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99Y1 - 오뚝이 찻잔 세트 - Google Patents

오뚝이 찻잔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99Y1
KR200474499Y1 KR2020130009564U KR20130009564U KR200474499Y1 KR 200474499 Y1 KR200474499 Y1 KR 200474499Y1 KR 2020130009564 U KR2020130009564 U KR 2020130009564U KR 20130009564 U KR20130009564 U KR 20130009564U KR 200474499 Y1 KR200474499 Y1 KR 200474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
teacup
cup
car
tea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국
김형기
김수진
김효연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30009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94Self-righting drinking vessels, e.g. with means generating a moment to stay upr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오뚝이 찻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중심추가 설치되어 있는 밑면이 완만한 곡선형태의 차받침과 상기 차받침에 결합되는 찻잔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받침과 결합된 찻잔이 외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중심을 잃고 과도하게 기울지 않고 흔들거리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차받침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홈으로 되어있는 찻잔 결합부를 설치함으로써, 찻잔이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찻잔 결합부에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재인 수막새의 무늬를 새김으로써, 찻잔이 흔들거리면서 움직이며 사용자에게 흔들의자와 같은 여유로움을 주고, 투명한 찻잔 아래로 차받침의 수막새의 모양이 표현되는 등의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오뚝이 찻잔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뚝이 찻잔 세트{THE TEACUP SET OF A ROLY POLY TYPE}
본 고안은 오뚝이 찻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찻잔과 분리되는 차받침의 저면 중앙부에 컵보다 비중이 큰 중심추를 위치시키고, 차받침 저면부를 오뚝이의 밑면과 같이 완만한 곡선 형태로 구성하며, 또한 차받침의 찻잔 결합부를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찻잔이 좌우로 진동하더라도 오뚝이처럼 중심을 잃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오뚝이 찻잔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찻잔의 형태는 보통 컵 모양의 찻잔 또는 찻잔과 차받침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찻잔들은 사용자의 실수 또는 기타 환경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 쉽게 찻잔이 넘어져 찻잔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과, 이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121호 (2000.08.28)가 존재하나, 이는 컵의 저면부에 비중이 큰 물질을 위치시켜 컵이 쉽게 넘어지지 않게 하는 것일 뿐, 본원 고안과 같이 찻잔과 결합할 수 있는 차받침에 중량물을 설치하는 기술에 관한 내용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원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받침의 하부에 무게추를 설치하고 찻잔을 차받침 상부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또는 기타 환경적인 외력에 의해 찻잔이 넘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흔들거리는 찻잔의 형상으로 인한 심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찻잔 세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중심추가 설치되어 있는 밑면이 완만한 곡선형태의 차받침과 상기 차받침에 결합되는 찻잔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받침과 결합된 찻잔이 외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중심을 잃고 과도하게 기울지 않고 흔들거리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오뚝이 찻잔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기 찻잔과 결합되는 차받침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홈으로 되어있는 찻잔 결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찻잔 결합부에 찻잔을 결합하였을 때 차받침이 흔들리더라도 찻잔이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오뚝이 찻잔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기 찻잔 결합부에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재인 수막새의 무늬를 새김으로써, 흔들거리는 찻잔 속으로 문화재의 형상이 표현되는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오뚝이 찻잔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는, 찻잔; 및 완만한 곡선형 구조의 밑면 중심부에 상기 찻잔보다 비중이 무거운 중심추가 설치되어 있는 차받침;을 포함하며, 상기 찻잔은 상기 차받침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찻잔과 차받침 결합 시 외력에 의해 찻잔이 좌우로 진동하더라도 오뚝이처럼 중심을 잃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과도한 기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받침은, 상기 찻잔과 결합되는 찻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찻잔 결합부는 찻잔 저면부의 형태에 맞는 고무재질의 홈으로 되어있어, 상기 차받침이 흔들리더라도 찻잔이 차받침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으며, 상기 찻잔 결합부는, 문화재의 무늬가 새겨져있어 상기 찻잔과 결합 시, 투명한 찻잔 아래로 문화재의 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은 오뚝이 찻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중심추가 