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241A -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electric door latch of automobles)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electric door latch of automo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241A
KR19980019241A KR1019970062064A KR19970062064A KR19980019241A KR 19980019241 A KR19980019241 A KR 19980019241A KR 1019970062064 A KR1019970062064 A KR 1019970062064A KR 19970062064 A KR19970062064 A KR 19970062064A KR 19980019241 A KR19980019241 A KR 1998001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atch
door
locking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175B1 (ko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조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규 filed Critical 조현규
Priority to KR101997006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1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의 개방 작동시스템에있어 기계적인 수단을 배제시키고 전기직 구동수단에 의하여 도어레치의 구성부품들이 정확한 작동을 발생케하며, 전기직 구동수단의 적은 운동에너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시켜 적은 힘을 큰 힘으로 전환시켜 도어레치의 작동을 용이하게하여 도어의 개방 기능을 향상시기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성되고, 또한 힌지축(23)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부품으로서 작동기기(41')은 지렛데의 원리로 구성한 시스템으로서 누름돌기(41')와 연결구(301) 및 힌지축(41)이 구성되며, 연결구(301)에 전가된 운동에너지를 힌지축(41)이 중심이동을 누름돌기(41')쪽으로 이동 구성되어 연결구(301)로부터 전가된 직은 운동에너지를 누름돌기(41')쪽에 가중시켜 전달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형상은 구동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적은 운동에너지(힘)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 초기의 적은 운동에너지를 가중시켜 강한 운동에너지(힘)로 발생시켜 다음 연계기관에 전달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 및 도어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고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기계적 작동 구조의 도어레치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게 하여 도어의 열림 및게정 또는 해정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게 하고, 지렛대의 원리로 구성된 작동기기가구동수단(40) 전동기의 적은 운동에너지(힘)를 크게하여 도어레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전동식 도어레치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켜 도어의 개방 작동을 용이하게하며,도어의 록, 언록기능 수행은 구동수단(4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기적온, 오프 신호전환에 의한 록, 언록 작동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 레치는 도난 침입 방지를 주 목적으로 하는 특수성 매문에 보안 안전성을 고취하는 차원에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근레에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도어의 록(잠금) 및 언록(잠금해제)의 부분직 기능만 제어하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공지된 바 있다.
종레 공지된 기술로서 도 9a 내지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도어레치의구조로서의 현재 상용되고있는 기계식 도어레치는 운전자의 인력에 의하여 도어핸들을 당겨, 도어 핸들의 기계직 부품인 도어혠들 행가에 연결된 와이어로드 및 스릴로드를 이용하여, 도어레치 하우징 외부에 외접되어있는 중간 록킹 레버에 연결된 로킹 플레이트 기어 및 도어레치의 주요 부품들을 기게적인 작동방법을 이용하여도어레치를 해정시졌고, 현재도 도어의 개방만큼은 상기와 같은 기계식 방법에 의하여 조작 작동되고 있는 것이다.
즉, 진자식 시스템으로서 액츄레이터를 도어 패널(P)안의 록, 언록 푸시풀 노브버튼(B)스릴 로드에 연결 푸시풀 노브 시스템(B)작동에만 적용시켜 사용하였으며, 록, 언록 단순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적 기기 액츄레이터(A) 및 솔레노이드기기의 사우드 및 연결로드 및 조립 조인트등의 부품들이 도어레치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되어있는 기기들을 외부 유리틈사이로 비정상직인 도구들을 침투시켜 강제 작동 시킬 경우 도어의 잠금기능이 강제 해정되어 자동차의 도난 및 침입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또한 기존 자동차의 도어레치의 록, 언록 전자 제어시스템인, 액츄레이터 및솔레노이드 기기는 운행 중지 후에도 게속해서 전원이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부 유리사이로 자대(명철)나 갈고리등으로 충격을 가하면 온(ON)작용이 되어 언록(잠금해제)이 되어 오디오 및 차내의 중요 부품들이 도난 당하기나 자동차의 절도가가능하였던 겻이며, 또한 도 9b, 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자동식 도어레치의 록(잠금) 구조에 있어서도 아무리 고급차라도 도어의 열림(개방)작동은 기계식 구조로제작 조립 되어 있고, 반자동식이라고 할 수 있는 도어 패널 안의 전자 부품들인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 등의 전자 기기들이 중간 연결 로드(F)로 록킹 레버기어(H)나 록킹플레이트 기어(G)에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의전자기기만 온, 오프 스위치로 작동시켜 제이하였을 뿐, 주요 연결되어 있는 부품들은 도어 패널 내부에서 노출시켜 놓고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인 C, D, E, I 는 이미 알려진 도어 패널 및 기계적 구성요소로 서 C는 기계식 도어 로크, D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 행가로드, E는 푸시풀 노브·록 버턴 로드,I는 키록실린더 및 연결 로드이다.
