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091A -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091A
KR20160018091A KR1020140102152A KR20140102152A KR20160018091A KR 20160018091 A KR20160018091 A KR 20160018091A KR 1020140102152 A KR1020140102152 A KR 1020140102152A KR 20140102152 A KR20140102152 A KR 20140102152A KR 20160018091 A KR20160018091 A KR 2016001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duct
blast
nozzle
pes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4010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091A/ko
Publication of KR2016001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야나 과수원의 식물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고압의 공기흐름을 통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제대상과의 거리와 분무 각도에 따라 송풍압을 조절함으로써, 방제효과를 높이고 또한 방제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송풍 공기를 제공하는 회전체를 회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회동시키는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방제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즉 방제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동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송풍압을 조절함으로써 방제대상의 되는 과수의 높이 및 거리에 따라 적합하게 약액을 분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서는
비교적 중력의 영향을 덜 받는 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본체분무노즐과, 중력의 영향이 큰 측상방향 덕트분무노즐의 분사력을 달리하기 위하여,
회전체의 회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 1 송풍구, 제 2 송풍구와를 포함하며, 제 1 송풍구는 본체노즐과 연통하고, 제 2 송풍구는 덕트노즐과 연통하며;
상기 제 1 송풍구의 단면적이 제 2 송풍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송풍구의 유로 단면적이 제 1 송풍구보다 작기 때문에 송풍공기의 흐름이 빨라 더욱 강한 분사력을 제공하며, 분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덕트분무노즐에 연통하는 제 2 송풍구를 다수개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Spray device of Speedsprayer}
본 발명은 임야나 과수원의 식물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고압의 공기흐름을 통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제 대상 까지의 거리 및 분무 방향에 따른 방제 효과를 높이는 약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본체 후미에 설치한 송풍팬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고압으로 차량 본체의 측방을 향하여 방출시키고, 이때 프레임의 외주에 고정된 분무 노즐로부터 약액이 살포된다.
분무의 방향을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 경우 약액은 차량 본체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분무되지만, 이 경우 방제 대상이 되는 과수의 높이나, 거리에 따라 방제 대상까지 도달하는 약액의 양에 변동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1] KR 1261890 B1 ((주)씨앤씨테크) 2012.11.13 에서는 방제차량 본체의 측상방향으로 마련된 별도의 노즐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측상방향을 향하는 노즐과 본체 노즐사이에 송풍압의 차이가 없어, 측상방향으로 분무되는 약액이 중력의 영향으로 충분히 방제대상에 도달하는점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제대상과의 거리와 분무 각도에 따라 송풍압을 조절함으로써, 방제효과를 높이고 또한 방제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은
송풍 공기를 제공하는 회전체를 회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회동시키는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방제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즉 방제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동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송풍압을 조절하며;
본체 차량의 측상방향으로의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는,
베이스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상기 제 2 송풍구와 연통하는 보조 덕트와,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상기 안내 덕트에 고정되는 다수의 덕트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송풍 공기를 제공하는 회전체를 회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회동시키는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방제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즉 방제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동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송풍압을 조절함으로써 방제대상의 되는 과수의 높이 및 거리에 따라 적합하게 약액을 분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서는
비교적 중력의 영향을 덜 받는 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본체분무노즐과, 중력의 영향이 큰 측상방향 덕트분무노즐의 분사력을 달리하기 위하여,
회전체의 회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 1 송풍구, 제 2 송풍구와를 포함하며, 제 1 송풍구는 본체노즐과 연통하고, 제 2 송풍구는 덕트노즐과 연통하며;
상기 제 1 송풍구의 단면적이 제 2 송풍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송풍구의 유로 단면적이 제 1 송풍구보다 작기 때문에 송풍공기의 흐름이 빨라 더욱 강한 분사력을 제공하며, 분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덕트분무노즐에 연통하는 제 2 송풍구를 다수개 마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측의 안내 덕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덕트 분무노즐이 결합된 상태이며, 도 4는 도 2에서 한 쌍의 안내 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덕트 분무노즐이 결합된 상태이고,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100)는 본체(11)의 후미에 송풍팬(12)이 장착되어 180도 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13)을 통해 농약 약액이 살포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와, 조정 링크(120)와, 보조 덕트(130)와, 덕트 분무노즐(140)과, 분무 호스(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의 후미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며 조정 링크(12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1)에는 안내 덕트(110A)(110B)를 회동되게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1a)와 조정 링크(120)를 힌지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1b)가 구비된다.
