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34B1 -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34B1
KR102171834B1 KR1020200099292A KR20200099292A KR102171834B1 KR 102171834 B1 KR102171834 B1 KR 102171834B1 KR 1020200099292 A KR1020200099292 A KR 1020200099292A KR 20200099292 A KR20200099292 A KR 20200099292A KR 102171834 B1 KR102171834 B1 KR 10217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center
storage device
liquid stora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20009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는,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용기부 및 상기 액상용기부 하측부에 결합되되,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무게중심추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APPARATUS OF STORING LIQUIDS WITH VARIABLE CENTER OF GRAVITY BASED ON IoT}
본 발명은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중심추를 포함하여 쓰러지지 않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기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액상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매니큐어, 마스카라 또는 크림 등과 같은 액상 형태의 화장품이 담긴 용기는 바닥면이 단면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내려 놓았을 때 바닥면과 밀착되어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움직임이 없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그러나, 이 때, 상기 용기의 윗면 또는 옆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용기는 쓰러져 안에 담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3677호는 마스카라 용기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마스카라가 저장되는 용기와, 용기내에 저장된 마스카라를 묻혀 속눈썹화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마스카라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하부에 중량물인 무게중심추를 포함하는 쓰러짐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액상을 저장하는 장치 또는 용기를 단순히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가 있는 경우에도 똑바로 서있을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를 제어함에 있어, 저장된 액상의 무게에 따라 무게중심이 달라질 수 있어, 액상의 무게를 반영할 때, 4차 산업 기술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접목시키는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디지털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융합에 의한 제4차 산업 혁명이 눈앞에 전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로봇공학, 가상현실(VR) 및 인공지능(AI)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이 우리가 살고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현재 및 미래를 의미한다. 디지털 혁명(Digital Revolution)이라고 하는 3차 산업혁명이 일으킨 컴퓨터와 정보기술(IT)의 발전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형태이지만 발전의 폭발성과 파괴성 때문에 3차 산업 혁명이 계속된다고 하기 보다 새로운 시대로 여겨진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디지털, 바이오, 오프라인 등의 각 기술의 융합으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의 생성과 수집 기술, 수집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의 분류 및 분석,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반복 학습에 의한 최적의 목표값(새로운 SW)을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들은 우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고, 그 외에 빅데이터(Big data), 사물인터넷(loT), 블록체인(Block chain) 등이 있다. 이들의 기술들은 단독으로 또는 융합된 기술사상으로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로봇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됨으로써 인간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비약적인 사회 변화와 산업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367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액상의 무게가 변동하여도, 정확한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간소한 조작만으로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 또는 회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는,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용기부 및 상기 액상용기부 하측부에 결합되되, 내부에서 위치를 이동하는 무게중심추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기 무게중심부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무게중심추, 일단은 상기 무게중심추와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부에 연결되는 폴, 상기 폴과 연결되고, 상기 폴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무게중심부 내측 상부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동부를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상용기부는 하부면에 제1 자석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중심부의 상부면에 제2 자석층 및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상용기부와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기 제1 자석층과 상기 제2 자석층의 자기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이 상기 무게중심부 내측 상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1 모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1 기울기로 유지되면, 상기 무게중심추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상기 외력없이 제1 기울기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2 모드 및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2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무게중심추를 상기 제2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액상의 무게가 변동하여도, 정확한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간소한 조작만으로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 또는 회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액상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 및 회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추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부와 무게중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중심추의 각도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용기부(100) 및 상기 액상용기부(100) 하측부에 결합되되,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하는 무게중심추(201)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부(200)를 포함한다.
이 때, 액상용기부(100)는 액상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단에는 상기 액상이 이탈하지 않도록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100-1)과 액상용기부(100)는 별개의 구성이지만, 이하에서 뚜껑(100-1)과 액상용기부(100)가 결합된 것을 전제로 액상용기부(100)만을 지칭하여도 뚜껑(100-1)이 결합된 것으로 설명한다.
