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840A -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 Google Patents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840A
KR20120045840A KR1020100107666A KR20100107666A KR20120045840A KR 20120045840 A KR20120045840 A KR 20120045840A KR 1020100107666 A KR1020100107666 A KR 1020100107666A KR 20100107666 A KR20100107666 A KR 20100107666A KR 20120045840 A KR20120045840 A KR 2012004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ort
rod
barrel
guide rod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944B1 (ko
Inventor
손원호
Original Assignee
손원호
주식회사 정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원호, 주식회사 정후 filed Critical 손원호
Priority to KR102010010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신의 내경을 수입하는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수입봉(100); 상기 수입봉(100)에 결합되는 안내봉(200); 상기 안내봉(200)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는 전방항타함마(310); 상기 안내봉(200)의 후단에 고정결합되는 후방항타함마(320); 상기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전방항타함마(310)와 상기 후방항타함마(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항타함마(310)나 상기 후방항타함마(320)와 충돌하여 타격력을 전달받으며,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창작되는 수입용몸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Bore Cleaning Device by Manual Impact Force}
본 발명은 군에서 야포를 사격할 때 화포무기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포신의 포강(포신 내경)을 상시로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항타함마의 이동과 충격에 따른 타격력(충격에너지)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수입솔과 수입포의 포강 내 움직임을 유도하고 적은 인원을 투입하여 신속하게 포강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에 관한 것이다.
야전에서 총포무기체계의 포신은 포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언제나 깨끗하게 수입되어 사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총포 무기체계는 일반적으로 곡사포, 직사포, 전차포, 대공포 및 박격포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무기체계들은 각각 특성에 맡는 포신을 포함하고 있다. 포신이 수입되지 않은 상태로 사격이 이루어지면 포탄의 비행속도 및 사거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포신 파열 등 사격안전에도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격 후 충분히 깨끗하게 청소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면 추진 장약 찌꺼기나 탄매에 의하여 포신 내부를 부식시키게 된다.
과학의 발발과 더불어 포체계의 관련기술은 크게 발전되고 있으나 포신을 수입하는 기술과 방법은 발전시키지 못함으로 인하여 지금도 도1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긴 장대와 유사한 수입봉에 수입솔을 조립하여 포강 내로 밀어 넣은 후 병사들이 체력으로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여 포강을 닦아내는 방법으로 포신 수입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포신 내에서는 수입솔과 포강의 강선부위의 표면이 강하게 마찰력을 유지하고 있어서 이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을 수입봉에 가하여야 수입솔을 움직일 수가 있기 때문에 과다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구경 자주포의 포신 수입을 위하여 7명에서 12명의 인력이 1시간 이상 중노동을 하여 포강 수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인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포강을 수입하기 위한 방안들이 특허출원 및 등록되었는데 아래의 [문헌1] 및 [문헌2]에서는 동력을 사용한 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포신 청소기가 제시되어 있고, [문헌3]에서는 윈치를 이용한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포신 청소기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포신의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및 반자동 포신 청소기는 기존의 수입봉 및 수입솔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시키지 못함으로 인하여, 군에서 사용하려면 기존의 포신수입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체 포마다 추가로 편제에 포함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자동 포신 청소기 및 윈치식 반자동 포신 청소기로는 약실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가 없으며 강선포신 강선부위 혹은 활강포신의 탄두이동 부위만 효과적으로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약실에 장전된 불량탄의 제거를 위해서는 기존의 수입봉에 불량탄 제거기를 조립하여 수동으로 충격을 가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기존의 수입봉 및 수입솔은 계속 운용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한 자동 또는 반자동 포신 청소기는 각각의 기능 특성상 구경 105mm급 이상에서만 청소가 가능하며 그 이하의 구경에서는 불가능하거나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포체계에 있어서 기존의 포신 수입 기능과 불량탄 제거 등의 기능이 있는 수입봉을 이용하는 운용체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적은 인력으로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포강을 수입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소구경 총포의 포신의 경우에는 수입포를 꼬질대 라고 하는 가느다란 철봉(일종의 수입봉)의 끝단에 구멍을 내어 