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58B1 -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58B1
KR101369858B1 KR1020130119649A KR20130119649A KR101369858B1 KR 101369858 B1 KR101369858 B1 KR 101369858B1 KR 1020130119649 A KR1020130119649 A KR 1020130119649A KR 20130119649 A KR20130119649 A KR 20130119649A KR 101369858 B1 KR101369858 B1 KR 10136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ray
members
wind
speed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3011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하는 약액이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분무되도록 유도하는 분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 배출부와, 바람 배출부에 배치되는 약액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에 장착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유도장치로서, 제1 벽부재; 상기 제1 벽부재와 이격되어서 대향하는 제2 벽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람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방사상 형태로 위치하는 다수의 분무노즐;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덕트; 및 상기 연결 덕트와 상기 약액분사노즐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분무유도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SPRAY GUIDE APPARATUS FOR SPEED SPRAYER}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하는 약액이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분무되도록 유도하는 분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용 고압, 고성능의 농약분무장치인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는 작업자가 앞좌석에서 운전을 하고 본체의 후미에서 고압분무기로 분사되는 농약 약액을 고속의 팬으로 송풍하여 과수에 살포하는 농약분무작업기이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약액을 후미에서 살포하므로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작업 능률이 뛰어나서 대규모 과수원에 적합하며 분사방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고 분사노즐을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지상부 반원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일정한 작업반경까지 약액을 균일하게 분무하게 되므로, 본체의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부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약액이 분무되거나 도달하지 않게 되고 90도 상향으로 분무되는 농약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까지 약액을 분무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을 더욱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618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의 후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 덕트를 구비하는 분무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송풍력이 약하여 약액이 원하는 범위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을 원하는 방향과 범위로 분무하도록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람 배출부와, 바람 배출부에 배치되는 약액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에 장착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유도장치로서, 제1 벽부재; 상기 제1 벽부재와 이격되어서 대향하는 제2 벽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람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방사상 형태로 위치하는 다수의 분무노즐;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덕트; 및 상기 연결 덕트와 상기 약액분사노즐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분무유도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중심 끝단에 위치하는 상단 유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 유도 부재는 끝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판상의 제1 유도 날개부와 제2 유도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상기 상단 유도 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서 바람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는 상기 상단 유도 부재를 기준으로 대칭의 형상으로 끝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경사지는 경사 유도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는 상기 경사 유도판부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가 상기 두 벽부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가 다수의 약액 분사 노즐과, 다수의 약액 분사 노즐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형성된 분무유도로를 구비하므로 약액을 원하는 방향과 범위로 분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가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 각각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10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는 엔진을 구비하는 엔진부(11)와, 엔진부(11)에 구비되는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팬(12)을 구비하고 엔진부(11)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팬부(13)와, 엔진부(11)와 팬부(13)의 사이에 위치하고 팬(12)에 의해 발생한 바람을 수평축에 대해 주변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4)와, 배출부(14)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다수의 약액분사노즐(15)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구성은 종래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와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에 장착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 장치를 구성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100)는 제1 벽부재(110)와, 제2 벽부재(120)와, 본 발명의 바람판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와, 다수의 분무노즐(170)과, 제1, 제2 연결 덕트(175a, 175b)와, 제1, 제2 연결 호스(180a, 180b)를 포함한다. 제1 벽부재(110)와 제2 벽부재(120)는 서로 대향하고, 두 벽부재(110, 120)의 사이에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가 위치한다. 분무유도장치(100)는 두 벽부재(110, 120) 사이의 공간이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의 배출구(14)와 연통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벽부재(110)는 판상의 벽 형상으로서,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1 벽부재(11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변부(111)와, 하변부(111)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측변부(112a) 및 제2 수직 측변부(112b)와, 제1 수직 측변부(112a)로부터 위로 가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 측변부(113a)와, 제2 수직 측벽부(112b)로부터 위로 가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 측변부(113b)와, 제1 경사 측변부(113a)의 상단과 제2 경사 측변부(113b)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부(114)를 구비한다. 제1 경사 측변부(113a)와 제2 경사 측변부(113b)는 각각 좌우 상방을 향하며, 상변부(114)는 상방을 향한다.