그러나 외국의 비싼차종에 설치되는 현재의 도어레치의 기술직 기능을 살펴보면 외부 침입에 의한 도어레치의 록, 언록 기능의 부품이 강제 해정되지않게 하기 위하여 각종 제어 센서 및 커버들을 뒤집어 씌워 보안을 강구하였으며, 그럼으로 도어 유리틈사이로 침입되는 비정상적인도구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올 막기위하여 각종 전자적 센서들을 도어레치 본체에 여러개 부착시키고, 기능을 추가시키게 되므로 부품 제조 공정이 많아지게 되고 제조 원가가 높아지고 도어레치 부품의 크기가 너무커져서 도어패널의 내부 공간이 넓어져야하는등 부대적인 비현실적 사유가 발생케 되었던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어패널 내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중간로드 및 다수의 연결 조인트등의 정밀 결합 규격올 맞추지 못하여 부정확한 오작동으로 인한 잦은 고장과 복잡한 부품구조로 인하여 조립공정의 비효율적인 요소로 제작 원가를가중시켰으며,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이 도어 패널과의 접촉으로인한 잡음등으로 인하여 승차감을 저해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기계식 도어로크는 각 주요 부품의 연계 시스템 부품들이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외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직인 도구를 침투 활용하여 도어 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특정기기인 만능 키 등의 활용으로 쉽게 강제 해정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외부 유리 사이로 자대(평철) 또는 갈고리등을 침투시켜 록킹레버및 이를 연결하는 로드 및 부품등에 충격올 가하여 도어를 강제 해정시킬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고급차종은 비정상적으로 해정되었을 때, 각종 도난 경보 기능이 작동되게 하였던 것이 있었으나, 일단 도어가 열리고 나면 신속한 동작으로 도난경보기를 제압하거나 귀중품들을 절도하거나 자동차의 절도가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중 기계식 도어로크장치의 선출원발명(공개 번호92-6603)에서는 기존 도어록의 구조적 문제점만 짚어 개론하였지, 문제점 해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이 추상적인 개론만 전개하여 놓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전자직으로 개폐되는 도어록올 발명함에 외부애 노출된 기기들이나 불필요한 부품들 제기하여, 주요 구성 부품들만 밀폐장착시켜 보안의 향상을 높이는 방법은 개론시키지 못하였으며, 반드시 전자식 방법으로 작동시키는 도어록을 설계하러면 기존 도어록의 내외부에 부착되어있는 각종 부품들올 재기 및 정리하고 진자적기기의 연계 구동되는 새로운 부품의 재발올 설계해야함에도 언급이 없고 추상적인개론만 필처 나갔고, 전기적 신호로 작동되는 전자식 도어록이라면 전기에너지의 단전 및 전기적 구동수단의 고장시얘 대비하여 비상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기능의 구성시스템을 전개하지도 않았을 뿐만아니라, 전기직 신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2중 3중 복잡한 구조의 제어시스템올 설계하여 불필요한 중간 매개체를 만들이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97-49252호(97. 9.26)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횐기적으로 개선하여 출원한 바 있고, 또한 이에 연속적으로발명한 컷으로서, 도어레치의 주요 구성부품 및 주요 부품을 밀페장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하여 도어레치의 주요 구성부품을 밀폐장착시켜 하우징 블록 외부에는 부품들이 절대 노출되지 않게 설계하여 보안을 완벽하게 구상하였고, 본 발명자의 전기적 신호 제어수단의 발명에 있어, 메인 전원 에너지를 직열 연결시스템으로 전기회로를 설계하여 최종적인 기기의 도어록의 전기직 구동수만(40)에 전기에너지를 직열방법으로 공급하여 구동수단(40)의 당김 운동 에너지로 작동기기(41)를 통하여 힘의 전달을 지렛대의 원리로 구성한 작동기기(41')에 구동수단(40)의 전동기기의 적은 운동 에너지를 가중시켜 큰 힘으로 발생케하여 도어레치의 구성 부품인 폴(톡킹플레이트)기어(30)에 직접 작동시켜 폴(록킹플레이트)기이(30)의 걸림턱(31)이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으로부터 쉽게 이탈될수있게 함에 특징으로하는시스템으로서 통상의 단순구조와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고 보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도어레치 기능은 도어의 여닫음 사용이 전기적 수단을 제공하여 용이하며, 자동차의 도난 및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보안을 주목적으로 하는 도어레치의 주기능인만큼 자동차 주요 부품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었다.
1)상기 기존의 기계식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부품들을 도어 패널안에 노출시키지 않아야 하며,
2) 상기의 기존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외부 노출된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을 원천직으로 방지하여야 하며,
3) 상기의 각종 노출 연결된 부품들을 제거하고도 정밀하고도 정확한 동작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도어레치를 발명하여야 하며,
4) 도어로크의 구성상 주요한 부품들이 도어레치 외부로 노출 연계되지 않고 도어레치 하우징 블록 내부에 밀폐 장착시킬수 있는 밀폐식 도어레치 하우징 블록과, 밀폐식 하우징 블록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주요 부품들을 발명하여야 하며,
5) 만능키 등의 침입을 막기위하여 도어외부에 부착되는 도어핸들 하우징에설치된 키 록실린더 시스템 기능을 없애야 하며, 도어의 록, 언록기능이 자동차 전자적 중앙제어기(ECU)에 프로그램화 되어 다양한 주파수 개념의 원격리모콘 온, 오프 센서스위치를 직용시켜 록, 언록 기능이 수행되게 하여야한다.
6)상기 기능을 갖춘 도어로크를 통상적으로 작동시킬수있는 전자회로도를 발명하여야 한다.
7)구동수단의 전동기기가 외형상 작아도 작은 부품애서 나오는 적은 운동에너지(힘)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크게하여 도어레치를 작동시키게하여야한다.
