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209A -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209A
KR20080048209A KR1020060118297A KR20060118297A KR20080048209A KR 20080048209 A KR20080048209 A KR 20080048209A KR 1020060118297 A KR1020060118297 A KR 1020060118297A KR 20060118297 A KR20060118297 A KR 20060118297A KR 20080048209 A KR20080048209 A KR 2008004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alki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8209A/ko
Publication of KR2008004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 중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통화목록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통화목록이 선택된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기 위한 통신이 시도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회의 키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블루투스 통신칩, 워키토키

Description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Oper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Walkie-Talki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된 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20 : 제어부
21 : 메모리 22 : 블루투스 통신칩
23 : 통신부 24 : 안테나
10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워키토키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고도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통신서비스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전화서비스가 있겠으나, 이동통신을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한 여러 컨텐츠 서비스도 그 일종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러한 통신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칩을 장착하게 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여러 무선 통신 규격 중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다른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비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할 경우, 그 사용자가 전화통화 외에 다른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해당 통신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여러 단계의 키 조작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 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 중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통화내역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통화목록이 선택된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기 위한 통신이 시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 가능한 메뉴화면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실질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2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외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23)로 구성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0)는 일반적으로 LCD나 TFT 등으로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 가능한 여러 디스플레이 소자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프로세서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0) 뿐만 아니라 통신부(23)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통신부(23)를 제어하는 통신모듈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구성된다.
이 때, 모듈은 제어부(20)를 구성하는 칩상에 실장되는 여러 작은 단위의 소자로서 하드웨어적인 개념의 소자일 수도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와 맞물려 하나의 칩에 프로그래밍된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는 메모리(21)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화를 위한 무선통신 외에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무선통신칩인 블루투스 통신칩(22)을 더 포함한다.
제어부(20)는 메모리(21)에 저장된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들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하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부(23)가 외부 이동통신망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바를 제어하여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칩(22)을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칩(22)은 그 통신칩과 연결된 안테나(24)를 통해 외부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이다.
메모리(2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자가 제조 시 입력한 여러 프로그래밍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입력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 즉, 전화번호부 데이터나 사진/동영상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통화내역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통화내역에 관한 데이터 역시 메모리(21)에 저장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23)를 통해 외부 이동통신망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바 외에도, 블루투스 통신칩(22)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여러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블루투스 통신 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블루투스 통신칩(22)이 아닌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칩이 장착될 것이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다른 디바이스(100B, 200, 300)와 워키토키 연결되는 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통신칩이 내장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B)와 워키토키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양 이동통신 단말기(100A,100B)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워키토키 기능을 이용하여 양방향 대화가 가능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헤드셋 등이 장착된 무선통신기기(200)와 연결되어 워키토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무선통신기기(200)는 사용자가 대화를 청취하고 직접 할 수 있도록 헤드셋(201)과 연결 가능하며, 블루투스 통신칩과 제어부 및 배터리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A)와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블루투스 통신칩이 장착되는 일반전화기(300)와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사용자는 일반전화기(300)를 가진 상대방과 워키토키 기능을 통한 양방향 대화 가능하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100B, 200, 300)와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B, 200, 300)의 사용자가 워키토키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를 하게 되면, 그 연결내역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화내역 확인 시 단순히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내역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내역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통화내역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의 연결내역은 모두 메모리(21)에 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부의 통화키를 조작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이 때 통화내역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와의 연결내역도 디스플레이 된다.
특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 통신칩이 실장되게 되는 바,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칩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주소가 부여된다. 즉, 디바이스(100B, 200, 300)는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칩의 고유주소를 어드레스로 삼아 다른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 통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 역시 디바이스(100B, 200, 300)들과 상기 고유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블루투스 통신 시마다 소정 반경 내에 있는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를 검색하게 되는 바, 이러한 디바이스 중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에 고유주소가 이미 등록된 디바이스와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A)에 고유주소가 이미 등록된 디바이스의 경우 상기 고 유주소만으로 그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통상 디바이스 네임과 함께 저장된다. 도 3의 디스플레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을 'BT Buddy'로 등록한 후, 'BT Buddy'란 디바이스 네임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워키토키 연결된 내역을 '3'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A)에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된 경우, 통화내역에는 그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가졌던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0)의 '4'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 때, 제어부(21)는 디바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옆에 상기 디바이스들과 워키토키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워키토키 아이콘(11)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화내역의 리스트 중 워키토키 연결되었던 디바이스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통화내역 중 임의로 하나를 선택한 후 통화키를 재조작함으로서 선택된 디바이스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가령, 예를 들어 '1'을 선택한 후 통화키를 재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010-1234-567'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될 것이다.
그러나, '3'을 선택한 후 통화키를 재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BT Buddy'란 이름으로 등록된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될 것 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블루투스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워키토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아도 한번의 통화키로서 다른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와 블루수트 통신을 통해 워키토키 연결되면(S1), 그 연결된 내역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에 저장된다(S2).
그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키 조작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E),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워키토키 연결되었던 디바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포함된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된다(S3). 이 때, 디바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에는 워키토키 연결된 상태임을 알리는 워키토키 아이콘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내역 중 재연결을 원하는 리스트를 선택한 후 통화키를 재조작할 수 있는 바, 워키토키 연결을 재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다비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선택한 후 통화키를 재조작한다(S4).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별도의 키조작 없이도 워키토키 연결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S5), 현재 선택된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 한 상태로 온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6).
만일 선택된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다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대화가 가능하다(S7). 즉, 워키토키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디바이스가 오프되어 있거나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디바이스 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며(S8),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인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워키토키 기능을 블루투스 통신에 따라 서비스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규격을 통해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본원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 중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통화목록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통화목록이 선택된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기 위한 통신이 시도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회의 키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 중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의 통화목록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통화목록이 선택된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기 위한 통신이 시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전에,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와 워키토키 연결되었던 내역이 상기 통화내역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 전에,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되었던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상기 통화내역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되었던 디바이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바이스 네임을 디스플레이하고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네임 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함께 워키토키 기능을 통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워키토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워키토키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선택된 목록의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60118297A 2006-11-28 2006-11-28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20080048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97A KR20080048209A (ko) 2006-11-28 2006-11-28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97A KR20080048209A (ko) 2006-11-28 2006-11-28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09A true KR20080048209A (ko) 2008-06-02

Family

ID=3980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97A KR20080048209A (ko) 2006-11-28 2006-11-28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8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6071A (zh) * 2012-08-21 2014-04-09 黑莓有限公司 智能邻近优先级配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6071A (zh) * 2012-08-21 2014-04-09 黑莓有限公司 智能邻近优先级配对
CN103716071B (zh) * 2012-08-21 2016-06-29 黑莓有限公司 智能邻近优先级配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199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US20020132610A1 (en) Profile-dependent background picture for mobile terminal displays
US20070081506A1 (en) On-vehicle device
US2012006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battery in portable terminal
US8600301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bluetooth module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101197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harge caused by utilizing applic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4017923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based on the permission status
KR20030054620A (ko) 멀티윈도우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와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13923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4025A (ko) 입체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20080048209A (ko)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200800375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80069836A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104287A (ko) 이동 단말기의 로밍 설정 방법 및 로밍 자동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0613521B1 (ko) 메시지 입력시간 단축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36577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418709B1 (ko) 홈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
KR1013684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2992B1 (ko) 자바 브이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31244A (ko)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KR101024211B1 (ko) 고유 인디케이터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650679B1 (ko) 무선인터넷 자동스위칭연결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2002237912A (ja) 公衆電話システム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