제1 벽부재(110)에서 제2 벽부재(110)와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노즐 연결구가 마련된다. 다수의 노즐 연결구는 제1 경사 측변부(113a)와 제2 경사 측변부(113b)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다수의 노즐 연결구에 다수의 분무 노즐(170)이 각각 결합된다. 제1 경사 측변부(113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노즐 연결구들은 제1 연결 덕트(175a)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2 경사 측변부(113b)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노즐 연결구들은 제2 연결 덕트(175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벽부재(110)의 하부에는 제1, 제2 설치 부재(115a, 115b)가 대체로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도2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설치 부재(115a)는 대체로 기다란 바아 형태로서, 벽부재 결합부(1151a)와 본체 결합부(1152a)를 구비한다. 벽부재 결합부(1151a)에는 길게 연장된 슬릿(1153a)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제1 설치 부재(115a)가 제1 벽부재(110)에 결합된다. 슬릿(1153a)에 의하여 본체(10)와의 결합 위치가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1152a)에는 결합 구멍(1154a)이 마련된다. 결합 구멍(1154a)을 통해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본체(10)에 결합된다. 제2 설치 부재(115b)는 제1 설치 부재(115a)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벽부재(120)는 판상의 벽 형상으로서, 제1 벽부재(110)와 동일한 형태이다. 제2 벽부재(1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제1 벽부재(120)와 마주보며 설치된다. 제1 벽부재(110)와 제2 벽부재(120)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본체(10)의 배출구(14)와 연통한다. 제2 벽부재(1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변부(121)와, 하변부(121)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측변부(122a) 및 제2 수직 측변부(122b)와, 제1 수직 측변부(122a)로부터 위로 가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 측변부(123a)와, 제2 수직 측벽부(122b)로부터 위로 가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 측변부(123b)와, 제1 경사 측변부(123a)의 상단과 제2 경사 측변부(123b)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부(124)를 구비한다. 제1 경사 측변부(123a)와 제2 경사 측변부(123b)는 각각 좌우 상방을 향하며, 상변부(114)는 상방을 향한다. 제1 벽부재(110)와 제2 벽부재(120)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판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는 두 벽부재(110, 120)를 결합하면서 두 벽부재(1120, 120) 사이를 통과하는 바람을 좌상방과 우상방으로 경사지게 올라가도록 유도한다.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는 중앙 부재(130)와, 상단 유도 부재(140)와, 제1 좌우 유도 부재(145)와, 제2 좌우 유도 부재(150)와, 제3 좌우 유도 부재(155)와,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와, 제5 좌우 유도 부재(165)를 구비한다.
