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01B1 -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 Google Patents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01B1
KR101368201B1 KR1020097013569A KR20097013569A KR101368201B1 KR 101368201 B1 KR101368201 B1 KR 101368201B1 KR 1020097013569 A KR1020097013569 A KR 1020097013569A KR 20097013569 A KR20097013569 A KR 20097013569A KR 101368201 B1 KR101368201 B1 KR 10136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pattern
card
seal
dot
d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453A (ko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켄지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요시다 filed Critical 켄지 요시다
Publication of KR20090086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1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for multipl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13Puzzles or games based on the use of optical filters or elements, e.g. coloured filters, polaroid filters, transparent sheets with opaque parts
    • A63F2009/0615Puzzles or games based on the use of optical filters or elements, e.g. coloured filters, polaroid filters, transparent sheets with opaque parts transparent
    • A63F2009/0619Puzzles or games based on the use of optical filters or elements, e.g. coloured filters, polaroid filters, transparent sheets with opaque parts transparent with an opaque part
    • A63F2009/062Puzzles or games based on the use of optical filters or elements, e.g. coloured filters, polaroid filters, transparent sheets with opaque parts transparent with an opaque part overl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11Input form cards, tapes, discs
    • A63F2009/2419Op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60Connection between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602Connection between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간이한 조작으로 카드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드 및 게임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연성이 풍부한 카드를 제공한다.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를 제공한다.
조사광, 촬상 수단, 도트 패턴

Description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CARD HAVING DOT PATTERNS}
본 발명은, 카드 게임 등에 사용하는 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게임 센터 등에 설치되는 아케이드 게임기 또는 가정용의 TV 모니터 등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카드를 게임기의 스테이지에 재치(載置)하여 플레이하는 카드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레이 시에 이용하는 카드에 대해서는, 카드의 이면(裏面)에, 적외선 등의 불가시광(不可視光)을 흡수하는 특수한 잉크로 패턴을 인쇄한 카드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패턴에는, 선수(選手)의 데이터 등의 카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스테이지 아래에 설치된 촬상(撮像) 수단이 패턴을 독취(讀取)함으로써, 게임이 이루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264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카드로는, 카드의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저(user)는, 한 번 카드를 입수(入手)하면, 일정한 데이터 및 파라미터로밖에 게임을 수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카드를 입수하더라도, 그 카드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드에 대한 흥미의 저하(低下)가, 게임 자체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簡易)한 조작으로 카드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드 및 게임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연성이 풍부한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적어도 일면(一面)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照射光)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dot pattern)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적어도 상기 제1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의 일면의 전부 또는 그 일부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청구항 1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1 매의 카드에 복수의 도트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캐릭터의 파워 등의 파라미터에 유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에 대해서 착탈(着脫) 가능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카드의 도트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캐릭터의 파워 등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있어 변화가 풍부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씰(seal)이며, 상기 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카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는, 상기 씰은,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카드의 표리(表裏) 양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장착되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1 매의 씰로 2 가지의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게임에 변화나 유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은,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씰을 넘길 때마다, 캐릭터의 파워 등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씰은, 유저에게 씰을 넘기면 어떠한 파워를 가지게 되는가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보다 한층 돋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은,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카드 본체를 수납 가능하고, 그 일면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된 투명체인 청구항 3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투명체를 변경함으로써 카드의 파라미터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유저는, 1 매의 카드로 여러 가지의 파라미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은, 상기 투명체의 카드 표면 측과 이면 측에서는 다른 값을 패턴화한 도트 패턴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7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1 매의 투명체로 다른 2 종류의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는,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보지(保持) 가능한 클립이며, 그 클립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클립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카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은, 상기 클립의 표리 양면에 각각 값이 다른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9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1 개의 클립으로 다른 2 종류의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은, 상기 클립의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클립의 일면에 첩부(貼付)된 씰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9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씰을 바꿔 붙임으로써 클립의 도트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도트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는,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청구항 11에 기재한 카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은, 상기에서 적층된 씰은, 적층 상태에서 촬상(撮像)된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剝離)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에서는 다른 값을 의미하는 패턴이 되도록, 각 층의 씰에 도트 패턴이 형성된, 청구항 6 또는 12에 기재한 카드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는, 상기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하기 위한 조사광을 당해 층에서 반사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각 층을 구성하는 씰에는 각각 단독으로 값이 다른 도트 패턴이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촬상 수단은, 씰이 적층되어 있더라도, 하층 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표면의 씰에 인쇄된 도트 패턴만을 독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는,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에는, 씰을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가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씰이 어긋나게 붙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 위치에 씰을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은,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로서,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카드의 표리 양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씰의 일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점착층은, 접은 선을 경계로 하여 강점착(强粘着) 영역과 약점착(弱粘着)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카드 장착 전에, 접은 상태에서 각 점착 영역에 1 매의 박리 시트가 개장(介裝)되어 있으며, 박리 시트로부터 씰을 박리할 때, 상기 씰의 강점착 영역에만 박리 시트가 잔착(殘着)된 상태에서 박리 시트의 편면(片面) 박리가 완료되고, 이 편면 박리 상태에서 노출된 약점착 영역을 상기 카드의 표면 또는 이면에 첩부하고, 상기 강점착 영역의 박리 시트를 박리한 후에,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씰을 접어넣고 강점착 영역을 카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첩부하는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씰을 제공할 때, 박리 시트의 양면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면적의 박리 시트로 해결되기 때문에, 판매기 