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477B1 -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477B1
KR102470477B1 KR1020160117178A KR20160117178A KR102470477B1 KR 102470477 B1 KR102470477 B1 KR 102470477B1 KR 1020160117178 A KR1020160117178 A KR 1020160117178A KR 20160117178 A KR20160117178 A KR 20160117178A KR 102470477 B1 KR102470477 B1 KR 10247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knob
door lock
clutch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375A (ko
Inventor
류상우
장인영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의 노브축과 연결축을 연결하기 위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노브에 의해 작동하는 축과 키에 의해 작동하는 축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에 있어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탄성지지된 노브;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브의 말단에 설치된 제1 클러치 기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클러치 기어가 선단에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연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고정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연결되어 모티스를 작동하는 작동기어; 상기 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밀착된 클러치 부재;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키축이 삽입된 키축이 구비된 키실린더; 및 상기 연동기어에 기어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Assembly for connecting knob of door lock}
본 발명은 노브 연결 구동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노브 구동축과 키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도어락은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키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락은 조작하기 간편하고 해정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어서 요즘 들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종래의 도어락 내측 손잡이는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2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모티스의 잠금을 해정시켜 문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 손잡이(20)의 구동축(25)의 선단에는 노브(21)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 노브(2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외측 손잡이를 구동시켜도 문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하는 잠금상태의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은 노브(21)의 연결축이 내부에서 구동모터 등과 연결되어 일정 텐션(tension)을 받는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0'은 내측 본체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갑자기 노브(21)를 구동시키는 도중에 전자인증 등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노브(21)의 수동 회전력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거나 부하를 가하여 구동계의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아울러 노브(21)의 작동 도중에 외측에서 키를 통한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들 사이의 연결부분이 손상되거나, 그 역방향 회전(키를 통한 역회전)에 의해 구동모터의 기어부가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어, 이 경우에도 역시 구동모터의 구동계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70825호(공고일: 2014. 01. 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노브 구동축과 키 구동축을 동일 축에서 구성하고, 이들 구동축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거나 부하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클러치 구조가 중간에 적용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브에 의해 작동하는 축과 키에 의해 작동하는 축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에 있어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탄성지지된 노브;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브의 말단에 설치된 제1 클러치 기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클러치 기어가 선단에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연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고정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연결되어 모티스를 작동하는 작동기어; 상기 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밀착된 클러치 부재;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키축이 삽입된 키축이 구비된 키실린더; 및 상기 연동기어에 기어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는 철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감지부는 철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노브 또는 상기 키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면 상기 클러치 부재가 슬립되어 상기 연동기어에 기어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로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면에는 상기 클러치 부재의 일측면을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들 중간에 클러치 부재를 개입시켜, 도어락 설정 중에 노브나 키실린더를 통해 구동모터에 역방향 회전이나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어 실내 또는 실외측으로 부터의 인증을 구별함으로써 다양한 보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에 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어(D)를 사이에 두고 내측 본체(30)와 외측 본체(40)가 볼트(B)를 통해 설치된 구조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내측본체(30)에는 노브 조립체(50)가 형성되고, 외측에 손잡이(31)가 형성되고, 손잡이(31)에는 샤프트(32)가 연결된다. 또한 내측 본체(30)는 브라켓(50a)을 매개로 도어(D)의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어(D)의 타측으로는 외측본체(40)가 설치되고, 외측본체(40)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다. 내측본체(30)에는 노브 조립체(50)와 동축상으로 키실린더(60)가 연결되는데, 키실린더(60)의 키축(61)과 노브 조립체(50)의 작동축은 동일선상에서 직선으로 배치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50)는 노브(51)가 내측본체(30; 도 2a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말단에 제1 클러치 기어(53)가 형성된다. 또한 노브(51)는 내측 본체(30)에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사용자가 노브(51)를 누르면 제1 클러치 기어(53)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S)의 말단에는 링부재(52)가 개입될 수 있다.
