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510B1 - 숏 블라스터 - Google Patents

숏 블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510B1
KR101368510B1 KR1020120025470A KR20120025470A KR101368510B1 KR 101368510 B1 KR101368510 B1 KR 101368510B1 KR 1020120025470 A KR1020120025470 A KR 1020120025470A KR 20120025470 A KR20120025470 A KR 20120025470A KR 101368510 B1 KR101368510 B1 KR 10136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ot
blade
shot ball
magne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188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5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 B24C5/066Housings; Accessories therefor, e.g.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숏 블라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자성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급받은 숏볼을 하우징으로 배출하되, 제2 자성부를 구비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소둔 공정이 완료된 스트립 표면에 상기 숏볼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숏볼의 타격에 의한 하우징 및 블레이드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하는 숏 블라스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숏 블라스터{Shot blaster}
본 발명은 숏 블라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생산과정은 열간 압연된 스트립의 가공경화를 완화하기 위해 소둔 공정을 거치고, 소둔 공정에서 스트립의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제거할 목적으로 산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산세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황산, 질산 등의 강산성 액체를 포함하므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최근에는 화학적인 산세 공정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산세 공정의 전 단계에서 스트립에 기계적인 충격을 주어 스케일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는 숏 블라스터가 장착된 디스케일러(Descale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숏 블라스터는 숏볼(Shot Ball)을 하우징 내에 투입하고 임펠러를 회전시켜 숏볼을 스케일의 표면에 토출시키는 장비인데, 토출된 숏볼은 스트립의 표면을 타격하여 스트립 표면의 스케일을 일부 탈락시켜 제거하거나 파쇄시킨다. 따라서, 디스케일러에 의한 기계적 방식을 거친 스트립은 이후 산세 공정에서 쉽게 스케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숏 블라스터는 하우징, 임펠러의 블레이드, 및 하우징에 장착된 라이너를 쉽게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갖게 되는 숏볼은 하우징 또는 라이너를 타격하고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때 블레이드, 하우징, 라이너는 숏볼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아 손상이 심하고, 이에 따라 자주 교체해야 하며 교체에 따른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블레이드는 임펠러에 복수 개로 포함되는데, 블레이드 중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전체 임펠러를 교체해야 하며, 편심 하중이 발생하여 임펠러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숏 블라스터는 숏볼이 블레이드, 하우징, 라이너를 직접 타격하기 때문에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숏볼의 타격에 의한 블레이드, 하우징, 라이너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교체 비용을 절감하는 숏 블라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숏볼의 타격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숏 블라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는, 제1 자성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급받은 숏볼을 배출하되, 제2 자성부를 구비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스트립 표면에 상기 숏볼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상기 하우징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 상기 블레이드의 타면, 및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임펠러에 의해 원심력을 갖게 되는 상기 숏볼이 타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의 자성에 의해 상기 숏볼의 일부가 상기 제1 자성부의 표면 또는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에 의해 상기 숏볼의 일부가 상기 제2 자성부의 표면 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둘러싸는 라이너를 내부에 구비하되,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라이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라이너의 내면, 상기 라이너의 외면, 및 상기 라이너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숏 블라스터는, 하우징에 제1 자성부가 구비되고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제2 자성부가 구비되어, 숏볼이 하우징 또는 블레이드를 직접 타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하우징 또는 블레이드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숏볼이 하우징 또는 블레이드를 직접 타격하지 않이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라이너가 구비되어 하우징에 대한 손상이 적고, 이에 따라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가 장착된 디스케일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숏 블라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a)가 장착된 디스케일러(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숏 블라스터(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a)는 소둔 공정이 완료된 스트립 표면의 스케일을 일부 탈락시켜 제거하거나 파쇄하도록 디스케일러(200)에 장착된 장치로서, 제1 자성부(120a)가 구비된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제2 자성부(140)가 구비된 블레이드(131)를 포함하는 임펠러(130), 및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숏볼(170)을 토출시키는 토출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임펠러(130)를 감싸는 부재로서, 제1 자성부(120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 내에는 디스케일러(200)의 공급부(210)를 통해 숏볼(170)이 공급되는데, 구체적으로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된 숏볼(170)은 임펠러(130)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110)의 