한 쌍의 안내 덕트(110A)(110B)는 ㄷ 단면의 경찬넬 형태로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여 있다.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 플랜지 외면에는 보조 덕트(130)가 부착되고, 일측 플랜지 내면에는 보조 덕트(130)에 연통하는 덕트 분무노즐(140) 및 후술하는 호스니플이 설치되며, 웨브(마주보는 측면)에는 덕트 분무노즐(140)의 분무 효과를 높이도록 공기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웨브 상단부(112)(마주보는 측면 상단부)는 상승하는 분무액이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웨브 하단에는 회동축(161)이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경첩통부(113a)(113b)가 형성된다.
조정 링크(120)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와 안내 덕트(110A)(110B)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110A)(110B)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며, 상부(121)와 하부(122)가 꺽여진 상태로 이어진 판형 링크다. 상부(1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21a)이 형성되고, 장공(121a)에는 그립 볼트(162)가 끼워져 안내 덕트(110A)(110B)에 고정된다. 하부(122)에는 힌지핀(163)이 끼워져 조정 링크(120)가 본체(11)의 플랜지(11b)에 힌지 결합된다.
보조 덕트(130)는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면 외면에 안내 덕트(110A)(110B)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며, 본체 분무노즐(13)에서 분무 호스(150)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덕트 분무노즐(140)로 분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덕트 분무노즐(140)은 T형 또는 이중 T형 노즐로서, 보조 덕트(130)에 연통되게 안내 덕트(110A)(110B)의 일측면에 약액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된다. T형 노즐은 중앙의 유도관부(141)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2개의 분출관부(142) 끝단에 형성된 노즐구멍을 통해 약액이 분출하고, 2중 T형 노즐은 중앙의 유도관부(141)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4개의 분출관부(142) 끝단에 형성된 노즐구멍을 통해 약액이 분출한다. 노즐 구멍은 필요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덕트 분무노즐(140)은 유도관부(141)에 설치되어 안내 덕트(110A)(110B)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조정너트를 풀고 조움에 의해 분출방향을 조정하여 고정한다.
분무 호스(150)는 본체 분무노즐(13)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130)를 연통시키는 호스로서, 일단은 본체 분무노즐(13)에 연결되고 타단은 호스 니플(164)을 통해 안내 덕트(110A)(110B)의 플랜지 일측 내면에 고정되어 보조 덕트(130)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무장치(100)를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 설치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서 분무 호스(150, 도 2에 도시)에 연결되지 않은 본체 분무노즐(13)을 통해 필요에 따라 약액을 분출시킬 수도 있지만, 분무 호스(150)에 연결되지 않은 본체 분무노즐(13, 도 2에 도시)을 모두 폐쇄시키고 안내 덕트(110A)(110B)의 회동각도를 조정하고 덕트 분무노즐(140)을 분출 방향을 조정하여 약액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볼트(162)를 풀고 안내 덕트(110A)(110B)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조정 링크(120)와 함께 회동각도를 조정한 후, 그립 볼트(162)를 조여 안내 덕트(110A)(110B)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각 덕트 분무노즐(140)를 회동시켜 분출방향을 조정하여 고정하고,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송풍팬(12)을 가동하면, 약액은 화살표 C방향을 통해 보조 덕트(130)의 내부에 유입되어 각 덕트 분무노즐(140)로 분배되어 화살표 D방향으로 살포된다. 따라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에서 발생한 약액을 안내 덕트(110A)(110B) 내부에서 덕트 분무노즐(140)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무하며 과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살포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분출되는 약액의 분출속도에 의해 주위의 압력이 강하되면서 외부공기가 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어(점선 화살표 E방향) 약액의 분무 살포 효과를 높인다.
