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023B1 -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023B1
KR101889023B1 KR1020170039695A KR20170039695A KR101889023B1 KR 101889023 B1 KR101889023 B1 KR 101889023B1 KR 1020170039695 A KR1020170039695 A KR 1020170039695A KR 20170039695 A KR20170039695 A KR 20170039695A KR 101889023 B1 KR101889023 B1 KR 101889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wireless
wired
wireles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식
나현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3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겸용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끊김이나 데이터 전송의 지연없이 전자 기기와의 연속적인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유선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끊김이나 지연 없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계속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겸용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끊김이나 데이터 전송의 지연없이 전자 기기와의 연속적인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무선 이어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무선 이어폰은 스피커 모듈의 수에 따라, 모도 이어폰과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테레오 이어폰은 양이효과(binaural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서, 휴대폰보다는 MP3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들을 때 유용하다. 또한, 무선 이어폰은 장착 형태에 따라, 귀에 거는 이어(ear) 타입 이어폰, 목에 거는 넥(neck) 타입 이어폰, 머리에 거는 헤드(head) 타입 이어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10)은 배터리, 블루투스 모듈, 및 제어부(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11)와, 사용자의 양쪽 귀에 장착하기 위한 스피커(12), 및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 양쪽 스피커(12)를 연결하는 연결선(13)으로 구성된다. 블루투스 모듈을 동작시키는 경우,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무선으로 발신된 음성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는 스피커(12)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된다. 이 때, 블루투스 모듈은 본체(11)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데, 블루투스 이어폰의 본체 크기가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어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배터리의 전원이 소모되면 블루투스 이어폰(10)의 기능도 정지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무선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도 연결가능한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 사이에 페어링(Pairing)이라는 인증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주변 장치에 대한 검색 및 사용자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선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초기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유무선 겸용 이어폰의 경우,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유선 연결선을 전자 기기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 유선 통신 모드에서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는데 블루투스 기기는 무선 통신 모드에서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인증하는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유선 통신이 끊어지거나 무선 통신으로 전환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블루투스 기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페어링 과정을 단순화한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는데, 등록특허공보 제 10-0800733 호 (블루투스 시스템 및 블루투스 본딩 프로세스 방법)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 10-0817594 호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는 별도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블투투스 기기와의 페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 10-0864479 호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는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푸쉬 메시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 사이에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주변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페어링 절차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유무선 겸용 이어폰 장치가 유선 통신 모드에서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통신의 끊김이나 지연을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800733 호 (2008.02.01) 등록특허공보 제 10-0817594 호 (2008.03.27) 등록특허공보 제 10-0864479 호 (2008.10.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무선 겸용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끊김이나 데이터 전송의 지연없이 전자 기기와의 연속적인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연결 버튼, 배터리, 유선 연결부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유선 연결부가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 통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유선 통신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및 와이파이(WiFi) ㅈ중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하여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하여 탐색된 전자 기기가 복수인 경우,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설정되면, 상기 전자 기기와의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유선 연결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전자 기기와의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면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에 유선 연결 현황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은 상기 유선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스피커가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연결 버튼, 배터리, 유선 연결부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유선 통신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페어링을 통하여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무선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된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페어링을 통하여 탐색된 전자 기기가 복수인 경우,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설정되면, 상기 전자 기기와의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전자 기기와의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면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에 유선 연결 현황을 추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스피커에서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무선 연결 버튼을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유선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끊김이나 지연 없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계속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의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 과정을 통하여 탐색되는 전자 기기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페어링 절차를 유선 및 무선 연결 과정에 효과적으로 진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은 연결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전자 기기가 질의 스캔(Inquiry Scan) 또는 페이지 스캔(Page Scan)이라는 모드로 동작하고 있어야 하며, 연결을 시도하는 전자 기기가 주변에 있는 다른 전자 기기를 찾기 위한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가능한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에 해당 전자 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변에 있는 전자 기기를 대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이 이루어진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이 되는 결합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전자 기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페어링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여기에는 주변의 전자 기기를 탐색하여 블루투스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인증된 전자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증 과정을 페어링, 인증 후 무선 연결 과정을 본딩(bonding)으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주변 전자 기기의 탐색과 인증, 무선 연결 과정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지만, 이미 탐색과 인증이 완료된 전자 기기를 대상으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특별히 무선 연결 과정으로 분리하여 지칭하기도 할 것이다.