도 1은 선출원된 발명에 관한 자동차 도어 로크(래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선출원된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 록(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선출원된 발명의 도어 로크의 츠기 언록(잠금 해제) 해제 작동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c는 선출원된 발명의 최종 도어 로크의 언록(잠금 해제)의 환료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b는 제2실시애의 구동수단에 관하여 변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애 관한 제3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애 관한 제4실시애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5b는 반탈 스크류 기이의 작동해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콴한 제5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b는 반달 톱니기이의 작동해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어고,
도 6c는 반달 스크류 기어 홈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의 작동 시스템의 공통적으로 직용시킬 수 있는 전기회로도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내부 스위징에 대한 구성도어고,
도 9a, b, c 는 종레 공지된 기술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블록 10':통공
10:통공 11,12:커버 케이스
20:래치기어 21:걸림홈
22:록킹홈 23:힌지축
24:래치기어 탄성스프링 30:폴(로킹플레이트)기이
30:받침돌기 31:걸림 돌기
32: 힌지축 34:탄성스프링
40:구동수단 41:작동기기
41':작동기기 41:힌지축
41':누름돌기 42:보호관
24:탄성 스프링 46:보호관
51 a:수동 조작기어 51b:수동 조작 레버
60:반달 기어 60': 톱니 형상
60:구동축 70:구동축
70':토크기어박스 70:전동기기
80':도어핸들 손잡이 81':도어핸들 접지단자
82:도어핸들 하우징 접점 83:도어핸들 하우징
90:구동축
100:도어록 본체 200:키 록실린더 스위치
300:도어 핸들 스위치 302:수동언록킹 디스크
303:힌지축 304:수동조작 레버
305:구동수단 제어판 306:수동 언록킹 기기
311:보호관 313:수동언록킹 레버
312:작동기기
400:중앙제어 원격무선 온,오프 스위치 센서
500:외부 전원 소곗 600:정격전압 메인 인입 전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개방 및 잠금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에 상응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레치 본체내에 힌지축을 기점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레치(포크)기이와 이 래치기어의 록킹홈에 안내되게 힌지축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를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는 작동기기(41')과 외접되게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래치기어와 폴(로킹플레이트)기이가 장착된 하우징 블록의 외측에는 당김작동기기(41)를 결합한 구동수단(40)이 결합되어있으며, 구동수단은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전동기기이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작동기기(41)의선단이 하우징 블록을 관통하게 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형성한 작동기기(41')통하여 래치기어(20)의 제이수단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에 운동에너지를 전가시켜 폴(록킹플레이트)기이(30)를 작동시키며 작동되는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턱(31)은 레치(포크)기어의 록킹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를 해정시키고해정된 레치(포크)기어(20)는 즉시 스트라이커 핀(75)올 방출시켜 도어를 개방작동시키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에는 자동차에 사용하는 정격전압의 메인 전원을 중앙 제이시스템의 기능의 원격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온, 오프 스위치의 록, 언록 기능 및 키 록실린더의 전기직 작동 록, 언록 신호 출력에 의하여, 도어 핸들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까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겻으로 도어의 잠금 및 해정기능이 수행하는 것이다, 도어핸들까지 공급된 전기직 신호를 구동수단(40)까지 공급하는데있어 도어레치 하우징 내부의 레치(포크)기이(20)의 작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구동수단(40)까지 순차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수단이 작동됨올 특징으로하며,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레치 시스템에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며, 도어래치의 록, 언록기능은 원격무선이나, 전기직 신호를 발생하는 키 록실린더의 온, 오프 신호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자적 중앙제어기기(ECU)의 전기직 회로시스템에의하여 전자적 록킹 작동 시스템이 구성되는 것이다.
구동수(40)단이 고장일 때와 자동차 전원시스템에 이상이생겨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시키지못할 때에 비상수단으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능으로서, 수동조작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위하여 수동 언록킹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되이지도록 수동 작동 기어가 폴(록킹플레이트)기이에 상응하여 그 타단부에 배설되어 있어 비상시에만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기계식 구조로 되어 있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기능으로서 수동조작되는 기계식 부품들은 도어패널 내부에 절대 노출되어 있지않으며 노출되어있더라도 보호관으로 감싸서 외부 유리틈사이로 침입되는 비정상직도구들의 침입으로부터 방지할수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레치 시스템이다.
따라서, 키 록실린더에 기를 삽입하기나 원격 리모콘의 온, 오프 스위칭 시스템을 온(ON)으로 작동하여 각 도어핸들 스위치애 진원을 공급하면, 도어핸들을 잡아당기는 순간 도어핸들 내부장치 스위치가 자동 접점되면서 구동수단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수단이 동작 되면서 레치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차단되어지더라도 하우징 블록에 돌출된 수동 언록킹레버나 작동기기에 연계 결합된 수동조작 언록킹 레버등을 자동차의 실내에서 수동으로 조작 작동시켜 도어록의 잠금해제할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의 도어레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도어의 열림 및 도어레치의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로크 구조 및 작동에 대한 기본 실시예로서, 구동수단(40)은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략직 자시도어고, 도 2 는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애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를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 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과 구동수단(40)은 분리 설치되며,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받침돌기(31')를 형성하고, 받침돌기(31') 타단에는 수동 언 록킹레버기어(51a)가 배설 되어 있으며,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는 수동조작레버(313)와 연결 연계되어 있으며, 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0)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채(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세(100)와 수동조작레버(313)는 분리 설치되며,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수동조작레버(313)는 작동기기(312)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2)에 연결하여 폴(로깅 플레이트)기어(30)를 상부 방향으로 작동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조작레버(313)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응 작동되어 연계형성되어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하단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의 작동스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올 공급 또는 차단하며, 또다른 기능으로서 구동기기애 게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서의기능이 수행된다.