등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씰의 각 점착 영역에 있어서 점착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유저는, 카드의 한 면씩 순서대로 씰을 첩부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첩부(貼付) 위치가 어긋나는 것 등을 방지하고, 적정 위치에 용이하게 씰을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유저에 대한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은,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로서,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카드의 표리 양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씰의 일면에는 접은 선을 경계로 하여 동일한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카드 장착 전에 접은 상태에서 각 점착 영역에 1 매의 박리 시트가 개장되어 있고, 이 박리 시트는 표리면에서 박리력이 다르며, 박리 시트로부터 씰을 박리할 때, 상기 박리 시트의 약박리력(점착성이 강함)면에만 박리 시트가 잔착(殘着)된 상태에서 박리 시트의 편면 박리가 완료되고, 이 편면 박리 상태에서 노출된 점착 영역을 상기 카드의 표면 또는 이면에 첩부하고, 다음에 상기 박리 시트를 잔착(殘着)된 약박리력면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씰을 접어넣고 노출된 점착 영역을 카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첩부하는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박리 시트를 박리할 때, 박리 시트가 도중 부분에서 찢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박리 시트의 박리가 극히 용이한 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은,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로서,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적층된 씰은, 적층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에서는 다른 값을 의미하는 패턴이 되도록, 각 층의 씰에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하기 위한 조사광을 투과(透過)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 매 이상의 적층 상태에서 도트 패턴을 촬상한 때의 각 층을 투과했을 때의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하여 각 층을 투과했을 때의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에서는 다른 값을 의미하도록 각 층에 각각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카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9는,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된 카드로서,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보지(保持) 가능한 클립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된 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적층된 씰은, 적층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에서는 다른 값을 의미하는 패턴이 되도록, 각 층의 씰에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하기 위한 조사광을 투과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 매 이상의 적층 상태에서 도트 패턴을 촬상한 때의 각 층을 투과했을 때의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하여 각 층을 투과했을 때의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에서는 다른 값을 의미하도록 각 층에 각각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유저에 대해, 씰을 박리 제거 또는 첩부하면 어떠한 파워를 가지게 되는가, 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보다 한층 돋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은, 상기 각 층 중 어느 한 층에는, 상기 조사광을 조사했을 때 하층에 배치된 도트를 촬상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조사광을 당해 층에서 반사하는 재질로 설치된 마스크부[마스크 도트(Mask dot)]를 갖는 청구항 18 또는 19에 기재한 카드이다.
이에 의하면, 하층에 배치된 도트를 마스크 도트에 의해 용이하게 감출 수 있기 때문에, 도트 패턴의 값을 다르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은, 상기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는 상기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드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를 사용하는 카드 게임 장치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트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트 패턴의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정보 도트 및 그것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로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정보 도트 및 그것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a)는 도트를 2 개, (b)는 도트를 4 개, (c)는 도트를 5 개 배치한 도면.
도 7은 도트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보 도트 6 개 배치형, (b)는 정보 도트 9 개 배치형, (c)는 정보 도트 12 개 배치형, (d)는 정보 도트 36 개 배치형의 개략도.
도 8은 도 2부터 도 7에 나타낸 도트 패턴에 있어서, 정보 도트의 배치 방법을 변경하여 블록의 방향을 정의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2부터 도 7에 나타낸 도트 패턴에 있어서, 정보 도트의 배치 방법을 변경하여 블록의 방향을 정의하는 설명도로서, 정보 도트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부터 도 9에 나타낸 도트 패턴에 있어서 도트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도 8부터 도 9에 나타낸 도트 패턴에 있어서 도트 패턴의 포맷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12는 도트의 배치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및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카드와 씰에서 도트의 크기를 다르게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접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접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복수 매가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씰에 있어서, 겹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케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케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2).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도트 패턴 위에 씰을 붙임으로써 도트 패턴을 변화시키는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도 23의 씰에 있어서, 씰을 겹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카드 하부에 절결부를 설치한 카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 도트 패턴 2 : 키 도트(Key dot)
3 : 기준 격자점 도트 4 : 정보 도트
5 : 가상(假想) 격자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의 사용 상태 및 카드 게임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는, 카드 게임 장치에서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본 카드 게임 장치에서는, 1 개의 센서 유닛(촬상 수단)으로 카드 배치 패널의 하면(下面) 전체를 촬상한다. 카드 배치 패널 하면의 공간에는, 센서 유닛의 패널면으로부터의 촬상광(撮像光)을 피한 위치에, 상기 패널면 상의 카드면의 도트 패턴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IRLED와, 이 조사광을 패널 하면에 대해 확산시키는 확산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확산 필터는, 장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측벽부로부터 카드 배치 패널의 하면 공간에 대해 돌출하는 테두리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확산 필터는 투명 또는 반(半)투명의 유리판 또는 합성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면에 칠 가공이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IRLED의 조사광은 이 확산 필터를 개재하여 확산됨으로써, 카드 배치 패널의 하면 전체에 조사광을 조사(照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사광은 카드 배치 패널 상에 카드가 재치되어 있는 경우, 이 카드면에 조사되어 그 반사광이 센서 유닛으로 촬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는데, 센서 유닛은, 케이블을 개재하여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가지는 중앙 처리 장치(MPU)에 접속되어 있다. 이 중앙 처리 장치(MPU)는 게임 중앙 처리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게임 중앙 처리 유닛에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가 접속되어 있다. 센서 유닛 및 중앙 처리 장치(MPU)가 카드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읽어 들이면, 당해 도트 패턴을 코드치로 변환하여, 당해 코드치에 대응한 화상·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카드에 사용하는 도트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드에 사용하는 도트 패턴은, 도 8~도 11에 나타낸 도트 패턴인데, 우선, 도 2~도 7을 이용하여 당해 도트 패턴의 전제가 되는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의 일례인 GRID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한편, 이들 도면에 있어서, 종횡(縱橫) 방향의 격자선(格子線)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인 것으로 실제의 인쇄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트 패턴(1)을 구성 하는 키 도트(Key dot, 2), 기준 격자점 도트(3), 정보 도트(4) 등은 촬상 수단인 스캐너가 적외선 조사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당해 적외선을 흡수하는 카본 잉크 또는 스텔스 잉크[불가시(不可視) 잉크]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트 패턴(1)의 키 도트(2), 기준 격자점 도트(3) 및 정보 도트(4)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 (b)는 벡터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도트(4)와 부호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은, 도트 패턴(1)의 생성과,그 도트 패턴(1)의 인식과, 이 도트 패턴(1)을 해석하고, 정보 및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즉, 도트 패턴(1)을 센서 유닛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CPU가 읽어들인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먼저, 기준 격자점 도트(3)를 추출하고, 다음에 본래 기준 격자점 도트(3)가 있어야 할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지 않고, 소정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음에 의해 키 도트(2)를 추출하고,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과, 그 방향을 특정한다. 다음에 4 개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키 도트(2)에 둘러싸인 정보 도트(4)를 추출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부호화하고,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에 있어서 정보 도트(4)의 배치에 의해, 각 정보 도트(4)의 집합으로부터 소정의 코드치 및/또는 좌표치로 복호(復號)하고, 이 코드치 및/또는 좌표치에 대응하는 음성 등의 정보나 프로그램을, 정보 처리 장치, 퍼스널 컴퓨터, PDA 또는 휴대 전화 등에 출력시킨다.