블루투스 기기 사이의 페어링 과정은 마스터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입력하는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예컨대, 4자리로 구성된 PIN 코드를 입력하여 연결을 시도하면 슬레이브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PIN 코드를 묻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 때 슬레이브 기기의 사용자가 마스터 기기에서 입력한 PIN 코드와 동일한 PIN 코드를 입력하면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사이에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페어링 과정은 기기들 사이의 연결을 위해 여러가지의 준비 단계와 보안을 위한 인증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페어링 절차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SSP(Secure Simple Pairing)와 같이 PIN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내부적으로 키 값을 비교하여 키 값이 일치하면 페어링을 완료하는 등, 사용자에게 더 편한 방식이 도입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별도의 PIN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페어링이 이루어지며 복수의 전자 기기를 동시에 페어링하는 멀티 페어링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 목, 또는 머리 부분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가능한 이어 타입 이어폰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무선용 조립체(110) 및 유선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유선 연결부(120)는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무선용 조립체(110)와 탈착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무선용 조립체(11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유선 연결부(120)가 무선용 조립체(110)에 탈착 가능한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였다. 유선 연결부(120)가 무선용 조립체(110)를 연결하는 전자 기기는 휴대용 전자 기기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용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PDA 장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무선용 조립체(110)는 본체(114), 스피커(112) 및 이어 버드 연결선(11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의 본체(114)와 스피커(112)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어 버드(ear bird)라 통칭할 수 있다. 본체(114)와 스피커(112)로 이루어지는 이어 버드는 각각 좌우측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좌측 스피커(112)는 좌측 본체(114)에 결합되어 좌측 이어 버드를 구성하고, 우측 스피커는 우측 본체에 결합되어 우측 이어 버드를 구성한다. 좌측 이어 버드와 우측 이어 버드는 이어 버드 연결선(116)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무선용 조립체(110)를 구성하며, 이로 인해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체(114)는 무선용 조립체(11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4)는 무선 통신부, 배터리, 제어부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들은 좌우측 본체 모두에 수용될 수도 있고, 하나에만 수용될 수도 있다. 본체(114)에는 스피커(11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112)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12)는 본체(114)에 결합된다. 스피커(112)는 전자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114)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112)는 크리스탈(crystal) 소자의 압전 효과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크리스탈 리시버, 또는 코일에 음성 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마그네틱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선(116)은 좌측 이어 버드와 우측 이어 버드를 유선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이어 버드 연결선(116)은 좌측 본체와 우측 본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선(116)은 사용자가 무선용 조립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목 뒤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어 버드 연결선(116)의 중간에는 하우징이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에 무선용 조립체(11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무선 통신부, 배터리, 제어부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114)와 하우징은 상술한 각종 부품들을 각각 나누어 수용하거나 중복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선(116)은 제1 연결 유닛(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닛(118)은 후술할 유선 연결부(120)가 결합되는 부분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유닛(118)은 유선 연결부(120)의 제2 연결 유닛(1128)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유닛(118)은 이어 버드 연결선(116)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무선용 조립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선 연결부(120)가 연결되더라도 착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선 연결부(120)는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120)는 무선용 조립체(110)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용 조립체(110)를 전자 기기에 연결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120)는 양단에 연결 유닛(128, 129)이 마련된 유선 연결선(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선 연결선(126)은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 사이에서 전원 및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120)의 양단 중, 무선용 조립체(110)와 결합되는 부분은 제2 연결 유닛(128)이고,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은 제3 연결 유닛(129)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연결 유닛(128)은 상술한 제1 연결 유닛(118)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유닛(128)은 제1 연결 유닛(118)과 암수 관계에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유닛(118)과 제2 연결 유닛(128)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금속 소재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유닛(118)을 자석으로 구성하고, 제2 연결 유닛(128)을 플런저(plunger)와 배럴(barrel) 사이에 스프링이 내재된 포고 핀(pogo pin)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닛(118)과 제2 연결 유닛(128)은 자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유닛(118) 및 제2 연결 유닛(128) 중 적어도 하나에 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연결 유닛(118)과 제2 연결 유닛(128)에 자석으로 결합된 힘보다 큰 힘을 가해서, 무선용 조립체(110)와 유선 연결부(1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닛(129)은 전자 기기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 유닛(129)은 다양한 타입의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간단한 이어폰용 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결 유닛(129)은 예를 들어, USB