그곳에 끼워서 총신 내부를 청소하고 있는데, 이는 대구경에 사용하는 신주, 돈모, 갈기, 스텐레스스틸 등의 강한 솔모를 사용하여 1 내지 5회를 왕복하면 청소는 보다 더 잘 되지만 이 경우 병사 1명의 힘으로 수입솔을 만족스럽게 총신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수입포만을 끼우면 매우 헐거운 상태가 되고 지나치게 많은 횟수를 왕복운동시키므로 인하여 총신의 강선 부위가 지나친 마찰로 마모되어 총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포신 내부를 강중유로 닦아내고 기름을 칠할 때 수입포에 기름을 묻히거나 적셔서 포신 내부에 밀어넣어서 청소 및 기름 도포를 하는데, 이는 청소와 기름 도포를 동시에 할 수가 없고 먼저 수입솔로 닦아낸 다음 기름을 묻힌 수입솔이나 수입포를 수입봉을 사용하여 포신에 밀어 넣는 2단계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기름이 과다하게 가해지거나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여 기름을 다시 한 번 닦아 내거나 추가로 칠하는 작업이 더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문헌1] 특허출원 제10-1998-0055121호
[문헌2] 특허출원 제10-2006-0098356호
[문헌3] 특허등록 제0963166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수입봉을 활용하고 항타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인 포신 내경 수입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포신 내부에서 수입봉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수입솔과 수입포를 동시에 사용하여 포신 내경을 수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마무리 작업을 위한 별도의 수입포뭉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항타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포신의 내경을 수입하는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수입봉(100); 상기 수입봉(100)에 결합되는 안내봉(200); 상기 안내봉(200)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는 전방항타함마(310); 상기 안내봉(200)의 후단에 고정결합되는 후방항타함마(320); 상기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전방항타함마(310)와 상기 후방항타함마(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항타함마(310)나 상기 후방항타함마(320)와 충돌하여 타격력을 전달받으며,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창작되는 수입용몸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수입봉(100); 상기 수입봉(100)에 결합되는 안내봉(200); 상기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항타함마(330); 상기 안내봉(200)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항타함마(330)의 전방 단면과 충돌하는 전방타격판(450); 상기 안내봉(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항타함마(330)의 후방 단면과 충돌하는 후방타격판(460); 및, 상기 수입봉(1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며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장착되는 수입용몸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수입봉을 활용하고 항타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인 포신 내경 수입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수입봉의 순간 움직임에 따른 속도 변화와 수입봉의 무게에 따른 충격량이 전방 또는 후방항타함마(외부항타함마도 포함)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전방 또는 후방항타함마가 안내봉을 따라 달려나가 수입용몸체의 단부(타격판)를 강타하고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수입솔이나 수입포가 구비된 수입용몸체가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포신 내경과 마찰운동을 일으켜 포신 내경을 닦아주게 되기 때문에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둘째, 포신 내부에서 수입봉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입봉지지연결부재가 분절봉재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면 수입봉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고, 수입봉과 포신 내경의 충돌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기 때문이다.
셋째, 수입솔과 수입포를 동시에 사용하여 포신 내경을 수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입용몸체에 필요에 따라 수입솔과 수입포를 다단계로 장착하여 동시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마무리 작업을 위한 별도의 수입포뭉치가 구비되어 피니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항타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방 및/또는 후방항타함마(외부항타함마도 포함)의 표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포신 내경 수입기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측면 구조로서 설명의 편의상 포미 측을 전방, 포구 측을 후방으로 표시하였다.
도3은 수입용몸체(500)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중구경이나 소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한다.
도4는 수입용몸체(50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대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별도의 수입포뭉치(600)가 구비되는 경우이다.
도6은 수입봉(100)을 구성하는 분절봉재(110)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를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소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신의 내경을 수입하는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측면 구조로서 설명의 편의상 포미 측을 전방, 포구 측을 후방으로 표시하였다.
수입봉(100)은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수입봉(10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이다.