도트 패턴(1)의 생성은,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부호화하기 위한 벡터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미세(微細)한 도트, 즉, 적어도 1 개의 키 도트(2) 와, 기준 격자점 도트(3) 및 정보 도트(4)를 소정의 규칙에 근거하여 배열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1)의 블록은, 5×5의 기준 격자점 도트(3)를 배치하고,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에 둘러싸인 가상(假想) 중심점(5)의 주위에 벡터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도트(4)를 배치한다. 한편, 블록의 배치·구성은, 키 도트(2)에 의해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당해 키 도트(2)는 블록의 한 코너의 기준 격자점 상에는 도트를 배치하지 않고, 그곳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비켜서 도트를 배치한 것이고, 블록의 크기를 확정함과 함께, 당해 블록, 즉,도트 패턴(1)의 방향을 정의하고 있다. 이 블록에는 임의의 수치 정보가 정의된다. 한편,도 2의 도시예에서는, 도트 패턴(1)의 블록(굵은 선 범위 내)을 4 개 병렬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트 패턴(1)은 4 블록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키 도트(2)는, 상기 블록의 코너에 한정하지 않고, 블록 내 또는 블록 외의 어느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센서 유닛에서 이 도트 패턴(1)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할 때, 도트 코드 해석 알고리즘은, 그 센서 유닛의 렌즈가 일그러지거나 비뚤어진 경우의 촬상, 지면(紙面)의 신축, 매체(媒體) 표면의 만곡(彎曲), 인쇄 시의 기준 격자점 도트(3)의 배치의 일그러짐을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그러진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를 원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변환하는 보정용의 함수(Xn, Yn)=f(Xn', Yn')를 구하고, 그 동일한 함수로 정보 도트(4)를 보정하여, 올바른 정보 도트(4)의 위치로부터 벡터 정보를 구한다.
정보 도트(4)는 여러 가지의 벡터 정보를 인식시키는 도트이다. 이 정보 도트(4)는, 키 도트(2)로 구성되는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 내에 배치함과 함께,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로 둘러싸인 가상 중심점(5)으로 하고, 이것을 시작점으로 하여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終點)에 배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정보 도트(4)는,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에 둘러싸여,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상 중심점(5)으로부터 떨어진 도트는, 벡터로 표현되는 방향과 길이를 갖기 위해서,시계 방향으로 45도씩 회전시켜 8 방향으로 배치하고, 3 비트로 부호화한다. 따라서, 1 블록의 도트 패턴(1)으로 3 비트×16 개=48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도 3(b)는, 도 2의 도트 패턴(1)에 있어서, 1 개의 정보 도트(4)마다 2 비트로 부호화하는 방법이며, + 방향 및 × 방향으로 도트를 비켜 놓아 각 2 비트로 부호화하고, 2 비트×16 개=32 비트를 표현하고 있다. 이에 의해,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으로, 본래 48 비트의 수치 정보를 정의할 수 있는데, 용도에 따라 분할하여 32 비트마다 수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방향 및 × 방향의 조합에 의해 최대 216(약 65000) 가지의 정보 도트의 배치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이에 한정되지 않고, 16 방향으로 배치하여 4 비트를 부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배치하여, 부호화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키 도트(2), 기준 격자점 도트(3) 및 정보 도트(4)의 도트의 직경은, 외관 과, 지질(紙質), 인쇄의 정밀도, 센서 유닛의 해상도 및 최적의 디지털화를 고려하여, 0.03~0.05mm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상 면적에 대한 필요한 정보량과,각종 도트(2, 3, 4)의 오인(誤認)을 고려하여 기준 격자점 도트(3)의 간격은 세로·가로가 각각, 0.3~0.5mm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격자점 도트(3) 및 정보 도트(4)와의 오인을 고려하여, 키 도트(2)의 어긋남은 격자 간격의 20% 전후가 바람직하다.
