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75B1 - 오뚝이물병 - Google Patents

오뚝이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75B1
KR101368475B1 KR1020120129710A KR20120129710A KR101368475B1 KR 101368475 B1 KR101368475 B1 KR 101368475B1 KR 1020120129710 A KR1020120129710 A KR 1020120129710A KR 20120129710 A KR20120129710 A KR 20120129710A KR 101368475 B1 KR101368475 B1 KR 10136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housing
tilt
bott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범기
Original Assignee
권범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범기 filed Critical 권범기
Priority to KR102012012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5/00Other gravity-operated toy fig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물병은 특정 직경의 물병이 아닌 다양한 직경의 물병(10)이 오뚝이유닛(2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병(10)의 기울기에 따라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병(10)이 탄성부재(40)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물병(10)이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뚝이물병{ROLY POLY TYPE BOTTLE}
본 발명은 오뚝이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병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물병의 경사각도에 따라 소리 또는 광원을 발생시키는 오뚝이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물병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우유 또는 물과 같은 액체가 담겨지게 된다.
유아는 인지능력 및 조작능력이 성인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물병을 집거나 드는 과정에서 상기 물병이 넘어지는 일이 빈번하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194205에는 젖병과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젖병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젖병은 몸체에 오뚝이 기능을 갖는 멜로디장치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멜로디장치에서 단순하게 멜로디를 재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194205
본 발명은 물병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물병의 경사각도에 따라 소리 또는 광원을 발생시키는 오뚝이물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물병(10)과 결합되는 오뚝이물병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되는 상기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이 소정각도 기울어질 경우 상기 물병을 중력방향으로 원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오뚝이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유닛(20)은 상기 물병(10)이 결합되도록 상측에 개구부(32)가 형성된 하우징(30);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의 개구부(32)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삽입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물병(10)이 끼움 결합되는 탄성부재(4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어모듈(5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서 감지 및 계산된 기울기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60)을 포함하는 오뚝이물병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내측에 상기 물병(10)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는 삽입구(42)가 형성되고, 외측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50)은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52);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2)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계산부(54);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60)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56);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60)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58);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구성(52)(54)(56)(58)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물병(10)과 결합되는 오뚝이물병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되는 상기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이 고정되고 상기 물병(10)이 소정각도 기울어질 경우 상기 물병을 중력방향으로 원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오뚝이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유닛(20)은 상기 물병(10)이 결합되는 하우징(30); 상기 물병(10) 및 상기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병(10)을 상기 하우징(30)에 접착고정시키는 접착시트;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어모듈(5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서 감지 및 계산된 기울기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60)을 포함하는 오뚝이물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물병은 특정 직경의 물병이 아닌 다양한 직경의 물병(10)이 오뚝이유닛(2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병(10)의 기울기에 따라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물병은 물병(10)이 탄성부재(40)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물병(10)이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물병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오뚝이유닛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유닛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물병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뚝이유닛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유닛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물병은 액체가 저장되는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뚝이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오뚝이유닛(20)은 상기 물병(10)이 결합되도록 상측에 개구부(32)가 형성된 하우징(30)과,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의 개구부(32)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삽입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물병(10)이 끼움 결합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어모듈(50)과,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서 감지 및 계산된 기울기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6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물병(10)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물병(10)을 중력방향으로 직립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지면과 접촉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병(10)의 하중에 비해 그 중량을 크게 함과 더불어 무게중심을 하측에 배치시켜 오뚝이 기능을 하는 복원력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이 오뚝이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무게중심의 배치에 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물병(10)은 종래의 일반적인 물병이다.
상기 하우징(30)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에 상기 물병(10)이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32)에 삽입되는 물병(10)과 접촉되어 상기 물병(10)을 끼움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개구부(32)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고, 특정한 직경의 물병(10)만을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 범위의 직경으로 형성된 물병(10)을 끼움 고정시키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40)는 내측에 삽입구(42)가 형성된 도넛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구(42)에 상기 물병(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에 삽입된 물병(10)은 상기 탄성부재(40)에 외측면이 감싸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삽입구(42)의 크기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재질에 의해 탄성범위 내에서 확장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범위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물병(10)이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면, 상기 물병(10)과 오뚝이유닛(20)은 일체화되어 동작된다.
상기 알림모듈(6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과 더불어 물병을 사용하는 유아에게 시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유아의 경우 물병(10)이 넘어진 이후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지만, 상기 알림모듈(60)을 통해 물병(10)이 넘어지거나 액체라 흘러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유아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서, 유아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알림모듈(60)은 경고의 의미뿐만 아니라 유아의 장난감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물병(10)의 기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60)은 음향신호를 제공하는 음향모듈(64)인 스피커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모듈(62)인 광원(62)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50)은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52)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2)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계산부(54)와,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음향모듈(64)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56)와,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62)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58)와,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구성(52)(54)(56)(58)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5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 내부에는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2), 기울기계산부(54), 음향제어부(56), 발광제어부(58)가 설치되는 기판(53)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53)과 상기 전원부(5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2)는 중력방향에 대한 상기 하우징(30)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이로센서가 사용되고, 상기 자이로센서의 원리 및 작동 방법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울기계산부(54)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기울기 값을 구한다.
상기 음향제어부(56)는 상기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울기 값이 작은 경우, 작은 소리로 노래 등을 재생하고, 상기 기울기 값이 큰 경우 큰 소리로 노래를 재생시키며, 상기 물병(10)의 액체가 쏟아지는 정도의 기울기인 경우 알람을 재생시켜 유아 및 부모에게 상황을 인식시킨다.
상기 발광제어부(58)도 상기 음향제어부(56)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울기 값이 작은 경우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상기 광원(62)을 점등시키고, 상기 기울기 값이 큰 경우 상기 광원(62)의 밝기를 증가시키며, 상기 물병(10)의 액체가 쏟아지는 정도의 기울기인 경우 상기 광원(62)을 최고 밝기로 점등시켜 유아 및 부모에게 상황을 인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51)는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축전지 또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원부(51)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오뚝이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중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물병(10)을 하우징(3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시키는 접착시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30)에 접착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물병 20 : 오뚝이유닛
30 : 하우징 40 : 탄성부재
50 : 제어모듈 51 : 전원부
52 : 기울기감지센서 54 : 기울기계산부
56 : 음향제어부 58 : 발광제어부
60 : 알림모듈 62 : 발광모듈
64 : 음향모듈

