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890B1 -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890B1
KR101261890B1 KR1020120128340A KR20120128340A KR101261890B1 KR 101261890 B1 KR101261890 B1 KR 101261890B1 KR 1020120128340 A KR1020120128340 A KR 1020120128340A KR 20120128340 A KR20120128340 A KR 20120128340A KR 101261890 B1 KR101261890 B1 KR 10126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pray
guide
speed sprayer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2012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86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the spray jet being generated by a rotary deflector rotated by liquid discharged onto i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its rotation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덕트와 조정 링크와 보조 덕트와 덕트 분무노즐과 분무호스를 포함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내 덕트는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 후미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고 마주보는 측면은 막히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다. 조정 링크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와 안내 덕트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한다. 보조 덕트는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다. 덕트 분무노즐은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분무호스는 본체 분무노즐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한 약액을 안내 덕트 내부에서 덕트 분무노즐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있고, 안내 덕트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덕트 분무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액의 분무효과를 높이고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Spray device of Speed-sprayer}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한 약액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분무효과를 높이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용 고압, 고성능의 농약분무장치인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작업자가 앞좌석에서 운전을 하고 본체의 후미에서 고압분무기로 분사되는 농약 약액을 고속의 팬으로 송풍하여 과수에 살포하는 농약분무작업기이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농약 약액의 살포가 후미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작업 능률이 좋아 대규모 과수원에 적합하고 분사방향의 필요에 따라 분사노즐을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지상부 반원(180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일정한 작업반경까지 약액이 균일하게 분무하게 되므로, 본체의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부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약액이 분무되거나 도달하지 않게 되고 90도 상향으로 분무되는 농약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까지 약액을 분무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을 더욱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약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송풍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지 않고도 약액이 전체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장착하는 분무유도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1118777호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8777호에 개시된 종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유도장치(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미에 송풍팬(12)이 장착되어 180도 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분무노즐(13)을 통해 농약 약액이 살포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설치된다.
분무유도장치(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송풍배출구의 중앙 상단에 직접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관이 좌우에 설치되어 대칭형태를 이루는 제1직선부(21)와, 제1직선부(21)와 연결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송풍 기류를 수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 45도 각도의 경사관이 설치되고 좌우 측면에는 수평으로 송풍기류를 배출하기 위한 측면배출구(22a)가 형성된 곡부(22)와, 곡부(22)에서 45도 각도 방향으로 유도된 송풍기류를 직선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곡부(22)의 경사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형 판재(23a)가 설치되고 말단 배출구(23b)가 형성된 제2직선부(23)와, 제2직선부(23)의 말단에 설치되는 상 분무노즐(24)과, 곡부(22)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 분무노즐(25)과, 분무기에서 상 분무노즐(24)과 측 분무노즐(25)에 연결하는 분무호스(26)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유도장치(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서 발생된 송풍기류가 배출관의 제1직선부(21)와 곡부(22) 및 제2직선부(23)를 통해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도된 후 45도 방향으로 유도되어 측 분무노즐(25)을 통해 분무되는 약액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한편 상 분무노즐(24)을 통해 분무되는 약액을 45도 방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분무노즐(13)을 통해서 별도로 약액이 분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유도장치(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송풍기류를 유도하여 별도의 분무노즐(24)(25)을 통해 분무되는 약액을 45도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에 분무노즐 외에 별도의 송풍 배출구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분무유도장치(20)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무유도장치(20)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으므로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한 약액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무효과를 높이고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는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 후미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와 안내 덕트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정 링크와,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보조 덕트와,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과, 본체 분무노즐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를 연통시키는 분무호스를 포함하고,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는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 후미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베이스 프레임과 안내 덕트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정 링크와,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보조 덕트와,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과, 본체 분무노즐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를 연통시키는 분무호스를 포함하고,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에는 덕트 분무노즐의 분무효과를 높이도록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 상단부는 상승하는 분무액이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에 의하면, 스피드 스프레이어에서 발생한 약액을 안내 덕트 내부에서 덕트 분무노즐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있고, 안내 덕트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덕트 분무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액의 분무효과를 높이고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유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측의 안내 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한 쌍의 안내 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에서 약액 및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측의 안내 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덕트 분무노즐이 결합된 상태이며, 도 4는 도 2에서 한 쌍의 안내 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덕트 분무노즐이 결합된 상태이고,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100)는 본체(11)의 후미에 송풍팬(12)이 장착되어 180도 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13)을 통해 농약 약액이 살포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와, 조정 링크(120)와, 보조 덕트(130)와, 덕트 분무노즐(140)과, 분무 호스(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의 후미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며 조정 링크(12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1)에는 안내 덕트(110A)(110B)를 회동되게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1a)와 조정 링크(120)를 힌지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1b)가 구비된다.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는 ㄷ 단면의 경찬넬 형태로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다.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 플랜지 외면에는 보조 덕트(130)가 부착되고, 일측 플랜지 내면에는 보조 덕트(130)에 연통하는 덕트 분무노즐(140) 및 후술하는 호스니플이 설치되며, 웨브(마주보는 측면)에는 덕트 분무노즐(140)의 분무 효과를 높이도록 공기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웨브 상단부(112)(마주보는 측면 상단부)는 상승하는 분무액이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웨브 하단에는 회동축(161)이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경첩통부(113a)(113b)가 형성된다.