그리고, 덕트 분무노즐(140)의 분출 방향을 상방향으로 할 때, 상측으로 분출되는 약액은 안내 덕트(110A)(110B)의 웨브 상단부(112)에 의해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므로 약액이 불필요하게 상승되지 않고 과수에 살포되는 효과를 높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분무장치(200)는 송풍팬(12)과 약액이 분무되는 다수의 본체 분무노즐(13)이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 후미 상에 베이스 프레임(270)이 고정되고, 한 쌍의 안내 덕트(210A)(210B)가 베이스 프레임(270) 상에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며, 조정 링크(220)가 베이스 프레임(270)과 안내 덕트(210A)(210B)를 연결하며 안내 덕트(201A)(210B)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하고, 보조 덕트(230)가 안내 덕트(210A)(2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다수의 덕트 분무노즐(240)이 보조 덕트(230)에 연통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분무호스(250)가 본체 분무노즐(13) 중의 적어도 하나와 보조 덕트(230)를 연통시키며, 한 쌍의 안내 덕트(210A)(210B)에서 마주보는 측면은 웨브를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측면은 트인 구조로 구성된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본체(11)의 상부에는 베이스 프레임(270)이 안착하여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안착부(11c)가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270)은 한 쌍의 앵글부재(271) 양단부가 연결봉(272 : 나사봉)에 의해 연결되면서 조정 링크(220)를 힌지결합하고, 앵글부재(271)의 중앙부가 회동축(261)에 의해 연결되어 안내 덕트(210A)(210B)를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안내 덕트(210A)(210B)와 조정 링크(220)와 보조 덕트(230)와 덕트 분무노즐(240)과 분무호스(250)와 회동축(261)과 그립 볼트(262)와 호스니플(264)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고, 제2실시예의 분무장치(200)에서 약액의 분무 작용은 제1실시예의 약액 분무 작용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분무장치를 탑재한 방제차량에 있어서,
    회전체를 회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회동시키는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방제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회동시키는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방제차량의 후미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회전체의 회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 1 송풍구, 제 2 송풍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 1 송풍구와 연통하는 다수의 본체분무노즐과,
    베이스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안내 덕트와,
    안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상기 제 2 송풍구와 연통하는 보조 덕트와,
    보조 덕트에 연통하며 상기 안내 덕트에 고정되는 다수의 덕트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구의 단면적이 제 2 송풍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 덕트에서 마주보는 측면 상단부는 상승하는 분무액이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과수 쪽으로 유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KR1020140102152A 2014-08-08 2014-08-08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KR20160018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152A KR20160018091A (ko) 2014-08-08 2014-08-08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152A KR20160018091A (ko) 2014-08-08 2014-08-08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091A true KR20160018091A (ko) 2016-02-17

Family

ID=5545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152A KR20160018091A (ko) 2014-08-08 2014-08-08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0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3978A (zh) * 2016-12-09 2017-03-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无人机作业语音引导装置及其方法
KR102416195B1 (ko) * 2021-11-30 2022-07-05 박하슬 돗자리 고정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3978A (zh) * 2016-12-09 2017-03-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无人机作业语音引导装置及其方法
KR102416195B1 (ko) * 2021-11-30 2022-07-05 박하슬 돗자리 고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517B2 (en) Spraying unit, compact spraying module including such a unit, and spraying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modules
CN107750190B (zh) 紧凑型喷洒模块、多个这种模块的喷洒和控制系统以及用于控制这种系统的模块的方法
EP3761786B1 (en) Integrated nozzle for portable agricultural machinery
KR20160067818A (ko)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KR101235955B1 (ko) 보행 운전형 농약분무기의 분무시스템
KR102119938B1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JP3189781U (ja) 全方向散水機
KR101261890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장치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60018091A (ko) 약액 살포 방제차량의 분무장치
US11882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raying a product, in particular a plant-protection product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CN107442311A (zh) 内嵌式气助喷头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JP2000504990A (ja) 農業用その他のための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US20200367485A1 (en) Modular spraying leg
KR101890641B1 (ko) 복수의 회전분사장치를 구비한 분무장치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JP5256469B2 (ja) 茶園管理機における送風式薬液散布装置
RU2768841C1 (ru) Опрыскиватель ультрамалообъемный садовый
CN111565568B (zh) 喷雾装置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RU2103865C1 (ru) Секторная дождевальная наса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