더구나,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기고, 기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312)를 보호관(46)(311)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펀이 삽입되는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뗘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313)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고, 자동차 실내 내부쪽으로 수동조작레버(313)만 돌출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탬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떻한 비정상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직을 달성한 겻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기본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통제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법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나 수동조작레버(313)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이떠한 도어패널 내부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를 피하여 부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
또한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으며,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를 구동축(32)에 회동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는 직접방시의 수동조작 언록킹 시스템이있으며, 구동수단과 결합구성된 간접방식의 수동언록킹 시스템이 있으며, 직접방식 시스템에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들출된 수동조작레버(313)가 연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어고, 도 3b는 제2실시예의 구동수단에 관하여 변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또 다른 제2실시애로서 도 3a, b는 구동수단(40)의 당김 운동 에너지로 작동기기(41)를 통하여 힘의 전달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서 구동수단의 적은 운동에너지 출력으로도 도어록의 구성 부품에 직접 전달되어 직은 힘으로 쉽게 작동켸 하고, 통상의 구조구동수단이 작동고장일 경우나 전기적 에너지 공급이 불가피한 극한 상황이 발생시에 수동에 의하여 조작가능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1,2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애 있어서,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채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이 구성되고,또한 힌지축(23)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시스템으로서 구동수단(40)이 구성되며 구성 부품으로서작동기기(41)이 구성되며 작동기기(41)는 보호관(46)으로 감싸서 외부유리 틈사이로 침입되는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되며, 레치 하우징(10) 내부에는 작동기기(41)과 결합되는 작동기기(41')이 밀페설치되며, 작동기기(41')은 지렛데의 원리로 구성한 시스템으로서 누름 돌기(41')와 연결구(301) 및 힌지축(41)이 형성되며, 연결구(301)에 전가된 운동에너지를 힌지축(41)이 중심이동을 누름돌기(41'')쪽으로 이동 구성되어 연결구(301)로부터 전가된 적은 운동에너지를 누름돌기(41')쪽에 가중시켜 전달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형상은 구동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적은 운동에너지(힘)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 츠기의 적은 운동에너지를 가중시켜 강한 운동에너지(힘)로 발생시켜 다음 연계기관에 전달시키는 것으로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은 지렛뎌의 원리로 구성한 시스템으로서 걸림돌기(31)와 받침돌기(30) 및 힌지축(32)이 구성되머, 받침돌기(30)에 전가된 운동에너지를 힌지축(32)의 증심이동이 걸림돌기(31)쪽으로 이동 구성시켜 받침돌기(30)으로부터 전가된 적은 운동에너지를 걸림돌기(31)에 가중시켜 전달시키기위하여 힌지축(32)이 걸림돌기(31)쪽으로 중심이동을 많이하여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2)의걸림홈(2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지렛대의 원리로서 구성되며, 폴(로깅플레이트)기이(30)는 힌지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축(32)은 탄지스프링(34)이 개입설치되어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를 래치기어(20)쪽으로 복귀시키는시스뎀으로 구성되며,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는 래치기어(20)를 구속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래치기어(20)로하여금 스트라이커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어의 여 닫음 기능을 수행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1') 일측 타단에는 수동조작기어(51a)가 설치되며, 수동조작기어(51a)는 구동축(90)과 연결되어있으며 구동축(90)일측에는 레치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개입 설치되는 수동조작레버(51b)가 구성되어있으며, 구동수단(40)의고장시에 수동조작레버(51b)를 작동시켜 도어를 수동개방시키는 기능으로 구성되며, 또다른 수동조작 기능 시스템으로서 구동수단(40) 타만에 수동조작 언록킹시스템이 설치되며, 수동 언록킹 레버 일측애는 구동수단(40)의 디스크판에 접촉되어 수동레버(304)의 운동에너지를 전가시키는 수동언록킹 기기(306)이 형성되어있으며, 수동언록킹레버 기기 중간에는 힌지축(303)이 개입 설치되어 수동조작기능이 작동케하며, 수동 언록킹시스템에 있어 구동수(40)단이 고장일 매와 자동차 전원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구동수단(40)으로 전윈을 공급시키지못할 때에 비상수단으로 기계적 수단의 수동언록킹 레버를 조작하여 도어를 수동 개방시키는 시스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세(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의하여 차제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올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애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기는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와 일측에는 받침돌기(30)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단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이(20)에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과 구동수단(40)은 분리 설치되며, 구동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는 지렛대가 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받침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폴(로깅 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받침돌기(31'')의 상부에 형성된 당김부(41')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의 구성요소인 걸럼돌기(31)가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당김부(41')는 중앙으로부터 좌측 일단에 힌지축(41)을 형성하고, 그일단에 받침돌기(30'')를 누를 수 있는 누름돌기(4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설치원 구동수단(40)의 일측애는 이들 구동수단이 고장날 경우에 작동가능 하도록 수동조작기기(305)에 힌지축(303)을 형성하고, 힌지축의 중앙부분에 수동조작레버(304)를 연결하여 수동조작레버의 타단인 작동부(306)가 구동수단(40)의 받침판(302)을 밀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조작레버(304)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당김부(41')에 의하여 눌림돌기(41')가 지렛대로 작용하여 받침돌기(30)가 눌러지고,이와 연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는 지렛대의 원리로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상응 작동되며, 구성 형성되어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또한, 작동기기(41')의 일측 타단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이(51a)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원 구동축(90)에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블록(10) 커버의 외측에 형성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를 누르게되면 상기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이(51a)가 회전하게 되고,이에 마라 눌림돌기(41')가 눌러집과 동시에 하부에 배설된 받침돌기(30가 작동되어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 홈(22)에서 이탈 되는것이다.