무게중심부(200)는 액상용기부(100)의 하측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무게중심추(201)를 포함하며, 하부 외측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오뚝이처럼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무게중심부(200)는 유체와 상기 액상용기부(100)에 담긴 액상의 유통기한에 상응하여 녹는 재질로 구성되는 소정의 장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체에 부유하여 다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체 내에 부유하는 장식물이 녹은 경우, 상기 액상용기부(100)에 담긴 액상이 유통기한을 초과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오뚝이는 하부에 무게가 큰 추가 고정되어 있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도 일반적인 오뚝이와 같이 무게중심추(201)가 하부 중심에 위치가 고정되어 액상 저장 장치(10)를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상술한 것처럼 일반적인 오뚝이와 같이 하부에 무게중심추(201)가 고정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 저장 용기를 특정 기울기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무게중심추(201)의 위치 가변과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부(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부(200)는 무게중심추(201), 폴(203), 회동부(205) 및 회전부(207)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무게중심추(201)는 상기 무게중심부(2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 때, 액상이 저장된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게중심추(201)는 금속과 같이 질량이 큰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부(200)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무게중심부(200)보다 크기는 작되 질량은 커야하므로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폴(Pole, 203)은 일단은 상기 무게중심추(201)와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부(205)에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205)와 회전부(207)의 동작을 통해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회동부(205)와 회전부(207)의 동작을 무게중심추(20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폴(203)과 회동부(205)의 결합관계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회동부(205)는 상기 폴(203)과 연결되고, 상기 폴(203)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회동부(205)는 폴(203)과 연결된 타단을 수평축으로 하여 상기 폴(203)을 축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205)는 폴(203)을 축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203)을 일정 각도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서보 모터(Servo motor) 또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 회전축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회전부(207)는 상부면이 상기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과 결합되고, 하부면이 상기 회동부(205)와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2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207)는 회동부(20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서보 모터(Servo motor) 또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부(207)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부(205)를 회전시키고, 회동부(205)는 폴(203)을 축회전시킴으로써, 무게중심추(201)를 상기 무게중심부(200) 내부 어느 위치로든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추(201)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는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의 정면(또는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의 측면(또는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무게중심부(20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는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에 적층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207)는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에 결합되고, 하부면에 결합된 회동부(205)를 회전시킬수 있으며, 회동부(205)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폴(203)을 축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회동부(205)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폴(203)의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바(206)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모터를 통하여 상기 수평바(206)를 회전시킴으로써, 폴(203)을 축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게중심추(2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부(200)의 내부 어느 위치로든 이동할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서든 고정될 수 있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부(100)와 무게중심부(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저장 장치(10)는 액상용기부(100)와 무게중심부(200)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액상용기부(100)를 교체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상용기부(100)에는 제1 화장품이 담겨있고, 제2 액상용기부(100)에는 제2 화장품이 담겨있는 경우, 제1 액상용기부(100)를 무게중심부(200)와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제1 화장품을 전부 사용했을 때, 제2 액상용기부(100)로 교체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용기부(100)와 무게중심부(200)가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상용기부(100) 하부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무게중심부(200) 상부면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고, 액상용기부(100)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무게중심부(200)에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액상용기부(100)는 하부면에 제1 자석층(101)을 포함하고, 무게중심부(200)의 상부면에 제2 자석층(209) 및 차폐층(211)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자석층(101)과 상기 제2 자석층(209)의 자기결합에 의하여 액상용기부(100)와 무게중심부(2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결합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제1 자석층(101) 및 제2 자석층(209)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네오지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자석층(209) 하부에는 제1 자석층(101) 및 제2 자석층(209)의 자기장으로 인하여 무게중심부(200) 내부에 포함된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층(21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자석층(101) 및 제2 자석층(209)의 자기장은 상기 모터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무게중심추(201)의 정확한 이동 및 고정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결합에 의하여 액상용기부(100)와 무게중심부(200)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차폐층(211)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먼저 무게중심추(201)를 무게중심부(200)의 하부 중앙에 고정시켜 오뚝이와 같이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니큐어 또는 마스카라와 같이, 브러쉬를 사용하는 화장품의 경우,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보다 조금 기울어져 있을 때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가변후 고정시켜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기 전에 흔들어서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 또는 기타 액상의 경우, 1~2회 흔드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약 10초 내외로 지속적으로 흔들어야 액상이 고루 섞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회전부(207)와 회동부(205)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기울기 센서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방향에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울기 센서,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등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는 폴(203)이 상기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1 모드,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설정된 기울기로 유지될 수 있도록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설정된 기울기로 