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101A -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 Google Patents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101A
KR20110021101A KR1020090078700A KR20090078700A KR20110021101A KR 20110021101 A KR20110021101 A KR 20110021101A KR 1020090078700 A KR1020090078700 A KR 1020090078700A KR 20090078700 A KR20090078700 A KR 20090078700A KR 20110021101 A KR20110021101 A KR 20110021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blade
housing
steel bal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603B1 (ko
Inventor
최병길
Original Assignee
최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길 filed Critical 최병길
Priority to KR102009007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6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4Apparatus using 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강구(S)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호퍼(12)로 이루어진 케이싱(10)과;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타측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커버(22)와,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렌지(23)와, 플렌지(23)에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는 플렌지보스(24)로 이루어진 하우징어셈플리(20)와;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이루어진 축동력전달장치(30)와; 한 쌍의 원판(41-1)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원판(41-1)과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를 구비하되,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임펠러본체(41)의 일측이 플렌지보스(24)와 상호 결합되는 임펠러(40)와; 외면에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토퍼에 의해 강구(S)의 토출 각도가 고정되는 컨트롤게이지(50)와;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를 구비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투사되는 강구가 항상 안내면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강구가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을 향해 투사됨으로 균일하게 피가공물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안내면의 오목한 부분이 강구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항상 강구가 안내면의 중앙에 정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구가 마모된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로 투사되더라도 정확하게 피가공물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에 따른 집중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안쪽면을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컨트롤게이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가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맞고 반사되어 컨트롤게이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통해 반사된 강구가 회전되는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의해 피가공물로 투사됨으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78700
케이싱. 하우징어셈블리. 축동력장치. 임펠라. 안내면. 컨트롤게이지

Description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ImPeller Equipment For Shot Peening And Shot Blas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외면을 타격하여 피가공물의 물성을 강화하는데 이용되는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펠러에 장착되는 블레이드의 안내면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투사되는 강구가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피닝장치는 강구를 매개로 피가공물의 외면을 타격하여 피가공물의 압축응력이 잔류응력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잔류응력이 잔류되면 피가공물표면에서의 파단기점 발생을 억제하며, 피로균열을 억제한다.
이러한, 쇼트피닝장치의 구성을 도 2를 예로 들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강구(S)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호퍼(12)로 이루어진 케이싱(10)과;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타측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커버(22)와,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렌지(23)와, 플렌지(23)에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는 플렌지보스(24)로 이루어진 하우징어셈플리(20)와;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이루어진 축동력전달장치(30)와; 한 쌍의 원판(41-1)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42-1)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원판(41-1)과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를 구비하되,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임펠러본체(41)의 일측이 플렌지보스(24)와 상호 결합되는 임펠러(40)와; 외면에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토퍼에 의해 강구(S)의 토출 각도가 고정되는 컨트롤게이지(50)와;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12)로 투입된 강구(S)는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트리뷰터(60)로 공급되며, 축동력전달장치(30)의 풀리(32)에 의해 샤프트(32)가 회전하게 되면, 비로소 디스트리뷰터(60)와 임펠러(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디스트리뷰터(6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강구(S)는 회전되는 디스트리뷰터(60)에 의해 토출구(61)로 배출되고, 배출된 강구(S)는 컨트롤게이 지(50)의 배출구(51)을 통해 배출되어져 최종적으로 회전되는 임펠러(40)의 블레이드(42)을 따라 이동되어 피가공물(100)을 향해 투사되게 된다.