수입봉(100)의 전방 단부에는 안내봉(20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안내봉(200)은 일반적으로 수입봉(100)의 단부에 가공된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을 선택한다. 또한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핀결합 방식, 암수 결착 방식과 같은 다른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내봉(200)에는 전방항타함마(310), 후방항타함마(320) 및 수입용몸체(5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항타함마(310)과 후방항타함마(320)은 안내봉(200)에 고정결합되는데, 필요에 따라 후방항타함마(320)는 안내봉(200)과 일체로 제작하고, 전방항타함마(310)는 안내봉(200)의 전단에 나사결합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필요시 분리이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방항타함마(310)는 안내봉(200)에 고정결합되어 안내봉(200)의 전방부에 위치하게 되고 후방항타함마(320)는 안내봉(200)에 고정결합되어 안내봉(200)의 후방부에 위치하게 된다.
풀림방지너트(410)는 안내봉(200)의 전단에 구비되어 전방항타함마(310)의 풀림이나 분리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입용몸체(500)는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방항타함마(310)와 후방항타함마(320) 사이에 위치하고 전방항타함마(310)나 후방항타함마(320)와 충돌하여 타격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수입용몸체(500)의 외주면에는 포신 내경을 수입(청소)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창작된다.
즉 포신의 내경으로 삽입한 수입봉(100)을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밀어주면 후방항타함마(320)가 전방으로 달려나가다가 수입용몸체(500)의 일측 단부(타격판)를 강타하게 된다.
후방항타함마(320)가 수입용몸체(500)의 일측 단부를 강타하는 경우 수입봉(100)의 순간 움직임에 따른 속도 변화와 수입봉(100)의 무게에 따른 충격량이 후방항타함마(320)를 통하여 수입용몸체(500)로 전달되고,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구비된 수입용몸체(5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포신 내경과 마찰운동을 일으켜 포신 내경을 닦아주게 된다.
아울러 수입봉(100)을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당겨주면 전방항타함마(310)가 수입용몸체(500)의 타측 단부를 강타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수입용몸체(5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포신 내경과 마찰운동을 일으켜 포신 내경을 닦아주게 된다.
예를 들어 2-3명의 병사가 약 1m 길이의 안내봉(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약 30kg의 수입봉(100)을 동시에 밀거나 당기면 0.1초 내지 0.2초 사이에 정지상태에서 약 10 내지 15 m/sec 의 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평균값을 0.15초 및 12.5 m/sec 라고 한다면 충격량에 따른 힘은 2500뉴턴이며 이는 1명의 병사가 정지상태에서 수입봉을 앞뒤로 밀거나 당기는 힘이 200뉴턴이라고 가정할 때 개략 12명 이상의 병사가 동시에 밀거나 당길 때 발생하는 힘과 동일하다.
따라서 보다 적은 인원으로 포신의 내경을 신속하게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전방항타함마(310)의 후방 단면 표면 및 후방항타함마(320)의 전방 단면 표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34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돌기부(340)는 전방항타함마(310)나 후방항타함마(320)가 수입용몸체(500)의 타격판과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켜 충격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은 수입용몸체(500)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중구경이나 소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하고, 도4는 수입용몸체(50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대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한다.
도3에 도시된 수입용몸체(5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원통관(510)은 중심축을 따라 안내봉(200)이 관통하여 미끄러지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일측 단부에는 외경이 확장된 머리부(5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는 타측 단부에서 시작하여 일정 구간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수입솔(11)이 삽입되어 일정 영역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입솔(11)은 다단계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단계로 설치될 경우 경계 부분에는 고정링(530)이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링(530)은 수입솔(11) 사이의 경계 부분뿐만 아니라 머리부(511)와 수입솔(11) 사이의 경계 부분에도 삽입될 수 있다.
