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385B1 -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 Google Patents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385B1
KR101369385B1 KR1020120128128A KR20120128128A KR101369385B1 KR 101369385 B1 KR101369385 B1 KR 101369385B1 KR 1020120128128 A KR1020120128128 A KR 1020120128128A KR 20120128128 A KR20120128128 A KR 20120128128A KR 101369385 B1 KR101369385 B1 KR 10136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tube
mandrel
extrusion
male mold
perforat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규
한경환
Original Assignee
일심알맥스(주)
신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심알맥스(주), 신태규 filed Critical 일심알맥스(주)
Priority to KR102012012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이 매끄러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공튜브의 압출다이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관형상의 바디(12) 내측에 브릿지부(15)가 형성된 숫금형(10)과, 소정 간격 이격형성된 다수개의 돌기(22)로 이루어진 이빨형상의 구멍성형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브릿지부(15)에 결합되는 맨드릴(20)과,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와 대응되는 압출슬롯(32)이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암금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공을 가지는 다공튜브를 성형하기 위한 압출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압출슬롯(32)은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가 삽입되며 다공튜브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정형부(32a)와, 상기 정형부(32a)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정형부(32a)를 통과한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릴리프부(3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릴리프부(32b)의 적어도 상기 정형부(32a)와 인접되는 부위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Extrusion dies for a perforated tube}
본 발명은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이 매끄러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컴퓨터 등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관으로 흔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공튜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다공튜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출다이스를 이용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성형된다.
상기 압출다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상을 갖는 바디(2) 내측에 브릿지부(3)가 형성된 숫금형(4)과,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5)로 이루어져서 이빨형상을 갖는 구멍성형부(6)가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4)의 브릿지부(3)에 결합되는 맨드릴(7)과, 이 맨드릴(7)의 구멍성형부(6)에 대응되는 압출슬롯(8)이 형성되어 숫금형(4)의 전면에 결합되는 암금형(9)으로 이루어진다. 암금형(9)을 숫금형(4)에 결합시키면 맨드릴(7)의 구멍성형부(6)는 암금형(9)의 압출슬롯(8)에 삽입된다. 따라서 숫금형(4)으로 유입되는 압출재료가 맨드릴(7)의 구멍성형부(6)와 압출슬롯(8)을 통과하면서 다공튜브로 성형되는데, 구멍성형부(6)에 의해 다공튜브의 내주연이 형성되고, 압출슬롯(8)에 의해 다공튜브의 외주연이 형성된다.
상기 압출슬롯(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7)의 구멍성형부(6)가 삽입되며 다공튜브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정형부(8a)와, 이 정형부(8a)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정형부(8a) 전방에 위치되는 릴리프부(8b)로 이루어진다. 이 릴리프부(8b)는 정형부(8a)에 의해 형성된 다공튜브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맨드릴의 구멍성형부(6)와 정형부(8a)를 통과하면서 성형된 다공튜브가 릴리프부로 유입되면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공튜브가 다소 팽창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부(8b)가 정형부(8a)의 선단에서 측방향으로 직교되게 확장되기 때문에 정형부(8a)와 릴리프부(8b) 사이에는 단턱(8c)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릴리프부(8b)가 정형부(8a)의 선단에서 단턱(8c)을 이루면서 급격하게 확장되기 때문에, 릴리프부(8b)로 진입된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은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감소되고, 다공튜브는 급팽창되는데, 다공튜브가 급팽창되면서 정형부(8a)의 선단 즉, 상기 단턱(8c)에 압출재료, 즉,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이 묻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단턱(8c)에 압출재료가 조금씩 축적되다가 어느 정도 부피가 되면 압출되는 다공튜브의 외주연에 묻어서 떨어져 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다공튜브는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어 제품불량이 초래된다.
대한민국특허 제10-0366530호(2002.12.1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슬롯 내부에 압출재료가 묻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이 매끄러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단관형상의 바디(12) 내측에 브릿지부(15)가 형성된 숫금형(10)과, 소정 간격 이격형성된 다수개의 돌기(22)로 이루어진 이빨형상의 구멍성형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브릿지부(15)에 결합되는 맨드릴(20)과,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와 대응되는 압출슬롯(32)이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암금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공을 가지는 다공튜브를 성형하기 위한 압출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압출슬롯(32)은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가 삽입되며 다공튜브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정형부(32a)와, 상기 정형부(32a)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정형부(32a)를 통과한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릴리프부(3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릴리프부(32b)의 상기 정형부(32a)와 인접되는 부위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암금형에 형성된 압출슬롯(32)의 릴리프부(32b)의 적어도 정형부(32a)와 인접되는 부위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정형부(32a)를 통과한 다공튜브가 릴리프부(32b)로 진입하더라도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서히 점차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다공튜브가 서서히 팽창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다공튜브가 급팽창되어 릴리프부(32b)에 압출재료가 묻지 않으며, 제품불량도 감소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공튜브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압출다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압출다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출다이스는 숫금형(10)과, 숫금형(10)에 결합되는 맨드릴(20)과, 압출슬롯(32)이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암금형(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맨드릴에는 소정간격 이격형성된 다수개의 돌기(22)로 이루어진 구멍성형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에 형성된 브릿지부(15)에 결합된다.
상기 암금형(30)은 다공튜브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정형부(32a)와, 이 정형부(32a)의 전방에 형성되는 릴리프부(32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암금형을 숫금형에 결합시키면 상기 맨드릴의 구멍성형부(28)가 정형부(32a) 내부로 유입되고, 압출재료가 구멍성형부(28)와 정형부(32a)를 통과하면 구멍성형부(28)에 의해 다공튜브의 내주연이 형성되고, 정형부에 의해 다공튜브의 외주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릴리프부(32b)는 정형부(32a)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폭이 확장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릴리프부(32b)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이룬다. 이와 같이 릴리프부(32b)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테이퍼진형상을 가짐에 따라 정형부(32a)를 통과하면서 성형된 다공튜브가 릴리프부(32b)로 진입하면,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서히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공튜브도 서서히 팽창된다. 따라서 종래 다공튜브가 급팽창됨에 따라 정형부(32a)의 선단부나 릴리프부(32b)에 압출재료가 묻어서 잔존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릴리프부(32b)의 정형부(32a)와 근접되는 부위 일부만 테이퍼진형상을 갖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정형부(32a)를 통과하면서 성형된 다공튜브가 릴리프부(32b)로 진입하면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서히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공튜브도 서서히 팽창되어 정형부(32a)의 선단부나 릴리프부(32b)에 압출재료가 묻어서 잔존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1)

