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25B1 -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25B1
KR101369425B1 KR1020070007560A KR20070007560A KR101369425B1 KR 101369425 B1 KR101369425 B1 KR 101369425B1 KR 1020070007560 A KR1020070007560 A KR 1020070007560A KR 20070007560 A KR20070007560 A KR 20070007560A KR 101369425 B1 KR101369425 B1 KR 10136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stat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836A (ko
Inventor
이원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검색하고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규격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와 편리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블루투스 통신칩, 디바이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Short Distanc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된 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바가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20 : 제어부
21 : 메모리 22 : 블루투스 통신칩
30 : 통신부 40 : 안테나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그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화서비스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기능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여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전자기기 디바이스를 연동시켜 이동통신 단말기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헤드셋과 연결 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고 있지 않아도 상기 헤드셋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되기 위해서 상기 디바이스는 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디바이스의 온/오프에 관한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오프된 디바이스로 연결을 시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여부를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검색하고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안테나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바이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황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 이동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30)로 구성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디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 가능하다. 폴더형의 경우 최근 추세에 따라 외부에 하나, 내부에 하나씩 각각 장착될 것이며, 슬라이드형의 경우 외부에 하나로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LCD나 TFT 등으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 가능한 다른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로도 구성 가능하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제어부(20)에 프로그램된 모듈을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인 바,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의 칩에 프로그래밍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통신부(30)를 제어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신부(3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시 변복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신된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통신부(3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그 밖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여러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21)와,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 중 하나인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40)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칩(2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외부의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칩(22)을 제어하여 안테나(40)를 통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여러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 중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에 한정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통신칩(22)이 아닌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칩을 사용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0B)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사용함으로서, 양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를 워키토키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망 사용에 따른 전화료 부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헤드셋(200)과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를 직접 손에 휴대하고 있지 않더라도 무선의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무선으로 프린터(300)와 연동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프린터(300)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A)를 컴퓨터 등을 통해 프린터(300)와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프린터(3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바를 프린트할 수 있다.
물론,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A)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B), 헤드셋(200), 프린터(300) 모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통신칩이 장착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여러 디바이스(100B, 200, 300)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앞서, 현재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어떤 것인지 확인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소정 반경 내부에 있는 디바이스로 소정규격에 따른 request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response를 확인함으로서 현재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상기 디바이스(100B,200,3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디바이스(100B,200,300)의 블루투스 통신칩이 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A)와 디바이스(100B,200,300)는 연결 가능하나, 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A)와 디바이스(100B,200,300)는 연결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제어부(20)는 디바이스(100B,200,300)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0)에 디스플레이하면서 각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 즉,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 중 블루투스 통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모듈이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된 모듈은 안테나(40)를 통해 소정반경 내에 있는 디바이스 중 request에 대한 response가 있는 디바이스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에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a)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는 임의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바이스의 네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10)에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request에 대해 응답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를 비교하여 현재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a)에 도시된 바를 참고로 알 수 있듯이, 연결목록의 리스트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네임으로 구성되는 바, request에 대한 response가 있는 디바이스의 상태는 'on'으로 디스플레이되며, response가 없는 디바이스의 상태는 'off'로 디스플레이된다. 상태가 'on'인 디바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하다.
그 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연결목록에 있는 디바이스의 연결상태를 'request-response'과정을 통해 파악하게 된다. (b)는 3초의 시간간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다른 디바이스의 연결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변동된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c)는 (b)의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조작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b)의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1회 아랫방향 키를 조작할 경우, 블루투스 통신칩이 오프, 다시 말해 연결될 수 없는 디바이스는 선택되지 않으며 다음 온 상태의 디바이스로 커서가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실수로 오프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블루투스 통신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매번 변경된다고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선택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바이스 목록확인을 선택한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반경 내의 지역으로 request 신호를 전송한다(S2).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가 네임별로 저장되어 있다(S1).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메모리에 네임이 저장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로 request를 전송한다.
그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request에 대한 response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네임이 저장된 디바이스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한다.(S3).
response가 있는 디바이스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의 네임 옆에 디바이스가 'on' 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한다(S4). 그러나, response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device의 네임 옆에 디바이스가 'off' 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한다(S5).
그 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디바이스 연결상태를 파악하게 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3초 간격으로 디바이스의 온/오프 여부를 파악한다(S6). 이 때, 디바이스의 연결 가능여부는 디바이스에서 response가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정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디바이스 연결상태 에 관한 정보를 3초 간격으로 업데이트한다(S7).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디바이스와 본 발명에 의한 동작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바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반경 내의 디바이스로 on여부 즉, 블루투스 통신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request 신호를 전송(①)한다. 이 때, 디바이스1은 온되어 있고, 디바이스2는 오프되어 있음에 따라 디바이스1만 이동통신 단말기로 response를 전송(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바이스의 response 존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연결목록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③)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연결목록에 업된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시도할 경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④)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여러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 중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로 실시예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블루투스 통신규격 외에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검색하고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규격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와 간편하게 편리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네임이 등록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의 목록 및 상기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의 목록에서 상기 온(on) 상태인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된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상기 디바이스의 목록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 후에,
    디바이스 목록 중 온 된 디바이스만 선택 가능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목록 중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와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삭제
  7. 근거리 무선통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안테나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에서 상기 온(on) 상태인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의 목록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칩으로 구성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디바이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상기 디바이스의 목록에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07560A 2007-01-24 2007-01-24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6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60A KR101369425B1 (ko) 2007-01-24 2007-01-24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60A KR101369425B1 (ko) 2007-01-24 2007-01-24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36A KR20080069836A (ko) 2008-07-29
KR101369425B1 true KR101369425B1 (ko) 2014-03-04

Family

ID=398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560A KR101369425B1 (ko) 2007-01-24 2007-01-24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8220B2 (ja) * 2016-09-13 2019-05-2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端末検出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101889023B1 (ko) * 2017-03-29 2018-08-16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613405B1 (ko) 2019-02-12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 정보 공유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733A (ja) *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電子機器、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176347A (ja) * 2003-12-01 2005-06-30 Microsoft Corp BluetoothPANデバイスのためのスマートスキャ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733A (ja) *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電子機器、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176347A (ja) * 2003-12-01 2005-06-30 Microsoft Corp BluetoothPANデバイスのためのスマートスキャ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36A (ko)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8680B (zh) 车载免提设备和数据传输方法
US7046961B2 (en) Link connection method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bluetooth wireless devices
KR10130745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494474B (zh) 自动连接蓝牙车载免提设备的方法和终端设备
KR20040012562A (ko) 이동 통신 단말 장치
JP2012253658A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3805990B2 (ja) 携帯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法
KR1015812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402663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457366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on of a bluetooth device
KR101369425B1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594088B1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KR100818511B1 (ko)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KR20080067256A (ko) 블루투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577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KR20090080689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18709B1 (ko) 홈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
KR20060062413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망에서의 단말기 접속 방법
JP2004274587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20080048209A (ko)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11701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객체 교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95999B1 (ko)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KR100675158B1 (ko) 인터넷 뱅킹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