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39B1 - 디지털 도어락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639B1
KR101367639B1 KR1020120084714A KR20120084714A KR101367639B1 KR 101367639 B1 KR101367639 B1 KR 101367639B1 KR 1020120084714 A KR1020120084714 A KR 1020120084714A KR 20120084714 A KR20120084714 A KR 20120084714A KR 101367639 B1 KR101367639 B1 KR 10136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utton
door lock
modu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905A (ko
Inventor
손계아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락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시스 filed Critical (주)락시스
Priority to KR102012008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639B1/ko
Priority to PCT/KR2013/006979 priority patent/WO2014021672A1/ko
Priority to CN201380051599.5A priority patent/CN104685141A/zh
Priority to US14/419,175 priority patent/US20150191948A1/en
Publication of KR2014001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장치는,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 레버와 연결되어 레버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 모듈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도어락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연결모듈; 회전 연결모듈의 회전을 차단하고 차단을 해제하도록 도어락 본체에 설치되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 및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레버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마련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을 결합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도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조립 통로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장치{DIGITAL DOOR LOCK APAR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의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는 상태로 실외 및 실내 도어, 샤시문 등 손잡이가 설치된 모든 문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및 상점의 출입문에는 방범과 보완을 위해 도어록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계식 도어락에서 디지털 도어락으로 교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을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대표적으로 전자키 터치부에 전자키를 접촉시키는 방법과, 택트 스위치나 멤브레인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한 키패드를 눌러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과, 지문을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며 실외측 핸들이 구비된 외기,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실내측 핸들이 구비된 내기, 외기와 내기 사이에 구비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데드 볼트 및/또는 래치 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 외기와 모티스 사이에 구비되어 외기에 구비된 핸들의 회전력을 모티스로 전달하는 회전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기와 내기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고 내부 전자 회로부품의 배선을 위한 목적으로 도어에 추가적으로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 홀, 배선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홀 및 모티스를 도어에 매립하기 위한 관통공 등을 형성시켜야 했다.
따라서, 기존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는 경우, 전술한 스크류 홀 및 와이어 삽입홀 등의 형성으로 인해 도어를 훼손시킬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기 어려운 이유로 전문기술자의 설치 비용이 추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사할 때 분해 및 재조립이 힘든 단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의 방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도어에 스크류 홀이나 와이어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시 작업 부주의에 의해 도어가 심하게 파손될 수도 있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현재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현관문이나 사무실의 실외 도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아연, 알루미늄, 강화유리,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몸체를 구성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파손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어 보안 및 화재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실외 도어 및 실내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드라이버만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스틸(steel) 소재를 적용하여 보안성 및 내구성이 강화되고 화재 시에도 안전한 디지털 도어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본체에 회로부와 인증부가 구비 되도록 구성되어 본체를 크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스틸소재의 레버는 레버 자체의 역할로 제한되게 만들어져 인증부와 회로부를 구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6255 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락 본체의 레버에 회로부와 다수의 인증 버튼이 배치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이 전반적으로 수월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 래치 모듈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연결모듈; 상기 회전 연결모듈의 회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을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 본체에 설치되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 및 상기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인증 버튼을 상기 결합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도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조립 통로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인증 버튼을 통해 전달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 버튼을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에 삽입되며, 복수의 상기 결합구가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조립 통로가 복수의 상기 결합구에 교차하게 마련되는 버튼 안치부를 포함하는 작동 버튼몸체; 및 상기 버튼 안치부의 결합구에 설치되어 상기 인증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버튼은, 상기 조립 통로와 연통가능하도록 조립용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는 버튼 몸체; 및 상기 버튼 몸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도구는,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결합구에 삽입될 때, 상기 조립용 관통홀에 끼워져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레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후 분리되는 조립대일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의 내부로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로 정전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외부고무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작동버튼 몸체가 상기 레버에 설치될 때, 상기 레버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상기 작동버튼 몸체에 삽입되는 작동버튼몸체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몸체는,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레버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버튼 안치부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한 쌍의 버튼 안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컨트롤러 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인증 버튼의 신호에 의해 상기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가 회전될 때,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레버의 회전각이 감지되도록 상기 레버의 회전각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 사이에는 상기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 볼트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인증 버튼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인증 버튼을 상기 결합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통로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버를 도어락 본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을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결합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결합구에 구속되도록 상기 조립 통로에 조립도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삽입하고, 상기 레버에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이 돌출되도록 상기 조립도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용 관통홀에 상기 조립도구가 끼워지는 단계; 및 버튼부가 상기 레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레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도구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 버튼몸체에 상기 인증 버튼을 지지하기 위한 버튼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로부와 작동 버튼모듈이 레버에 설치될 때, 작동 버튼모듈의 인증 버튼이 조립도구에 의해 작동 버튼몸체에 고정됨으로써 인증 버튼이 버튼 탄성부재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면서 레버에 쉽게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으므로, 레버에 회로부와 인증부를 설치하는 보다 컴팩트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쉽게 구입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틸소재의 파이프를 레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디지털 도어락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락 본체로부터 회전 연결모듈이 분리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하우징과 회전 연결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의 도 4의 회전 하우징과 회전 연결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회전 하우징에 잠금 스토퍼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회전 연결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전 연결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레버와 회전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레버가 중립상태일 때, 일측 도어락 본체를 분리하여 회전 복원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에 의해 회전 복원유닛의 회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회전 복원유닛에 의해 레버가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구동 유닛으로부터 슬립 기어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유닛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슬립 기어유닛의 슬립 기어와 기어 마운트를 함께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의 자물쇠 캠에 의해 클러치 유닛의 캠 가이드가 가압되어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1의 레버로부터 작동 버튼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에 조립도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의 작동 버튼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의 인증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에 조립도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하방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체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체결부가 적용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거리조절 조인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도어락 체결부의 체결볼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도어락 체결부의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과 체결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의 회전 하우징과 회전 연결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레버(10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와,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 사이에 배치되되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도록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 볼트(111)를 포함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 모듈(110)과, 레버(103)와 연결되어 레버(103)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의 두께에 따른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의 설치 간격에 따라 도어락 본체(101)로부터 신축되어 도어 래치 모듈(110)에 대한 회전력 전달접속을 유지하는 회전 연결모듈(115)과,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 차단을 수행하고 회전 차단을 해제하도록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어 도어 래치 모듈(110)의 잠금 해제를 방지하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 후술되는 도 16에 도시됨)과, 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를 결합시킬 수 있는 도어락 결합부(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락 본체(101)는, 레버(10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103)의 배치 부위에 회전결합 홀(187)이 마련되는 도어락 바디(105)와, 레버(103)와 결합되어 도어락 바디(105)의 회전결합 홀(18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08)을 포함한다.