회전하도록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모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기울기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력(300)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1 기울기로 유지되면,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조절하여 액상 저장 장치(10)가 상기 외력(300)없이 제1 기울기로 유지될 수 있도록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외력(300))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를 특정 기울기로 기울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임계시간(약 5초)동안 유지하면, 제1 제어부는 사용자가 액상 저장 장치(10)를 해당 기울기로 기울이고자 한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하여 무게중심추(201)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액상 저장 장치(10)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기울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기울기 및 방향(액상 저장 장치(10)의 하부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어느 위치로든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계시간은 너무 짧은 경우 제1 제어부가 작은 흔들림도 사용자의 의사로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모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기울기 및 회전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력(300)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2 기울기로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경우, 무게중심추(201)를 상기 제2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외력(300))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를 특정 기울기로 기울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임계시간(약 5초)동안 회전시키면, 제1 제어부는 사용자가 액상 저장 장치(10)를 특정 기울기로 회전시키고자 한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하여 무게중심추(201)를 특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액상 저장 장치(10)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중심추(201)의 각도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또는 '목표 기울기'라고 칭할 수 있다)를 SA(Standard Angle)라고 했을 때,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과 폴(203)의 각도(AA, Angle to Adjust) 또한 SA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면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SA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상 저장 장치(10)로써, 액상용기부(100)에 액상(110)이 저장될 수 있어, 총 무게가 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무게중심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폴(203)의 각도(AA)를 제어할 때 액상용기부(100)에 저장된 액상(110)의 무게도 고려해야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부(100)의 하부면에는 액상(11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센서(또는 '질량 감지 센서'라고 칭할 수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를 통하여 상기 액상(110)의 무게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무게정보를 반영하여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부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아래 수학식 1을 적용하여 폴(203)의 각도(A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폴(203)의 각도(AA)를 제어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가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하여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Figure 112020083265459-pat00001
이 때, 상기 SA(Standard Angle)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폴(203)이 지면과 수직일 때,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과 폴(203)의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SA는 사용자가 원하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와 동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AA(Angle to Adjust)는 제1 제어부를 통해 무게중심추(201)를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 위한 각도로써, 액상 저장 장치(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무게중심부(200) 내측 상부면(200-1)과 폴(203)의 각도를 의미하며, AW(Apparatus Weight)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 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를 의미하고, LW(Liquid Weight)는 액상용기부(100)에 저장된 액상(110)의 무게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상기 SA가 90도인 경우에는 액상 저장 장치(10)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으로 액상(110)의 무게(LW)를 반영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AA를 SA와 동일하게 90도로 제어하면 된다. 다만, 상기 SA가 90도가 아닌 경우에는 액상(110)의 무게(LW)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므로, 액상(110)의 무게(LW)와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AW)를 모두 반영하여 폴(203)의 각도(AA)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도 8(a)은 액상(110)이 조금 저장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액상(110)이 많이 저장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액상 저장 장치(10)는 액상(110)이 많이 저장되어 있어, 무게중심이 도 8(a)에 도시된 액상 저장 장치(10)보다 좌측으로 쏠리게 되고, 그에 따라 도 8(b)의 폴(203)의 각도(AA")는 도 8(a)의 폴(203)의 각도(AA') 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는 인공지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의 무게(LW),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AW)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SA)를 입력으로 상기 폴(203)의 각도(AA)를 출력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은 액상의 무게(LW),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AW)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SA) 및/또는 폴(203)의 각도(AA)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인공지능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입력(input)으로서 액상의 무게(LW), 액상 저장 장치(10)의 무게(AW)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SA)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 모델의 출력(output)으로서 폴(203)의 각도(AA)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부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는 별도의 제어신호 없이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회전부(207) 및 회동부(20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기울기 상태, 회전 여부, 액상의 잔량(무게 센서를 포함할 때)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제2 제어부, 통신부, 입력 모듈, 출력 모듈 및 내부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액상 저장 장치(1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는 액상 저장 장치(10)와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액상 저장 장치(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액상 저장 장치(1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제2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750)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액상 저장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액상 저장 장치(10)는 제1 제어부 및/또는 인공지능 모듈의 동작 및/또는 구동을 위한 내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에 설치 및/또는 내장된(embedded) 내부 배터리를 제1 내부 배터리로 칭하고, 사용자 단말(20)에 설치 및/또는 내장된(embedded) 내부 배터리를 제2 내부 배터리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각각의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또는 잔류 전력, 충전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호간에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제1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 및/또는 상기 제2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모듈 