내면(111)을 타격한 후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숏볼(170)의 타격에 대비하여,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구비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제1 자성부(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부(120a)는 하우징(110)의 내면(111), 외면(1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직접 구비되거나, 도 2b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면(112)에 구비되거나, 도 2c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 즉 하우징(110)의 내부의 제1 수용부(1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면(111), 외면(112), 내부 중 두 곳 또는 전부에 제1 자성부(120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제1 자성부(120a)가 구비되는 경우, 초기에 임펠러(130)를 통해 배출되어 하우징(110)의 내면(111) 측에 도달한 숏볼(170a)은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에 의해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숏볼(170a)이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된 이후에, 임펠러(130)를 통해 배출된 숏볼(170)은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된 숏볼(170a)을 타격한 후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은 이미 다른 숏볼(170a)이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자리를 잡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자성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a)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튕겨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이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된 숏볼(170a) 중 일부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으며, 밀려난 숏볼(170a)은 다른 숏볼(170)이 자신을 타격한 힘에 의하여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숏볼(170)은 초기에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될 때에만 하우징(110) 또는 제1 자성부(120a)에 충격을 주고, 그 이후에는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된 숏볼(170a)로 인하여 하우징(110)의 내면(111)이나 제1 자성부(120a)에 충격을 주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110) 또는 제1 자성부(120a)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면(112), 또는 내부의 제1 수용부(113)에 제1 자성부(120a)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은 하우징(110)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배출된 숏볼(170a)은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예를 들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은 도 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의 내면(111)을 직접 타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하우징(110)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부(120a)는 예를 들어,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부(120a)가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경우 자력의 on/off 및 자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숏 블라스터(100a)의 사용 중에는 제1 자성부(120a)를 on 상태로 두어 초기의 숏볼(170a)을 부착시킴으로써 하우징(1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숏 블라스터(100a)의 사용 후에는 제1 자성부(120a)를 off 상태로 두어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a)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되어 하우징(110)을 보호하는 숏볼(170a)의 개수를 늘리고 싶은 경우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을 강하게 하고, 부착된 숏볼(170a)의 개수를 줄이고 싶은 경우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을 약하게 하는 등, 부착된 숏볼(170a)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숏볼(170a)이 제1 자성부(120a)의 표면(도 2a의 경우) 또는 하우징(110)의 내면(111)(도 2b 및 도 2c의 경우)에 일렬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의 세기에 따라 2열 이상으로 배열되거나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제1 자성부(120a)가 하우징(110)의 일부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숏볼(170)이 타격하는 하우징(110) 영역에는 모두 제1 자성부(120a)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130)는 하우징(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로서, 제2 자성부(140)를 구비한 블레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130)는 모터와 연계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됨으로써 숏볼(170)에 원심력을 가하여 숏볼(170)이 하우징(110)의 내면(111)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숏볼(170)은 공급관(135; 도 1 참조)을 통해 임펠러(130)의 회전축에 공급되며, 공급된 숏볼(170)은 임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블레이드(131)를 따라 이동되다가 블레이드(131)로부터 벗어나 하우징(110) 측으로 전달된 후,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자성부(140)는 임펠러(130)의 블레이드(131)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이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레이드(131)의 타면(133)과 같이 블레이드(131)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30)의 블레이드(131)의 내부, 즉 블레이드(131) 내부의 제2 수용부(134)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31)의 일면(132), 타면(133), 및 내부 중 어느 두 곳 또는 전부에 제2 자성부(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성부(140)가 임펠러(130)의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에 구비되는 경우, 초기에 임펠러(130)의 축으로부터 배출된 숏볼(170b)은 제2 자성부(140)의 자성에 의해 제2 자성부(14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숏볼(170b)이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된 이후에, 임펠러(130)의 축으로부터 배출되는 숏볼(170)은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이나 제2 자성부(140)의 표면을 직접 타격할 수 없고, 원심력에 의해 