이 정보 도트(4)와,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로 둘러싸인 가상 중심점(5)과의 간격은, 인접하는 기준 격자점 도트(3)와 가상 중심점(5)간의 거리의 15~30% 정도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도트(4)와 가상 중심점(5)간의 거리가 이 간격보다 크면,기준 격자점 도트(3)와 정보 도트(4)가 뭉쳐서 시인(視認)되기 쉽고, 도트 패턴(1)이 모양으로서 인식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보 도트(4)와 가상 중심점(5)간의 거리가 이 간격보다 작으면, 가상 중심점(5)을 중심으로 하여 벡터 정보를 갖게 한 정보 도트(4)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 인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도트 패턴(1)은, 4×4 개의 블록 영역으로 구성된 도트 패턴(1)이며, 각 블록 내에는 2 비트의 정보 도트(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정보 도트(4)의 집합을 구성하는 1 블록 분의 도트 패턴(1)의 도트 코드 포맷을 나타낸 것이 도 4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도트 패턴(1) 중에는, 패리티(Parity) 체크, 코드치가 기록되어 있다. (b)는, 패리티 체크, 코드치, XY 좌표 치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도트 코드 포맷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도 5는, 벡터 정보를 가진 정보 도트(4)와, 그 부호화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예이다. 이 사례와 같이, 정보 도트(4)에 대해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으로 둘러싸인 가상 중심점(5)으로부터 장(長)·단(短)의 2 종류를 사용하고, 벡터 방향을 8 방향으로 하면, 4 비트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 때, 긴 쪽은 인접하는 가상 중심점(5)간의 거리의 25~30% 정도, 짧은 쪽은 1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 오인하지 않도록, 장·단의 정보 도트(4)의 중심 간격은, 이들의 정보 도트(4)의 직경보다 길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으로 둘러싸인 정보 도트(4)가 복수 개 있으면, 인접하는 도트가 뭉쳐서 덩어리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을 고려하여 1 도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관을 무시하고, 정보량을 많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1 벡터마다 1 비트를 부호화하고, 정보 도트(4)를 복수의 도트로 표현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심원 8 방향의 8 벡터에서는,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으로 둘러싸인 정보 도트(4)가 0~8개로 8 비트를 부호화할 수 있고, 동심 2 중원(重圓) 8 방향의 16 벡터에서는, 1 블록의 정보 도트(4)가 0~16 개로 16 비트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6은, 동심 2 중원 8 방향의 16 벡터의 정보 도트(4)와 부호화의 예이며, (a)는 정보 도트(4)를 2 개, (b)는 정보 도트(4)를 4 개 및 (c)는 정보 도트(4)를 5 개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도트 패턴(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는 정보 도트(4)를 둘 러싸는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으로 이루어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영역을 6 개 배치형, (b)는 9 개 배치형, (c)는 12 개 배치형, (d)는 36 개 배치형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도트 패턴(1)은, 1 블록에 16 개(4×4)의 정보 도트(4)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정보 도트(4)는 1 블록에 16 개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도트(104)를 둘러싸는 4 점의 기준 격자점 도트(103) 또는 기준 격자점으로 이루어지는 영역 및 당해 영역에서 정의되는 정보 도트(104)의 부호화를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드에 사용되고 있는 도트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b)는, 도 2~도 7에서 설명한 도트 패턴에 있어서, 3×3=9 개의 격자 영역에서 구성되는 블록의 도트 패턴에 있어서, 특정의 격자 영역[디렉션(direction) 영역]만 정보 도트(3)의 배치 방향을 다른 격자 영역(디렉션 영역)과 바꿈으로써,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즉, 도 8(a)에 있어서, 왼쪽 아래의 격자 영역(34a), 중앙의 격자 영역(34b), 오른쪽 아래의 격자 영역(34c)은 중심으로부터 종횡 방향으로 정보 도트(4)가 배치되고, 그 외의 격자 영역에서는 중심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정보 도트(4)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격자 영역(34a, 34b, 34c)을 배치함으로써 이 격자 영역을 잇는 삼각형의 형상, 즉, 밑변(34a, 34c)에 대한 꼭지점(34b)의 관계로부터, 당해 블록이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 중의 정보 도트(4)의 배치 방향을 변경한(중심으로부터 종 횡 방향으로 정보 도트를 배치한) 격자 영역(34a, 34b, 34c)의 배치 관계(여기에서는 삼각형)에 의해 블록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록 중의 모든 격자 영역에 정보 도트(4)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키 도트를 위해서 격자 영역을 희생하는 일 없이, 모든 격자 영역에 정보 도트(4)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블록을 종횡 방향으로 2 개씩 연결한 것이다.
도 9(a) 및 (b)는, 도 8(a) 및 (b)에 대응한 정보 도트(3)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도 11은, 도트 패턴과 코드치와 식별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은, 3×3 개의 블록 영역으로 구성된 도트 패턴이며, 이 블록 내에서 C1 -0~C17 -16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영역의 도트 코드 포맷을 나타낸 것이 도 11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0~C5가 캐릭터 코드, C6~C15가 컨텐츠/어플리케이션 코드, C16~C17이 패리티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한편, 도트 패턴을 카드의 이면(裏面)에 인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격자간의 거리는 약 15mm, 도트의 크기는 도트간 거리의 약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2mm 내지 2.5mm가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했을 때의 도트간 거리의 해상도는 14 픽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씰에도 도트 패턴을 이용하고 있다. 도 12는, 이 씰에 이용하는 도트 패턴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도 12(a)에서는, 정보 도트의 수 및 그 배치에 의해, 0부터 15의 값을 표현하고 있다. 정보 도트가 없는 경우는 0을 의미하고, 정보 도트가 1 개인 경우는, 그 배치에 따라 1~4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2 개인 경우는 5~10, 3 개인 경우는 11~14, 4 개인 경우는 15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도 12(b)에서는, 0000부터 1111까지의 4 비트의 값을 표현하고 있다. 가상 격자점(5)에 대해서 +y 방향이 1의 위치, +x 방향이 2의 위치, -y 방향이 4의 위치, -x 방향이 8의 위치를 의미하고, 각각, 정보 도트를 배치한 경우를 1, 정보 도트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정보 도트가 어느 위치에도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0000이다. 또한, +y 방향과 +x 방향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1의 위치와 2의 위치가 1, 4의 위치와 8의 위치가 0이기 때문에, 0011이 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카드 및 카드에 장착하는 별도의 부재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드는, 적어도 일면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상술한 알고리즘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 또는 다른 영역에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도트 패턴과 제2 도트 패턴은, 그 양자(兩者)가 카드에 인쇄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후술하 는 바와 같이, 제1 도트 패턴은 카드에 인쇄되고,제2 도트 패턴은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제1 도트 패턴과 제2 도트 패턴이 카드에 인쇄되고,제3 도트 패턴이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는, 적외선 등의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의 이면(또는 표면)에는, 상술한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이 도트 패턴에는, 캐릭터를 의미하는 코드치가 등록되어 있다. 동 도(b)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별도의 부재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별도의 부재는 씰로서 형성되어 있다. 