도 8은 종래의 블레이드(42)를 보인 것으로서,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1)이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의 블레이드(42)를 임펠러(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쇼트피닝장치를 가동시켜 주면,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1)이 평면이기 때문에 강구(S)가 위치가 좌우로 쉽게 이동되고, 따라서, 안내면(42-1)을 따라 이동되어 끝단에서 피가공물(100)을 향해 강구(S)가 배출될 때에 상하좌우로 불균일하게 퍼지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피가공물(100)을 타격하지 못하는 손실 강구(S)가 발생될 수 밖에 없어서 쇼트피닝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1)이 강구(S)와의 지속적인 마찰 및 충돌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안내면(42-1)의 마모로 인하여 피가공물(100)로 투사되어야 할 강구(S)의 투사각이 변경되기 때문에 이 역시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00)을 타격하지 못하는 손실 강구(S)가 발생될 수 밖에 없어서 쇼트피닝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임펠러(40)의 회전속도와 강구(S)의 투입각도가 일치되면 배출된 강구(S)는 임펠러(40)의 블레이드(42) 안내면(42-1)을 따라 이동되어 피가공물(100)을 향해 투사되어져 피가공물(100)의 외면을 타격하게 되지만, 컨트롤게이지(50)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S)는 일정하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임펠러(40)의 회전속도와 강구(S)의 투입각도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 컨트롤 게이지(50)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된 강구(S)가 컨트롤게이지(50)에 인접하게 설치된 블레이드(42)의 내측면을 맞고 반사되어 재차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거나 컨트롤게이지(50) 배출구에서 멀리 이탈하여 블레이드(42)로 이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면을 통해 강구가 피가공물을 일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하여 타격에 따른 집중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내면에 안쪽면을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도록 하여 컨트롤게이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가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맞고 반사되어 컨트롤게이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된 부분을 통해 반사된 강구가 회전되는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의해 피가공물로 투사됨으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강구(S)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호퍼(12)로 이루어진 케이싱(10)과;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타측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커버(22)와,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렌지(23)와, 플렌지(23)에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는 플렌지보스(24)로 이 루어진 하우징어셈플리(20)와;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이루어진 축동력전달장치(30)와; 한 쌍의 원판(41-1)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한 쌍에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를 구비하되,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임펠러본체(41)의 일측이 플렌지보스(24)와 상호 결합되는 임펠러(40)와; 외면에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토퍼에 의해 강구(S)의 토출 각도가 고정되는 컨트롤게이지(50)와;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를 구비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투사되는 강구가 항상 안내면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강구가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 어져 피가공물을 향해 투사됨으로 집중하여 균일하게 피가공물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안내면의 오목한 부분이 강구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항상 강구가 안내면의 중앙에 정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구가 마모된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로 투사되더라도 정확하게 피가공물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에 따른 집중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안쪽면을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컨트롤게이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가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맞고 반사되어 컨트롤게이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통해 반사된 강구가 회전되는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의 안내면에 의해 피가공물로 투사됨으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서 블레이드 부분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는, 케이스본체(11) 와,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강구(S)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호퍼(12)로 이루어진 케이싱(10)과;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타측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커버(22)와,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렌지(23)와, 플렌지(23)에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는 플렌지보스(24)로 이루어진 하우징어셈플리(20)와;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이루어진 축동력전달장치(30)와; 한 쌍의 원판(41-1)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한 쌍의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를 구비하되,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임펠러본체(41)의 일측이 플렌지보스(24)와 상호 결합되는 임펠러(40)와; 외면에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토퍼에 의해 강구(S)의 토출 각도가 고정되는 컨트롤게이지(50)와;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케이스본체(11)는, 전체적인 형상이 상협하광형태을 이루는 사다리꼴형상으로 일방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있 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는 엘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설치되고, 설치된 엘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상면으로 호퍼(12)가 설치되며,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는 하우징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하우징에셈블리(20)는, 내부에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장착된 하우징(21)의 일단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하우징(21)이 설치된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는 플렌지(23)와 플렌지보스(2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축동력전달장치(30)의 샤프트(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21)의 후방에는 샤프트(3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22)가 볼트를 매개로 설치고정된다.
상기 축동력전달장치(30)는,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된 샤프트(31)의 일측과 타측으로 플렌지(23)와 풀리(32)가 각각 장착되고, 장착된 플렌지(23)와 풀리(32)는 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매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케이싱(10)의 케이스본체(11) 내부에 배치되는 임펠러(40)는, 한 쌍의 원판(41-1)이 지지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42-2)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원판(41-1)과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40)의 일측면은 플렌지보스(24)에 연접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42)는 임펠러본체(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투사되는 강구(S)가 항상 안내면(42-2)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강구(S)가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안내면(42-2)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100)을 향해 투사됨으로 집중하여 균일하게 피가공물(100)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내면(42-2)의 오목한 부분이 강구(S)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항상 강구(S)가 안내면(42-2)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구(S)가 마모된 안내면(42-1)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100)로 투사되더라도 정확하게 피가공물(100)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에 따른 집중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블레이드(42) 안내면(42-2)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경우 길이방향의 내측 상면 선단이 A-A'와 같이 라운드지면서 돌출된 돌부가 더 보강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의 내측이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2-4)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안쪽면을 도 6c의 B-B'와 같이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블레이드(42)의 내측이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2-4)을 더 보강 구비함으로써, 컨트롤게이지(50)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S)가 회전되는 블레이드(42)에 맞고 반사되어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통해 반사된 강구(S)가 회전되는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42)의 돌부(42-3)를 따라 중앙으로 이동되어 안내면(42-2)에 끝단에서 피가공물(100)로 투사됨으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100)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0)의 임펠러본체(41) 내부에는, 외면에 하나의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게이지(5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컨트롤게이지(50)는 케이스본체(11)의 외면 일측에 볼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게이지(50)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S)의 투사각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푼 다음 컨트롤게이지(50)의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목적에 맞게 재설치하면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를 알맞게 조절하여 피가공물(100) 로 날아가는 강구(S)의 투사각을 조절하면 된다.