이와 같이,본 시스탬은 지렛대의 윈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도어레치로서 본 전자식 도어레치의 경우 도어패널 내부의 공간이 여유롭지 못할 때 구동수단(40)와 도어레치본체(10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가 없으므로 구동수단(40)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야 한다,
하지만, 구동수단(40)을 작게 제작할때에는 운동에너지의 힘의 값이 약해지기 때문에 도어레치(100)의 하우징 내부의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에 과중한 부하가 가해질 때 구동수단(40)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작동기기(41)가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구동수단(40)의 전동기의 험은 작으나 작동기기(41)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 제작한 작동기기(41)를 통하여 구동수단(40)의 전동기 작은 힘의 값올 세게하여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에 전달하여 레치(20)기어의 록킹홈(22)에서 쉽게 이탈되게하는 것이다.
이러한 윈리를 이용하면 전동기의 적은 힘을 몇배로 증가시켜 전달시키게 되고, 지렛대의 원리 구성으로 형성된 작동기기의 시스탬이 몇번이나 반복 구성되어지냐에 따라서 구동수단(40)의 전동기기의 1차적인 작은 힘이 밀거나 당김 운동 에너지가 마지막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에 가하여지는 힘의 값이 커지기 때문에 자동차 도어레치의 경우 좁은 공간에서의 작은 구동수단(40) 전동기로부터 회대의 힘의 값을 얻을 수 있으며 도어레치는 작은 구동수단과 일세형으로 결합 구성세작될수 있는 장점이 생기는것이다.
또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 및 작동기기(41)의 부품재작구성의 힘의 값이 힘의 힌지축(받침점)(41)의 이동에 의하여 구동수단(40)전동기의 초기의 작은 힘을 크게 또는 작게 진달시키는 것이다.
본 시스템의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의 구성요소는 지렛대의 원리를 직용시키기 위하여 제작하며, 그 구성요소는 걸림들기(31)와 힌지축(32), 힘의 접점부인받침돌기(30)로 구성되며, 폴(로깅플레이트)기이(30)부품의 제작구성이 지렛대의원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구동수단(40) 전동기기의 힘을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으로부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턱(31)이 쉽게 이탈될 수 있게 하였다.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에 있어서 무게힘의 균형 중심이동을 위한 힌지축(32)를 얼마만큼 이동하느냐에따라 폴(로킹플레이트)기 어(30)의 걸림돌기(31)이 래치기어(20) 걸림홈(21)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작동기기의 당김부(41')의 구성요소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와 접점되어 힘을 전달시키는 접점부인 눌림돌기(41')와 힌지축(41)으로 구성되며, 그 작동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은 구동수단(40)의 전동기는 작동기기(41)로부터밀거나 당김 은동에너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며, 힌지축(41)의 중심이동에의하여 발생원 힘올 눌림돌기(41')가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힘의 접점부인 받침돌기(30)를 밀이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럼턱(31)이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으로부더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탬애 의하여 연계적으로 작동되어 자동차 도어레치(100)가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내부에는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올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어 있다.
감지스위치(센서)(80)의 기능으로서 래치기어(20)의 타단에 배설되며 감지센서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원 및 전기적신호를 공급 및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기능이며, 또다른 기능으로서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주는 2차적 안전 제어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된다.
더구나,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기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를 보호관(46)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기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뗘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자동차 실내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레버(304)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매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고,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조작레버(304)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제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떠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기본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통체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나 수동조작레버(304)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
도 3b는 제2실시예의 구동수단에 관하여 변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구동수단(40)을 하우징 블록(10)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제작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40')에 연계된 작동기기(41)에는 당김부(41')와의 사이에 스프링(41a)을 설치하여 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구동수단의 받침대이다.
이하, 작동관계는 상기 실시얘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동수단(55)의밀림 운동 에너지로 작동기기(44)를 통하여 힘의 전달을 지랫대의 원리로 구성된 폴(로킹프르레이트)기이(30)의 받침돌기(33)를 밀며 받침돌기 일측에는 걸림턱(31)이구성되어있으며, 받침 돌기로부터 전해진 구동수단의 적은힘을 힌지축의 중심이동이걸림돌기쪽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므로 받침돌기(33)에 전가되는 적은힘을 가중시켜 큰 힘으로 걸림턱(31)을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쉽게 이탈시켜 연계적 시스템으로 도어레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3a, b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에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올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애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를 복윈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좌단에는 받침돌기(3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받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수단(55)에는 전자석등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로드(44)가 형성되어 있어, 이의 신호에 따라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올 래치기어(20)로부터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폴(로깅 플레이트)기어(30)의 타판은 수동조작레버(313)와 연계되어 있으며,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0)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세(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수동조작레버(313)는 분리 설치되며,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수동조작레버(313)는 작동기기(312)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를 작동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조작 레버(313)는 도어패널 내부에 노출되않고 자동차 실내 내부쪽으로 돌출되이있으므로 구동수단(55)의 고장이나 전기적 결함으로 구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시키지 못할 때에 수동조작으로 도어를 개방시키는 시스템이다.