씰의 표면에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이 도트 패턴에는, 게임 상에서의 파워를 의미하는 파라미터로서의 코드치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우는 기법이 강하거나, 눕히는 기법이 강한 것 등, 기법의 종류와 그 강약(强弱)이 수치화된 코드치로서 등록되어 있다. 동 도(c)는, 카드 및 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에 나타낸 씰은, 카드의 하부에 첩부하여 사용한다. 카드 게임 장치 내부의 센서 유닛은, 카드의 도트 패턴 및 씰의 도트 패턴의 양쪽 모두를 독취한다. 그리고, 도트 패턴에 대응한 캐릭터 및 파워가 출력되고, 게임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드에 이용하는 도트와 씰에 이용하는 도트의 크기를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에 이용하는 도트를 큰 도트, 씰에 이용하는 도트를 작은 도트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15~도 17은, 카드의 하부에 첩부되는 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씰이다. 즉, 도트 패턴이 인쇄된 표면기재(基材)의 이면(표면)에 점착재가 도포되어 있고,그 면 상에는 실리콘 오일이 도포되어 박리 용이한 대지(臺紙)가 첩부되어 있다. 점착재로서는, 점착력이 비교적 약하고 재점착(再粘着)이 가능한 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씰을 반복하여 카드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접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이다. 본 씰은,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카드의 표리 양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장착된다. (a)는 접는 모양, (b)는 씰에 인쇄된 도트 패턴의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씰의 이측(裏側)에는 대지가 붙여져 있고,대지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절개선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편면씩 첩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을 의미하는 도트 패턴과 1을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8을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카드 이면(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면)에 위치하도록 씰을 첩부하는 경우와,1을 의미하는 도트 패턴이 카드 이면에 위치하도록 씰을 첩부하는 경우, 캐릭터의 파워가 달라진다.
이에 의해, 1 매의 씰로 2 가지의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게임에 유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접어서 사용하는 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씰은,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공 시에 씰이 접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씰의 일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점착층은, 접은 선을 경계로 하여 강점착 영역과 약점착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카드 장착 전에는, 접은 상태에서 각 점착 영역에 1 매의 박리 시트가 개장(介裝)되어 있다.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로부터 씰을 박리할 때, 씰의 강점착 영역에만 박리 시트가 잔착(殘着)된 상태로 박리 시트의 편면 박리가 완료된다. 이 편면 박리 상태에서 노출된 약점착 영역을, 카드의 표면 또는 이면에 첩부한다. 그리고, 강점착 영역의 박리 시트를 박리한 후에,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씰을 접고, 강점착 영역을 카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첩부한다.
이와 같이, 씰을 접은 구조로 함으로서, 씰을 제공할 때, 보다 적은 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판매기 등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씰의 각 점착 영역에 있어서 점착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유저는, 카드의 편면씩 순서대로 씰을 확실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기와 같이,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표리면에서 다르게 함으로서, 제공 시에 씰을 접은 구조로 하도록 해도 좋다.
씰의 일면에는 접은 선을 경계로 하여 동일한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카드 장착 전에는, 접은 상태에서 각 점착 영역에 1 매의 박리 시트가 개장되어 있다. 박리 시트는 표리면에서 박리력이 다르다. 박리 시트로부터 씰을 박리할 때, 박리 시트의 약(弱)박리력(점착성이 강함)면에만 박리 시트가 잔착된 상태에서 박리 시트의 편면 박리가 완료된다. 이 편면 박리 상태에서 노출된 점착 영역을 카드의 표면 또는 이면에 첩부한다. 다음에, 박리 시트를 잔착된 약박리 력면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카드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씰을 접고, 노출된 점착 영역을 카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첩부한다.
도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강점착 영역과 약점착 영역을 마련한 씰은, 제조할 때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씰의 점착력을 동일하게 하고,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표리면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간이한 제조 공정으로, 유저에 대한 첩부 박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도 19는, 씰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적층된 씰은, 적층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이 다른 값을 의미하는 패턴이 되도록, 각 층의 씰에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하기 위한 조사광을 당해층에서 반사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각 층을 구성하는 씰에는 각각 단독으로 값이 다른 도트 패턴이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2 매째 이후의 씰에 인쇄된 도트 패턴은, 씰을 넘길 때까지 인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씰마다 독립된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씰에 인쇄된 정보 도트는, 다른 씰의 도트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8(a)는, 씰을 넘기기 전(前)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동 도(b)는 씰을 1 매 벗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동 도(c)는, 씰을 1 매 더 벗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씰이 겹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씰을 벗길 때마다, 다른 도트 패턴이 나타난다. 즉, 씰을 벗기 면, 캐릭터의 파워가 달라진다. 그 때문에 본 씰은, 유저에 대하여, 씰을 벗기면 어떠한 파워를 가지게 되는가, 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보다 한층 돋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도트 패턴을 인쇄한 비닐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a)는 비닐 케이스의 외관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해 나타낸 도면, (b)는 카드가 비닐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닐 케이스에는, 불가시 잉크로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한편, 카드에는 도트 패턴은 인쇄되어 있지 않다. 유저는,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를 비닐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에서 게임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면, 도트 패턴이 다른 비닐 케이스로 변경함으로써 카드의 파라미터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유저는, 1 매의 카드로 여러 가지의 파라미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은, 비닐 케이스의 양면에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양면에 인쇄되어 있음으로써, 1 매의 비닐 시트로 보다 많은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트 패턴을 인쇄한 비닐 케이스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 케이스 등, 카드 본체를 수납 가능하고, 그 일면 또는 양면에 도트 패턴이 형성된 투명체라면, 다른 부재여도 좋다. 또한, 카드에 제1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투명체에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도 22는, 카드에 장착하는 별도의 부재를,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보지 가능한 클립으로 한 것이다. 본 클립은, 박형(薄型)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클립의 일면 또는 표리 양면에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혹은, 클립의 일면 또는 표리 양면에는, 도트 패턴을 인쇄한 씰이 첩부되어 있어도 좋다. 유저는 클립을 카드에 장착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게임을 수행한다.