고정링(530)의 단면 구조는 역사다리꼴 형태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사각형 형태나 기타 다른 형태의 단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수입포(22)과 함께 장착될 경우에는 수입포(22)와 수입솔(11)의 경계 부분에도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링(540)을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함으로써 삽입된 수입솔(11)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수입포(22)가 장착되는 경우 수입포(22)를 직접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감을 수도 있으나 수입포(22)를 별도의 수입포장착슬리브(550)에 장착한 후 이러한 수입포장착슬리브(550)를 단순히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삽입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수입포(22)의 신속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입포장착슬리브(550)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수입포(22)가 장착되는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520)이 맞닿는 단부는 외경이 확장된 형태의 플랜지가 구비되어 수입포(22)의 밀림을 방지하는 방지턱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랜지는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입포장착슬리브(550)의 양측 단부에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고무링(560)은 수입포(22)의 외부를 감싸면서 수입포(22)를 수입포장착슬리브(55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무링(560)의 장착 수량은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고정캡(520)은 슬라이딩원통관(510)의 타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며 중심에는 안내봉(200)이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캡(520)은 슬라이딩원통관(510)에 삽입된 수입포장착슬리브(550)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과 타격판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는 슬라이딩원통관(510)의 머리부(511)와 고정캡(520) 사이의 슬라이딩원통관(510) 외주면을 둘러싸게 되는데,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의 배치 수량이나 순서, 배치 구간 등은 반드시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규격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동될 수 있다.
도4의 경우는 도3에 비하여 직경이 더 큰 경우에 해당하는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크기와 중공의 크기 내부 단면 구조에 일부 차이점이 있을 뿐 근본적인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다만 도3의 경우에는 전방항타함마(310)가 고정캡(520)을 직접 타격하게 되나 도4의 경우에는 전방항타함마(310)가 슬라이딩원통관(510)의 내부 격벽을 타격판으로 삼아 직접 타격한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 도4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도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구경 포신의 내경 수입에 사용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별도의 수입포뭉치(600)가 구비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수입포뭉치(600)는 필요에 따라 안내봉(200)의 전방 단부에 별도로 연결되는데, 안내봉(200)의 전방 단부에는 안내봉고리(210)가 형성되며, 연결끈(220)이 안내봉고리(210)와 수입포뭉치(600)를 연결하게 된다. 연결끈(220)은 특별한 재질이나 종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이나 종류의 끈이나 줄이 사용될 수 있다.
수입포뭉치(600)는 나사봉(610), 수입포고정판(620) 및 고정너트(630)로 구성되고 수입포(22)가 수입포고정판(620) 사이에 압착고정되는 구조이다.
나사봉(61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끈(220)과 결합되는 나사봉고리(6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수입포고정판(620)의 중심에는 나사봉(610)에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최소한 2개 이상이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3개의 수입포고정판(620) 사이에 2개의 수입포(22)가 장착된 형태가 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입포고정판(620)과 수입포(22)의 수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고정너트(630)는 수입포고정판(620)이 삽입된 나사봉(610)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며 나사봉고리(611)와 고정너트(630) 사이에 수입포고정판(620)이 장착되고 수입포고정판(620) 사이에 수입포(22)가 압착고정되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입봉(100)은 일체형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수 개의 분절봉재(11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분절봉재(110)의 일측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서로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인데 단순히 분절봉재(110)만을 서로 연결하여 수입봉을 완성할 수도 있으나 대구경 장포신 수입시(길이 10 m 이상의 수입봉이 필요) 포신 내부에서 수입봉(100)의 처짐에 따른 충격과 진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절봉재(110)의 연결 부위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를 체결할 수도 있다.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는 수입봉(100)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포신 내경에 지지되는 확경부(125)의 일측면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분절봉재(11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1결합나사부(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확경부(125)의 타측면 중심에는 분절봉재(110)의 숫나사에 체결되는 제2결합나사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확경부(125)의 외주면에는 완충링(126)이 구비되어 포신 내경과의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하고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가 분절봉재(110)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면 수입봉(10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고, 수입봉(100)과 포신 내경의 충돌에 따른 진동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소구경 포신에 주로 사용한다.
수입봉(100)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며 막대 형상을 하고 있다.
안내봉(200)은 수입봉(100)에 결합되는데, 도2의 경우와는 달리 안내봉(200)이 포신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소구경의 경우 외부항타함마(330)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직경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내봉(200)에는 외부항타함마(3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안내봉(20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외부항타함마(330)로부터 충격력을 전달받는 전방타격판(450)과 후방타격판(460)이 구비된다.