상기 수동조작레버(313)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스트라이크핀(75)올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4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의 열린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3a, b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에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이(20)가 록킹홈(22)과 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를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좌단에는 당김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그상단에 수동조작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의 우단에는 기이톱니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애 이와 맞물려 작동되는 톱니(60')가 형성된 반달톱니기이(60)가 모터축(60o)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달톱니기어(60)는 모터축(60'')에 연결된 토크기어박스(70')및 모터(70)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b는 본 실시애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겻으로, 모터에 의하여 반달톱니기어(6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고정됨으로서 상기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개방시킨다,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의 타단은 수동조작레버(313)와 연계되어 있으며,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0)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수동조작레버(313)는 분리 설치되며,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수동조작레버(313)는 작동기기(312)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깅플레이트)기이(30)의 당김부(313)에 고리형상으로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상부 방향으로 작동켸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조작레버(313)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단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의 열린상태를 나타낸 겻이고, 도 6b는 본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반달스크류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3a, b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에 의하여 구속 및 방출되며,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 의하여래치기이(20)를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의 좌단에는 당김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그상단에 수동조작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우단에는 기어톱니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에 이와 맞물려 작동되는 반달스크류기어(160)가 모터축(165)에 연결되어 스크류기어(16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달스크류기이(160)는 모터축(165')에 연결된 토크기어박스(170') 및 모더(170)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b는 본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모터에 의하여 반달스크류기어(16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고정됨으로서 기어톱니부(132)는 반달스크류기어(160)의 반달스크류기어홈(162)(도 6c참조)에 위치되어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개방시킨다,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의 타단은 수동조작레버(313)와 연계되어 있으며,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0o)에는 수동조작레버(313)의 작동기기(312)를 보호하는 보호관(311)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수동조작레버(313)는 분리 설치되며, 수동조작레버(313)는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수동조작레버(313)는 작동기기(312)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당김부(313)애 고리형상으로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를 상부 방향으로 작동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조작레버(313)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이(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스트라이크펀(75)올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도 7은 상기 도어록의 작동을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잠김 장치의 전기회로 시스템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도 7 a, b는 본 발명의 도어록킹 시스템의 전기회로도로서, 자동차에 탑재된축전지의 메인전원이 그 타단 일측에는 밧데리(600)와 비상시 자용되는 건전지연결용 및 예비 밧데리 연결용 외부 소켓(500)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제이 원격무선 온,오프 스위치(400)나 운전석과 조수석의 기 록실린더(200)에 연결되고, 각 키록실린더 및 메인키시스템을 통과한 전원은 자동차의 모든 도어에 부설된 도어핸들(300)스위치에 각각 공급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 핸들(300)스위 치 와 구동수단(40)의 사이 에 는 감지센서스위치(80)가 연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두 개의 원격무선 온, 오프스위치센서 및 키 록실린더(200)중 이느 하나의 키 록실린더(200)에 키를 꽂아 록킹을 해제 시키는 온(ON) 작동 순간 도어핸들(300)에 전류를 흘려 보내게 되고, 도 8에서의 도어 핸들(300)을 약간 잡아당기면 메인전원에 연결된 접점과 출력측 접점이 접속되어 전원올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이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센서스위치(80)에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스위치(80)는힌지축(23)올 지점으로 회동되는 래치기어(20)에 외접원 탄성 접지봉(81)에 의하여전기적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래치기어(20)가 잠금상태이거나 절반쯤 잠긴상태애서는 각단자가 접속되면서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7a에서와 같이 키 록실린더(200)의 해정동작후 도어핸들(300)을 잡아당기는 순간 구동수단(4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록본체(100)가 열림상태가 되어자동차도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비상시에 있어서 기존 자동차는 밧데리가 환전 방진되었을 시에는 엔진실 본넷을 열고난 후 차체 밧데리 단자에 비상 밧데리 점프선올 연결하여 시동을 하였으나(여기서 공통점으로서 기계식 도어로크나, 반자동식 도어로크는 도어를 열어야 자동차 내부로 들이가서 내부에 설치된 엔진실 본넷 버튼을 작동시킨 후 본넷을 열고 비상 밧데리로 연결 시동하였으나), 본 외부 소겟(500)은 차체 밧데리와 연결되어 있어 본넷을 열지 않고도 비상 밧데리 전원을 외부 소겟에 연결하면 본넷을 열지않고도 시동을 할 수 있으며, 도어 해정시에도 도어로크로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치 않는다.