씰을 별도의 부재로 하면, 박리나 점착을 다수 반복하면 씰의 점착력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점착재에 따라서는, 카드에 점착재가 남아 버려, 카드의 미관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부재를 클립으로 함으로써, 별도의 부재의 부착, 분리를 반복하더라도, 부착하는 힘이 약해지지 않기 때문에, 보다 자유자재로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클립의 도트 패턴을 씰로 형성한 경우, 씰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도트 패턴을 투명한 재질에 인쇄한 씰을 박리 제거 또는 첩부함으로써 도트 패턴을 변화시키는 실시예에 대해 나타낸다.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하기 위한 조사광을 투과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적어도 2 매 이상의 적층 상태에서 도트 패턴을 촬상했을 때 각 층을 투과한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하고 각 층을 투과한 조사광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이 다른 값을 의미하도록 각 층에 각각 도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는, 도 23~도 24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1 매 또는 2 매 이상 적층되어 있는 씰에, 추가로 씰을 첩부하여 적층시킨 경우에, 도트 패턴이 다른 값을 의미하도 록 해도 좋다.
도 23(a)은, 도트의 수를 증가시켜 도트 패턴을 변화시키는 예이다. (1)은, 하지(下地) 씰, 즉, 1 매째의 씰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 씰은, 불투명한 재질 또는 투명한 재질이 이용되고 있다. (2)는 투명 씰이다. 투명 씰은, 적외선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진다. 하지 씰, 투명 씰에는, 각각, 기준 격자점 도트 및 정보 도트가 인쇄되어 있다. 당해 기준 격자점 도트 및 정보 도트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인쇄되어 있다. (3)은 하지 씰 위에 투명 씰을 첩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씰을 적층시킴으로써, 도트 패턴이 의미하는 값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1)에서, 도트 패턴이 의미하는 값은 4, (2)에서는 2였는데, (3)에서는 9이다.
한편, 불가시 잉크로 도트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하지 씰 및 투명 씰에, 첩부 위치 결정용의 마커(maeker)를 인쇄할 필요가 있다. 가시(可視) 잉크로 도트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양자의 기준 격자점 도트를 맞춰, 투명 씰을 첩부한다. 또한, 기준 격자점 도트는 가시 잉크로 인쇄하고, 정보 도트를 불가시 잉크로 인쇄하도록 해도 좋다.
도 23(b)는, 도트의 수를 감소시켜 도트 패턴을 변화시키는 예이다. 본 실시예는, 각 층 중 어느 한 층에, 조사광을 조사했을 때 하층에 배치된 도트를 촬상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조사광을 당해 층에서 반사하는 재질로 설치된 마스크부(마스크 도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은 하지 씰, (2)는 투명 씰, (3)은 하지 씰 위에 투명 씰이 첩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투명 씰에는, 적외선 차단(반사) 잉크로 인쇄된 도트(마스크 도트)가 인쇄되어 있다. 적외선 흡수 잉크로 인쇄된 도트 상에 마스크 도트가 배치되면, 적외선 흡수 잉크로 인쇄된 도트가 감춰지고,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적외선 흡수 잉크로 인쇄된 도트만이 촬상되기 때문에, 인식되는 도트 패턴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1)에서는, 도트 패턴이 의미하는 값은 5이다. (2)에서는,+x 방향에 마스크 도트가 인쇄되어 있다. (3)에서는,+x 방향에 적외선 흡수 잉크로 인쇄된 도트가 가려지기 때문에, 촬상되는 정보 도트는 +y 방향의 도트로만 되고, 도트 패턴이 의미하는 값은 1이 된다.
도 23(c)는, (a)의 예와 (b)의 예를 조합한 예이다. 즉, 도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감소시키는 것의 양쪽에 의해, 도트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지 씰의 정보 도트가 의미하는 값은 5이다. (2)에서는, -y 방향에는 적외선 흡수 잉크로 도트가 인쇄되고, +x 방향에는 적외선 차단(반사) 잉크로 마스크 도트가 인쇄되어 있다. (1)의 하지 씰 위에 (2)의 투명 씰을 첩부하면, +y 방향과 -y 방향의 도트가 촬상되고, 도트 패턴이 의미하는 값은 6이 된다.