이미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b)을 타격하고 숏볼(170b) 배열을 따라 이동되다가 하우징(110)의 내면(1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이 이미 제2 자성부(140)의 표면 상에 자리를 잡고 있는 숏볼(170b) 중 일부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으며, 밀려난 숏볼(170b)은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면(111) 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결국,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은 제2 자성부(140)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b)을 타격할 뿐 블레이드(131)의 표면 또는 제2 자성부(140)를 직접 타격할 수 없으므로, 블레이드(13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b) 외의 다른 숏볼(170)은 임펠러(13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임펠러(130)를 벗어나 하우징(110)의 내면(111) 측으로 이동되고,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숏볼(170a)이 아직 없는 경우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이미 숏볼(170a)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된 숏볼(170a)을 타격하거나 밀어낼 수 있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1)의 타면(133) 또는 내부의 제2 수용부(134)에 제2 자성부(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2 자성부(140)의 자성은 블레이드(131)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배출된 숏볼(170b)은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에 예를 들어 일렬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은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된 숏볼(170b)을 타격할 뿐 블레이드(131)를 직접 타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도 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13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숏볼(170b)이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에만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자성부(140)의 자성에 의해 블레이드(131)의 타면(133)에도 부착되어 블레이드(131)의 타면(133)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2 자성부(140)도 제1 자성부(120a)와 같이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된 숏볼(170b)은 1열 이상 또는 지그재그 배열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5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로서, 숏볼(170)이 토출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숏볼(170)은 블레이드(131)로부터 제1 자성부(120a)의 표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부착된 숏볼(170a)을 타격하고, 타격의 반동에 의하여 토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토출된 숏볼(170)은 소둔 공정이 완료된 스트립(300; 도 1 참조)을 타격하고, 상기 타격에 의하여 스트립(300) 상에 형성된 스케일이 탈락하여 파쇄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디스케일러(200; 도 1 참조)는 숏 블라스터(100a)뿐만 아니라, 숏 블라스터(100a)에 숏볼(170)을 공급하는 공급부(210), 및 숏 블라스터(100a)에 의해 토출된 숏볼(170)이 호퍼 및 컨베이어 등에 의해 공급부(210)로 재이송되도록 구성된 회수부(220)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숏볼(170)이 공급관(135)을 통해 임펠러(130)의 축으로부터 배출되면, 숏볼(170)은 원심력에 의해 블레이드(131)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31)에는 제2 자성부(1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초기에 배출된 숏볼(170b)은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되거나(도 2a의 경우),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에 부착될 수 있다(도 2b 및 도 2c의 경우). 따라서, 이후에 배출되는 숏볼(170)은 블레이드(131)의 제2 자성부(140) 또는 일면(132)에 이미 숏볼(170b)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자성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은 제2 자성부(140)나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 제2 자성부(140)에 부착된 숏볼(170b)을 타격한 후 원심력에 의해 블레이드(131)로부터 벗어나거나,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b)을 밀어내어 밀려난 숏볼(170b)이 블레이드(131)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블레이드(131)로부터 벗어난 숏볼(170) 중 하우징(110)에 초기에 전달되는 숏볼(170a)은 제1 자성부(120a)의 자성에 의하여 제1 자성부(120a)의 표면에 부착되거나(도 2a의 경우),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부착될 수 있다(도 2b 및 도 2c의 경우). 따라서, 이후에 배출되는 숏볼(170)은 제1 자성부(120a)에 부착된 숏볼(170a)을 타격하고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되거나 부착된 숏볼(170a)을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밀려난 숏볼(170a)은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이 자신을 밀어낸 힘에 의하여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제1 자성부(120a) 또는 하우징(110)의 내면(111), 및 제2 자성부(140) 또는 블레이드(131)의 일면(132)에 초기의 숏볼(170a, 170b)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후에 전달되는 숏볼(170)은 직접 하우징(110)의 내면(111)을 타격하거나 블레이드(131)를 타격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 및 블레이드(131)의 마모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숏볼(170)이 하우징(110)의 내면(111)을 직접 타격하거나 블레이드(131)를 타격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으며, 부분적인 마모에 의한 편심하중 문제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서제1 자성부(120a) 및 제2 자성부(140)의 위치가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제1 자성부(120a)가 하우징(110)의 내면(111)에 구비되고 제2 자성부(140)가 블레이드(131)의 타면(133)에 구비되는 등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제1 자성부(120a) 및 제2 자성부(140)의 위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도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b)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블레이드(131)를 포함하는 임펠러(130)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둘러싸는 라이너(160)가 더 구비되고, 라이너(160)에 제1 자성부(120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라이너(160)는 숏볼(170)의 타격으로부터 하우징(110)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로서, 종래에는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는 소모품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숏 블라스터(100b)의 라이너(160)는 제1 자성부(120b)를 구비하여 제1 자성부(120b)에 부착된 숏볼(170c)로써 제1 자성부(120b) 및 라이너(160)를 이후에 배출된 숏볼(170)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라이너(160)의 교체 시기를 늦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부(120b)는 라이너(160)의 내면(161)에 구비되거나(도 3a의 경우), 라이너(160)의 외면(162)과 하우징(110)의 내면(111) 간에 구비되거나(도 3b의 경우), 라이너(160)의 내부, 즉 라이너(160) 내부의 제3 수용부(163)에 구비될 수 있다(도 3c의 경우). 