  1. 단관형상의 바디(12) 내측에 브릿지부(15)가 형성된 숫금형(10)과, 소정 간격 이격형성된 다수개의 돌기(22)로 이루어진 이빨형상의 구멍성형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브릿지부(15)에 결합되는 맨드릴(20)과,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와 대응되는 압출슬롯(32)이 형성되어 상기 숫금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암금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공을 가지는 다공튜브를 성형하기 위한 압출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압출슬롯(32)은 상기 맨드릴(20)의 구멍성형부(28)가 삽입되며 다공튜브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정형부(32a)와, 상기 정형부(32a)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정형부(32a)를 통과한 다공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릴리프부(3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릴리프부(32b)의 상기 정형부(32a)와 인접되는 부위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KR1020120128128A 2012-11-13 2012-11-13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KR10136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28A KR101369385B1 (ko) 2012-11-13 2012-11-13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28A KR101369385B1 (ko) 2012-11-13 2012-11-13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385B1 true KR101369385B1 (ko) 2014-03-04

Family

ID=5064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28A KR101369385B1 (ko) 2012-11-13 2012-11-13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3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122B1 (ko) 1992-04-17 2001-04-16 야노 유코 압출용 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KR100286124B1 (ko) 1992-02-27 2001-04-16 야노 유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KR100495106B1 (ko) 2004-09-10 2005-06-10 주식회사 두원공조 다공 튜브재 압출용 다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124B1 (ko) 1992-02-27 2001-04-16 야노 유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KR100286122B1 (ko) 1992-04-17 2001-04-16 야노 유코 압출용 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KR100495106B1 (ko) 2004-09-10 2005-06-10 주식회사 두원공조 다공 튜브재 압출용 다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047B1 (ko) 히트 싱크의 알루미늄 시트를 압출하는 몰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920826B2 (en) Hollow rack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rack bar
JP2018083215A (ja) 金属製部材の製造方法
KR101369385B1 (ko) 다공튜브용 압출다이스
JP6370759B2 (ja) 座金付きナットの製造方法
US10888910B2 (en) Machining method for burred flat holes in metal plates
KR101240494B1 (ko)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개선된 알루미늄 인터쿨러 튜브용 압출금형
JP2010042440A (ja) 溝付きボルトの製造方法
JP5086025B2 (ja)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のポートホール押出材の製造方法
CN104006051A (zh) 一种轮胎螺丝及其成型工艺
JP2006068749A5 (ko)
CN206455014U (zh) 一种改进型铝型材模具
CN105880518A (zh) 用于压铸管状压铸件的模具结构
TWI606872B (zh) 長細薄無縫管的製法
JP2006035291A (ja) パイプ中間部拡径液圧成形方法およびパイプ中間部拡径液圧成形装置
KR101684745B1 (ko) 확관과 압출의 동시공정에 의한 튜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제조 방법
CN103962799B (zh) 一种带凸缘工件的拉伸工艺
TW201932228A (zh) 短套筒的製造方法
CN109226616B (zh) 长套筒的制造方法
JP5231048B2 (ja) 中空軸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JP2005000928A (ja) 管加工装置
TWI617374B (zh) Long sleeve manufacturing method
JP2014184460A (ja) 棒状部品のローレット加工方法
JP2003285128A (ja) 中空部材及びその端部成形方法
KR950005226Y1 (ko) 콘폼장치에 의한 다공튜브 제조용 열간압출맨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