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067B1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0067B1 KR101370067B1 KR1020110109620A KR20110109620A KR101370067B1 KR 101370067 B1 KR101370067 B1 KR 101370067B1 KR 1020110109620 A KR1020110109620 A KR 1020110109620A KR 20110109620 A KR20110109620 A KR 20110109620A KR 101370067 B1 KR101370067 B1 KR 1013700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space
- liquefied
- storage tank
- shield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차폐부재가 구비된 누출액 수집공간을 가지는 액화물 저장탱크 및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는, 선박의 선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선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액화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고, 상기 몸체 하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이격공간으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을 수집하는 누출액 수집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의 측면부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누출된 누출액이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공간과 연결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 내측의 상부 및 측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물 저장탱크의 누출액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내에 보강판이 구비되어 누출액 수집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누출액을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의 측면부에는 누출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된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원유(crude oil) 등과 같은 액화물은 다양한 선박 등에 의해 운반 및 저장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상기 선박은 자항능력을 가지며 액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뿐만 아니라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Floating Storage Offloading)등 액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액화물은 소정의 압력으로 밀폐 및 보온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상태로 운반된다.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저장탱크로 액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저장탱크의 파손, 손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저장탱크 외부로 액화물이 누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액화물의 누출액이 발생될 경우, 그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므로 누출액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누출액을 재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가장 일반적인 기술로는, 저장탱크의 하부에 드립 트레이(drip tray)를 설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6741호에 그 일례가 기재된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저장탱크의 구조에 따라 많은 수의 드립 트레이를 설치해야 할 수도 있다는 부담이 있으며, 또한 그 설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차후 유지, 보수를 통해 재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누출액이 많을 경우, 드립트레이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화물 저장탱크의 몸체 내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누출액 수집공간을 형성하고, 누출액이 유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누출액 수집공간의 개구된 유입홀로부터 누출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선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선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액화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고, 상기 몸체 하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이격공간으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을 수집하는 누출액 수집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의 측면부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누출된 누출액이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공간과 연결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 내측의 상부 및 측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를 감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단열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외부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이 유동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는 상기 액화물 누출액을 상기 유입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과 상기 몸체 하면부 사이에는 상기 보강판과 상기 몸체 하면부를 상호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집된 액화물 누출액이 유동 가능한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하면부 사이에는 비탈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유입홀 내측의 하부 일부를 더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액화물 누출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액화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화물 저장탱크의 몸체 내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형성된 누출액 수집공간에 의해 유실 없이 누출액 전량을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폐부재에 의해 누출액 수집공간의 개구된 유입홀로부터 누출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판에 의해 내구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가 선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액화물 저장탱크는 운반선을 비롯한 각종 운항용, 정박용 선박 또는 다양한 해상 구조물에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각 실시예에서는 액화물 저장탱크가 운반선에 적재된 것을 대표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운반선 외의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에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 함은 상기 다양한 선박 및 해상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선체(1)에 설치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볼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는 크게 몸체(100)와, 보강판(200)을 포함한다.
먼저, 몸체(100)의 내부에는 액화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1)이 형성되며, 또한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몸체(100)는 측면부(102), 하면부(104), 상면부(106)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적재되는 액화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측면부(102)와 상면부(106)에는 보강부재(108)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100)는 선체(1)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보강판(200)은 몸체 하면부(104)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몸체(100) 내측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보강판(200)은 몸체(100) 내의 수용공간(S1)의 아래쪽 일부를 구획하며, 실질적으로 수용공간(S1)의 바닥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강판(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S1)의 아래쪽 일부는 이후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이격공간으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을 수집하는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할당된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에 액화물을 적재할 경우, 몸체(100)의 하면부(104)가 가장 큰 하중을 받으며, 특히 측면부(102)에서는 상부 영역으로 갈수록 액화물의 하중이 줄어든다. 따라서, 몸체(100)의 상부 영역보다는 하부 영역에서 액화물이 누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강판(200)은 몸체(100)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측면부(102)에도 이와 같은 보강판(200)을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는 수용공간(S1)이 좁아져 적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는 보강판(200)을 몸체(100) 하부에만 설치하였다.