도어 래치 모듈(110)은,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어 도어를 문틀(미도시)에 잠금시키고, 반대로 레버(103), 키(미도시), 인증부(195) 등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문틀(미도시)로부터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력에 의해 래치 바디 유닛(112)의 출입구(113)로부터 돌출되어 문틀에 삽입되고, 출입구(113)로 인입될 수 있는 래치 볼트(111)를 포함한다.
회전 연결모듈(115)은, 레버(103)와 도어 래치 모듈(110)을 연결하여 레버(103)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는 매개 수단이다.
도어락 본체(101)가 도어에 설치될 때, 도어의 두께 따라 도어락 본체(101)는 상호 이격되는데, 이때 회전 연결모듈(115)은 레버(103)가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08)과 도어 래치 모듈(110)의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레버(103)로부터 도어 래치 모듈(110) 측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은, 디지털 방식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증부(195)와, 기계식 키와 연동하여 도어의 잠금해제를 차단하거나 잠금해제를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회전 연결모듈(115)에 이어서 후술토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연결모듈(11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도어락 본체로부터 회전 연결모듈이 분리된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회전 하우징과 회전 연결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의 도 4의 회전 하우징과 회전 연결모듈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회전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회전 하우징에 잠금 스토퍼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회전 연결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회전 연결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연결모듈(115)은, 좌우 도어락 바디(10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하우징(108)에 결합되며, 회전 하우징(108)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회전 하우징(108)으로부터 도어 래치 모듈(110)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어 래치 모듈(1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회전 전달유닛(120)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 하우징(108)은 회전 전달유닛(120)과 레버(103)를 연결하는데, 양측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간을 결합하며, 회전 전달유닛(120)이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드 통로(109)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전달유닛(120)은,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접속되는 회전 전달부(122)와, 회전 전달부(122)에 연결되어 회전 하우징(108)의 슬라이드 통로(109)에 결합되며 스프링 신축통로(126)가 마련되는 회전 이동부(125)와, 스프링 신축통로(126)에 배치되어 회전 이동부(125)를 회전 하우징(108)에 지지시키는 가압 스프링(127)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전달부(122)가 회전 하우징(108)과 도어 래치 모듈(110)을 연결할 때, 회전 이동부(125)는 회전 하우징(108)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회전 하우징(108)에 지지된 가압 스프링(127)에 지지되며, 회전 이동부(125)의 타단부에 연결된 회전 전달부(122)는 가압 스프링(127)의 지지력에 의해 도어 래치 모듈(110)의 회전 입력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회전 전달유닛(120)은, 스프링 신축통로(126)가 마련되는 회전 이동부(125)의 일단 영역에 결합되어 가압 스프링(127)을 지지하는 스프링 멈춤부(128)와, 스프링 신축통로(126)가 마련되는 회전 이동부(125)의 타단 영역에 삽입되어 회전 하우징(108)에 지지되는 스프링 가이드(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멈춤부(128)는 스프링 신축통로(126)에 고정되어 가압 스프링(127)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반대로 스프링 가이드(129)는 스프링 신축통로(126)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 이동부(125)를 회전 하우징(108)에 유동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 이동부(125)가 회전 하우징(108)의 슬라이드 통로(109)를 따라 이동할 때, 가압 스프링(127)을 회전 하우징(108)에 지지시킬 수 있다.
실질적으로, 회전 이동부(125)가 회전 하우징(108)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 멈춤부(128)가 회전 이동부(125)와 함께 이동되며, 스프링 가이드(129)는 회전 하우징(108)의 걸림 지지부(132)에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회전 전달유닛(120)은, 스프링 신축통로(126)에 교차하도록 회전 이동부(125)에 결합되며, 슬라이드 통로(109)가 마련되는 회전 하우징(108)의 내벽부에 지지되는 끼움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움탄성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회전 이동부(125)가 회전 하우징(108)의 슬라이드 통로(109)에 삽입될 때, 회전 하우징(108)의 내벽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 이동로(131)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달유닛(120)의 회전 이동부(125)와 회전 하우징(108)의 슬라이드 통로(109)가 형성된 내벽부에는, 상호 대향하게 배선 통로홈(123, 124)이 마련될 수 있다. 배선 통로홈(123, 124)은 회전 하우징(108)과 회전 전달유닛(120) 사이를 통과하는 전선(미도시)이 배치되어 회전 이동부(125)의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대략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연결모듈(115)은 회전 전달유닛(120)에 의해 레버(103)와 도어 래치 모듈(110)을 연결하여 레버(103)로부터 도어 래치 모듈(110) 측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도어의 두께에 따라서 도어락 바디(105)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회전 하우징(108)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도어 래치 모듈(110)에 대한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연결모듈(115)은 회전 전달유닛(120)의 회전 이동부(125)가 스프링력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 전달부(122)가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회전 전달부(122)는 모터(175)와 리드 스크류 조합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력을 이용한 방식 또는 나사나 리드 스크류 만을 이용한 방식으로도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어락 바디(105)에는 외부에서 누를 수 있게 도어 잠금부(106)가 결합된다. 도어 잠금부(106)는 안쪽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실내 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의 외부 입력부- 키 입력부가 될 수 있음 -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잠금부(106)는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회전 하우징(108)의 잠금 홈(156)에 걸릴 수 있는 잠금 걸림부재(157)와, 잠금 걸림부재(157)에 결합되어 잠금 걸림부재(157)를 이동시키는 잠금 이동부재(158)와, 잠금 이동부재(158)에 결합되어 잠금 이동부재(158)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도어락 바디(105)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 핀(15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누름 핀(159)을 가압할 경우, 도어 잠금부(106)의 도시되지 않은 일측의 날개형상의 부재가 전기적인 PCB의 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켜, 외부의 입력키(미도시)가 동작되지 않게 하며, 반대로 누름 핀(159)을 잡아당겨 뽑거나 실내 측 레버(103)를 회전시키면, 도어 잠금부(106)의 잠금 걸림부재(157)를 회전 하우징(108)이 잠금 홈(156)을 형성하는 반달 모양형상이 회전시켜 잠금 이동부재(158)를 후퇴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PCB의 스위치가 해제됨으로써 외부 입력부(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레버(103)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여 도어의 잠금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 하우징(108)에는, 회전 하우징(108)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잠금 장치의 스토퍼(미도시)가 - 이후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에서 설명 -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스토퍼 홈(154)이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홈(154)은 회전 하우징(108)의 외주부에 대향하게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하나에는 키에 의한 기계식 잠금 스토퍼(미도시)가 삽입되며, 다른 하나에는 전자식 잠금 장치의 스토퍼(미도시)가 삽입되어 회전이 걸리게 된다. 스토퍼로는 후술되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에 속한 클러치 핀(186)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홈(154)이 두 개로 복수인 이유는, 도어의 설치에 따라 작동방향이 반대로 되어 레버(103)가 좌수/우수 바뀔 수 있는 경우에 대비한 것으로서, 즉, 레버(103)가 좌수 또는 우수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하우징(108)에는 그에 대응이 되도록 두 개 스토퍼 홈(154)이 마련된다.