설치되어 있는 밑면이 완만한 곡선형태의 차받침과 상기 차받침에 결합되는 찻잔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받침과 결합된 찻잔이 외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중심을 잃고 과도하게 기울지 않고 흔들거리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차받침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홈으로 되어있는 찻잔 결합부를 설치함으로써, 찻잔이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찻잔 결합부에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재인 수막새의 무늬를 새김으로써, 찻잔이 흔들거리면서 움직이며 사용자에게 흔들의자와 같은 여유로움을 주고, 투명한 찻잔 아래로 차받침의 수막새의 모양이 표현되는 등의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원 고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원 고안에 따른 차받침의 찻잔 결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원 고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의 디자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 고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오뚝이 찻잔 세트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도라도 찻잔이 쓰러지지 않고, 흔들거리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찻잔(10)과 차받침(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찻잔(10)과 차받침(20)은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서, 차받침(20)의 상부에 찻잔(1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오뚝이 찻잔 세트는 상기 찻잔(10)이 독립적으로 오뚝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찻잔(10)을 차받침(20)에 내려놓았을 때 오뚝이처럼 흔들거리지만 넘어지지는 않는 구조의 찻잔 세트인 것이다.
한편, 상기 차받침(20)의 형태는 차받침 저면부의 중심으로부터 차받침 상부의 모서리까지 완만한 곡선 형태로 되어 있고, 차받침의 넓이(가로)가 높이(세로)보다 긴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외형으로 인해 차받침은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흔들거리더라도 넘어지지는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차받침(20)은 차받침의 저면부 중앙에 중심추(22)가 설치되어 있다. 만약 중심추(22)가 없다면 상기 차받침(20)에 찻잔(10)을 결합하였을 시, 넘어지지는 않지만 한쪽으로 기울은 채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차받침(20)은 중심추(22)를 차받침 하부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차받침(20)이 기울은 채로 고정되지 않고 흔들거리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심추(22)는 상기 찻잔(10)보다 비중이 많이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찻잔과 차받침이 결합되었을 때에도, 무게중심이 확실하게 상기 중심추(22)에 위치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오뚝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받침의 상부에는 찻잔과 차받침이 결합할 수 있는 찻잔 결합부(21)가 존재한다. 상기 찻잔 결합부(21)에 대한 설명은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찻잔(10)은 투명한 이중구조의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다. 또한, 찻잔의 하부를 상기 찻잔 결합부(2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찻잔 저면부가 평평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차받침(20)과 독립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일반 컵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 고안에 따른 차받침의 찻잔 결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차받침의 찻잔 결합부(21)는 차받침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그 형태는 상기 찻잔(10)의 저면부의 형태와 맞게 차받침 내부로 파여져 있는 홈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찻잔 결합부(21)는 찻잔(10)의 모양에 맞게 설계되어 있어서, 찻잔(10)을 찻잔 결합부(21)에 결합하였을 때 찻잔(10)이 차받침(20)에 고정되어 차받침(20)이 흔들리더라도 찻잔이 쉽게 차받침 위에서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찻잔 결합부(21)는 내부(즉, 찻잔의 저면부과 결합하는 면)의 재질이 고무재질로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찻잔(10)과 만나는 찻잔 결합부(21)의 면을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찻잔(10)과 찻잔 결합부(21)의 마찰력를 높여 보다 확실하게 찻잔(10)이 차받침(20)에 고정되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원 고안에 따른 오뚝이 찻잔 세트의 디자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차받침(20)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서,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오뚝이 찻잔 세트는 차받침(20)의 찻잔 결합부(21) 밑면에 경주의 대표적인 문화재 중 하나인 수막새를 모티브로 한 무늬가 새겨져 있다. 상기 찻잔 결합부(21)의 밑면에 새겨져 있는 수막새 무늬는 사용자가 찻잔(10)을 상기 차받침(20)에 내려놓았을 때, 투명한 찻잔의 흔들거리는 찻물 아래로 상기 수막새의 무늬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한 수막새 무늬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다양한 무늬를(사용자에 따라) 새겨 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차받침 상부 중앙에 형성된 홈, 차받침 저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중심추, 또는 차받침과 찻잔의 형태나 모양 등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나 모양의 일부 변형은 본 고안의 고안개념에 속하는 것임을 여기에 밝혀둔다.
10 : 찻잔 20 : 차받침
21 : 찻잔 결합부 22 : 중심추

