
CN209836701U (zh) 一种套管及铁路钢轨用塞钉安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