기반의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의 결정을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에서 수행할지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인공지능 모듈에서 인공지능망 모델에 기반한 프로세싱에 전력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내 제1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의 결정을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인공지능 모듈에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상기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를 결정하는 1 step, 결정된 각도(AA)를 전송/수신하는 2 step으로 동작하는 후술하는 제2 동작 모드보다 빠른 프로세싱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내 제1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이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20) 내 제2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의 결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인공지능 모듈에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가 인공지능 모듈 기반의 동작을 수행할 만큼 전력이 충분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내 제1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이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20) 내 제2 내부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이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무게중심추(201)가 연결된 폴(203)의 각도(AA)'의 결정을 상기 액상 저장 장치(10)의 인공지능 모듈에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어차피 사용자 단말(20)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라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전력 낭비를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삭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제어 모듈)가 상기 회전부(207) 및 상기 회동부(205)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액상 저장 장치
20 : 사용자 단말 100 : 액상용기부
101 : 제1 자석층 200 : 무게중심부
201 : 무게중심추 203 : 폴
205 : 회동부 206 : 수평바
207 : 회전부 209 : 제2 자석층
211 : 차폐층

Claims (5)

  1.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에 있어서,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용기부; 및
    상기 액상용기부의 하측부에 결합되되, 내부에서 위치를 이동하는 무게중심추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기 무게중심부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무게중심추와,
    일단은 상기 무게중심추와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부에 연결되는 폴(pole)과,
    상기 폴과 연결되고, 상기 폴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무게중심부의 내측 상부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동부를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용기부는 하부면에 제1 자석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중심부의 상부면에 제2 자석층 및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상용기부와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기 제1 자석층과 상기 제2 자석층의 자기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이 상기 무게중심부 내측 상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1 모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1 기울기로 유지되면, 상기 무게중심추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상기 외력없이 제1 기울기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2 모드; 및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액상 저장 장치가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제2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무게중심추를 상기 제2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액상 저장 장치의 기울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회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KR1020200099292A 2020-08-07 2020-08-07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KR10217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92A KR102171834B1 (ko) 2020-08-07 2020-08-07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92A KR102171834B1 (ko) 2020-08-07 2020-08-07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466A Division KR102181012B1 (ko) 2020-10-23 2020-10-23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KR1020200138462A Division KR102181006B1 (ko) 2020-10-23 2020-10-23 자석층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하는 IoT 장치
KR1020200138468A Division KR102181015B1 (ko) 2020-10-23 2020-10-23 액상용기부와 무게중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834B1 true KR102171834B1 (ko) 2020-10-29

Family

ID=7312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292A KR102171834B1 (ko) 2020-08-07 2020-08-07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ko)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20100007290U (ko) * 2009-01-08 2010-07-16 박선영 오뚜기우유병살균보온장치
KR101368475B1 (ko) * 2012-11-15 2014-02-28 권범기 오뚝이물병
KR20170053845A (ko) * 2015-11-07 2017-05-17 정지훈 오뚜기텀블러
US20190061161A1 (en) * 2017-08-30 2019-02-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ob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ko)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20100007290U (ko) * 2009-01-08 2010-07-16 박선영 오뚜기우유병살균보온장치
KR101368475B1 (ko) * 2012-11-15 2014-02-28 권범기 오뚝이물병
KR20170053845A (ko) * 2015-11-07 2017-05-17 정지훈 오뚜기텀블러
US20190061161A1 (en) * 2017-08-30 2019-02-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ma et al. Faast: The flexible action and articulated skeleton toolkit
US10120387B2 (en) Robotic creature and method of operation
Strachan et al. GpsTunes: controlling navigation via audio feedback
CN102446025B (zh) 基于物理模型的手势识别
US9552056B1 (en) Gesture enabled telepresence robot and system
JP6077016B2 (ja) おもちゃ片と一緒に用いられる基板組立品
CN106794576B (zh) 基于线性预测位置和速度控制器的全向轮式类人机器人
CN106573378A (zh) 通过机器人反馈增强编程教育的系统和方法
Mullenbach et al. ActivePaD surface haptic device
CN108415675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US11797112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by using motion signal and mouse signal
KR102171834B1 (ko) IoT 기반의 가변식 무게중심을 갖는 액상 저장 장치
KR102181015B1 (ko) 액상용기부와 무게중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181006B1 (ko) 자석층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하는 IoT 장치
KR102181012B1 (ko)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Lock et al. A portable navigation system with an adaptive multimodal interface for the blind
Zennaro Evaluation of Microsoft Kinect 360 and Microsoft Kinect One for robotics and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CN107168371A (zh) 一种飞行陪伴机器人控制方法及系统
Bellas et al. STEAM approach to autonomous robotics curriculum for high school using the Robobo robot
Bellas et al. Robobo: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al robot
KR20190129673A (ko)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청소 장치 및 방법
Ribeiro et al. Uav for everyone: An intuitive control alternative for drone racing competitions
KR100939869B1 (ko) 실제로봇과 가상로봇이 연동하는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H11506551A (ja) 位置検知コントローラ及び位置検知制御信号を発生する方法
CN108415676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