한편 내측본체(30)의 내부에는 지지판(82)이 장착되고, 지지판(82)에는 회전축(85)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회전축(85)의 선단에는 제2 클러치 기어(54)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노브(51)를 눌러서 제1 클러치기어(53)가 제2 클러치기어(54)에 맞물리는 경우에는 노브(51)의 회전이 회전축(8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85)에 연결된 구동기어(83)가 회전되고 구동기어(83)의 회전은 작동기어(95)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구동기어(83)는 클러치부재(90)를 사이에 두고 연동기어(63)가 배치되고, 연동기어(63)는 구동모터(70)의 기어부(71)와 기어연결된다. 이에 따라 모터본체(72)와 기어부(71)로 구성된 구동모터(70)는 전동력으로 기어부(71)를 회전시켜 연동기어(63)를 선회시키고, 중간에 개입된 클러치부재(90)의 일정 마찰력으로 구동기어(8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83)에는 요홈(82a)이 형성되고, 이 요홈(82a)에 클러치 부재(90)의 일부가 인입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충분한 마찰력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70)의 구동력을 통해 구동기어(8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작동기어(95)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전자인증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85)은 선단에 제2 클러치기어(84)가 고정되고, 중간에 구동기어(83)가 관통고정된다. 또한 구동기어(83)의 측면으로는 클러치부재(90)를 사이에 두고 연동기어(63)가 삽입관통된다. 또한 회전축(85)에서 연장되고 회전축(85)보다 큰 지름을 갖는 연결 포스트(62)의 내부로는 키축(6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키축(61)의 회전은 연결 포스트(62)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85)을 회전시키고, 회전축(85)에 연결된 구동기어(83)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기어(95)를 작동시키고, 이를 통해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하다.
즉, 키실린더(60)의 동작에 의해 키축(61)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구동기어(83)가 회전되어 작동기어(95)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판(82)의 일측면(노브측을 향하는 면)에는 감지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감지부(82)는 철성분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때 제1 클러치기어(53)를 철재질로 형성하고, 도어락 작동시 노브(51)를 사용자가 누른 경우, 제1 클러치기어(53)가 이동되어 제2 클러치기어(54)에 맞물리고, 이 상태에서는 지지판(82)에 형성된 감지부(81)가 이를 감지할 수 있어 노브(51)의 작동으로 인한 해정이나 잠금작동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판(82)에서 제1 클러치기어(53)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노브 조립체(5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되어 보안업체나 종합 경비시스템의 내/외부 인증상황 파악의 신호(보안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브 조립체(50)를 통한 도어락 잠금 및 해정 설정의 경우, 사용자가 노블(51)를 내측본체(30)에서 누른 상태로 회전시키면 제1 클러치기어(53)가 제2 클러치기어(54)에 맞물린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 클러치기어(54)가 회전하면 회전축(85)과 함께 구동기어(83)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83)와 연결된 작동기어(95)가 회전하게 되어 모티스를 작동시키게 된다(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 설정).
다음으로 구동모터(70)를 통한 도어락 잠금 및 해정 설정의 경우, 전자인증이나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0)가 작동하게 되면 기어부(71)의 구동력이 연동기어(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동기어(63)는 회전축(85)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고정되지 않은 상태)로서 회전축(85)에서 회전하고, 클러치 부재(90)와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기어(83)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클러치 부재(90)는 충분한 마찰력을 갖도록 고무나 실리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부재(90)를 매개로 구동모터(70)의 회전은 연동기어(63)와 클러치 부재(90)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기어(73)를 회전(동기화)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작동기어(95)를 구동시킴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70)의 기어부(71)와 연결된 연동기어(63)와 구동기어(83)를 직결하지 않고 클러치 부재(9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구동모터(70)를 통한 작동 중에 노브(51)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이 서로 충돌되어 구동모터(70)에 역방향 회전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즉, 구동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연동기어(63)가 회전되는 중에, 노브(51)를 통한 수동 회전력에 의해 구동기어(8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구동기어(83)는 클러치 부재(90)에서 슬립(미끄러짐)됨으로써, 그 수동 회전력이 연동기어(63)를 통해 기어부(7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70)를 통한 해정 설정중에 노브(51)를 통한 작동부하가 기어부(7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키실린더(60)를 통한 도어락 잠금 및 해정 설정의 경우, 사용자는 외부에서 키를 통해 키실린더(60)를 회전시키고, 키축(61)의 회전에 의해 연결포스트(62)에서 연장된 회전축(85)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축(85) 중간에 고정된 구동기어(83)가 회전되어 구동기어(83)에 맞물린 작동기어(95)를 작동시킴으로써 모티스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키실린더(60)에 의한 동작시 노브(51)의 제1 클러치기어(53)와 회전축(85)의 선단에 고정된 제2 클러치기어(54)는 서로 단락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이들 노브(51)와 키축(61)은 연동되지 않는다. 