또한, 누출액 수집공간(S2)의 크기는 보강판(200)의 설치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보강판(200)에 의해 형성된 누출액 수집공간(S2)의 측면부에는 유입홀(210)이 형성된다. 이는 몸체(100)의 측면부(102)로부터 누출 현상이 발생될 경우, 측면부(102)의 바깥쪽으로 흘러내리는 누출액을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보강판(20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S1)의 바닥으로부터 누출되는 누출액은 직접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떨어져 모이게 되며, 몸체(100)의 측면부(102)로부터 상기 이격공간으로 누출되는 누출액은 유입홀(210)에 의해 누출액 수집공간(S2)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저장탱크의 몸체(100)에서 누출액이 발생할 경우에도, 누출액 전량을 누출액 수집공간(S2)을 통해 회수하여 임시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의 경우, 몸체(100)의 외측에는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몸체(100)를 감싸는 단열재(30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몸체(100)의 단열을 위해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며, 선체(1) 및 몸체(100)와 복수 개의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는 단열재(300)에 의해 이격공간이 구획되므로, 누출액은 몸체(100)와 단열재(300) 사이의 구획된 이격공간으로 누출될 것이다. 물론, 단열재(30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몸체(100)가 직접 선체(1)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단열재(300)가 구비됨으로써, 단열재(300)와 몸체(10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몸체(100)의 측면부(102)로부터 누출된 누출액이 유동되는 유동경로(P)가 형성된다. 즉, 몸체(100)의 측면부(102)에 미세 크랙(crack)이 발생하여 누출액이 고압으로 유출될 경우에도 단열재(300)에 의해 유실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유동경로(P)로 흘러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유입홀(210)이 형성된 액화물 저장탱크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홀(210)은 누출액 수집공간(S2)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측면부(102)를 통해 흘러내리는 누출액을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유입시킬 수 있음을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누출액의 유입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하여 유입홀(210)의 외측에 가이드부재(2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몸체(100)와 단열재(300) 사이에 위치되어, 유동경로(P)를 따라 흘러내리는 누출액을 유입홀(2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2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300) 및 몸체(100)에 각각 양측이 고정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고정 위치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220)의 바닥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누출액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그 고정 위치와 형상에 제한이 없다.
그리고, 몸체(100)의 측면부(102)와 하면부(104) 사이에는, 비탈진 경사부(110)가 형성된다. 경사부(110)는 일반적으로 몸체(100) 내부에 수용된 액화물의 하중이 모서리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 유입홀(210)의 위치는 몸체(100)의 측면부(102)와 경사부(11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유입홀(210)이 경사부(110) 중간 지점 등에 형성될 경우에는 누출액을 유입홀(210)로 가이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이에 따라 보강판(200) 역시 경사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조를 통해 누출액이 누출액 수집공간(S2)에 원활히 유입될 수는 있으나, 진동 또는 선체의 기울어짐 등에 의해 누출액이 유입홀(210)을 통해 누출액 수집공간(S2)의 외측으로 역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차폐부재(230)는 유입홀(210)의 내측에 위치되며, 구체적으로 유입홀(210) 내측의 상부 및 측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차폐부재(230)가 구비됨으로 인해 누출액이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보강판(200)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출액이 고압으로 분사될 경우에도 이로부터 유입홀(2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차폐부재(230)는 'L'자 형상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00)의 측면부(102)에 설치된다. 이때 차폐부재(230)의 측면 부분이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어 경사부(110)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누출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유입홀(210) 및 가이드부재(220)를 통해 몸체(100) 외측으로 누출된 누출액을 전량 재회수하여 누출액 수집공간(S2)에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차폐부재(230)에 의해 누출액 수집공간(S2)에 수용된 누출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210)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일치하며, 다만 보강판(200)과 몸체(100)의 하면부(104), 경사부(110) 사이에 지지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지지부재(250) 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50)가 구비될 경우, 보강판(200)을 지지하여 액화물의 하중에 대해 보다 강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50)는 보강판(200)과 몸체(100)의 하면부(104), 경사부(110) 사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유입된 누출액은 복수의 지지부재(250) 사이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몸체(100), 보강판(200), 가이드부재(220), 차폐부재(230) 및 지지부재(250)는 극저온의 액화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Ni-9%강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210)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제2실시예의 지지부재(250)에 유동홀(252)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누출액 수집공간(S2)으로 유입된 누출액은 유동홀(252)을 통해 유동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지지부재(250)는 액화물 저장탱크의 총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하중에 보다 강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1210)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기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몸체(1100)는 경사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측면부(1102)와 하면부(1104)가 직각으로 직접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경우, 유입홀(1210) 내측의 하부가 넓게 개구될 수 있으므로, 차폐부재(1230)는 유입홀(1210) 내측의 상부 및 측부 외에도 하부 일부를 더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기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서 보강판(1200)은 몸체(1100)의 형상에 대응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나, 보강판(1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제한이 없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에 있어서, 유입홀(1210)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제4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나, 차폐부재(1230)에 체크밸브(12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1240)는 차폐부재(1230)의 개구된 하부 일부에 설치될 수 있고, 어느 일측 방향의 유체 흐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서 체크밸브(1240)는 누출액을 유입홀(1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만 진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유입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몸체와 단열재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실질적으로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5실시예의 경우에는 체크밸브(1240)를 유입홀(1210) 내측의 누출액 수집공간(S2)에 노출되도록 하여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은 유입홀(1210) 내측에 차폐부재(123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차폐부재(1230)는 누출액 수집공간(S2)에 노출되며, 하부 일부만이 개구되기 때문에, 체크밸브(1240)는 누출액 수집공간(S-2)의 충분한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좁은 개구 면적만으로 유동되는 누출액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5실시예의 경우, 체크밸브(1240)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면 근처의 철제 물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차폐부재(1230)의 개구된 부분의 개폐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체크밸브(1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5의 제4실시예와 도 6의 제5실시예 역시 도3 및 4와 같이 지지부재(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재(250)에는 유동홀(252)이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선체