도 10은 도 1의 레버와 회전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11은 도 1의 레버가 중립상태일 때, 일측 도어락 본체를 분리하여 회전 복원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에 의해 회전 복원유닛의 회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회전 복원유닛에 의해 레버가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버(103)는 결합 나사(133)가 회전 하우징(108)을 통과하여 결합 홀(134)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하우징(108)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때, 도 2 내지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는 레버(10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연결모듈(115)을 회전시키는 좌수 레버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연결모듈(115)을 회전시키는 우수 레버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좌수 레버와 우수 레버의 선택은 도어의 열림 방향에 대해 도어락 본체(101)가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레버(103)를 회전시키기 적합한 회전방향이 다르므로, 레버(103)의 회전방향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적용한 기술이다.
이를 위해, 레버(103)와 회전 연결모듈(110) 사이에 도어락 바디(105)에 설치되는 회전 하우징(108)에는 레버(103)의 시계방향 회전력을 회전 연결모듈(110)에 전달하기 위한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레버(103)의 반 시계방향 회전력을 회전 연결모듈(110)에 전달하기 위한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이 마련된다.
또한 회전 하우징(106)의 일측에는 회전 하우징(108)의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 중 어느 하나로 이동가능하게 설정구간 이동부(155)가 설치된다. 이때 설정구간 이동부(155)는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그 구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과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은 회전 하우징(108)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의 홈 형상으로 마련되며,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과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 사이에는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과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으로 설정구간 이동부(155)의 이동이 가능한 중립구간(148c)이 마련된다. 중립구간(148c)은 매끈한 슬라이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본체(101)의 도어락 바디(105)에는 레버(103)와 회전 하우징(108)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결합 홀(187)이 마련되며, 설정구간 이동부(155)가 배치되며 회전결합 홀(187)과 연통하는 걸림부 배치홈(156)이 마련될 수 있다.
설정구간 이동부(155)는, 걸림부 배치홈(156)에 설치되어 회전결합 홀(187)로 돌출되는 회전설정 지지체(149)와, 걸림부 배치홈(156)에 설치되어 회전설정 지지체(149)를 도어락 바디(105)의 내벽부에 지지시키는 회전설정 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108)와 회전 하우징(108)은 도어에 대한 레버(103)의 좌수 또는 우수 작동이 선택되어 조립이 완료될 때, 회전설정 지지체(149)가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으로 이동범위가 정해짐으로써 회전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레버(103)에 결합된 회전 하우징(108)에 회전범위가 설정됨으로써 레버(103)는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의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하우징(108)은 회전설정 지지체(149)가 회전설정 스프링(1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또는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을 넘지 못하도록 그 구간의 양단에 걸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03)는 도어가 열리도록 회전 하우징(108)과 회전 연결모듈(115)에 의해 도어 래치 모듈(1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때 레버(103)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레버(103)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락 본체(101)는 회전 하우징(108)에 결합되어 레버(103)를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 범위에서 원 위치로 복귀회전시키는 회전 복원유닛(13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복원유닛(135)은 도어락 바디(105)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수레버 설정구간(148a) 및 우수레버 설정구간(148b)에 대응하여 레버(103)를 복귀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복귀 스프링(1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복원유닛(135)은 도어를 열기 위해 레버(103)를 회전시킬 때, 회전 연결모듈(115)이 결합된 회전 하우징(108)과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 하우징(108)에 결합된다.
회전 하우징(108)의 공회전은 좌수/우수 세팅 시에만 허용되며, 레버(103)의 세팅이 완료된 후에는 공회전이 없게 된다. 또한 도 11은 레버(103)의 좌수/우수의 선택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상태이고, 도 12 및 도 14는 레버(10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팅을 완료한 상태이며, 도 13은 레버를 회전시켰을 때 상태이며, 도 14는 레버가 복귀되는 상태이다.