아울러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장착되는 수입용몸체(500)는 수입봉(1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 수입솔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외부항타함마(330)을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밀어주면 외부항타함마(330)가 전방타격판(450)과 충돌하고 이러한 충격력으로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구비된 수입용몸체(5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포신 내경과 마찰운동을 일으켜 포신 내경을 닦아주게 된다.
아울러 외부항타함마(330)을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밀어주면 외부항타함마(330)가 후방타격판(460)과 충돌하고 이러한 충격력으로 수입용몸체(5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포신 내경과 마찰운동을 일으켜 포신 내경을 닦아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신의 내경 수입에만 용도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와 유사한 각종 파이프나 관(튜브) 내경 수입(청소)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100:수입봉
110:분절봉재
120:수입봉지지연결부재
121:제1결합나사부 122:제2결합나사부
125:확경부 126:완충링
200:안내봉
210:안내봉고리
220:연결끈
310:전방항타함마
320:후방항타함마
330:외부항타함마
340:돌기부
410:풀림방지너트
450:전방타격판
460:후방타격판
500:수입용몸체
510:슬라이딩원통관
511:머리부
520:고정캡
530:고정링
540:체결링
550:수입포장착슬리브
560:고무링
600:수입포뭉치
610:나사봉
611:나사봉고리
620:수입포고정판
630:고정너트
11:수입솔 22:수입포

Claims (10)

  1. 포신의 내경을 수입하는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수입봉(100);
    상기 수입봉(100)에 결합되는 안내봉(200);
    상기 안내봉(200)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는 전방항타함마(310);
    상기 안내봉(200)의 후단에 고정결합되는 후방항타함마(320);
    상기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전방항타함마(310)와 상기 후방항타함마(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항타함마(310)나 상기 후방항타함마(320)와 충돌하여 타격력을 전달받으며,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창작되는 수입용몸체(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2. 포신의 내경을 수입하는 포신 내경 수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수입봉(100);
    상기 수입봉(100)에 결합되는 안내봉(200);
    상기 안내봉(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항타함마(330);
    상기 안내봉(200)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항타함마(330)의 전방 단면과 충돌하는 전방타격판(450);
    상기 안내봉(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항타함마(330)의 후방 단면과 충돌하는 후방타격판(460); 및,
    상기 수입봉(1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며 포신 내경을 수입하는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가 외주면에 장착되는 수입용몸체(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3. 제1항에서,
    상기 수입용몸체(500)는,
    중심축을 따라 상기 안내봉(200)이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는 외경이 확장된 머리부(511)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원통관(510); 및,
    상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타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며 중심에는 상기 안내봉(200)이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고정캡(5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는 상기 머리부(511)와 상기 고정캡(520)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원통관(510)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4. 제3항에서,
    상기 수입용몸체(500)는,
    상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머리부(511) 또는 상기 고정캡(520)과 밀착되거나 수입솔(11)이나 수입포(22)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고정링(53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5. 제3항에서,
    상기 수입용몸체(500)는,
    상기 슬라이딩원통관(510)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수입포(22)가 장착되는 수입포장착슬리브(550); 및,
    수입포(22)의 외부를 감싸면서 수입포(22)를 상기 수입포장착슬리브(550)에 고정시키는 고무링(56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6. 제1항에서,
    상기 안내봉(20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봉고리(210);
    상기 안내봉고리(210)에 연결되는 연결끈(220); 및,
    상기 연결끈(220)에 연결되는 수입포뭉치(6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7. 제6항에서,
    상기 수입포뭉치(60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끈(220)과 결합되는 나사봉고리(6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610);
    상기 나사봉(610)에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수입포고정판(620); 및,
    상기 수입포고정판(620)이 삽입된 나사봉(610)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30);
    를 포함하고,
    수입포(22)가 상기 수입포고정판(620) 사이에 압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8.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입봉(100)은,
    일측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다수 개의 분절봉재(110)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상기 분절봉재(110)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
    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입봉지지연결부재(120)는,