C-type으로 형성되어 전원용 단자와 전기 신호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연결 유닛(129)은 오디오 잭(audio jack)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3.5 파이), 이동 통신 단말기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2.5 파이), 또는 USB 형태의 잭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연결 유닛(128) 및 제3 연결 유닛(129)은 유선 연결부(120)가 전원과 함께 스피커(112)에서 출력될 수 있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용 단자 및 전기 신호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연결부(120)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의 무선 연결을 강제하기 위한 무선 연결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연결 버튼(121)은 무선용 조립체(110)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을 하거나 유선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유선 연결부(120)에 구비되는 것이 사용에 편의성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가 유선 통신 모드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가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라 하더라도,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눌러서 무선용 조립체(110)와 전자 기기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름으로써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페어링 과정을 통하여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주변의 전자 기기를 탐색한다. 그런 다음, 탐색 결과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만약, 페어링 과정에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가 복수로 탐색되는 경우에는 현재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어폰 장치(100)의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무선 연결이 가능한 주변의 전자 기기의 탐색이 이미 완료되었을 것이며, 그 결과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가 연결 가능한 기기로 등록이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름으로써 이어폰 장치(1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만약, 주변에 무선 연결이 가능하는 복수의 기기가 탐색이 된 경우에는 연결가능한 전자 기기 중에서 현재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만 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연결 버튼(1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무선 연결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이들 사이에는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이 모두 설정되어 있으므로, 유선 통신 모드와 무선 통신 모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유선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이미 설정된 무선 연결로 간단히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하거나 음원을 청취하는데 있어서 단절이나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위와 달리,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무선 연결 버튼(121)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유선 연결부(120)를 분리하기 전에 전자 기기와 이어폰 장치(100) 사이의 연결을 미리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이미 무선 통신 모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연결 모드의 전환이 없지만 끊김이 없는 무선 연결을 계속 이어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무선용 조립체(110)와 무선용 조립체(110)를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선 연결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용 조립체(110)는 스피커(112)와 본체(114)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체(114)는 메모리(138)와, 배터리(132), 무선 통신 모듈(134) 및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12)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송된 음악 등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해당하며, 스피커(112) 외에도 메모리(138)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선용 조립체(110)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거나, 더 나아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는 휴대용 전자 기기 중 이동 통신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핸즈 프리(Hands Free) 구현을 위해 유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본체(110)를 구성하는 메모리(138)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138)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의 장기(long 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138)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배터리(132)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무선 통신 모듈(134)을 구동 시키거나, 제어부(136)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와 블루투스 이어폰의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리튬-이온 배터리의 정격 전압은 3.7V ~ 4.2V에 해당한다.
무선 통신 모듈(134)은 무선 송수신 회로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회로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휴대용 전자 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무선 송수신 회로와 제어부(136)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처리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이 밖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134)에 의한 무선 신호와 스피커(112)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무선 연결 버튼(121)의 사용 여부에 따라 주변의 전자 기기와의 페어링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고,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에 따라 유선 통신 모드 또는 무선 통신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기도 한다.
만약, 제3 연결 유닛(129)이 전자 기기에 연결되면 전자 기기로부터 제3 연결 유닛(129)을 통해 전류가 제어부(136)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로부터 제어부(13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어부(136)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유선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36)는 무선 연결 버튼(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무선 연결 버튼(121)이 눌러지는 경우에 주변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을 위해서 페어링 동작을 진행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 장치(100)의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무선 연결이 가능한 주변의 전자 기기를 탐색하고,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하게 되며, 이어폰 장치(100)의 블루투스 기능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될 것이다.