즉 회전 복원유닛(135)은 회전 하우징(108)에 체결된 걸림나사(142)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회전 걸림돌기(139)를 구비하여 회전 하우징(108)에 결합되는 회전판(140)과, 회전판(140)에 연결되어 도어락 바디(105)의 외주부까지 배치되는 회전복귀 암(137)과, 도어락 바디(105)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회전복귀 암(137)에 결합되며 한 쌍의 회전복귀 스프링(136)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스프링 걸림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본체(101)는, 도어락 바디(105)에 결합되어 한 쌍의 회전복귀 스프링(136)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복귀 암(137)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 걸림판(141)의 회전 경로를 따라 스프링 복귀통로(146)를 형성하는 복귀경로 제공부(145)과, 도어락 바디(105)에 결합되어 스프링 복귀통로(146)로부터 한 쌍의 회전복귀 스프링(136)의 이탈을 차단하는 스프링 덮개(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락 본체(101)의 레버(103)가 회전될 때, 레버(103)에 결합된 회전 하우징(108)이 소정 각도 회전되며, 회전 하우징(108)이 회전됨에 따라 걸림나사(142)가 회전 걸림돌기(139)를 가압하여 회전 하우징(108)과 함께 회전복귀 암(137)이 회전되며, 회전복귀 암(137)에 결합된 스프링 걸림판(141)이 한 쌍의 회전복귀 스프링(136)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고 이동됨으로써 스프링 걸림판(141)은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후, 레버(103)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면, 스프링 걸림판(141)이 탄성력에 의해 반대로 회전되고, 걸림나사(142)가 회전 걸림돌기(139)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하우징(108)이 반대로 회전됨으로써 레버(103)는 원위치로 회전되어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락 본체(101)에는 회전 복원유닛(135)이 구비됨으로써 도어가 열릴 때,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된 레버(103)가 회전 복원유닛(13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측 및 실외 측 레버(103)와 연결된 회전 복원유닛(135)이 실내 측 도어락 본체(101) 및 실외 측 도어락 본체(101)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복귀 스프링(136)을 사용토록 함으로써 레버(103)의 반복적인 회전력 의해 회전복귀 스프링(136)이 파손되는 고장을 방지하여 레버(103)가 복원되지 않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구동 유닛으로부터 슬립 기어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유닛의 상방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슬립 기어유닛의 슬립 기어와 기어 마운트를 함께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20은 도 16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의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2는 도 15의 자물쇠 캠에 의해 클러치 유닛의 캠 가이드가 가압되어 클러치 핀이 회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은,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161)과,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어 구동 유닛(161)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을 차단하고 차단을 해제하는 클러치 유닛(162)과, 구동 유닛(161)의 회전축(176)에 설치되되 구동 유닛(161)과 클러치 유닛(162)의 상호 토크 전달을 단속하도록 전달 토크에 따라 공회전되는 슬립 기어유닛(165)을 포함한다.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은 도어가 닫혔을 때,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을 차단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는데, 주로 회전 연결모듈(115)이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08)의 레버(103)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에 의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유닛(162)은 기계식 키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 하우징(108)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 하우징(108)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는데, 슬립 기어유닛(165)은 클러치 유닛(162)이 기계식 키에 의해 작동될 때, 클러치 유닛(162) 측에서 구동 유닛(161) 측으로 회전력의 전달을 공회전으로 차단하여 구동 유닛(161)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구동 요소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립 기어유닛(165)에는, 클러치 유닛(162)과 구동 유닛(161) 중 어느 하나의 전달 토크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토크 전달이 단속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슬립 돌기(166)와, 복수의 슬립 돌기(166)에 대응하는 슬립돌기 도피홈(16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슬립 돌기(166) 및 슬립돌기 도피홈(167)은 상호간 이탈이 쉽도록 경사면(168)을 가질 수 있다.
즉 슬립 기어유닛(165)은 구동 유닛(161)과 클러치 유닛(162) 사이에서 슬립 돌기(166)와 슬립 돌기(166)가 삽입되는 슬립돌기 도피홈(167)의 결합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전달되는 토크가 증가할 경우 슬립 돌기(166)와 슬립돌기 도피홈(167)이 분리되어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이러한 공회전을 위해 슬립 기어유닛(165)은, 클러치 유닛(162)에 기어결합되며, 회전축(176)을 따라 이동가능하록 회전축(176)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회전축(17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슬립 돌기(166)와 슬립돌기 도피홈(167)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슬립 기어(170)와, 회전축(176)과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축(176)에 결합되며 슬립 기어(170)에 가해지는 탄력에 의해 슬립 기어(170)에 접촉되며 복수의 슬립 돌기(166)와 슬립돌기 도피홈(167) 중 다른 하나가 마련되는 기어 마운트(17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기어(170)에 슬립 돌기(166)가 마련되며, 기어 마운트(171)에 슬립돌기 도피홈(167)이 마련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돌기(166) 및 슬립돌기 도피홈(167)과 같은 배치와 형상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진 않으며, 서로 위치가 바뀌고 경사가 거의 없는 둥근 형상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클러치 유닛(16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161)은, 회전축(176)을 구동시키는 모터(175)와, 회전축(176)이 설치되며 슬립 기어(170)를 지지하는 지지판(177)과, 회전축(176)과 모터(175)에 기어결합되는 감속기(17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161)은 레버(103)의 버튼부(220)에 의해 잠금 버튼 또는 잠금 해제 버튼의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될 때, 그 신호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감속기(178)는 모터(175)의 구동축으로부터 회전축(176)까지 회전 비율을 감속시켜 클러치 유닛(162)에 전달되는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감속기(178)는 지지판(177)과 모터(175) 사이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기어들의 도시가 생략된 개략적인 배치가 제공된다.
구동 유닛(161)과 클러치 유닛(162)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슬립 기어유닛(165)은, 지지판(177)에 지지되도록 회전축(176)에 설치되어 슬립 기어(170)를 지지하는 기어지지 스프링(179)과, 지지판(177) 상에서 기어지지 스프링(179)을 지지하도록 회전축(176)에 설치되는 슬립 와셔(180)와, 회전축(176)에 결합되어 기어 마운트(171)를 고정하는 멈춤 링(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슬립 기어(170)는 회전축(176)을 따라 기어 마운트(171)와 기어지지 스프링(179)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176)에 설치되며, 기어지지 스프링(179)은 슬립 기어(170)를 기어 마운트(171) 측으로 가압하여 슬립 돌기(166)를 슬립돌기 도피홈(167)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176)과 회전되는 기어 마운트(171)와 슬립 기어(170) 사이의 전달 토크가 증가하는 경우, 슬립 기어(170)가 기어지지 스프링(179)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다시 전달 토크가 감소하는 경우, 슬립 기어(170)는 기어지지 스프링(179)의 복원력에 의해 기어 마운트(17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슬립 기어(170)의 슬립 돌기(166)는 슬립돌기 도피홈(167)에 결합된다.
슬립 와셔(180)는 슬립 기어(170)와 접촉하여 공회전되는 기어지지 스프링(179)을 지지함으로써 기어지지 스프링(179)이 지지판(177) 상에서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역할을 한다.
