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34B1 -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 Google Patents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634B1
KR101367634B1 KR1020130110334A KR20130110334A KR101367634B1 KR 101367634 B1 KR101367634 B1 KR 101367634B1 KR 1020130110334 A KR1020130110334 A KR 1020130110334A KR 20130110334 A KR20130110334 A KR 20130110334A KR 101367634 B1 KR101367634 B1 KR 10136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coating
coating surface
mma
weight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건용
Original Assignee
송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건용 filed Critical 송건용
Priority to KR102013011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면 논슬립 특성과 더불어 차열 특성도 우수한 도막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막 포장재는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MMA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열 특성의 그래뉼은 그래뉼 형태의 무기 기재(substrate)에 770nm 내지 2200nm 사이의 파장 범위 모든 지점에서 사실상 20%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의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면 논슬립 특성 뿐만 아니라 차열 특성도 우수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NON-SLIP PAVED MATERIAL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SHIELDING PROPERTY}
본 발명은 도막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면 논슬립 특성과 더불어 차열 특성도 우수한 도막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는 노면이 견고하고 평탄하여 차량 주행시 쾌적하고 양호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스팔트 도로나 콘크리트 도로는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 그 노면이 미끄러워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방해한다. 특히, 커브길, 비탈길의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아스팔트 도로나 콘크리트 도로의 노면에 골재 및 결합를 사용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의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기준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미끄럼 방지용 골재는 마찰계수가 크고 내마성이 우수한 경량 골재로서 모스 경도가 8.0 이상이고 입자 직경이 5mm 정도인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있다. 이를 위해, 대부분 제철소에서의 제강공정 중에 생성되는 슬래그나 실리카, 폐유리 등을 결합재에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노면에 부착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의 대표적인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29호(1998년 9월 17일 등록, 발명의 명칭 "제강 슬래그(SLH)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시설용 골재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54160호(2004년 10월 14일 등록, 발명의 명칭 "동 슬래그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골재의 제조방법")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또 다른 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675호(1998년 10월 21일 등록, 발명의 명칭 "포장 도로의 미끄럼 방지제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제")에 제시되어 있다. 전자는 제강 슬래그나 동 슬래그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 시설을 하기 위한 것이고, 후자는 골재를 포함한 미끄럼 방지제를 용용하여 액상으로 노면에 직접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 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시공되어진 미끄럼 방지 포장층의 경우에는 외부열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태양 복사열이 강한 여름철에 태양열이 지면을 이루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자체의 노면의 지형 변화가 생겨 평탄함을 상실하게 된다. 이는 그 자체로 위험 상황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주변으로의 열대야 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5315호(2008년 8월 25일 등록, 발명의 명칭 "차열 기능을 갖는 노면 논슬립 포장재 조성물 및 시공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420호(2008년 8월 28일 등록, 발명의 명칭 "차열성을 갖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에서는 미끄럼 방지 기능 외에 차열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경우에는 차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성분으로 인해 내마모성이 부족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떨어뜨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29호(1998년 9월 17일 등록, 발명의 명칭 "제강 슬래그(SLH)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시설용 골재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54160호(2004년 10월 14일 등록, 발명의 명칭 "동 슬래그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골재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675호(1998년 10월 21일 등록, 발명의 명칭 "포장 도로의 미끄럼 방지제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5315호(2008년 8월 25일 등록, 발명의 명칭 "차열 기능을 갖는 노면 논슬립 포장재 조성물 및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420호(2008년 8월 28일 등록, 발명의 명칭 "차열성을 갖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 논슬립 특성 뿐만 아니라 차열 특성도 우수하고 외관(골재 고유의 색상 연출)도 미려한 도막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MMA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차열 특성의 그래뉼은 그래뉼 형태의 무기 기재(substrate)에 770nm 내지 2200nm 사이의 파장 범위 모든 지점에서 사실상 20%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의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상기 MMA 계열 수지가 1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재는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 규질점토암, 유문암, 석영안산암, 레타이트(latite), 안산암, 녹색암, 화강암, 규사, 열교환 물질이 코팅된 규사 (또는 세이브 코팅된 규사), 점판암(slate),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 석영 및 슬래그 (재생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MMA 계열 수지는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0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 : 15 내지 25 중량%, 2-EHAM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중량%, 에어로실 (경질 무수규산) 1 내지 2중량% 및 벤토나이트 : 1 내지 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상기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은 상호 다른 안료와 동일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임의의 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상기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은 상호 동일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카올린 점토, 보락스 및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호 다른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재는 석영과 석영안산암의 혼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면 논슬립 특성 뿐만 아니라 차열 특성도 우수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 포장재를 이용하여 시험적으로 노면에 시공한 모습의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막 포장재의 차열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 포장재는 차열 특성의 그래뉼(granule)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이하 MMA)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MMA 계열의 수지는 1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먼저, 상기 차열 특성의 그래뉼은, 그래뉼 형태의 기재(substrate)의 적어도 일부 외측면에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으로 코팅된 층과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으로 코팅된 층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향상된 근적외선 반사 특성을 갖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으로 코팅된 층을 포함한다.