도 2와 도 5를 참주하면, 중앙 부재(130)는 풍향 유도판부(131)와, 제1, 제2 결합 플랜지부(132, 133)를 구비한다. 풍향 유도판부(131)는 편편한 판 형태로서, 두 벽부재(110, 120)와 직각을 이룬다. 풍향 유도판부(131)는 수직으로 두 벽부재(110, 120)의 중심부 하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두 플랜지부(132, 133) 각각은 풍향 유도판부(131)로부터 절곡되어서 형성된다. 두 플랜지부(132, 133) 각각에는 결합 구멍(1321)이 형성되어서 두 벽부재(110, 120)에 각각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상단 유도 부재(140)는 대체로 V-자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단 유도 부재(140)는 중앙 부재(130)의 위에 두 벽부재(110, 120)의 상단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단 유도 부재(140)는 제1 유도 날개부(141)와, 제2 유도 날개부(142)를 구비한다. 두 유도 날개부(141, 142)는 위로 갈수록 바깥면이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두 유도 날개부(141, 142)의 하단은 연결되어서, 아래에서 올라오는 바람은 모두 좌측 상방 또는 우측 상방으로 나누어져서 배출된다. 두 유도 날개부(141, 142)에 의해 좌우로 나누어져서 경사지게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약액이 수직방향 위로 분무되는 것을 방지된다. 제1 유도 날개부(141)의 양단에는 각각 결합 구멍(1411a, 1412a)이 마련된 결합부(1411, 1412)가 플랜지 형태로 마련되고, 제2 유도 날개부(142)의 양단에는 각각 결합 구멍(1421a)이 마련된 결합부(1421, 1422)가 플랜지 형태로 마련된다. 각 결합부(1411, 1412, 1421, 1422)에 두 벽부재(110, 120) 각각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좌우 유도 부재(145)는 편평한 유도판부(146)와, 유도판부(146)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결합 플랜지부(147, 148)를 구비한다. 제1 좌우 유도 부재(145)는 유도판부(146)가 상단 유도 부재(140)의 바깥쪽에 각각 이격되어서 경사지게 하나씩 배치된다. 경사 방향은 바람을 중심에 대해 바깥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두 결합 플랜지부(147, 148)에는 각각 결합구멍(147a, 148a)이 마련되어서 두 벽 부재(110, 120)에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좌우 유도 부재(145)는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좌우 유도 부재(150)는 편평한 제1 유도판부(151)와, 편평한 제2 유도판부(152)와, 제1 유도판부(15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결합 플랜지부(153, 154)를 구비한다. 제2 좌우 유도 부재(150)는 제1 좌우 유도 부재(145)의 바깥쪽에 각각 이격되어서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유도판부(151)는 수직으로 연장되어서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바람을 수직 상방으로 안내한다. 제2 유도판부(152)는 제1 유도판부(151)에 대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유도판부(152)는 바람을 상부 측방으로 유도한다. 두 결합 플랜지(153, 154)에는 각각 결합구멍(1531, 1541)이 마련되어서 두 벽부재(110, 120)에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좌우 유도 부재(145)와 제2 좌우 유도 부재(150)의 사이에 분무 노즐(170)로부터 분무되는 약액을 분무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좌우 유도 부재(150)는 제2 유도판부(152)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좌우 유도 부재(150)와 두 벽부재(110, 120)의 결합부의 구멍이 일정 구간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좌우 유도 부재(155)는 제2 좌우 유도 부재(150)의 바깥쪽에 각각 이격되어서 하나씩 배치된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는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와 동일하다. 제2 좌우 유도 부재(150)와 제3 좌우 유도 부재(155)의 사이에 분무 노즐(170)로부터 분무되는 약액을 분무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된다.
도 2와 도 9를 참조하면, 제4 좌우 유도 부재(160)는 편평한 제1 유도판부(162)와, 편평한 제2 유도판부(161)와, 제1 유도판부(16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결합 플랜지부(163, 164)를 구비한다. 제4 좌우 유도 부재(160)는 제3 좌우 유도 부재(155)의 바깥쪽에 각각 이격되어서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유도판부(162)는 수직으로 연장되어서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바람을 수직 상방으로 안내한다. 제2 유도판부(161)는 제1 유도판부(162)에 대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유도판부(161)는 바람을 상부 측방으로 경사지게 배출하도록 유도한다. 두 결합 플랜지(163, 164)에는 각각 결합구멍(1631, 1641)이 마련되어서 두 벽부재(110, 120)에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제3 좌우 유도 부재(155)와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의 사이에 분무 노즐(170)로부터 분무되는 약액을 분무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 좌우 유도 부재(160)는 제2 유도판부(161)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와 두 벽부재(110, 120)의 결합부의 구멍이 일정 구간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5 좌우 유도 부재(165)는 편평한 제1 유도판부(166a)와, 편평한 제2 유도판부(166)와, 제1 유도판부(166a)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결합 플랜지부(167, 168)를 구비한다. 제5 좌우 유도 부재(165)는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의 바깥쪽에 각각 이격되어서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유도판부(166a)는 수직으로 연장되어서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바람을 수직 상방으로 안내한다. 제2 유도판부(166)는 제1 유도판부(166a)에 대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유도판부(166)는 바람을 상부 측방으로 경사지게 배출하도록 유도한다. 두 결합 플랜지(167, 168)에는 각각 결합구멍(1671, 1681)이 마련되어서 두 벽부재(110, 120)에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제4 좌우 유도 부재(160)와 제5 좌우 유도 부재(165)의 사이에 분무 노즐(170)로부터 분무되는 약액을 분무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5 좌우 유도 부재(165)는 제2 유도판부(166)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5 좌우 유도 부재(165)와 두 벽부재(110, 120)의 결합부의 구멍이 일정 구간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유도 부재(140) 및 제1 내지 제5 좌우 유도 부재(145, 150, 155, 160, 165)는 대체로 방사상 형태로 위치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무노즐(170)은 방사상 형태로 위치하는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한다. 각 분무노즐(170)은 제1 벽부재(110)에 마련된 노즐 연결구들에 결합된다. 분무노즐(170)을 통해 약액이 분무된다.