슬립 기어유닛(16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클러치 유닛(162)은, 슬립 기어유닛(165)에 기어결합되어 구동되도록 랙 기어(183)가 마련되는 랙 기어부(182)와, 랙 기어부(182)에 결합되어 이동되되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러치 핀(186)이 마련되는 클러치부(18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기어(170)가 랙 기어부(182)에 기어결합되어 랙 기어부(182)를 이동시키면, 랙 기어부(182)와 함께 클러치부(185)의 클러치 핀(186)이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회전 하우징(108) 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 홈(154)에 삽입된다. 이때 랙 기어부(182)는 도어락 본체(101)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클러치부(185)는 랙 기어부(182)에 결합되어 랙 기어부(18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기계식 키에 의한 토크 전달로서, 클러치부(185)가 이동되어 랙 기어부(182)에 의해 슬립 기어(170)가 회전될 때는, 슬립 기어(170)와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178)의 저항 토크보다 슬립 기어(170)의 전달 토크가 작은 경우로서, 전달 토크가 증가함에 따라 슬립 기어(170)의 슬립 돌기(166)가 기어 마운트(171)의 슬립돌기 도피홈(167)으로부터 이탈하여 외부의 회전력에 의한 마모 및 충격으로부터 구동 유닛(161)이 보호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키에 의한 외부의 회전력을 입력받는 도어락 본체(101)는, 레버(10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103)의 배치부위에 회전결합 홀(187)이 마련되며 클러치 유닛(162)이 설치되는 도어락 바디(105)와, 도어락 바디(105)에 설치되며 키와 연동하여 클러치부(185)를 이동시키도록 자물쇠부(191)에 마련되는 자물쇠 캠(18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러치부(185)는, 자물쇠 캠(189)에 접촉하여 가압되는 캠 가이드부(190)를 포함하는데, 캠 가이드부(190)는 랙 기어부(18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랙 기어부(182)와 결합되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도어락 본체(101)에는 클러치 핀(186)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스토퍼 홈(154)이 마련되는 회전 하우징(108)이 구비된다. 회전 하우징(108)은 레버(103)와 결합되어 도어락 바디(105)의 회전결합 홀(18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연결모듈(115)이 레버(103)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레버(103)는, 구동 유닛(161)을 작동시키기 위한 인증부(195)와, 레버(103)가 회전될 때, 레버(103)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구동 유닛(161)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19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 유닛(161)은 레버(103)의 인증부(195)에 잠금해제 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161)은 레버(103)가 회전되어 기울기 센서(196)에 의해 레버(103)의 회전이 감지된 후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을 작동시키도록 레버(103)에 설치되는 인증부(195)를 제공하는 작동 버튼모듈(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도 1의 레버로부터 작동 버튼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에 조립도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의 작동 버튼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의 인증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7은 도 23의 작동 버튼모듈에 조립도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하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작동 버튼모듈(200)은 복수의 인증 버튼(201)이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205)가 일렬로 마련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201)을 결합구(205)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도구(206)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조립 통로(207)가 마련된다. 이때 복수의 인증 버튼(201)은 작동 버튼모듈(200)이 레버(103)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레버(103)에 미리 형성된 구멍(104)을 통해 돌출된다.
작동 버튼모듈(200)은, 레버(103)의 내부 공간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결합구(205)가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마련되며 조립 통로(207)가 복수의 결합구(205)에 교차하게 마련되는 버튼 안치부(215)를 포함하는 작동 버튼몸체(210)와, 버튼 안치부(215)의 결합구(205)에 설치되어 인증 버튼(20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탄성부재(216)를 포함한다.
조립도구(206)는 인증 버튼(201)을 작동 버튼몸체(210)에 조립하여 레버(103)에 끼울 때, 인증 버튼(201)을 결합구(205)에 구속하여 작동 버튼몸체(210)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인증 버튼(201)은 결합구(2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버튼몸체(210)가 레버(103)의 내부 공간에 안치될 때, 레버(103)의 구멍(10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조립도구(206)는 인증 버튼(201)이 중력 방향으로 기울어져 이탈되거나 레버(103)의 내벽부 등에 간섭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인증 버튼(201)은, 조립 통로(207)와 연통가능하도록 조립용 관통홀(219)이 마련되어 결합구(205)에 삽입되는 버튼 몸체(218)와, 버튼 몸체(218)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버튼부(220)를 포함한다.
조립도구(206)는, 복수의 인증 버튼(201)이 결합구(205)에 삽입될 때 조립용 관통홀(219)에 끼워지도록 마련되는데, 버튼 안치부(215)가 레버(103)의 내부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버튼부(220)가 레버(10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후 분리되는 조립대(222)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조립대(222)가 작동 버튼몸체(210)의 조립 통로(207)에 끼워질 때, 동시에 버튼 몸체(218)의 조립용 관통홀(219)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결합구(205)으로부터 인증 버튼(20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립대(222)는 조립 통로(207)를 통해 일렬로 배치되는 버튼 몸체(218)를 관통할 수 있다.
버튼 몸체(218)는 버튼 탄성부재(216)을 가압하면서 결합구(205)에 삽입된다. 이때 버튼 몸체(218)는 버튼 탄성부재(216)에 의해 다시 복귀하여 결합구(205)에서 이탈될 수 있으나, 조립 통로(207)를 통해 설치되는 조립대(222)에 끼워짐으로써 이탈이 차단된다.
작동 버튼모듈(200)은, 레버(103)의 내부로 배치되어 레버(10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버튼부(22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버튼부(220)에 전달되는 정전기가 레버(103) 측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외부고무 버튼(225)을 더 포함한다.