Claims (3)

  1. 오뚝이 찻잔 세트에 있어서,
    찻잔; 및
    완만한 곡선형 구조의 밑면 중심부에 상기 찻잔보다 비중이 무거운 중심추가 설치되어 있는 차받침;을 포함하며,
    상기 찻잔은 상기 차받침의 상부에 결합되고, 찻잔과 차받침 결합 시 외력에 의해 찻잔이 좌우로 진동하더라도 오뚝이처럼 중심을 잃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과도한 기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찻잔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받침은,
    상기 찻잔과 결합되는 찻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찻잔 결합부는 찻잔 저면부의 형태에 맞는 고무재질의 홈으로 되어있어, 상기 차받침이 흔들리더라도 찻잔이 차받침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찻잔 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찻잔 결합부는,
    문화재의 무늬를 포함한 사용자가 지정하는 무늬가 새겨져있어 상기 찻잔과 결합 시, 투명한 찻잔 아래로 상기 무늬의 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찻잔 세트.
KR2020130009564U 2013-11-21 2013-11-21 오뚝이 찻잔 세트 KR200474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64U KR200474499Y1 (ko) 2013-11-21 2013-11-21 오뚝이 찻잔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64U KR200474499Y1 (ko) 2013-11-21 2013-11-21 오뚝이 찻잔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499Y1 true KR200474499Y1 (ko) 2014-09-23

Family

ID=5200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64U KR200474499Y1 (ko) 2013-11-21 2013-11-21 오뚝이 찻잔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80A (ko) 2016-11-26 2018-06-05 조지민 찻잔 속 거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21Y1 (ko) 2000-02-17 2000-11-15 강정호 오뚝이형 컵
KR200398656Y1 (ko) 2005-07-25 2005-10-14 장용각 찻잔세트의 구조
KR200398655Y1 (ko) 2005-07-25 2005-10-14 장용각 찻잔세트
KR101368475B1 (ko) 2012-11-15 2014-02-28 권범기 오뚝이물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21Y1 (ko) 2000-02-17 2000-11-15 강정호 오뚝이형 컵
KR200398656Y1 (ko) 2005-07-25 2005-10-14 장용각 찻잔세트의 구조
KR200398655Y1 (ko) 2005-07-25 2005-10-14 장용각 찻잔세트
KR101368475B1 (ko) 2012-11-15 2014-02-28 권범기 오뚝이물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80A (ko) 2016-11-26 2018-06-05 조지민 찻잔 속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499Y1 (ko) 오뚝이 찻잔 세트
US20030189055A1 (en) Stable wine glasses
JPH088689Y2 (ja) 飲食容器とソーサーとの組合せ
JP3219010U (ja) コースター
KR200398656Y1 (ko) 찻잔세트의 구조
JP1744241S (ja) コップ受け
KR200398655Y1 (ko) 찻잔세트
KR200439537Y1 (ko) 컵 받침대 겸용 트로피
CN206403586U (zh) 一种多功能组合餐具
TWM539888U (zh) 茶壺結構改良
CN211459375U (zh) 一种组合式酒瓶底座
JP3222216U (ja) 桝飲み補助具
CN212878783U (zh) 一种平均艺术酒杯
KR20080098202A (ko) 위치확보를 위한 그릇
RU174977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сосуд для питья
JP1725294S (ja) コップ受け
JP3071415U (ja) もちに柑橘を載置する台座
TWI629031B (zh) Container combination and method capable of emitting fendorfin
CN204520123U (zh) 一种具有水位测量并利于果粒吸食的测温杯
JP3074707U (ja) 容器の転倒防止具
JP3201176U (ja) 一面の口縁に斜壁と窪みを用いたスープ皿
KR200460463Y1 (ko) 냄비 받침
CN205220180U (zh) 一种多功能趣味笔筒
KR200284419Y1 (ko) 팽이술잔
JP3119543U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