제1 연결 덕트(175a)는 제1 벽부재(110)의 제1 경사 측변부(113a)에 결합되어서 제1 경사 측변부(113a)에 인접한 노즐 연결구들을 연통시킨다.
제2 연결 덕트(175b)는 제1 벽부재(110)의 제2 경사 측변부(113b)에 결합되어서 제2 경사 측변부(113b)에 인접한 노즐 연결구들을 연통시킨다.
제1 연결 호스(180a)는 제1 연결 덕트(175a)와 본체(10)에 마련된 약액분사노즐(15)들 중 하나을 연결한다. 제1 연결 호스(180a)을 통해 약액이 제1 연결 덕트(175a)로 공급된다.
제2 연결 호스(180b)는 제2 연결 덕트(175b)와 본체(10)에 마련된 약액분사노즐(15)들 중 하나를 연결한다. 제2 연결 호스(180b)를 통해 약액이 제2 연결 덕트(175b)로 공급된다.
이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약액은 제1 연결 호스(180a)와 제2 연결 호스(180b)를 통해 각각 제1 연결 덕트(175a)와 제2 연결 덕트(175b)로 공급된다. 약액은 연결 덕트(175a, 175b)와 연통하는 다수의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된다. 팬(1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두 벽부재(110, 1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어서 위로 올라가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130, 140, 145, 150, 155, 160, 165)에 의해 안내되어서 좌측 상방과 우측 상방 양쪽으로 배출된다. 약액은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따라서 좌측 상방과 우측 상방 양쪽으로 분무된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110 : 제1 벽부재
120 : 제2 벽부재
130, 140, 145, 150, 155, 160, 165 : 풍향 유도 부재
170 : 분무노즐
175a : 제1 연결 덕트
175b : 제2 연결 덕트
180a : 제1 연결 호스
180b : 제2 연결 호스

Claims (5)

  1. 삭제
  2. 바람 배출부와, 바람 배출부에 배치되는 약액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에 장착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유도장치로서,
    제1 벽부재;
    상기 제1 벽부재와 이격되어서 대향하는 제2 벽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람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
    상기 두 벽부재의 사이에 방사상 형태로 위치하는 다수의 분무노즐;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덕트; 및
    상기 연결 덕트와 상기 약액분사노즐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분무유도로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중심 끝단에 위치하는 상단 유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 유도 부재는 끝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판상의 제1 유도 날개부와 제2 유도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풍향 유도 부재는 상기 상단 유도 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서 바람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는 상기 상단 유도 부재를 기준으로 대칭의 형상으로 끝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경사지는 경사 유도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좌우 유도 부재는 상기 경사 유도판부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5. 삭제
KR1020130119649A 2013-10-08 2013-10-08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KR10136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49A KR101369858B1 (ko) 2013-10-08 2013-10-08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49A KR101369858B1 (ko) 2013-10-08 2013-10-08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58B1 true KR101369858B1 (ko) 2014-03-05

Family

ID=5064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649A KR101369858B1 (ko) 2013-10-08 2013-10-08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KR20160134181A (ko) 2015-05-15 2016-11-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60136836A (ko) 2015-05-21 2016-1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918541B1 (ko) 2017-01-23 2019-02-11 주식회사 한서정공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20190048626A (ko) * 2017-10-31 2019-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살포기 송풍장치