즉, 그래뉼 형태의 기재에 반사성 물질로 프라이머리 또는 언더코팅을 한 후에 백색이 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2차 코팅물로 상기한 언더코팅 부위에 2차 코팅을 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열 특성의 그래뉼을 얻는다. 본 발명의 그래뉼을 코팅하는 개별적인 방법은 미국특허 제6,238,794호 및 제5,411,803호에 개괄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은 본원의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상기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의 조합으로 상기 기재는 770 내지 2200nm 사이의 파장 범위 모든 지점에서 사실상 20%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태양으로부터의 입사 에너지 중의 적어도 약 50-60%는 근적외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래뉼 형태의 기재는 무기 물질로서, 암석, 미네랄 또는 재생 물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암석입자와 미네랄 입자 등의 예로는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 규질점토암, 유문암, 석영안산암, 레타이트(latite), 안산암, 녹색암, 화강암, 규사, 점판암(slate),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 석영, 또는 슬래그 (재생물질)가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무기 물질을 이용할 때에는 약 300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8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직경을 갖는 입자로 파쇄된 것이 적합하다.
그래뉼 형태의 기재(substrate)는 태양으로부터의 광을 적어도 25% 반사하며,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은 최소 50부피%의 무기 바인더(inorganic biner)를 포함한다.
프라이머 코팅(또는 언더 코팅) 및 세컨데리 코팅 (또는 아우터 코팅) 둘 모두에 있어 안료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코팅물은 안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필수 구성 성분을 갖는다. 이러한 코팅물은 안료,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임의의 보레이트 화합물로 형성된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와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무기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는 코팅물의 주요 성분이다. 즉, 이들 성분은 코팅물의 전체 부피 중 적어도 50%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슬러리로부터의 코팅물은 일반적으로 세라믹 성질을 갖는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는 수성의 소듐 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외에도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서 포타슘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M2O:SiO2 (여기서, M은 Na 또는 K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M2O에 대한 SiO2의 중량비로는 약 1.4:1 내지 약3.75:1이 바람직하다. 특히, M2O에 대한 SiO2의 중량비로는 2.75:1 내지 약 3.22:1 가 특히 바람직하다. 어두운 색상의 그래뉼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자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는 Al2Si2O5(OH)4 의 화학식을 갖는 점토(clay)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는 카올린(kaolin), Al2O3??2SiO2??2H2O 및 이들의 유도체가 있다. 점토의 입자 크기는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0.002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거친 입자들이 0.5% 이하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보레이트 화합물은 그래뉼 형태의 그래뉼 1Kg 당 0.5g 내지 3g 정도의 수준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레이트 화합물로는 소듐 보레이트가 바람직하지만 징크 보레이트, 소듐 플루오로보레이트, 소듐 테트라보레이트-펜타하이드레이트와 같은 보레이트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그래뉼을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프라이머리 또는 언더코팅
먼저, 그래뉼 형태의 무기 기재는 로터리킬른(rotary kiln)에서 125 도(섭씨) 내지 140도(섭씨) 사이의 온도에서 미리 가열 처리한 후, 상기한 슬러리로 코팅하여 다수의 슬러리 코팅된 무기 그래뉼을 형성한다. 형성된 무기 그래뉼에 물을 부어 그래뉼의 온도를 50 내지 70도 (섭씨) 사이의 온도로 떨어뜨린다. 그리고 나서, 슬러리 코팅된 그래뉼을 다수의 세라믹 코팅된 그래뉼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때의 온도로는 400도(섭씨) 내지 530도(섭씨)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이때의 가열 시간으로는 1 내지 10분이 바람직하다.