100: 몸체
102: 측면부
104: 하면부
106: 상면부
108: 보강부재
110: 경사부
200: 보강판
210: 유입홀
220: 가이드부재
230: 차폐부재
250: 지지부재
252: 유동홀
300: 단열재
S1: 수용공간
S2: 누출액 수집공간
P: 유동경로
100: 몸체
102: 측면부
104: 하면부
106: 상면부
108: 보강부재
110: 경사부
200: 보강판
210: 유입홀
220: 가이드부재
230: 차폐부재
250: 지지부재
252: 유동홀
300: 단열재
S1: 수용공간
S2: 누출액 수집공간
P: 유동경로
Claims (10)
- 선박의 선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선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액화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하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고, 상기 몸체 하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이격공간으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을 수집하는 누출액 수집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판;
을 포함하며,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의 측면부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누출된 누출액이 상기 누출액 수집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공간과 연결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 내측의 상부 및 측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하면부 사이에는 비탈진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재의 측면 부분이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액화물 저장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를 감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단열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외부로 누출된 액화물 누출액이 유동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는 상기 액화물 누출액을 상기 유입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액화물 저장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과 상기 몸체 하면부 사이에는 상기 보강판과 상기 몸체 하면부를 상호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액화물 저장탱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집된 액화물 누출액이 유동 가능한 유동홀이 형성된 액화물 저장탱크. - 삭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유입홀 내측의 하부 일부를 더 차폐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액화물 누출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액화물 저장탱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액화물 누출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액화물 저장탱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액화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620A KR101370067B1 (ko) | 2011-10-26 | 2011-10-26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N201280025313.1A CN103562061B (zh) | 2011-05-25 | 2012-05-22 | 液货储罐及包括该储罐的船舶 |
EP12789512.6A EP2716538B1 (en) | 2011-05-25 | 2012-05-22 | Storage tank for liquefied materials and ship comprising same |
PCT/KR2012/004017 WO2012161493A2 (ko) | 2011-05-25 | 2012-05-22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US14/118,481 US9234629B2 (en) | 2011-05-25 | 2012-05-22 | Storage tank for liquified materials and ship comprising same |
JP2014510265A JP5806391B2 (ja) | 2011-05-25 | 2012-05-22 | 液化物貯蔵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船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620A KR101370067B1 (ko) | 2011-10-26 | 2011-10-26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433A KR20130045433A (ko) | 2013-05-06 |
KR101370067B1 true KR101370067B1 (ko) | 2014-03-06 |
Family
ID=4865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620A KR101370067B1 (ko) | 2011-05-25 | 2011-10-26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00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340Y1 (ko) * | 2016-11-21 | 2021-03-1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Lng 선박용 탱크의 배수 구조 |
CN109305302B (zh) * | 2018-10-19 | 2024-06-11 |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 液货舱的防泄漏围护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66876A (en) * | 1970-10-29 | 1973-10-23 |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 Container for liquefied gases at cryogenic temperatures |
JPS59160695A (ja) * | 1983-02-28 | 1984-09-11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没水台船式船渠 |
KR20090132225A (ko) * | 2008-06-20 | 2009-12-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lng 선박 |
-
2011
- 2011-10-26 KR KR1020110109620A patent/KR1013700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66876A (en) * | 1970-10-29 | 1973-10-23 |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 Container for liquefied gases at cryogenic temperatures |
JPS59160695A (ja) * | 1983-02-28 | 1984-09-11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没水台船式船渠 |
KR20090132225A (ko) * | 2008-06-20 | 2009-12-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lng 선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433A (ko) | 2013-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06391B2 (ja) | 液化物貯蔵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船舶 | |
KR101345806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1294276B1 (ko) | 펌프 타워 | |
KR20130033003A (ko) | 펌프 타워 | |
KR20150127959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 |
KR101983901B1 (ko) | 선박용 액체저장탱크 | |
KR101370067B1 (ko)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CN107850262A (zh) | 船用密封隔热罐 | |
KR20130009071A (ko)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리퀴드 돔 | |
KR101147364B1 (ko) |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 |
KR100973174B1 (ko) |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lng 저장탱크 | |
KR20130044440A (ko) |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 |
KR20110061946A (ko) |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 |
KR20160148309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 |
KR101554896B1 (ko) |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 |
KR20170022667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125104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KR20110004667U (ko) |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 |
KR20170037081A (ko) |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160068088A (ko) | Lng 운용 해양구조물의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해양 구조물의 선창 구조 | |
KR102327401B1 (ko) | 선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섬프 및 섬프가 마련된 선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 |
KR101973817B1 (ko) | Lng fsru 선체 보호용 구조물 | |
KR101701727B1 (ko) | 펌프타워 | |
KR20110000877U (ko) |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 |
KR101302018B1 (ko) | 액화물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