    상기 수입봉(100)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포신 내경에 지지되는 확경부(125);
    상기 확경부(125)의 일측면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분절봉재(11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1결합나사부(121); 및,
    상기 확경부(125)의 타측면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분절봉재(110)의 숫나사에 체결되는 제2결합나사부(12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9. 제8항에서,
    상기 확경부(125)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완충링(126);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방항타함마(310)의 전방 단면 표면 또는 상기 후방항타함마(320) 후방 단면 표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3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KR1020100107666A 2010-11-01 2010-11-01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KR10123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66A KR101237944B1 (ko) 2010-11-01 2010-11-01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66A KR101237944B1 (ko) 2010-11-01 2010-11-01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40A true KR20120045840A (ko) 2012-05-09
KR101237944B1 KR101237944B1 (ko) 2013-02-27

Family

ID=4626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66A KR101237944B1 (ko) 2010-11-01 2010-11-01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897A1 (en) * 2012-08-21 2014-02-26 Soosung Machinery Co., Ltd. Cleaning apparatus for cartridge chamber of artillery
KR101370988B1 (ko) * 2012-12-14 2014-03-10 서성진 포강 수입장치
CN107949763A (zh) * 2015-09-11 2018-04-20 孙元镐 击打式手动炮膛清洁器
CN108580451A (zh) * 2018-04-10 2018-09-28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新型线管疏通器
CN117483288A (zh) * 2023-12-29 2024-02-02 宝鸡天联汇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输氢管线防泄漏接头清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215B1 (ko) * 1998-12-15 2001-01-15 최동환 자동 포구청소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압력유체제어장치
FI114506B (fi) 2000-11-29 2004-10-29 Milfoam Oy Menetelmä ampuma-aseen tuliputken puhdistamiseksi
KR100783046B1 (ko) 2006-10-10 2007-12-07 수성정밀기계(주) 포구자동청소기
KR100963166B1 (ko) 2009-11-24 2010-06-15 다불산업주식회사 포신 청소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897A1 (en) * 2012-08-21 2014-02-26 Soosung Machinery Co., Ltd. Cleaning apparatus for cartridge chamber of artillery
KR101370988B1 (ko) * 2012-12-14 2014-03-10 서성진 포강 수입장치
CN107949763A (zh) * 2015-09-11 2018-04-20 孙元镐 击打式手动炮膛清洁器
CN108580451A (zh) * 2018-04-10 2018-09-28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新型线管疏通器
CN108580451B (zh) * 2018-04-10 2024-06-04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新型线管疏通器
CN117483288A (zh) * 2023-12-29 2024-02-02 宝鸡天联汇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输氢管线防泄漏接头清洁设备
CN117483288B (zh) * 2023-12-29 2024-04-16 宝鸡天联汇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输氢管线防泄漏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44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944B1 (ko)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KR101642388B1 (ko) 항타식 수동 포강 수입기
KR101058503B1 (ko) 양방향 수동 항타식 포강 수입기
US8800424B2 (en) Captured spring assembly for a firearm
US20060236853A1 (en) Hydraulic bolt buffer for firearm
US83023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firearm barrels
US8752471B2 (en) Concentric cylinder gas-operated automatic firearm
US2093169A (en) Automatic firearm, in particular machine gun
KR20150009971A (ko) 무기의 보어를 클리닝하기 위한 범용 패치 조립체
US2047897A (en) Barrel cleaning cartridge for firearms
JP6708656B2 (ja) 銃におけるボルトストップ緩衝装置
US20050252405A1 (en) Firearm barrel cleaning shell
KR20230037015A (ko) 포신세척장치
RU264850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US2373761A (en) Breech-closing means for selfloading firearms
CN216385267U (zh) 火炮身管内膛油污擦膛刷
US2291867A (en) Firearm of the recoiling type
EP2202477B1 (en) Watertight loading device for spearguns
US2023020431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recoil reduction in a firearm
RU205348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RU138341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чистки ствола оружия
CN218002313U (zh) 一种适用70mm、90mm火箭炮的气动火炮擦膛机
CN212227861U (zh) 一种用于清理炮管螺旋槽的炮刷
CN217058509U (zh) 线膛炮身管除铜刷
KR101263907B1 (ko) 가스관 내장형 총열이 구비된 소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