주변에 무선 연결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가 탐색되는 경우에는 이들 전자 기기 중에서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며, 무선 연결 버튼(121)이 눌러지는 경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에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전자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이어폰 장치(100)의 무선 연결 버튼(121)을 사용함으로써 이어폰 장치(100) 및 이와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모두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의 무선 연결 설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전자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신호는 이어폰 장치(100)의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연결 버튼(121)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이 설정되면,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간에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설정되는데, 현재 유선 통신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사용자가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제어부(136)는 유선 통신 모드를 종료하고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반면에,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무선 연결이 설정되자 마자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의 통신을 무선 통신 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더라도 무선 통신 모드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이어폰 장치(100)는 OS(Operat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OS는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 및 리소스의 지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OS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OS 및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8)에 상주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의 경험에 따라, 다른 표현으로 기술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및 동작에 대한 표현 기호에 따라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컴퓨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OS 또는 적당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 및 기능은 전기 신호의 변환 또는 차단을 유발하는 데이터 비트 등의 전기 신호에 대한 제어부(112)의 처리와,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138)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신호에 대한 관리를 포함한다. 데이터 비트 신호가 관리되는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 비트에 해당하는 전기, 자기 또는 광학 특성을 갖는 물리 영역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 과정을 통하여 탐색되는 전자 기기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전자 기기가 페어링 과정을 거치면 화면 상에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이 표시된다. 복수의 전자 기기가 탐색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 중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기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전자 기기와 동시에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서는 무선 연결 버튼(121)이 별도로 구비되는데,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르면 이어폰 장치(100)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전자 기기를 탐색하게 되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뿐만 아니라 연결 가능한 기기 중에서 현재 유선으로 연결된 기기가 있다면 유선 연결 여부(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과 유선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는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도 있고, 페어링 과정에서 처리하는 내부의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유선 연결부(120)를 통하여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유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지연이나 끊김이 없이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유선 통신 모드에서는 전자 기기의 데이터가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전달되고 무선용 조립체(110)의 스피커(1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원이 출력된다. 유선 통신 모드에서 이어폰 장치(100)는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고 비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다.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페어링 과정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과 함께 유선 연결 여부(wired 또는 wireless)가 메모리(138)에 저장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르게 되면,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중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기기(도 4에서는 PlayControlDemo 기기가 될 것이다)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반면에,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에는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르지 않는 한 페어링 과정이 진행되지 않게 될 것이다. 무선 연결 버튼(121)이 눌러지면 주변 기기 중에서 무선 연결이 가능한 기기의 목록을 탐색하고, 각 기기와 이어폰 장치(100) 사이에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기기(PlayControlDemo)를 선택하여 이어폰 장치(100)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무선 연결 버튼(121)에 의하여 이어폰 장치(100)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기기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기기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지만,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중에서 무선 연결을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이어폰 장치(100)가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유선 통신 모드)에서 무선 연결을 위한 페어링 과정을 진행하면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 연결 및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이미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무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어폰 장치(100)는 추가적인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곧바로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자 기기와 끊김이 없이 연속적인 연결을 이어갈 수가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무선 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이 설정되면 알림음이나 진동 등의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0),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유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 이어폰 장치의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진 경우 무선 연결을 위한 전자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S40), 연결이 가능한 기기 중에서 현재 유선 연결이 되어있는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S50),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및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자 기기와의 유선 통신 모드를 종료하고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이어폰 장치(100)의 제어부(136)는 제3 연결 유닛(129)을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어폰 장치(100)가 전자 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닛(129)을 통해 입력되는 전류가 없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제3 연결 유닛(129)을 통해 전류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충전용 전류는 제품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지만 수십 mA ~ 수백 mA 정도의 전류 값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유선 통신 모드(S20)에서는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음원 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피커(1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어폰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132)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 연결 유닛(129)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선 통신 모드(S20)에서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고, 데이터를 유선 연결부(120)를 통하여 수신하므로 실질적으로 유선 이어폰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연결 버튼(121)을 누르면 제어부(136)가 무선 연결 버튼(121)이 눌러진 것을 인식하고, 이어폰 장치(100)와 무선 연결을 할 수 있는 주변의 전자 기기를 탐색하게 된다(S40). 이 과정에서 무선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탐색된 전자 기기의 목록은 도 4에서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제어부(136)는 무선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목록 중에서 현재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전자 기기를 별도로 식별하고,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S50). 그 결과, 이어폰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기기는 유선 연결과 함께 무선 연결도 이루어진 이중 연결 상태에 있게 된다. 이 후에 사용자가 전자 기기로부터 유선 연결부(120)를 분리하면 유선 연결이 해제되고(S60), 전자 기기와 이어폰 장치(100)는 무선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S70). 이와 같이,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유선 연결을 해제하기 이전에 미리 페어링 과정을 강제로 진행함으로써, 전자 기기와의 무선 연결을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유선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지연이나 끊김이 없이 전자 기기와 이어폰 장치(100)의 연결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무선 연결 버튼(121)을 통하여 추가적인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그 즉시 전자 기기와 이어폰 장치(100) 사이의 연결을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 사이에 이미 무선 토신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선 연결부(120)를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하더라도 끊김이 없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어폰 장치 110: 무선용 조립체
112: 스피커 114: 본체
116: 이어 버드 연결선 118: 제1 연결 유닛
120: 유선 연결부 121: 무선 연결 버튼
126: 유선 연결선 128: 제2 연결 유닛
129: 제3 연결 유닛 132: 배터리
134: 무선 통신 모듈 136: 제어부
138: 메모리

Claims (24)

  1.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연결 버튼, 배터리, 유선 연결부 및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전자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유선 연결부가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 통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유선 통신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자 기기의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설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상기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설정된 후 상기 유선 연결부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유선 통신 모드를 해제하고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이어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및 와이파이(WiFi) 중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이어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은 상기 이어폰 장치와 유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이 수행되는 이어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은 무선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된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이 수행되는 이어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전자 기기가 복수인 경우, 이어폰 장치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이 수행되는 이어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이어폰 장치와 유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기기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이어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이어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은 상기 유선 연결부에 구비되는 이어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스피커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이어폰 장치.