또한, 라이너(160)의 내면(161), 외면(162), 및 내부 중 어느 두 곳 또는 전부에 제1 자성부(12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초기에 임펠러(130)를 벗어나 라이너(160)에 도달한 숏볼(170c)은 제1 자성부(120b)의 자성에 의해 제1 자성부(120b)의 표면에 부착되거나(도 3a의 경우) 라이너(160)의 내면(161)에 부착될 수 있고(도 3b 및 도 3c의 경우), 이후에 임펠러(130)를 벗어나 라이너(160)에 도달한 숏볼(170)은 제1 자성부(120b)에 부착된 숏볼(170c)을 타격한 후 토출구(150)로 토출되거나, 부착되어 있는 숏볼(170c)을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밀려난 숏볼(170c)은 다른 숏볼(170)이 자신을 타격한 힘에 의하여 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부(120b)가 구비되더라도 하우징(110)은 간접적인 충격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 내에 라이너(160)가 더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숏 블라스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하우징 120a, 120b : 제1 자성부
130 : 임펠러 131 : 블레이드
140 : 제2 자성부 150 : 토출구
160 : 라이너 170, 170a, 170b, 170c : 숏볼
200 : 디스케일러

Claims (9)

  1. 제1 자성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급받은 숏볼을 배출하되, 제2 자성부를 구비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스트립 표면에 상기 숏볼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 상기 블레이드의 타면, 및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상기 하우징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임펠러에 의해 원심력을 갖게 되는 상기 숏볼이 타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의 자성에 의해 상기 숏볼의 일부가 상기 제1 자성부의 표면 또는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에 의해 상기 숏볼의 일부가 상기 제2 자성부의 표면 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둘러싸는 라이너를 내부에 구비하되,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라이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라이너의 내면, 상기 라이너의 외면, 및 상기 라이너의 내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블라스터.
KR1020120025470A 2012-03-13 2012-03-13 숏 블라스터 KR10136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70A KR101368510B1 (ko) 2012-03-13 2012-03-13 숏 블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70A KR101368510B1 (ko) 2012-03-13 2012-03-13 숏 블라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88A KR20130104188A (ko) 2013-09-25
KR101368510B1 true KR101368510B1 (ko) 2014-02-28

Family

ID=494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70A KR101368510B1 (ko) 2012-03-13 2012-03-13 숏 블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73B1 (ko) * 2013-12-04 2015-01-20 주식회사 포스코 블레이드 표면 보호용 스케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465A (ja) 1999-09-29 2001-04-10 Sintokogio Ltd 遠心投射機におけるライナの摩耗検知装置
KR20060012969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포스코 숏볼 투사기
EP1930122B1 (de) * 2006-12-07 2010-07-14 Horst-Dieter Schlick Strahleinrichtung mit einem Schleuderrad
KR20110021101A (ko) * 2009-08-25 2011-03-04 최병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465A (ja) 1999-09-29 2001-04-10 Sintokogio Ltd 遠心投射機におけるライナの摩耗検知装置
KR20060012969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포스코 숏볼 투사기
EP1930122B1 (de) * 2006-12-07 2010-07-14 Horst-Dieter Schlick Strahleinrichtung mit einem Schleuderrad
KR20110021101A (ko) * 2009-08-25 2011-03-04 최병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8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10B1 (ko) 숏 블라스터
CN108818322B (zh) 一种喷砂系统
CN105619259A (zh) 一种钢结构的表面处理抛丸装置
WO2013105301A1 (ja) 電子部品のコア部材のバリ取り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021101A (ko)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CN106944194B (zh) 烟丝回收系统及其螺旋式废烟破碎装置
US20110065363A1 (en) Scale Removing Method and Scale Removing Apparatus
KR100465509B1 (ko) 냉각장치를 갖춘 임펠러방식의 쇼트피닝설비
CN205572143U (zh) 滚筒抛丸清洗机
KR101587652B1 (ko) 소결기 대차의 고착광 제거 장치
US20100130110A1 (en) Shot-blasting machine for surface treatment of procucts
KR101096062B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110105238A (ko) 파쇄장치
CN104117922A (zh) 一种履带式抛丸清理机
CN210210042U (zh) 湿式抛丸机
KR101543545B1 (ko) 스크류방식의 연속식 하역기를 이용한 분진탄 하역방법
CN103264354B (zh) 摇臂轴内孔光整机
CN114043385A (zh) 一种隔网脱附式钢结构件的除锈方法
CN109015410A (zh) 抛丸机
CN203401408U (zh) 在线抛丸机滚筒
CN103567880B (zh) 一种抛丸机清扫装置及方法
CN202114636U (zh) 新型抛丸机
CN104816251A (zh) 一种双层抛丸式履带抛丸机
KR101643275B1 (ko) 소결광 저장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KR20110058923A (ko) 회전식 임펠러 블라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