도 7b는 상기의 메인전원과 기 록실린더(200)을 제기시키고 메인 전원과 원격무선리모콘(400)올 설치하여, 키 록실린더(200)를 대신하는 원격무선 ON/OFF 스위치를 직용하여 해정 또는 게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기 조작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만능키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스위징(300)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손잡이(80')를 당길 경우에는 도어 하우징(83)애 설치된 접지단자(81,)가접지판(82)에 접점되어 스위칭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통적인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a, b, c 는 상기 도어잠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래치기어(20)의 록킹홈(42)에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됨과 아올러 타측의 록킹홈(22)에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삽입되면 도 2a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는잠기게 되고, 전기직인 온(ON)신호에 의해 구동 수단(40)이 동작되면서 그 작동봉(41)이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를 끌어당기면 록킹홈(22)으로 부터 걸림돌기(31)가 이탈되어 도 2b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 펀이 방출되어 자동차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경우는 구동수단의 전원(600)이 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경우에 한한다.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는 만약, 구동수단(40)이 고장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다른 문을 열고 내부로 들이가 실내 돌출된 수동조작레버(313)를 조작하여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와 걸림돌기(31')를 회동시키면서 동시에 구동축(32)과 이에 결합된 일체적으로 된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를 회동시켜 레치트기어(20)를 해정하고 스트라이크핀을 방출게하여 도어를 오픈 시키므로, 구동수단(40)의 동작을 대신하게 되어 비상시에 대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전기 회로도의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해정 및 괘(언록,록) 작동 시스템으로서, 도 7a, b의 도면부호 400,200의 중앙제어 메인키 실린더및 원격리모콘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해정시에는 온으로 작동시켜 도면부호 300의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 공급만으로 해정(언록,잠금 해제) 작동이 되는 것이며, 괘정작동으로서 도면부호 200,400올 오프상태가 되게 조작하면 도면부호 300의 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되어 괘정(록,잠금)시킬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감지스위치(80)얘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수단(40)이 구동을 개시하고, 이에 의해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가 작동되면서 걸림돌기(31)가 록킹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가 열림상태가 된다.
이이서 상기 래치기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센서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구동수단(4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기기가 1회 당김작동된 후 멈추게 된다.
또한 여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괘정 및 해정작동은 상기와 같으며, 구동수단(40)의 작동상태의 고장시에는 구동수단의 일측에 수동조작레버(304)가 배설되어 있기 매문애, 상기 하우징 블록(10)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조작레버(304)가 힌지축(303)을 통하여 받침판(302)을 밀어줄 수 있고,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동조작레버를 언제나 수동으로 조작하면 연계된 부품들이 작동되어 도어록 본체(100)를 열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레치 시스템은, 종래에 도어레치 본체의 해정시 각종 도어손잡이 등에 연결되는 행가로드, 게이블 또는 스틸로드, 록킹플레이트 기어, 푸시풀노브 플레이트 레버등 도어레치의 하우징에 외접되게 설치된 복잡한 기계적 부품들을 완전 제기하여 자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게와 제작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경제직인 장점이 있올 뿐만 아니라, 특히 힘의 전달을 지랫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서 모터의 소형이나 적은 출력으로도 도어록의 구성부품에 직접 전달되어 적은 힘으로 쉽게 작동케함으로씨 조작이 수월하고, 도어록 본체의 주요 구성부품과 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밀폐결합되게하여 비정상적인 도구의 침입을 막아 오동작을 방지함에 따라 도난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기서 손쉬운 전자적 전기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록, 언록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룩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이 고장날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본 전동식 도어로크는 기존 도어로크보다 더 정밀한 기능으로 작동되며 록, 언록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룩한 것이다.
또한 기존 도어로크의 기계식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제품의 조립공정도를 대폭 줄여서 제품의 제조 원가를 줄였으며, 밀폐식 일체형의 도어로크로 하우징 블록을 형성을 발명하여, 종래에 도어의 외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직인 도구를 침투시켜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만능 키 등의 사용으로 속수무책으로 열리던 단점을 사전에 막을 수 있으며, 본 전동식 도어로크로는 도어유리를 깨지않는한 상기의 비정상적인 방법에도 질대 열리지 않는 도난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도어레치 본세(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 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을 하는 걸림홈(21)으로 구성되며, 래치기어(20)에는 회전가능케 형성된 힌지축(23)이 개입 설치되고, 래치기어(20)일측에는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의해 회진가능하게 결합되며,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에는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에 회전 복귀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개입 설치구성되며, 작동기기(41')는지렛데의 원리로 구성된 누름돌기(41')와 연결구(301) 및 힌지축(41'')이 구성되며,상기 분리 설치되는 구동수단(40)의 일측에는 수동 언록킹조작기기(305)가 구성되며, 상기 조작기기(305)의 양쪽에는 수동조작 언록킹레버(304)와 구동수단의 받침판(302)을 밀 수 있게 구성된 작동부(306)가 구성되며, 래치기어(20)의 타단에는 감지스위치(센서)(80)가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수단올 세어하는 구성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식 도어레치.
  2. 도어레치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 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을 하는 걸림홈(21)으로 구성되며, 래치기어(20)에는 회전가능게 형성된 힌지축(23)이 개입 설치되고, 래치기이(20)일측에는 래치기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에는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가래치기어(20)에 회전 복귀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개입 설치구성되며, 작동기기(41')는지렛대의 원리로 구성된 누름 돌기(41')와 연결구(301) 및 힌지축(41'')이 구성되며,누름돌기(41') 타단에는 수동조작기 어(51a)가 배설되며, 수동조작기 어(51a)는 구동축(90)이 구성되며, 구동축(90)의 일측에는 수동조작 언록킹 레버(51b)가 결합 구성되며,수동조작언록킹레버(51b)는 레치하우징(10)외부로 돌출되어있으며, 래치기어(20)의 타단에는 감지스위치(센서)(80)가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수단을 제이하는겻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동식 도어레치.