이때, 인증 버튼(201)은 터치 센서방식을 사용하는데, 외부고무 버튼(225)은 손가락이 접촉될 때 정전기의 누출을 차단하게 되며, 이 정전기는 버튼부(220)로 그대로 전달되어 각 버튼부(220)의 작동에 의한 개별적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동 버튼모듈(200)은, 조립대(222)에 의해 고정된 인증 버튼(201)이 레버(103)에 설치질 때, 외부고무 버튼(225)이 버튼부(220)을 둘러싸서 버튼부(220)가 레버(103)에 접촉되는 상태가 차단되어 금속재로 제작되는 레버(103) 측으로 정전기의 누출이 차단되므로, 손가락을 통해 전달되는 정전기가 버튼부(220)를 통해 후술되는 컨트롤러(229)의 터치 센서부(미도시)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220)에 전달된 정전기는 버튼부(220)를 지지하며, 터치 센서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버튼탄성부재(216)를 통해 터치 센서부(미도시)에 전달된다. 즉 버튼탄성부재(216)의 일단부는 터치센싱회로를 포함하는 터치센서부(미도시)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버튼부(220)에 연결된 상태로서, 버튼탄성부재(216)는 버튼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정전기를 회로부의 터치센서부(미도시)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작동 버튼모듈(200)은, 작동버튼 몸체(218)가 레버(103)에 설치될 때, 레버(103)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작동버튼 몸체(218)에 삽입되는 작동버튼몸체 지지스프링(226)을 더 포함한다. 즉 작동버튼몸체 지지스프링(226)은 작동 버튼몸체(210)가 레버(103)의 내부로 배치될 때 레버(103)의 덮개(230)에 지지됨으로써 작동 버튼몸체(210)를 레버(103)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작동 버튼몸체(210)는, 인증 버튼(201)이 레버(103)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버튼 안치부(215)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된다. 즉 버튼 안치부(215)는 작동 버튼몸체(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작동 버튼모듈(200)은 한 쌍의 버튼 안치부(215) 사이에 마련되는 컨트롤러 삽입홈(228)에 설치되며 인증 버튼(201)의 신호에 의해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을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컨트롤러(229)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229)는 입력되는 인증 버튼(201)의 번호를 취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 입력 및 잠금해제 루틴이 프로그램적으로 마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29)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용 마이콤 회로부를 포함하여 레버(103)에 내장되는데, 레버(103)가 스틸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내장되는 컨트롤러(229)의 보안성 및 내구성을 높이고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작동 버튼모듈(200)은, 레버(103)가 회전될 때, 컨트롤러(229)에 레버(103)의 회전각이 감지되도록 레버(103)의 회전각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술한 기울기 센서(196)를 포함하고 있는데, 레버(103)의 회전이 기울기 센서(196)에 감지되고, 그 감지 신호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입력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의 구동 유닛(161)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196)는 컨트롤러(229)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어 열림 동작 후 복원 시 레버(103)가 정상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레버(103)가 정상위치에 올 경우에만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하지 않도록, 컨트롤러(229)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는 저전력 작동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196)는 도어의 안팎에 각각 설치된 레버(103)의 회전 방향이 컨트롤러(229)에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하여 레버(103)의 좌우/우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발광 다이오드(미도시)의 방향이 각각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버튼모듈(200)이 조립대(222)에 의해 레버(103)에 조립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조립방법은, 레버(10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락 본체(101)가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단계와,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 볼트(111)를 포함한 도어 래치 모듈(110)이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에 설치되는 단계와, 레버(103)와 연결되어 레버(103)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전달하도록 회전 연결모듈(115)이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단계와, 회전 연결모듈(115)의 회전을 차단하고 차단을 해제하도록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이 도어락 본체(101)에 설치되는 단계와, 복수의 인증 버튼(201)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205)가 마련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201)을 결합구(205)에 잠금하기 위한 조립 통로(207)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200)을 레버(103)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작동 버튼모듈(200)을 레버(103)에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인증 버튼(201)을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구(205)에 삽입하는 단계와, 인증 버튼(201)이 결합구(205)에 고정되도록 조립 통로(207)에 조립도구(206)를 결합하는 단계와, 작동 버튼모듈(200)을 레버(103)에 삽입하여 레버(103)에 복수의 인증 버튼(201)이 돌출된 상태에서 조립도구(206)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인증 버튼(201)은, 조립 통로(207)와 일치되도록 조립용 관통홀(219)이 마련되어 결합구(205)에 삽입되는 버튼 몸체(218)와, 버튼 몸체(218)의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버튼부(2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작동 버튼모듈(200)이 설치되는 단계는, 조립도구(206)가 복수의 버튼 몸체(218)가 결합구(2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용 관통홀(219)에 끼워지는 단계와, 버튼부(220)가 레버(10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레버(103)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립도구(206)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 버튼모듈(200)은, 레버(103)의 내부 공간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결합구(205)가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마련되며, 조립 통로(207)가 복수의 결합구(205)에 교차하게 마련되는 버튼 안치부(215)를 포함하는 작동 버튼몸체(210)와, 작동 버튼몸체(210)에 설치되어 인증 버튼(20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탄성부재(216)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작동 버튼모듈(200)이 설치되는 단계는, 버튼 탄성부재(216)가 인증 버튼(201)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작동 버튼모듈(200)은, 버튼부(220)에 결합되어 손가락의 정전기가 레버(103)로 누출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외부고무 버튼(22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에 작동 버튼모듈(200)이 설치되는 단계는, 외부고무 버튼(225)이 레버(103)의 내부로 배치되어 레버(10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고무 버튼(225)이 레버(103)의 내부로 배치될 때, 외부고무 버튼(225)의 관통된 버튼 돌기(227)는 레버(103)의 구멍(104)에 맞게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고무 버튼(225)의 버튼 돌기(227)가 레버(103)의 구멍(104)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버튼몸체(210)가 레버(103)에 삽입되어 버튼부(220)가 외부고무 버튼(225)의 버튼 돌기(227)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조립대(222)를 작동 버튼모듈(2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버튼부(220)가 외부고무 버튼(225)의 버튼 돌기(227)의 내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버튼부(220)가 외부고무 버튼(225)에 감싸진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레버(103)의 구멍(104)을 통해 노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를 결합시킬 수 있는 도어락 결합부(250)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도어락 체결부(250)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의 이격된 간격에 따라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를 상호 결합하되,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의 상호 간 결합거리가 신축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어락 체결부(250)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를 결합하며 도어의 두께에 따라 신축되는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251)과,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251)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101)의 상호 간 거리를 조절하는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255)을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는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251)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의 양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데, 도어락 본체(101)의 외부에 있는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255)을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두께에 맞게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되어 설치가 가능하다.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251)은,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이동 통로(257)가 이동 통로의 내벽부에 암 나사(미도시)가 마련되는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와,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암 나사(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252)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볼트(252) 상호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두께뿐만 아니라 도어에 대한 체결볼트(252)의 관통 홀(미도시)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도 설치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관통 홀(미도시)을 키우지 않고 또는 추가 타공 없이 도어락 본체(101)를 서로 체결 할 수 있다.
거리조절 조인트부(256)는, 도어락 본체(101)에 결합되는 암 나사관체(280)와, 암 나사관체(280)의 단부에 결합되어 암 나사관체(280)가 삽입되는 도어 래치 모듈(110)의 결합영역으로부터 암 나사관체(280)의 이탈을 제한하는 암 나사 홀더부(2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암 나사관체(280)의 단부에는 환형 홈(282)이 마련되며, 암 나사 홀더부(281)는 환형 홈(282)에 설치되는 환형 고정판(283)과, 환형 고정판(283)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홀더 판스프링(284)과, 홀더 판스프링(284)에 마련되어 암 나사관체(280)의 이탈을 제한하는 홀더 걸림돌기(285)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가 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관통 홀(미도시)을 통해 결합될 때,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암 나사관체(280)가 도어래치모듈(1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암 나사관체(280)에 결합된 암 나사 홀더부(281)의 홀더 걸림돌기(285)가 도어래치모듈(110)의 내부에 걸리게 되며,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는 각각 도어래치모듈(110)로부터 이탈이 제한되어 도어의 관통 홀(미도시)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조립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 측과 실외 측 도어락 본체(101) 체결 시 도어락 본체(101)의 후퇴를 방지하여 도어락 본체(101)의 체결작업이 전반적으로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볼트(252)는 이동 통로(25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리조절 샤프트부(258)와,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와 거리조절 샤프트부(258)가 후술되는 이동 볼트(260)에 의해 결합될 때,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거리조절 탄성부재(259)를 포함한다.
