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810B1 -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810B1
KR101366810B1 KR1020120017311A KR20120017311A KR101366810B1 KR 101366810 B1 KR101366810 B1 KR 101366810B1 KR 1020120017311 A KR1020120017311 A KR 1020120017311A KR 20120017311 A KR20120017311 A KR 20120017311A KR 101366810 B1 KR101366810 B1 KR 10136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adapter
screw
adapter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911A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8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용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의 광섬유들을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어댑터를 광케이블 단자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와, 스크류끼움공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돌출된 스크류체결부를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입자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옥외선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와, 상기 광어댑터를 고정시켜 주도록 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을 구비한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이, 함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함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구비된 결합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광어댑터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광어댑터가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광어댑터의 스크류체결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면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일측밀착면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끼워지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타측밀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단자함{Fiber optic cable connecting terminal box}
본 발명은 가입자용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의 광섬유들을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어댑터를 광케이블 단자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분기 및 정리를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통상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며,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어 광케이블의 융착 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접속과 같은 접속기능과 접속부 보호기능 및 인입/인출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함체(10) 측면에는 광케이블(C1)이 끼워지도록 광케이블 인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광케이블 인입구(11)의 맞은편에는 최종가입자와 접속되어 있는 광옥외선(C2)이 끼워지는 복수의 광옥외선 인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가 함체(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함체(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13)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커버(20)가 전면을 향하도록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함체(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3)의 체결공(14)으로 스크류를 결합시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함체(10)의 내측면에는 광케이블(C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들로 이루어져 광섬유가 독립적으로 통과하는 슬롯패널(30)과, 상기 슬롯패널(30)을 통과한 광섬유가 감겨지는 트랙(3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1)의 내측면에는 광케이블(C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과 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과 일대일로 접속되는 입력단자(40a)와 출력단자(40b)가 전후에 각각 구비된 광어댑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40)의 설치는 함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된 광어댑터 패널(50)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면서 보다 많은 광섬유들의 처리를 위하여 함체(10)의 내부에는 함체(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회동트레이(T)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동트레이(T)의 후면에는 함체(10)를 경유한 광섬유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회동트레이(T)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클립과 분기된 광섬유를 재분기할 수 있는 스플리터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트레이(T)의 전면에는 재분기된 광섬유(C1)와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리된 광섬유들이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광어댑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40)의 설치는 트레이(T)의 전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광어댑터 패널(50)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어댑터(40)의 양측에는 스크류체결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에는 상기 광어댑터(40)가 관통하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체결부(42)에는 스크류가 끼워지는 스크류끼움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에는 상기 스크류끼움공(43)에 대응되는 스크류체결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의 관통공(51) 양측에 스크류체결부(42)가 밀착될 때까지 광어댑터(40)가 관통공(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과 스크류체결공(52)에 차례로 끼워져 체결되면, 광어댑터(40)가 광어댑터 패널(50)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T)의 전면에는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된 광섬유가 독립적으로 통과하는 슬롯패널(30)과, 상기 슬롯패널(30)을 통과한 광섬유를 지지하는 다수의 클립(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통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은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먼저, 함체(10)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케이블(C1)이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다. 인입된 광케이블(C1)은 다수의 광섬유로 분기된다.
분기된 광섬유들은 함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패널(30)들과 트랙(31)들을 통해 1차로 정리되며, 1차로 정리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후면에 설치된 스플리터를 통해 특정가닥으로 재분기된다. 재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후면에서 2차로 정리된다. 그리고 2차로 정리된 재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전면으로 인출되고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40a)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재분기된 광섬유들이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40a)에 모두 결합되면 광케이블(C1)의 연결은 완료된다.