KR20190106211A (ko) 2018-03-08 2019-09-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송풍부를 자동 제어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2099042B1 (ko) * 2019-07-31 2020-05-26 오병호 다방향 정밀 살포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JP2021090375A (ja) * 2019-12-10 2021-06-17 株式会社イーエムアイ・ラボ 薬液散布機
KR20220108443A (ko) 2021-01-27 2022-08-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2469864B1 (ko) * 2022-06-13 2022-11-23 박정태 약액의 분사효율이 극대화되는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96Y1 (ko) 2001-02-19 2001-07-03 최준홍 방제기의 분무장치
KR20090086191A (ko) * 2009-07-22 2009-08-11 송준복 스피드스프레이어분무유도장치
KR20130028127A (ko) * 2012-11-15 2013-03-18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1261890B1 (ko) 2012-11-13 2013-05-07 (주)씨앤씨테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96Y1 (ko) 2001-02-19 2001-07-03 최준홍 방제기의 분무장치
KR20090086191A (ko) * 2009-07-22 2009-08-11 송준복 스피드스프레이어분무유도장치
KR101261890B1 (ko) 2012-11-13 2013-05-07 (주)씨앤씨테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KR20130028127A (ko) * 2012-11-15 2013-03-18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181A (ko) 2015-05-15 2016-11-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710112B1 (ko) * 2015-05-15 2017-02-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60136836A (ko) 2015-05-21 2016-1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708183B1 (ko) * 2015-05-21 2017-02-2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KR101918541B1 (ko) 2017-01-23 2019-02-11 주식회사 한서정공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20190048626A (ko) * 2017-10-31 2019-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살포기 송풍장치
KR101997635B1 (ko) 2017-10-31 2019-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살포기 송풍장치
KR20190106211A (ko) 2018-03-08 2019-09-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송풍부를 자동 제어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2099042B1 (ko) * 2019-07-31 2020-05-26 오병호 다방향 정밀 살포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JP2021090375A (ja) * 2019-12-10 2021-06-17 株式会社イーエムアイ・ラボ 薬液散布機
KR20220108443A (ko) 2021-01-27 2022-08-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2469864B1 (ko) * 2022-06-13 2022-11-23 박정태 약액의 분사효율이 극대화되는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858B1 (ko)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US20200298256A1 (en) Rigid mount orbitor sprinkler
US6340283B1 (en) Adjustable impingement dual blower apparatus
KR101593496B1 (ko)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KR20190121545A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CN108930551A (zh) 一种隧道施工用喷雾降尘装置
CN204518975U (zh) 一种喷洒范围较大的植保车
KR101118777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CN109730048A (zh) 摇摆喷药设备及摇摆喷药方法
KR101261890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KR20160136836A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WO2021243541A1 (zh) 一种农业机械的喷雾机具
KR101710112B1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CN107961909B (zh) 一种360度旋转喷头
JP2014153001A (ja) 冷却塔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285318B1 (ko) 원거리 송풍관
KR20080026961A (ko) 광범위 살포형 농약방제기
US9878352B2 (en) High pressure surface cleaner and related methods
KR20180087498A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100434885B1 (ko) 상온 연무기
KR102451313B1 (ko) 공기조화기
CN205180173U (zh) 高效喷雾机用出风装置
JP2010200703A (ja) 茶園管理機における送風式薬液散布装置
KR102531297B1 (ko)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