도 24는, 도 23(a)~(c)의 예에 있어서, 씰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씰을 박리 제거 또는 첩부할 때마다, 다른 도트 패턴이 나타난다. 즉, 씰을 박리 제거하거나 또는 첩부하면, 캐릭터의 파워가 달라진다. 그 때문에 본 씰은, 유저에 대해, 씰을 박리 제거하거나 또는 첩부하면 어떠한 파워를 가지게 되는가, 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보다 한층 돋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카드의 가장자리부에, 씰을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카드는, 주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씰을 사용할 때 이용한다. 이러한 절결부를 설치함으로써, 접힌 상태의 씰을 카드에 장착할 때, 씰이 어긋나게 붙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 위치에 씰을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절결부는,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뿐이어도 좋고, 동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갖고 있어도 좋다. 2 개의 절결부를 가지고 있는 카드에 도 5에서 나타낸 씰을 첩부하는 경우, 2 매의 씰에 의한 도트 패턴의 조합은, 256×256=65536 가지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매의 카드에 복수의 도트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카드의 캐릭터의 파워나 파라미터를 보다 풍부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트 패턴의 일부를 별체(別體)로 구성함으로써, 도트 패턴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1 매의 카드로 복수의 파워나 파라미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변화가 풍부한 유연성이 있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센터 등의 업무용 및 가정용의 카드 게임기 등에 사용하는 카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적어도 일면(一面)에 좌표치 또는 코드치를 소정의 배치방향으로 패턴화하고 소정의 조사광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트 패턴이 설치된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상기 제1 도트 패턴과 상이한 배치방향으로 패턴화된 제2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의 일면의 전부 또는 그 일부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트 패턴 또는 별도의 제3 도트 패턴은 상기 카드에 대해서 착탈(着脫) 가능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씰이며, 상기 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은,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카드의 표리(表裏)의 양면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장착되는 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 하여 이루어지는 카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카드 본체를 수납 가능하고, 그 일면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된 투명체인 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체의 카드 표면측과 이면측에는 다른 값을 패턴화한 도트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카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부재는,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보지(保持) 가능한 클립이며, 그 클립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표리 양면에 각각 값이 다른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제2 또는 제3 도트 패턴은, 클립의 일면에 첩부(貼付)된 씰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씰은, 각각 도트 패턴이 설치된 복수 매의 씰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카드.
  13.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씰은, 적층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과, 적어도 그 중의 1 매를 박리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된 도트 패턴이 서로 다른 값을 의미하는 패턴이 되도록, 각 층의 씰에 도트 패턴이 형성된 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씰은 도트 패턴을 독취(讀取)하기 위한 조사광(照射光)을 당해 층에서 반사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각 층을 구성하는 씰에는 각각 단독으로 값이 다른 도트 패턴이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카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가장자리부에는, 씰을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가 설치되어 있는 카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는, 상기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카드.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는, 상기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카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는, 상기 조사광을 흡수하는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카드.
KR1020097013569A 2006-12-28 2007-12-28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KR10136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6469 2006-12-28
JP2006356469A JP3998701B1 (ja) 2006-12-28 2006-12-28 ドットパターンが設けられたカード
PCT/JP2007/075426 WO2008082002A1 (ja) 2006-12-28 2007-12-28 ドットパターンが設けられたカー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87A Division KR101368862B1 (ko) 2006-12-28 2007-12-28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453A KR20090086453A (ko) 2009-08-12
KR101368201B1 true KR101368201B1 (ko) 2014-02-28

Family

ID=386834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87A KR101368862B1 (ko) 2006-12-28 2007-12-28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KR1020097013569A KR101368201B1 (ko) 2006-12-28 2007-12-28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87A KR101368862B1 (ko) 2006-12-28 2007-12-28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6266B2 (ko)
JP (1) JP3998701B1 (ko)
KR (2) KR101368862B1 (ko)
CN (1) CN101588847B (ko)
WO (1) WO2008082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8955B2 (en) 2004-03-19 2019-03-26 Angel Playing Card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laying cards
JP6091146B2 (ja) 2012-09-25 2017-03-08 エンゼルプレイングカード株式会社 カードシュータ装置およびテーブルゲームシステム
DE102008017168A1 (de) * 2008-04-02 2009-10-08 Crossmedia Solution Gmbh & Co. Kg Verfahren zum Speichern und Auslesen von Daten
KR100968255B1 (ko) 2008-07-01 2010-07-06 이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접촉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JP5531061B2 (ja) 2012-07-09 2014-06-2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ゲーム装置
AU2013203316B2 (en) 2012-09-25 2015-09-24 Angel Group Co., Ltd. Card shoe apparatus and table game system
KR20170110731A (ko) 2012-09-28 2017-10-11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카드 슈터 장치 및 방법
WO2015177765A1 (en) * 2014-05-22 2015-11-26 Lau Tak Wai Information bearing devices
CN104048815B (zh) * 2014-06-27 2017-03-2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透镜畸变的方法及系统
CN105488312A (zh) * 2014-09-15 2016-04-13 吴旻升 一种游戏系统
JP6831821B2 (ja) * 2017-10-02 2021-02-17 エンゼルプレイングカード株式会社 プレイングカード
JP6501938B1 (ja) * 2018-03-15 2019-04-1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傾向分析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739069B (zh) * 2019-03-04 2021-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遊戲裝置與辨識遊戲裝置的方法
TWI701067B (zh) * 2019-03-05 2020-08-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遊戲系統與遊戲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903B2 (ja) * 1991-07-31 2000-12-04 プロモポント・ベー・ベー 紙又は他の物体のためのクリップ
JP2002301264A (ja) * 2001-02-02 2002-10-15 Sega Corp カードゲーム装置及びカードデータ読み取り装置及びカードゲーム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及びカード
JP2005166025A (ja) * 2003-11-05 2005-06-23 Shenzhen Syscan Technology Co Ltd 複数の記憶媒体及び素子を備える情報カード及び前記カードに情報を読み書きするための方法