조정 링크(1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와 안내 덕트(110A)(110B)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110A)(110B)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며, 상부(121)와 하부(122)가 꺽여진 상태로 이어진 판형 링크다. 상부(1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21a)이 형성되고, 장공(121a)에는 그립 볼트(162)가 끼워져 안내 덕트(110A)(110B)에 고정된다. 하부(122)에는 힌지핀(163)이 끼워져 조정 링크(120)가 본체(11)의 플랜지(11b)에 힌지 결합된다.
보조 덕트(130)는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면 외면에 안내 덕트(110A)(110B)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며, 본체 분무노즐(13)에서 분무 호스(150)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덕트 분무노즐(140)로 분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덕트 분무노즐(140)은 T형 또는 이중 T형 노즐로서, 보조 덕트(130)에 연통되게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면에 약액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된다. T형 노즐은 중앙의 유도관부(141)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2개의 분출관부(142) 끝단에 형성된 노즐구멍을 통해 약액이 분출하고, 2중 T형 노즐은 중앙의 유도관부(141)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4개의 분출관부(142) 끝단에 형성된 노즐구멍을 통해 약액이 분출한다. 노즐 구멍은 필요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덕트 분무노즐(140)은 유도관부(141)에 설치되어 안내 덕트(110A)(110B)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조정너트를 풀고 조움에 의해 분출방향을 조정하여 고정한다.
분무 호스(150)는 본체 분무노즐(13)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130)를 연통시키는 호스로서, 일단은 본체 분무노즐(13)에 연결되고 타단은 호스 니플(164)을 통해 안내 덕트(110A)(110B)의 플랜지 일측 내면에 고정되어 보조 덕트(130)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무장치(100)를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 설치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서 분무 호스(150, 도 2에 도시)에 연결되지 않은 본체 분무노즐(13)을 통해 필요에 따라 약액을 분출시킬 수도 있지만, 분무 호스(150)에 연결되지 않은 본체 분무노즐(13, 도 2에 도시)을 모두 폐쇄시키고 안내 덕트(110A)(110B)의 회동각도를 조정하고 덕트 분무노즐(140)을 분출 방향을 조정하여 약액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볼트(162)를 풀고 안내 덕트(110A)(110B)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조정 링크(120)와 함께 회동각도를 조정한 후, 그립 볼트(162)를 조여 안내 덕트(110A)(110B)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각 덕트 분무노즐(140)를 회동시켜 분출방향을 조정하여 고정하고,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송풍팬(12)을 가동하면, 약액은 화살표 C방향을 통해 보조 덕트(130)의 내부에 유입되어 각 덕트 분무노즐(140)로 분배되어 화살표 D방향으로 살포된다. 따라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서 발생한 약액을 안내 덕트(110A)(110B) 내부에서 덕트 분무노즐(140)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분출되는 약액의 분출속도에 의해 주위의 압력이 강하되면서 외부공기가 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어(점선 화살표 E방향) 약액의 분무 살포 효과를 높인다.