세컨데리 또는 아웃터 코팅
세컨데리 또는 아웃터 코팅은 사용하는 안료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프라이머리 또는 언더코팅 방식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 포장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열 특성의 그래뉼(granule)이외에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이하 MMA) 계열의 수지가 포함된다.
이러한 MMA 계열의 수지는 상기한 차열 특성의 그래뉼에 적용되어 있는 안료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MMA 계열 수지에 의해 차열 특성의 그래뉼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차열 특성을 가짐은 물론 노면 논슬립 특성과 내구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본 발명의 MMA 계열 수지에는 MMA 이외에도 아크릴계 수지,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경질 무수 규산으로서의 에어로실 그리고 벤토나이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MA 계열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MMA는 40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는 15 내지 25 중량%,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25 내지 35중량%, 에어로실은 1 내지 2중량%, 벤토나이트는 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MMA 계열 수지에 포함된다.
이외에도 중공형의 세라믹 분말로서 글라스 버블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열교환물질이 포함되어 차열 특성이 보다 향상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설명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차열 특성의 그래뉼 제조
1. 재료 :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카올린 클레이
보락스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안료로서의 10411 골든 옐로우, 포레스트 그린, V-3810 레드, V-9250 브라이드 블루우
기재로서의 석영, 래타이트, 석영안산암
2. 시험 방법
퍼킨 엘머(Perkin Elmer) 람다 900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3. 코팅 방법
하기 표 1에 수록되어 있는 슬러리 성분을 버티컬 믹서에서 혼합한다. 그래뉼 형태의 기재 1000중량부를 90 내지 95 도(섭씨) 사이의 온도에서 사전 가열한 후 버터컬 믹서에서 표 1에 명시된 양 만큼 혼합한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사용한 기재는 석영, 래타이트, 석영안산암이다. 슬러리 코팅된 그래뉼을 로터리킬른에서 10분에 걸쳐 소성시킨다. 소성 후, 그래뉼을 실온에 방치하여 냉각시킨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카올린 점토 22.5 15 20 20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65 34 40 40
15 15 15 15
CR 800 티타늄 디옥사이드 8.75 3 0.8
10241 포레스트 그린 14 1.6
10411 골든 옐로우 1.2 4
V-13810 레드 0.2
V-9250 브라이트 블루우 0.6
보락스 3 1 1
슬러리 1000중량부당 사용량 57.1 40.1 41.6 39.0
최종 소성 온도(섭씨) 470 460 460 460
실시예 1 내지 4
코팅된 그래뉼의 제조:
상기한 코팅 방법과 같이 그래뉼을 코팅하고 상기한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반사율 20.53% 29.07% 23.83% 20.21%
실시예 5
MMA 계열의 수지 제조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5중량%, 아크릴계 수지 22 중량%, 2-EHAM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30중량%, 에어로실 (경질 무수규산) 1.5 중량% 및 벤토나이트 1.5 중량%를 혼합하여 MMA 계열의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도막 포장재 제조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제조한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상기한 실시예 5를 통해 제조한 MMA 계열의 수지를 중량 기준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일정 면적의 테스트 도로에 시험적으로 시공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평가
- 차열 특성 평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도막 포장재를 빈 공터에 직접적으로 시공한 후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방식은 오후 2-3시 사이의 동일 시간대에 그리고 오후 7-8시 사이의 동일 시간대에 각각 일반도로와 본 발명의 도막 포장재를 시공한 아스팔트 도로에서 그 온도를 측정함으로 차열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오후 2-3시 사이의 시간대의 일반도로의 온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도막 포장재를 시공한 도로의 온도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오후 7-8시 사이의 시간대의 일반도로의 온도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도막 포장재를 시공한 도로의 온도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열교환 도료를 섞어 시공한 결과는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도 4의 (a)는 오후 2시간의 일반도로의 온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도막 포장재에 열교환물질을 추가하여 시공한 도로의 온도를 나타낸다.