  3. 도어레치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제 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올 하는 걸림홈(21)으로 구성되며, 래치기어(20)에는 회전가능게 형성된 힌지축(23)이 개입 설치되고, 래치기어(20)일측에는 래치기어(20)를 복귀시기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폴(로깅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폴(록킹플레이트)기 어(30)에는 폴(록킹플레이트)기 이(30)가 레치기어(20)에 회진 복귀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개입 설치구성되며,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지렛대의 원리로 구성된 받침돌기(30)와 걸림턱(31)이 형성되며,걸림턱 쪽으로 힌지축(32)가 구성되며, 받침돌기(30'') 타단에는 작동봉(44)이 배설되어있으며, 작동봉(44)은 구동수단(55)의 전기적 에너지로 실린더 작동이 되는 작동봉(44)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수동조작 언록킹레버(313)의 작동기기(312)가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의 일측 연결구(301)에 결합구성되며, 작동기기(312)에는 보호관(311)이 감싸져 본체(10')와 밀페결합구성되었으며, 수동 조작 언록킹 레버는 자동차 실내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래치기어(20) 타단에는 감지스위치(센서)(80)가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진기직 신호수단올 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전동식 도어레치.
  4. 도어레치 본체(100)애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 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을 하는 걸림홈(21)으로 구성되며, 래치기어(20)에는 회전가능케 형성된 힌지축(23)이 게입 설치되고, 래치기어(20)일측에는 래치기어(20)를 복귀시기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이(30)가 힌지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에는 폴(록킹플레이트)기 어(30)가 레치기어(20)에 회전 복귀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개입 설치구성되며,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일측에는 당김부(131)가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에는 기이 톱니부(132)가 형성되어있으며, 톱니기이부(132) 타단에는 구동수단(70)의 반달 톱니기어(60)가배설되어있으며, 구동수단(70)은토크기어박스(70')와결합구성되며, 상기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의 당김부(131) 타단에는 본세의통공(10')을 관통하여 구성된 수동조작 작동기기(312) 배설되어 있으며, 작동기기(312)는 수동언록킹레버(313)와 연결구성되며, 작동기기(312)에는 보호관(311)이 감싸져 본제(10')와 밀폐결합구성되었으며, 수동언록킹레버(313)는 자동차 실내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래치기어(20) 타단에는 감지스위치(센서)(80)가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수단을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식 도어레치.
  5. 도어레치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블록(10)내부에 차체 프레입의 스트라이기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는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작동올 하는 걸림홈(21)으로 구성되며, 래치기어(20)에는 회전가능켸 형성된 힌지축(23)이 개입 설치되고, 래치기어(20)일측에는 래치기어(20)를 복귀시기는 단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구성되어 있으며,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결합되며,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에는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에 회전 복귀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개입 설치구성되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일측에는 수동 작동 당김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또다른 일측에는 톱니워엄기어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워엄기어(132)부 타단에는 반달스쿠류워 엄기어(165)가 배설되 어 있으며, 반탈스크류워엄기어(165)는 토크기 이 박스(170')와 결합 구성되어 있으며, 토크기어박스(l70')는 구동수단(170)과 결합구성되며, 상기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의 당김부(131) 타단에는 본체의통공(10')을 관통하여구성된 수동조작 작동기기(312) 배설되어있으며, 작동기기(312)는 수동언록킹레버(313)와 연결구성되며, 작동기기(312)에는 보호관(311)이 감싸져 본체(10,)와 밀페결합구성되었으며, 수동 조작 언록킹 레버(313)는 자동차 실내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래치기어(20) 타단에는 감지스위치(센서)(80)가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로 보내지는 진기적 신호수단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동식 도어레치.
KR1019970062064A 1997-11-21 1997-11-21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KR10025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64A KR10025617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64A KR10025617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41A true KR19980019241A (ko) 1998-06-05
KR100256175B1 KR100256175B1 (ko) 2000-05-15

Family

ID=1952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064A KR10025617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33A (ko) * 2001-07-20 2003-01-29 박재현 자동차용 도어록
CN108590383A (zh) * 2018-05-14 2018-09-28 深圳市路畅电装科技有限公司 一种整体锁芯的汽车电动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27B1 (ko) * 2002-06-01 2004-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100475741B1 (ko) * 2002-11-04 2005-03-11 평화정공 주식회사 전기식과 기계식이 일체화된 트렁크 리드 래치
KR102059335B1 (ko) 2018-04-02 2019-12-26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WO2019194447A1 (en) * 2018-04-02 2019-10-10 Woobo Tech Co., Ltd. Vehicle door handle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electric la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33A (ko) * 2001-07-20 2003-01-29 박재현 자동차용 도어록
CN108590383A (zh) * 2018-05-14 2018-09-28 深圳市路畅电装科技有限公司 一种整体锁芯的汽车电动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175B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3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6733052B2 (en) Power operated vehicle door latch
US6575507B2 (en)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US6899361B2 (en) Self-locking latch and locking system equipped with said latch
US6511106B2 (e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US6526790B2 (en) Closing device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JP2004511687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EP1035282A1 (en) Electronic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102055902B1 (ko) 차량 도어
US20120091740A1 (en) Latches
US20140200774A1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and method
US5997055A (en)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JP2003090158A (ja) 車両用ゲートロック装置
US5029915A (en) Vehicle door locking system
CN108930462A (zh) 用于车门的具有双向电力释放功能的闭合闩锁
KR20200067185A (ko) 자동차 도어 로크
US6082158A (en) Closing device
CN110397357A (zh) 与车门中的闭合闩锁组件一起使用的远程双锁组件
CN104453488A (zh) 全球通用的闩锁系统
KR19980019241A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electric door latch of automobles)
WO1999000572A1 (en)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WO1999041474A1 (en) A motor vehicle door locking system
JP2022538316A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KR100249478B1 (ko) 자동차의도어로크(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