JP2006338690A (ja) * 2004-02-16 2006-12-14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5156U (ko) * 1979-06-04 1980-12-16
US4322001A (en) * 1980-10-29 1982-03-30 Hurley Patrick S Protective case for a sports card or similar collectible article
US5259907A (en) * 1990-03-29 1993-11-09 Technical Systems Corp. Method of making coded playing cards having machine-readable coding
DE69329120T2 (de) * 1992-09-28 2001-03-22 Olympus Optical Co Aufzeichnungsmedium für punktcode und informations-aufzeichnungssystem
JP2833975B2 (ja) * 1992-09-28 1998-12-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ドットコード
US7661676B2 (en) * 2001-09-28 2010-02-16 Shuffle Master, Incorporated Card shuffler with reading capability integrated into multiplayer automated gaming table
US5860904A (en) * 1995-03-06 1999-01-19 Petkovsek; Glenn Special service mailpiece having an integral document section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US5921584A (en) * 1995-06-30 1999-07-13 Ssi Photo I.D. Card display package
JPH0981711A (ja) * 1995-09-20 1997-03-28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システム
JP3828188B2 (ja) * 1996-01-11 2006-10-04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着脱可能な紙票保持シート及びその積層体
USRE41925E1 (en) * 1996-09-30 2010-11-16 Vanguard Identification Systems, Inc. Integral printed self-mailer sheet products
JP3444114B2 (ja) 1996-11-22 2003-09-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基地局及び端末装置
US6267296B1 (en) * 1998-05-12 2001-07-31 Denso Corporation Two-dimensional code and method of optically reading the same
US6460848B1 (en) * 1999-04-21 2002-10-08 Mindpla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asinos and gaming
SE516522C2 (sv) * 1999-05-28 2002-01-22 Anoto Ab Positionsbestämning
US6864880B2 (en) * 2000-03-21 2005-03-08 Anoto Ab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JP4684436B2 (ja) * 2001-02-22 2011-05-18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カード貼付用ラベル
DE10123406A1 (de) * 2001-05-15 2002-11-21 Sick Ag Verfahren zum Erfassen von zweidimensionalen Codes
US7390256B2 (en) * 2001-06-08 2008-06-24 Arl, Inc.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for random sequence generation and playing card distribution
US6899333B2 (en) * 2001-10-05 2005-05-31 Wizkids, Llc Game piece and method of playing a game and supplying the game piece
JP2003191918A (ja) * 2001-12-21 2003-07-09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状感光材料の加工履歴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US7967217B2 (en) * 2002-09-26 2011-06-28 Kenji Yoshida Information reproduction/i/o method using dot patter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i/o device, and electronic toy
US7762889B2 (en) * 2003-01-14 2010-07-27 Angel Playing Cards Co., Ltd. Table game system
US8027508B2 (en) * 2003-07-09 2011-09-27 Digimarc Corporation Interactive gaming objects
JP2005261645A (ja) * 2004-03-18 2005-09-2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用のカード
JP2005284103A (ja) * 2004-03-30 2005-10-13 Takara Co Ltd 音声ガイドシステム
CA2562360A1 (en) * 2004-04-15 2005-11-03 Bally Gaming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ctivities on a gaming table
WO2006025137A1 (ja) * 2004-09-01 2006-03-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像処理装置、ゲーム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EP2330536B1 (en) * 2004-10-15 2013-03-2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bject, image data,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card, game mat, card game system, image analysis apparatus and image analysis method
US7392950B2 (en) * 2005-05-09 2008-07-0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 medium with coded data in two formats, information in one format being indicative of information in the other format
US7855805B2 (en) * 2005-09-19 2010-12-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ing a competition entry form using a mobile device
US7344086B2 (en) * 2006-04-28 2008-03-18 Harry Jay Grossman Anti-theft lottery ticket and methods
JP4019114B1 (ja) * 2006-09-04 2007-12-1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情報出力装置
JP4154700B1 (ja) * 2007-06-21 2008-09-24 健治 吉田 カード面の読取・命令実行方法
JP4129841B1 (ja) * 2007-08-09 2008-08-06 健治 吉田 情報入力補助シート、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印刷関連情報出力システム
US20110188071A1 (en) * 2007-12-12 2011-08-04 Kenji Yoshida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inpu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o-dimensional format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input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261988B2 (en) * 2009-11-30 2012-09-11 Xerox Corporation Phase locked IR encoding for peened 2D barc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903B2 (ja) * 1991-07-31 2000-12-04 プロモポント・ベー・ベー 紙又は他の物体のためのクリップ
JP2002301264A (ja) * 2001-02-02 2002-10-15 Sega Corp カードゲーム装置及びカードデータ読み取り装置及びカードゲーム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及びカード
JP2005166025A (ja) * 2003-11-05 2005-06-23 Shenzhen Syscan Technology Co Ltd 複数の記憶媒体及び素子を備える情報カード及び前記カードに情報を読み書きするための方法
JP2006338690A (ja) * 2004-02-16 2006-12-14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2002A1 (ja) 2008-07-10
US20100276887A1 (en) 2010-11-04
JP2008161578A (ja) 2008-07-17
KR20120127533A (ko) 2012-11-21
US8556266B2 (en) 2013-10-15
KR20090086453A (ko) 2009-08-12
JP3998701B1 (ja) 2007-10-31
CN101588847B (zh) 2012-08-22
CN101588847A (zh) 2009-11-25
KR101368862B1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201B1 (ko) 도트 패턴이 배치된 카드
KR101317171B1 (ko) 정보 출력장치, 매체 및 정보 입출력 장치
JP6445734B1 (ja) ドットパターン、ドット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媒体、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ドットパターン読取装置、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2018038816A6 (ja) フィギュアユニット、自走式玩具、印刷媒体、光学読み取り装置
KR20090068206A (ko) 정보 출력 장치
JP2006190270A (ja) 媒体上に形成されたアイコン
CN101773360A (zh) 交互式有声益智地垫系统
RU2473966C2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электронная игрушк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ован точечный растр
JP2009119655A (ja) 印刷物及びペン型読取発声装置
KR102647569B1 (ko) 특정 시스템, 특정 장치, 특정 방법, 표시 제어 시스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수용체, 물체 및 프로그램
CN201331850Y (zh) 一种可贴有声读物
JP2007073057A (ja) コンピュータ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07115291A (ja) 媒体上に形成されたアイコン
JP2008173498A (ja) ドットパターンが設けられたカード
JP4161326B2 (ja) ドットパターンが設けられたカード
CN214752332U (zh) 儿童用多功能点读机
JP6025937B6 (ja) 情報入出力装置
JP2009095988A (ja) 情報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