그리고, 덕트 분무노즐(140)의 분출 방향을 상방향으로 할 때, 상측으로 분출되는 약액은 안내 덕트(110A)(110B)의 웨브 상단부(112)에 의해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므로 약액이 불필요하게 상승되지 않고 과수에 살포되는 효과를 높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분무장치(200)는 송풍팬(12)과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13)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 후미 상에 베이스 프레임(270)이 고정되고, 한 쌍의 안내 덕트(210A)(210B)가 베이스 프레임(270)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며, 조정 링크(220)가 베이스 프레임(270)과 안내 덕트(210A)(210B)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201A)(210B)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고, 보조 덕트(230)가 안내 덕트(210A)(2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240)이 보조 덕트(230)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분무호스(250)가 본체 분무노즐(13)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230)를 연통시키며, 한 쌍의 안내 덕트(210A)(210B)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인 구조로 구성된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의 상부에는 베이스 프레임(270)이 안착하여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안착부(11c)가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270)은 한 쌍의 앵글부재(271) 양단부가 연결봉(272 : 나사봉)에 의해 연결되면서 조정 링크(220)를 힌지결합하고, 앵글부재(271)의 중앙부가 회동축(261)에 의해 연결되어 안내 덕트(210A)(210B)를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안내 덕트(210A)(210B)와 조정 링크(220)와 보조 덕트(230)와 덕트 분무노즐(240)과 분무호스(250)와 회동축(261)과 그립 볼트(262)와 호스니플(264)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고, 제2실시예의 분무장치(200)에서 약액의 분무 작용은 제1실시예의 약액 분무 작용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분무장치 110A,110B : 안내 덕트
120 : 조정 링크 130 : 보조 덕트
140 : 덕트 분무노즐 150 : 분무호스
161, 261 : 회동축 162, 262 : 그립 볼트
163 : 힌지핀 264 : 호스 니플
270 : 베이스 프레임 271 : 앵글부재
272 : 연결봉

Claims (4)

  1.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 후미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상기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와 상기 안내 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안내 덕트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정 링크와,
    상기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보조 덕트와,
    상기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과,
    상기 본체 분무노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보조 덕트를 연통시키는 분무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2.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본체 후미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안내 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안내 덕트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정 링크와,
    상기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보조 덕트와,
    상기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과,
    상기 본체 분무노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보조 덕트를 연통시키는 분무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에는 덕트 분무노즐의 분무효과를 높이도록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 상단부는 상승하는 분무액이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KR1020120128340A 2012-11-13 2012-11-13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KR10126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40A KR101261890B1 (ko) 2012-11-13 2012-11-13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40A KR101261890B1 (ko) 2012-11-13 2012-11-13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890B1 true KR101261890B1 (ko) 2013-05-07

Family

ID=4866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340A KR101261890B1 (ko) 2012-11-13 2012-11-13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8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58B1 (ko) 2013-10-08 2014-03-05 (주)씨앤씨테크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KR101625059B1 (ko) * 2014-06-18 2016-05-27 주식회사 트론 액체 비산 장치
KR101625072B1 (ko) * 2014-06-18 2016-05-27 주식회사 트론 원거리 액체 비산 장치
KR102099042B1 (ko) * 2019-07-31 2020-05-26 오병호 다방향 정밀 살포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771U (ko) 1981-05-19 1982-11-24
JPS6227772U (ko) 1985-08-05 1987-02-19
KR101118777B1 (ko) 2009-07-22 2012-03-20 송준복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771U (ko) 1981-05-19 1982-11-24
JPS6227772U (ko) 1985-08-05 1987-02-19
KR101118777B1 (ko) 2009-07-22 2012-03-20 송준복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58B1 (ko) 2013-10-08 2014-03-05 (주)씨앤씨테크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KR101625059B1 (ko) * 2014-06-18 2016-05-27 주식회사 트론 액체 비산 장치
KR101625072B1 (ko) * 2014-06-18 2016-05-27 주식회사 트론 원거리 액체 비산 장치
KR102099042B1 (ko) * 2019-07-31 2020-05-26 오병호 다방향 정밀 살포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KR102563960B1 (ko) 2021-12-21 2023-08-04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890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CN106359341B (zh) 一种棉花专用施药机
US9289783B2 (en) Nozzle adjustment member for sprinkler
CN209330979U (zh) 一种智能喷药机
KR101369858B1 (ko) 노즐에 바람판이 장착된 상향분무가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무유도장치
KR20190121545A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JP5784616B2 (ja) 農作物を吹き付けるためのフード付き農作物スプレー装置
ITPR20120091A1 (it) Dispositivo irroratore per macchina di lavaggio.
KR101118777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CN104012508A (zh) 一种适用于棉田的高效喷雾机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ES2302856T3 (es) Dispositivo para conformar en seco una tela de fibras.
KR200464258Y1 (ko) 방제장치
US202003151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raying a product, in particular a plant-protection product
KR20160136836A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AU700157B2 (en) Equipment for spraying of plants with the aid of pulsating air streams
CN106332856B (zh) 一种棉花专用施药机用导流板
CN112400848A (zh) 一种可调节喷雾角度的立式喷雾机
US6547883B2 (en) Spray coating applicator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67485A1 (en) Modular spraying leg
KR20160018091A (ko)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1890641B1 (ko) 복수의 회전분사장치를 구비한 분무장치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CN206043215U (zh) 一种用于喷杆喷雾机的风幕式防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