한편, 광옥외선(C2)은 광옥외선 인입구(12)에 각각 끼워진 후 트레이(T) 전면에 형성된 클립(32)들에 의해 정리된 상태에서 광섬유로 분기된다. 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전면에 구비된 슬릿패널(30)을 통과한 다음 커넥터를 통해 광어댑터(40)의 출력단자(40b)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분기된 광섬유들이 광어댑터(40)의 출력단자(40b)에 모두 결합되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이 완료되면, 커버(20)를 닫아 광케이블 단자함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어댑터(40)를 광어댑터 패널(50)에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광어댑터(40)를 광어댑터 패널(50)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광어댑터(40)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체결부(42)에 스크류를 통과시킨 다음 광어댑터 패널(50)의 관통공(51)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52)에 일일이 체결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매우 많다.
뿐만 아니라, 광어댑터(40)의 사양이 달라짐에 따라 광어댑터 패널(50)에 형성된 관통공(51)의 크기나 스크류체결공(52)의 간격도 달라지므로 함체(10)나 트레이(T)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광어댑터 패널(50)을 함체(10)나 트레이(T)에 일체로 성형하지 않고 단품으로 제작하여 함체(10)나 트레이(T)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스크류 작업이 발생되므로 작업공수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광어댑터(40)는 소형제품으로서 스크류체결부(42)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크기 또한 매우 작다. 따라서,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과 광어댑터 패널(50)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52)의 직경도 매우 작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면 상기 스크류끼움공(43)과 스크류체결공(52)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 다음 스크류를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에 끼워 광어댑터 패널(50)의 스크류체결공(52)에 체결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광케이블 단자함이 주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과 같이 고소에 고정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은 스크류 작업은 작업성을 매우 불량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어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가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40a)와 출력단자(40b)에 광섬유들을 접속 내지 단속시키는 과정에서 광어댑터(40)가 좌우로 유동하려는 외력이 발생되고, 광어댑터 패널(50)의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감안할 때, 상기 외력이 스크류체결부(42)와 인접한 광어댑터 패널(50)의 특정부위에 집중되면서 광어댑터 패널(5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광어댑터의 외측면에는 특정패턴으로 홈부(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홈부(44)가 관통공(51)에 위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홈부(44)와 관통공(51)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어댑터(40)와 관통공(5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면, 상기한 외력이 상기 특정부위에 보다 많이 집중되면서 광어댑터 패널(50)이 보다 쉽게 파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어댑터의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내구성도 우수한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와, 스크류끼움공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돌출된 스크류체결부를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입자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옥외선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와, 상기 광어댑터를 고정시켜 주도록 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을 구비한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이, 함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함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구비된 결합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광어댑터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광어댑터가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광어댑터의 스크류체결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면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일측밀착면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끼워지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타측밀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밀착면에 인접하는 관통공의 내측면으로부터 끼움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광어댑터의 일측면을 지지해 주는 제1지지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턱에는 광어댑터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 경우, 상기 바닥부에는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바닥부 및 끼움돌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탄성결합되어 상기 바닥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걸림편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의 몸체부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끼움핀을 통해 광어댑터와 체결되므로 종래에 비해 스크류 작업량이 절반으로 줄어들면서 광어댑터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면에 형성된 안착홈부에 슬라이딩시키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서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에 형성된 끼움핀의 반대방향으로 광어댑터의 일측면을 지지해 주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어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끼움핀이 스크류끼움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에 형성된 제1지지턱 단부에 광어댑터의 홈부에 밀착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고 끼움핀이 스크류끼움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트레이가 구비된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구성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이 결합면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구성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이 결합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는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와, 스크류끼움공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돌출된 