거리조절 샤프트부(258)는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이동 통로(257)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므로, 거리조절 조인트부(256)가 일측 도어락 본체(101)에 결합되고 거리조절 샤프트부(258)가 타측 도어락 본체(101)에 결합될 때, 양측 도어락 본체(101)는 거리조절 탄성부재(259)를 가압하면서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여 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251)의 체결볼트(252)는,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이동 통로(257)와 연결되는 슬라이드 통로(109)가 형성되어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이동 통로(257)를 형성하는 내벽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 볼트(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볼트(260)는 거리조절 샤프트부(258)와 함께 회전하도록 슬라이드 통로(109)를 형성하는 내벽부에 평평한 회전 방지부(265)가 마련되며, 거리조절 탄성부재(259)에 의해 거리조절 샤프트부(258)에 지지된다.
즉 거리조절 샤프트부(258)는 이동 볼트(260)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동 볼트(260)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이동 볼트(260)는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에 나사결합되므로, 거리조절 샤프트부(258)를 회전시키면 이동 볼트(260)는 거리조절 조인트부(256)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이동 볼트(260)는 거리조절 탄성부재(259)에 의해 거리조절 샤프트부(258)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 볼트(260)가 회전될 때, 거리조절 샤프트부(258)가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이동 통로(257)를 이동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러한, 거리조절 샤프트부(258)는 이동 볼트(260)의 회전 방지부(265)에 대응하는 평평한 회전부(267)가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부(266)와, 회전 샤프트부(266)가 이동 볼트(260)로부터 이탈이 제한되도록 회전 샤프트부(266)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샤프트 나사(2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볼트(260)는 거리조절 탄성부재(25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 나사(268)에 의해 회전 샤프트부(266)에 구속이 유지된다. 이때 거리조절 탄성부재(259)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샤프트 지지 스프링(269)으로서, 회전 샤프트부(266)가 삽입되도록 회전 샤프트부(266)에 배치되어, 회전 샤프트부(266)와 이동 볼트(260)에 지지된다.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255)은, 거리조절 샤프트부(258)에 결합되어 거리조절 샤프트부(258)를 회전시키는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와,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에 기어결합되며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를 회전시키도록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거리조절 기어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조절 기어부(272)는, 도어락 본체(101)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출되는 기어헤드(273)와, 기어헤드(273)에 연결되어 도어락 본체(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헤드 회전축(274)과, 기어헤드(273)와 기어헤드 회전축(274) 사이에 마련되며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5)를 포함한다.
이때 피니언 기어(275)와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를 비교할 때, 피니언 기어(275)가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에 비해 기어 잇수가 많으므로, 제2 거리조절 기어부(272)의 회전각에 따른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의 회전각이 커지므로, 이동 볼트(260)를 적은 회전각으로도 길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255)은 제2 거리조절 기어부(272)의 기어헤드(273)를 회전시키고, 기어헤드(273)와 함께 피니언 기어(275)가 회전될 때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가 회전되며,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와 함께 거리조절 샤프트부(258)가 회전됨으로써 이동 볼트(260)가 거리조절 조인트부(256)의 이동 통로(257)에서 나사방식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도어락 본체(101)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체결부(250)은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와 제2 거리조절 기어부(272)를 사용하여 이동 볼트(260)가 이동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진 않으며,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를 직접회전시키는 방식으로도 - 예를 들면 제1 거리조절 기어부(271)에 렌치용 헤드가 마련됨 -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모듈(110), 회전 연결모듈(115),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160), 작동 버튼모듈(200), 도어락 체결부(250) 및 체결볼트(252)는 래치 볼트(111)와 데드볼트(111)가 하나의 구조로 일체화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뿐만 아니라, 도어를 문틀에 고정시키도록 도어락 본체(10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돌출되는 래치 볼트(111)와 도어를 문틀에 잠금시킬 수 있도록 도어락 본체(101)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미도시)가 도어락 본체(101)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모티스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레버(103)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 모듈(110)에 전달하도록 위와 같은 도어 래치 모듈(110)에 연결되는 앞서 설명한 회전 하우징(108)과 회전 연결모듈(115)은 좀더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3과 도 34는 전술한 회전 하우징(108)과 회전 연결모듈(115)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도 29에 도시된 회전 하우징(108)과 회전 연결모듈(115)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하우징(308)과 회전 연결모듈(320)은, 회전연결모듈(320)이 회전 하우징(308)의 슬라이드 통로(30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회전연결모듈(320)은 일체화된 구조를 갖게 되며, 회전 하우징(308)의 슬라이드 통로(309)에 배치되는 가압 스프링(32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드 통로(309)의 일측 개구로 돌출되어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도어 래치 모듈(11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327)은 회전 하우징(308)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통로(309)의 타측 개구를 막고 있는 스프링 지지부(322)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통로(309)에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하우징(308)에는 슬라이드 통로(309)와 격벽(332)에 의해 분리되는 배선 통로홈(333)이 마련될 수 있다. 배선 통로홈(333)은 회전 하우징(308)을 통과하도록 전선(미도시)이 배치될 때, 회전연결모듈(320)의 이동에 따른 주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대략 슬라이드 통로(309) 만큼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전선이 원만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도어 101: 도어락 본체
103: 레버 105: 도어락 바디
108: 회전 하우징 109: 슬라이드 통로
110: 도어 래치 모듈 111: 래치 볼트
112: 래치 바디 유닛 113: 출입구
115: 회전 연결모듈 120: 회전 전달유닛
122: 회전 전달부 125: 회전 이동부
126: 스프링 신축통로 127: 가압 스프링
128: 스프링 멈춤부 129: 스프링 가이드
130: 끼움탄성부재 131: 탄성부재 이동로
135: 회전 복원유닛
136: 회전복귀 스프링 137: 회전복귀 암
139: 회전 걸림돌기 140: 회전판
141: 스프링 걸림판 142: 걸림 나사
145: 스프링 원형 지지판
146: 스프링 복귀통로 147: 스프링 덮개
148: 회전 설정구간 149: 회전 설정 지지체
150: 회전설정 스프링 153: 스토퍼
154: 스토퍼 홈
160: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
161: 구동 유닛 162: 클러치 유닛
165: 슬립 기어유닛 166: 슬립 돌기
167: 슬립돌기 도피홈 168: 경사면
170: 슬립 기어 171: 기어 마운트
175: 모터 176: 회전축
177: 지지판 178: 감속기
179: 기어지지 스프링 180: 슬립 와셔
181: 멈춤 링 182: 랙 기어부
183: 랙 기어 185: 클러치부
186: 클러치 핀 187: 회전결합 홀
189: 자물쇠 캠 190: 캠 가이드부
195: 인증부 196: 기울기 센서
200: 작동 버튼모듈 201: 인증 버튼
205: 결합구 206: 조립도구
207: 조립 통로 210: 작동 버튼몸체
215: 버튼 안치부 216: 버튼 탄성부재
218: 버튼 몸체 219: 관통홀
220: 버튼부
222: 조립대 225: 외부고무 버튼
226: 작동버튼몸체 지지스프링
227: 버튼 돌기 228: 컨트롤러 삽입홈
229: 컨트롤러 230: 레버 덮개
250: 도어락 결합부
251: 도어본체 신축결합유닛
255: 도어본체 거리조절유닛
256: 거리조절 조인트부 257: 이동 통로
258: 거리조절 샤프트부 259: 거리조절 탄성부재
260: 기어 볼트 265: 회전 방지부
266: 기어 샤프트부 267: 회전부
268: 샤프트 나사 269: 샤프트 지지 스프링
271: 제1 거리조절 기어부 272: 제2 거리조절 기어부
273: 기어헤드 274: 기어헤드 회전축
275: 피니언 기어

Claims (13)

  1.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락 본체;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 래치 모듈에 전달하도록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연결모듈;