상기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는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디스트리뷰터(60)는 센터링디스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상호 연접되고, 디스트리뷰터(6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볼트를 매개로 임펠라본체(41)에 설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디스트리뷰터(60)와 센터링디스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연접되는 부분에는 각각 요부와 철부를 마련하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작동관계도이다.
우선 피가공물(100)에 투사시킬 강구(S)를 케이싱(10)의 호퍼(12)에 투입시켜 준 상태에서 구동모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구동모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V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된 축동력전달장치(30)의 풀리(32)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되는 풀리(32)에 의해 샤프트(31)가 축 회전하게 되며, 축 회전되는 샤프트(31)에 의해 임펠러(40)의 임펠러본체(41)와 임펠러본체(41)의 내측에 위치되는 디스트리뷰터(6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트리뷰터(60)의 내부로 투입된 강구(S)는 회전되는 디스트리뷰 터(60)와 함께 회전되다가 어느 일정속도에 다다르게 되면 강구(S)는 원심력과 함께 디스트리뷰터(60)에 의해 계속 타격되다가 토출구(61)을 통해 배출되게 되고, 토출구(61)를 통해 배출된 강구(S)는 컨트롤게이지(50)로 이동되어 배출구(51)를 통해 빠져나가 임펠러(40)의 블레이드(42)의 안내를 받아 피가공물(100)의 외면으로 투사된다.
상기 강구(S)가 임펠러(40)의 블레이드(42)의 안내를 받아 피가공물(100)의 외면으로 투사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컨트롤게이지(50)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된 강구(S)가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안내면(42-2)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100)을 향해 투사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투사되는 강구(S)가 항상 안내면(42-2)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강구(S)가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안내면(42-2)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100)을 향해 투사됨으로 균일하게 피가공물(100)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내면(42-2)의 오목한 부분이 강구(S)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항상 강구(S)가 안내면(42-2)의 중앙에 정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구(S)가 마모된 안내면(42-2)을 따라 이동되어져 피가공물(100)로 투사되더라도 정확하게 피가공물(100)을 타격할 수 있어 타격에 따른 집중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작동관계도서,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경우 길이방향의 안쪽면이 라운드지면서 돌출된 돌부(42-3)가 보강 구비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게이지(50)의 배출구(51)을 통해 불규칙하게 강구(S)가 배출될 때에 블레이드(42)에 형성된 돌부(42-3)에 경사면(42-4)을 통해 후방 즉,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42)로 반사되도록 하여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42)에 의해 피가공물(100)로 강구(S)를 투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안쪽면을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는 돌부(42-3)를 형성함으로써, 컨트롤게이지(50)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는 강구(S)가 회전되는 블레이드(42)에 맞고 반사되어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통해 반사된 강구(S)가 회전되는 다음 차순의 블레이드(42)의 안내면(42-2)에 의해 피가공물(100)로 투사됨으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100)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서 블레이드 부분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작동관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작동관계도.