스크류체결부를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입자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옥외선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와, 상기 광어댑터를 고정시켜 주도록 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삭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은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고정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돌출형성된 몸체부(1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10)는 함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결합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함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트레이(T)가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T)에 구비된 결합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0)는 광어댑터(40)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21)과 상기 광어댑터(40)가 관통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광어댑터(40)의 스크류체결부(42)에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면(121a,121b)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밀착면(121a,121b) 중 일측밀착면(121a)에는 상기 광어댑터(40)에 형성된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스크류체결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밀착면(121a,121b) 중 타측밀착면(121b)에는 상기 광어댑터(40)에 형성된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에 일대일로 끼워지도록 끼움핀(123)이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타측밀착면(121b)에 인접하는 관통공(121)의 내측면에는 광어댑터(40)의 일측면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끼움핀(123)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광어댑터(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1지지턱(1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턱(124)은 지지력을 극대화시키도록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어댑터(40)의 측면에 홈부(44)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지지턱(124)에는 상기 홈부(44)에 밀착되는 제2지지턱(1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에는 끼움돌기(126)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바닥부(110) 및 끼움돌기(126) 전체가 안착되는 안착홈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210)는 상기 바닥부(110) 및 끼움돌기(126) 전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부(110)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부(210)에는 상기 끼움돌기(126)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0)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돌기(126)가 바닥부(110)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홈부(210)의 깊이를 바닥부(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동시에 상기 끼움돌기(126)의 이동구간에 대응되는 안착홈부(210)에 관통공(230)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20)는 본 발명의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끼움돌기(126)와 접촉되는 트레이(T)의 배면이 되며, 안착홈부(210)에 바닥부(110)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10)의 상면과 안착홈부(210)의 상단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26)가 가이드부(22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면에는 홈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홈부(240)에 탄성결합되는 탄성걸림편(127)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을 이용하여 광어댑터(4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은 트레이에 형성된 안착홈부(210)에 바닥부(110)를 안착시킨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127)이 트레이(T)에 형성된 홈부(240)에 탄성체결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트레이(T)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은 바닥부(110)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126)가 트레이(T)의 안착홈부(210)에 형성된 가이드부(220)에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 트레이(T)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은 상기와 같은 착탈구조에 의하여 광어댑터(40)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사양으로 교체가 가능해지므로 광어댑터(40)의 사양에 상관없이 광케이블 단자함이나 트레이(T)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100)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광어댑터(4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몸체부(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에 광어댑터(40)를 끼운 다음 광어댑터(40)의 스크류체결부(42)에 형성된 스크류끼움공(43)과 몸체부(120)의 타측밀착면(121b)에 형성된 끼움핀(123)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광어댑터(40)의 높이를 맞춘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체결부(42)가 몸체부(120)의 일측밀착면(121a)과 타측밀착면(121b)에 밀착될 때까지 광어댑터(40)를 관통공(121)으로 진입시킨다. 이렇게 하면, 스크류끼움공(43)에 끼움핀(123)이 끼워지게 되며 반대측 스크류끼움공(43)에 스크류를 끼우고 몸체부(120)의 일측밀착면(121a)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122)에 체결하면 광어댑터(40)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광어댑터(40) 마다 두번의 스크류 작업이 요구되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단 한번의 스크류 체결작업만으로 광어댑터(40)를 완벽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작업량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됨은 물론이고, 다수의 광어댑터(40)를 설치해야 하는 것을 감안할 때 광어댑터(40)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광어댑터(40)는 작업자가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에 광섬유들을 단속시키는 과정에서 광어댑터(40)의 좌우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턱(124)이 광어댑터(40)의 일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해 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이 밀착면(121a,121b)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몸체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상 몸체부(120)가 박판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자칫 타측밀착면(121b)가 상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끼움핀(123)이 스크류끼움공(43)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사고도 방지해 줄 수 있다.