    상기 회전 연결모듈의 회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을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 본체에 설치되는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 및
    상기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증 버튼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인증 버튼을 상기 결합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도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조립 통로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인증 버튼을 통해 전달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 버튼을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에 삽입되며, 복수의 상기 결합구가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조립 통로가 복수의 상기 결합구에 교차하게 마련되는 버튼 안치부를 포함하는 작동 버튼몸체; 및
    상기 버튼 안치부의 결합구에 설치되어 상기 인증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버튼은,
    상기 조립 통로와 연통가능하도록 조립용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는 버튼 몸체; 및
    상기 버튼 몸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도구는,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결합구에 삽입될 때, 상기 조립용 관통홀에 끼워져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레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후 분리되는 조립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의 내부로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로 정전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외부고무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작동버튼 몸체가 상기 레버에 설치될 때, 상기 레버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상기 작동버튼 몸체에 삽입되는 작동버튼몸체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몸체는,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레버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버튼 안치부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한 쌍의 버튼 안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컨트롤러 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인증 버튼의 신호에 의해 상기 락킹 및 락킹해제 모듈을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은,
    상기 레버가 회전될 때,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레버의 회전각이 감지되도록 상기 레버의 회전각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 사이에는 상기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 볼트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
  11. 복수의 인증 버튼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인증 버튼을 상기 결합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통로가 마련되는 작동 버튼모듈을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버를 도어락 본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을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결합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증 버튼이 상기 결합구에 구속되도록 상기 조립 통로에 조립도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삽입하고, 상기 레버에 복수의 상기 인증 버튼이 돌출되도록 상기 조립도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의 조립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용 관통홀에 상기 조립도구가 끼워지는 단계; 및
    버튼부가 상기 레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레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도구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의 조립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모듈을 상기 레버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 버튼몸체에 상기 인증 버튼을 지지하기 위한 버튼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장치의 조립방법.
KR1020120084714A 2012-08-02 2012-08-02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6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714A KR101367639B1 (ko) 2012-08-02 2012-08-02 디지털 도어락장치
PCT/KR2013/006979 WO2014021672A1 (ko) 2012-08-02 2013-08-02 디지털 도어락장치
CN201380051599.5A CN104685141A (zh) 2012-08-02 2013-08-02 数字门锁装置
US14/419,175 US20150191948A1 (en) 2012-08-02 2013-08-02 Digital door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714A KR101367639B1 (ko) 2012-08-02 2012-08-02 디지털 도어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05A KR20140017905A (ko) 2014-02-12
KR101367639B1 true KR101367639B1 (ko) 2014-02-27

Family

ID=5026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714A KR101367639B1 (ko) 2012-08-02 2012-08-02 디지털 도어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748A (ko)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보광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23A1 (ko) * 2016-01-21 2017-07-27 주식회사 아마다스 도어락의 입력 장치
KR101803511B1 (ko) 2016-02-18 2017-11-30 주식회사 아마다스 디지털 도어락의 인터페이스 모듈장치
KR102248002B1 (ko) * 2019-06-28 2021-05-03 강재욱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102522889B1 (ko) * 2020-10-27 2023-04-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마트 도어락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50Y1 (ko) 2003-08-05 2003-11-22 주식회사 넥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110096955A (ko) * 2010-02-24 2011-08-31 (주)락시스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20120038917A (ko) * 2009-06-18 2012-04-24 아닥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숨길수 있는 키패드를 통합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50Y1 (ko) 2003-08-05 2003-11-22 주식회사 넥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120038917A (ko) * 2009-06-18 2012-04-24 아닥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숨길수 있는 키패드를 통합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20110096955A (ko) * 2010-02-24 2011-08-31 (주)락시스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748A (ko)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보광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05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1948A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KR101330241B1 (ko)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67639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CA2789278C (en) Keypad lockset
US10907381B2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a monitoring unit
KR101330242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TW202024454A (zh) 具有彈簧機構之鎖定總成
KR20150047585A (ko) 차량 도어
KR20110096955A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330240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AU2011245881B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WO2016035225A1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及び該ドアラッチ装置を備えているドアシステム
KR102470477B1 (ko)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KR20110058033A (ko)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KR20110058032A (ko)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KR19980019241A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electric door latch of automobles)
TWM570337U (zh) Electronic lock detection mechanism
KR102374682B1 (ko) 온오프 감지기능을 갖는 도어락용 구동모듈 조립체
KR100410697B1 (ko) 도어 록킹장치
KR20100008050U (ko) 안티패닉레버의 회동방지용 클러치 조립체
KR20021730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원통형 도어록
CN116733301A (zh) 一种智能锁
CN116065887A (zh) 一种智能锁具
KR20050045242A (ko) 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