또한 키축(61)의 회전은 연동기어(63)의 회전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연동기어(63)에 기어연결된 기어부(71)를 역회전시키거나 작동부하를 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브(51)와 회전축(85)이 서로 클러치 기어(53,54)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단락될 수 있어, 사용자가 의도한 경우에만 노브(51)를 통한 도어락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70)의 기어부(71)는 연동기어(63)와 구동기어(83) 사이에 클러치 부재(90)를 매개로 간접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70)에 의한 작동중에 노브(5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이들 사이에서 클러치 부재(90)의 슬립(미끄러짐)에 의해 그 반력이 구동모터(7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키축(61)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도 구동기어(83)만을 회전시킬 뿐, 중간에 개입된 클러치 부재(90)가 연동기어(63)에서 슬립됨으로써 기어모터(7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30: 내측본체
40: 외측본체
50: 노브 조립체
51: 노브
52: 링부재
53: 제1 클러치 기어
54: 제2 클러치 기어
60: 키실린더
61: 키축
70: 구동모터
71: 기어부
72: 모터본체
81: 감지부
82: 지지판
82a: 요홈
83: 구동기어
85: 회전축
90: 클러치부재

Claims (5)

  1. 노브에 의해 작동하는 축과 키에 의해 작동하는 축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에 있어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탄성지지된 노브;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브의 말단에 설치된 제1 클러치 기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클러치 기어가 선단에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연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고정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연결되어 모티스를 구동하는 작동기어;
    상기 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밀착된 평판형의 클러치 부재;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키축이 삽입된 키축이 구비된 키실린더; 및
    상기 연동기어에 기어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는 철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또는 상기 키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면 상기 클러치 부재에서 상기 구동기어가 슬립되어 상기 구동모터로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면에는 상기 클러치 부재의 일측면을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KR1020160117178A 2016-09-12 2016-09-12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KR10247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78A KR102470477B1 (ko) 2016-09-12 2016-09-12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78A KR102470477B1 (ko) 2016-09-12 2016-09-12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75A KR20180029375A (ko) 2018-03-21
KR102470477B1 true KR102470477B1 (ko) 2022-11-24

Family

ID=6190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178A KR102470477B1 (ko) 2016-09-12 2016-09-12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533B (zh) * 2018-10-24 2024-02-02 张芝衔 智能锁具防撬装置及智能锁
CN109253214B (zh) * 2018-10-29 2023-09-08 深圳市罗漫斯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应急变速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002B1 (ko) 2012-01-03 2012-12-20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002B1 (ko) 2012-01-03 2012-12-20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75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0742B1 (en) Device at lock
US9316022B2 (en) Lock assembly having lock position sensor
US8365561B2 (en) Electric door lock
US10711486B2 (en) Lock clutch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TWI816878B (zh) 鎖定總成及操作其之方法
US9273489B2 (en) Lock assembly having motor inside interior operator handle
US20050044908A1 (en)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US20150191948A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US20160326773A1 (en) Lockset with cylinder integrity sensor
KR102470477B1 (ko)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KR100953706B1 (ko)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KR101330241B1 (ko)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장치
US11525279B2 (en) Handle device
US11661771B2 (en) Electronic drive for door locks
KR101367639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30242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US20200332559A1 (en) Transmission structure for electronic lock
SE539749C2 (en) Electronic door lock operating device
WO2020064233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mechanisms
US20080190155A1 (en) Hub Locking Apparatus For Mortise Lock Assembly
CN216811302U (zh) 电子后锁
KR20090013145U (ko)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JP6646318B1 (ja) 鍵機構
CN113622748A (zh) 电子后锁及其控制方法
TWI276731B (en) Mot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