또한, 광어댑터(40)의 표면에 특정패턴으로 홈부(44)가 형성된 경우, 제2지지턱(125)은 상기 홈부(44)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홈부(44)에 의해 광어댑터(40)와 제1지지턱(124)과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지지턱(125)은 광어댑터(40)와 제1지지턱(124)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막아, 작업자가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에 광섬유들을 단속시키는 과정에서 광어댑터(40)의 좌우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이 밀착면(121a,121b)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몸체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상 몸체부(120)가 박판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자칫 타측밀착면(121b)이 상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끼움핀(123)이 스크류끼움공(43)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끼움핀(123)이 부러지는 등의 파손사고도 방지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바닥부 120...몸체부
121...관통공 121a...일측밀착면
121b...타측밀착면 122...스크류체결공
123...끼움핀 124...제1지지턱
125...제2지지턱 126...끼움돌기
127...탄성걸림편 210...안착홈부
210...가이드부 240...홈부

Claims (7)

  1.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와, 스크류끼움공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돌출된 스크류체결부를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입자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옥외선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 주는 광어댑터와, 상기 광어댑터를 고정시켜 주도록 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을 구비한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 고정용 패널이, 함체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함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구비된 결합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광어댑터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광어댑터가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광어댑터의 스크류체결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면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일측밀착면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과,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스크류끼움공에 일대일로 끼워지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면 중 타측밀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밀착면에 인접하는 관통공의 내측면으로부터 끼움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광어댑터의 일측면을 지지해 주는 제1지지턱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턱에는 광어댑터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바닥부 및 끼움돌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가이드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탄성결합되어 상기 바닥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걸림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20017311A 2012-02-21 2012-02-21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6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311A KR101366810B1 (ko) 2012-02-21 2012-02-21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311A KR101366810B1 (ko) 2012-02-21 2012-02-21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911A KR20130095911A (ko) 2013-08-29
KR101366810B1 true KR101366810B1 (ko) 2014-02-21

Family

ID=4921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311A KR101366810B1 (ko) 2012-02-21 2012-02-21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720A (zh) * 2015-10-30 2016-02-03 苏州优康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可叠加安装的光缆终端盒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10-2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20Y1 (ko) * 2016-02-22 2018-01-19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
KR101694313B1 (ko) * 2016-08-19 2017-01-09 주식회사 파워링크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691A (ja) * 1999-02-24 2000-09-08 Kawamura Electric Inc 光ファイバーコードの連結装置
JP2000266961A (ja) * 1999-03-16 2000-09-29 Seiko Instruments Inc ユニバーサルアダプタ
KR20100060138A (ko) * 2008-11-27 2010-06-07 (주)모던테크 광분배함
KR20110000235U (ko) * 2009-07-02 2011-01-10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통합형 리모트 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691A (ja) * 1999-02-24 2000-09-08 Kawamura Electric Inc 光ファイバーコードの連結装置
JP2000266961A (ja) * 1999-03-16 2000-09-29 Seiko Instruments Inc ユニバーサルアダプタ
KR20100060138A (ko) * 2008-11-27 2010-06-07 (주)모던테크 광분배함
KR20110000235U (ko) * 2009-07-02 2011-01-10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통합형 리모트 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720A (zh) * 2015-10-30 2016-02-03 苏州优康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可叠加安装的光缆终端盒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10-2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911A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149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9513451B2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US8989548B2 (en) Connection box for glass fiber cables
CN101384938B (zh) 光纤分路器模块
CN108713157B (zh) 光缆分纤箱和光缆分纤装置
KR101366810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8886005B2 (en) Adapter retaining systems
CN104137366A (zh) 带有熔接盒组件的通信机壳
US10295773B2 (en) Segregated fiber in a splice cassette
US20130004125A1 (en) Optical termination assembly
US20220128785A1 (en) Patch panel with lifting cassette removal
KR200426037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US10088644B2 (en) Microduct coupling and termination
KR102217677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KR100829714B1 (ko) 광선로종단장치
KR100975118B1 (ko) 광섬유 접속판
EP2783247B1 (en) Enclosure-less fiber optic terminals
KR101285334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20230280540A1 (en) Cable enclosure assembly having receiving area configured to alternatively receive cable retainer and cable adapter to allow plurality of configurations
JP4339804B2 (ja) 光コンセント
KR200411362Y1 (ko) 랙타입 광분배함
JP4597872B2 (ja) 光接続箱
KR200470060Y1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고정대
CN201173980Y (zh) 光纤接续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