- 노면 논슬립 특성 평가
미끄럼 저항시험은 브리티쉬 펜듈럼 테스터를 이용하여 ASTM E 303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약 80 BPN 정도로 계측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MMA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차열 특성의 그래뉼은 그래뉼 형태의 무기 기재(substrate)에 770nm 내지 2200nm 사이의 파장 범위 모든 지점에서 사실상 20%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순차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상기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은 상호 다른 안료와 동일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임의의 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상기 MMA 계열 수지가 1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 규질점토암, 유문암, 석영안산암, 레타이트(latite), 안산암, 녹색암, 화강암, 규사, 점판암(slate),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 석영 및 슬래그 (재생물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MA 계열 수지는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0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 : 15 내지 25 중량%, 2-EHAM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중량%, 에어로실 (경질 무수규산) 1 내지 2중량% 및 벤토나이트 : 1 내지 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5. 삭제
  6. 차열 특성의 그래뉼과 MMA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차열 특성의 그래뉼은 그래뉼 형태의 무기 기재(substrate)에 770nm 내지 2200nm 사이의 파장 범위 모든 지점에서 사실상 20%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순차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의 백색 반사성 코팅면과 상기 제 2의 반사성 코팅면은 상호 동일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카올린 점토, 보락스 및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호 다른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포장재에 감람석, 활석, 화강석 및 칼라 규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포장재.
KR1020130110334A 2013-09-13 2013-09-13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KR101367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334A KR101367634B1 (ko) 2013-09-13 2013-09-13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334A KR101367634B1 (ko) 2013-09-13 2013-09-13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634B1 true KR101367634B1 (ko) 2014-03-04

Family

ID=5064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334A KR101367634B1 (ko) 2013-09-13 2013-09-13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6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637B1 (ko) * 2015-12-29 2017-07-11 이은숙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마감재용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1755639B1 (ko) * 2015-12-29 2017-07-11 이은숙 화강석 석판재용 차열성 코팅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2144245B1 (ko) * 2020-01-22 2020-08-12 배양렬 열교환 성능을 갖는 고내구성 포장재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84B1 (ko) 2009-12-17 2010-04-21 (주)우리로드솔루션 아크릴계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
KR20120006639A (ko) *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 크리오텍 열변환특성과 재귀반사도가 우수한 도료조성물 및 그러한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재의 도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84B1 (ko) 2009-12-17 2010-04-21 (주)우리로드솔루션 아크릴계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
KR20120006639A (ko) *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 크리오텍 열변환특성과 재귀반사도가 우수한 도료조성물 및 그러한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재의 도막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637B1 (ko) * 2015-12-29 2017-07-11 이은숙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마감재용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1755639B1 (ko) * 2015-12-29 2017-07-11 이은숙 화강석 석판재용 차열성 코팅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2144245B1 (ko) * 2020-01-22 2020-08-12 배양렬 열교환 성능을 갖는 고내구성 포장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84857B (zh) 具有分区的结构的玻璃粒料
US9580357B2 (en) Roofing granules, roofing products including such granul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20150225957A1 (en) Porous Glass Roofing Granules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CN1863974A (zh) 非白色建筑表面
KR101367634B1 (ko)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118633A (ko) 투수 및 차열 기능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강화된 아스팔트컬러 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컬러 무늬 투수 포장재및 그 시공방법
KR100835671B1 (ko) 노면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및 공법
KR100896429B1 (ko)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차열성포장체
KR101863902B1 (ko) 내마모성, 미끄럼방지 성능 및 접착강도가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한 미끄럼포장재 및 그 미끄럼방지포장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58020B1 (ko) 노면 논슬립 특성과 차열 특성이 우수한 도막 포장재
KR100669849B1 (ko) 슬래그 볼과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노면 미끄럼 방지층형성 방법
JP5204142B2 (ja) 遮熱性塗料組成物
JP3213032U (ja) 遮熱性舗装体
KR100855315B1 (ko) 차열 기능을 갖는 노면 논슬립 포장재 조성물 및 시공공법
KR101449479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9980051225A (ko) 폐도자기류를 이용한 고강도 다공성 벽돌 제조방법
KR101529683B1 (ko) 표면오염 발생을 방지한 유색 고반사 블록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KR102187159B1 (ko)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논슬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시공방법
KR102584201B1 (ko) 차열 및 미끄럼방지 도막 포장재
KR101032041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도로포장재
KR100798880B1 (ko) 분체도료를 이용한 컬러골재 제조방법
EP3856996A1 (en) Solar-reflective roofing granules with hollow glass spheres
JP2006144369A (ja) 遮熱性セラミック真空球体配合の硬質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骨材を用いた道路の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