  12.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연결 버튼, 배터리, 유선 연결부 및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장치가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유선 통신 모드 단계;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유선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자 기기의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설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상기 무선 연결이 중첩적으로 설정된 후 상기 유선 연결부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유선 통신 모드를 해제하고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이어폰 장치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무선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 및
    탐색된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된 전자 기기와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전자 기기가 복수인 경우, 이어폰 장치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을 중첩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에 유선 연결 현황을 추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능한 기기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스피커에서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연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이어폰 장치와 유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기기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39695A 2017-03-29 2017-03-29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89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95A KR101889023B1 (ko) 2017-03-29 2017-03-29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95A KR101889023B1 (ko) 2017-03-29 2017-03-29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023B1 true KR101889023B1 (ko) 2018-08-16

Family

ID=6344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695A KR101889023B1 (ko) 2017-03-29 2017-03-29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0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91B1 (ko) * 2018-10-19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음성 출력 세트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출력 방법.
CN111432304A (zh) * 2020-03-20 2020-07-17 江苏紫米电子技术有限公司 耳机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和存储介质
WO2021096307A3 (en) * 2019-11-15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2Y1 (ko) * 2006-01-25 2006-04-07 허명선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
KR100800733B1 (ko) 2006-02-0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 및 블루투스 본딩 프로세스 방법
KR100817594B1 (ko) 2006-09-0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69836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864479B1 (ko) 2006-10-31 2008-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10097530A (ko) * 2010-02-25 2011-08-31 휴리아 주식회사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2655A (ko) * 2014-08-20 2016-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운드출력장치 및 사운드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2Y1 (ko) * 2006-01-25 2006-04-07 허명선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
KR100800733B1 (ko) 2006-02-0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 및 블루투스 본딩 프로세스 방법
KR100817594B1 (ko) 2006-09-0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4479B1 (ko) 2006-10-31 2008-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20080069836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97530A (ko) * 2010-02-25 2011-08-31 휴리아 주식회사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2655A (ko) * 2014-08-20 2016-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운드출력장치 및 사운드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91B1 (ko) * 2018-10-19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음성 출력 세트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출력 방법.
WO2021096307A3 (en) * 2019-11-15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57302B2 (en) 2019-11-15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432304A (zh) * 2020-03-20 2020-07-17 江苏紫米电子技术有限公司 耳机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111432304B (zh) * 2020-03-20 2022-06-17 江苏紫米电子技术有限公司 耳机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9490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US10666785B2 (en)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738008B (zh) 蓝牙配对方法及系统
US10805708B2 (en) Headset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KR101889023B1 (ko)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0996307B (zh) 一种配件设备、主机设备以及数据传输方法
KR102335903B1 (ko)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8513196B (zh) 一种无线耳机及其配对方法
CN111615090B (zh) 蓝牙设备间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210051932A (ko) 블루투스 연결 정보 공유를 통한 소스 기기 전환 방법 및 장치
CN111866831A (zh) 一种连接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EP3157175A1 (en) Voic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971985A (zh) 耳机配对、耳机控制方法、蓝牙耳机收纳装置及介质
KR200489052Y1 (ko) 이어폰 장치
KR101914539B1 (ko)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3645573B (zh) 耳机配置数据共享方法、耳机及存储介质
KR102251322B1 (ko)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어폰 시스템
KR101889021B1 (ko) 멀티 모드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3891258A (zh) 具有经由蓝牙的自动音乐回放的对接系统
KR20220073352A (ko) 액세서리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32104A (ko)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2118031B (zh) 语音交互装置及其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9781237B2 (en) Dual connector coupling for access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5175159B (zh) 一种蓝牙耳机播放方法及设备
CN116095218B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