Claims (4)

  1. 물병(10)과 결합되는 오뚝이물병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되는 상기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이 소정각도 기울어질 경우 상기 물병을 중력방향으로 원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오뚝이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유닛(20)은
    상기 물병(10)이 결합되도록 상측에 개구부(32)가 형성된 하우징(30);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의 개구부(32)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삽입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물병(10)이 끼움 결합되는 탄성부재(4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어모듈(5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서 감지 및 계산된 기울기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60)을 포함하는 오뚝이물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내측에 상기 물병(10)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는 삽입구(42)가 형성되고, 외측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는 오뚝이물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52);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2)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기울기계산부(54);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60)을 제어하는 음향제어부(56);
    상기 기울기계산부(54)에서 계산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60)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58);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구성(52)(54)(56)(58)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51)를 포함하는 오뚝이물병.
  4. 물병(10)과 결합되는 오뚝이물병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되는 상기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이 고정되고 상기 물병(10)이 소정각도 기울어질 경우 상기 물병을 중력방향으로 원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오뚝이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유닛(20)은
    상기 물병(10)이 결합되는 하우징(30);
    상기 물병(10) 및 상기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병(10)을 상기 하우징(30)에 접착고정시키는 접착시트;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물병(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어모듈(50);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서 감지 및 계산된 기울기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60)을 포함하는 오뚝이물병.
KR1020120129710A 2012-11-15 2012-11-15 오뚝이물병 KR10136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710A KR101368475B1 (ko) 2012-11-15 2012-11-15 오뚝이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710A KR101368475B1 (ko) 2012-11-15 2012-11-15 오뚝이물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475B1 true KR101368475B1 (ko) 2014-02-28

Family

ID=5027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710A KR101368475B1 (ko) 2012-11-15 2012-11-15 오뚝이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99Y1 (ko) 2013-11-21 2014-09-2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뚝이 찻잔 세트
KR101934854B1 (ko) * 2018-08-22 2019-01-03 (유)노블레스 오뚝이형 회전광고판
KR20190057869A (ko) * 2017-11-21 2019-05-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뚝이 쓰레기통
KR102171834B1 (ko) * 2020-08-07 2020-10-29 김동섭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KR102181006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자석층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하는 IoT 장치
KR102181012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KR102181015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액상용기부와 무게중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08Y1 (ko) 2004-12-29 2005-03-21 이영민 젖병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08Y1 (ko) 2004-12-29 2005-03-21 이영민 젖병홀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99Y1 (ko) 2013-11-21 2014-09-2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뚝이 찻잔 세트
KR20190057869A (ko) * 2017-11-21 2019-05-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뚝이 쓰레기통
KR101993633B1 (ko) * 2017-11-21 2019-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뚝이 쓰레기통
KR101934854B1 (ko) * 2018-08-22 2019-01-03 (유)노블레스 오뚝이형 회전광고판
KR102171834B1 (ko) * 2020-08-07 2020-10-29 김동섭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KR102181006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자석층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하는 IoT 장치
KR102181012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KR102181015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액상용기부와 무게중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475B1 (ko) 오뚝이물병
US7633232B2 (en) Electronic candle and method of use
US6413141B1 (en) Noise activated mobile
JP200926764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20110082501A1 (en) Music Pacifier
US20120074154A1 (en) Non-contact liquid sensing device
US20020121982A1 (en) Water alarm for sensing a level of water in a tub
CN207085334U (zh) 儿童洗澡玩具
CN103025396A (zh) 具有声音模块的游乐设施配件
KR200469487Y1 (ko) 아동용 다기능성 우산
US20120315819A1 (en) Flashlight activity game
KR20130042747A (ko) 멜로디 유아용 소변기
KR101095187B1 (ko) 태엽 구동식 기능 우유병 케이스
CN205405837U (zh) 踢被监控装置
CN219843665U (zh) 一种婴儿监护器
CN203984612U (zh) 悬浮蓝牙喇叭结构
CN219872821U (zh) 一种用于电厂的警示装置
CN218976791U (zh) 一种便携式迷你小音箱
CN204969929U (zh) 一种文具盒
KR20190066182A (ko) 컴퓨터 마우스
CN211383802U (zh) 一种多功能儿童学习玩具机器人
CN201035707Y (zh) 防近视报警器
CN202067378U (zh) 红外线坐姿报警器
JP3178782U (ja) 補聴器
CN201551838U (zh) 一种新型迎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