도 8은 종래의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서 블레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1: 케이스본체 12: 호퍼
20: 하우징어셈블리 21: 하우징 22: 하우징커버
23: 플렌지 24: 플렌보스 30: 축동력장치
31: 샤프트 32: 풀리 40: 임펠라
41: 엠펠러본체 42: 블레이드
42-1,42-2: 안내면 50: 컨트롤게이지 51: 배출구
60: 디스트리뷰트 61: 토출구 S: 강구
100: 피가공물

Claims (3)

  1.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강구(S)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호퍼(12)로 이루어진 케이싱(10)과;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타측에 설치고정되는 하우징커버(22)와, 케이스본체(11)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렌지(23)와, 플렌지(23)에 상호 맞대어져 결합되는 플렌지보스(24)로 이루어진 하우징어셈플리(20)와; 일측이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어 키를 매개로 플렌지(23)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타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1)를 축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로 이루어진 축동력전달장치(30)와; 한 쌍의 원판(41-1)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임펠러본체(41)와, 강구(S)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안내면을 갖추고서, 임펠러본체(41)의 한 쌍의 원판(41-1)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2)를 구비하되,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임펠러본체(41)의 일측이 플렌지보스(24)와 상호 결합되는 임펠러(40)와; 외면에 배출구(51)를 갖추고서, 일측이 케이스본체(1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임펠러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토퍼에 의해 강구(S)의 토출 각도가 고정되는 컨트롤게이지(50)와; 외면에 다수개의 토출구(61)를 갖추고서, 컨트롤게이지(5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샤프트(31)에 설치고정되는 디스트리뷰터(60)를 구비한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2)의 안내면은, 길이방향의 내측 상면 선단이 라운드지면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2)의 내측이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KR1020090078700A 2009-08-25 2009-08-25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KR10110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00A KR101107603B1 (ko) 2009-08-25 2009-08-25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00A KR101107603B1 (ko) 2009-08-25 2009-08-25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01A true KR20110021101A (ko) 2011-03-04
KR101107603B1 KR101107603B1 (ko) 2012-01-25

Family

ID=4393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00A KR101107603B1 (ko) 2009-08-25 2009-08-25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6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510B1 (ko) * 2012-03-13 2014-02-28 주식회사 포스코 숏 블라스터
KR101460592B1 (ko) * 2013-03-15 2014-11-12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1525219B1 (ko) * 2013-03-15 2015-06-04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06891268A (zh) * 2017-04-05 2017-06-27 济南大学 抛丸器叶片及叶轮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85B1 (ko) * 2018-05-03 2020-06-24 경동쇼트기계(주) 연마제의 투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1984062B1 (ko) 2018-12-06 2019-06-04 (주)대코 쇼트피닝 머신의 임펠러용 블레이드 제조방법 및 임펠러용 블레이드
KR20210100838A (ko)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다인에스티 비동기식 회전구조로 우수한 분사효율과 높은 수명을 가진 원심형 쇼트피닝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959A (ja) * 1986-08-28 1987-02-24 Banyu Pharmaceut Co Ltd 0‐(n‐置換アミノメチル)フエニル酢酸の製法
KR20050075735A (ko) * 2005-05-30 2005-07-21 업 김 쇼트 브라스트 M/c용 내마모성 소재의 개질방법
CN101817168B (zh) * 2005-09-06 2011-12-07 新东工业株式会社 离心投射装置
US20080076333A1 (en) * 2006-09-22 2008-03-27 Pangborn Corporation Throwing blade connection assembly for abrasive throwing whe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510B1 (ko) * 2012-03-13 2014-02-28 주식회사 포스코 숏 블라스터
KR101460592B1 (ko) * 2013-03-15 2014-11-12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1525219B1 (ko) * 2013-03-15 2015-06-04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06891268A (zh) * 2017-04-05 2017-06-27 济南大学 抛丸器叶片及叶轮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603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603B1 (ko) 쇼트피닝 및 쇼트브라스트용 임펠러장치
US10471435B2 (en) Hammer for shredding machines
US8256117B2 (en) Method for the controlled shot peening of blisk blades wherein a shot peening stream is provided on a pressure and a suction side of the blades
US8550881B2 (en) Vane, mounting assembly and throwing wheel apparatus having a locking member tapered in two planes
US8926406B2 (en) Surface applied abrasiv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A1163444A (en) Centrifugal abrasive blasting machine
KR20100091190A (ko) 쇼트 피닝용 반사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쇼트 피닝 방법
WO2017014767A1 (en) Control cage for centrifugal blast wheel machine
US9206698B2 (en) Turbine
US10335923B2 (en) Centrifugal blade lock and release device for a blast wheel machine
KR101087748B1 (ko) 파쇄장치
KR102023341B1 (ko) 축류 투사식 쇼트 블라스트
CA2571532C (en) Impeller for feeding blasting shots into a centrifugal wheel
WO2017061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impeller vanes with blades in a blast wheel machine
US20200063562A1 (en) Impeller, impeller manufacturing method, and rotating machine
US2077635A (en) Abrasive throwing wheel
CN108098599B (zh) 抛丸清理装置
KR20090106678A (ko)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분사장치
JP2013544194A (ja) 投射材を加速させるためのインペラ
KR20220011278A (ko) 쇼트볼을 흡입하여 분사하는 임펠라
JP7402254B2 (ja) ブラストホイールマシンのためのインペラ
RU58054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ударно-центробежной мельницы
KR20100107570A (ko) 쇼트 브라스트용 임펠라
KR101715055B1 (ko) 스틸코드지 해머 분쇄기
SU854433A1 (ru) Центробежна мельниц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