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18B1 - 광섬유 접속판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18B1
KR100975118B1 KR1020090103490A KR20090103490A KR100975118B1 KR 100975118 B1 KR100975118 B1 KR 100975118B1 KR 1020090103490 A KR1020090103490 A KR 1020090103490A KR 20090103490 A KR20090103490 A KR 20090103490A KR 100975118 B1 KR100975118 B1 KR 10097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adapter
branc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이승훈
김은정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앤티
Priority to KR102009010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18B1/ko
Priority to PCT/KR2010/007521 priority patent/WO201105304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접속과 광분기를 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 또는 광커넥터가 인입되는 인입부 및 인출되는 인출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광섬유를 여장하고, 광섬유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나누는 광분기기를 실장하는 분기부, 상기 접속부와 분기부를 보호하는 접속부 커버 및 분기부 커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접속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접속판에서 가능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한 광섬유 접속판에 관한 것이다.
광접속, 광분기, 접속판, 광어뎁터, 광섬유, 광커넥터

Description

광섬유 접속판{A SPLICING PANEL OF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접속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접속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접속판에서 가능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한 광섬유 접속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고도화된 정보통신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광선로 가입자망인 FTTH(Fiber To The Hom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다수의 광케이블이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각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보급된 광케이블은 광분기기와 융착접속 또는 기계식 접속 후 접속판에 여장처리 되고, 상기 광분기기와 접속된 출력광섬유는 광어뎁터와 연결 후 광가입자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가입자에게 연결된다.
이때,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쉘프 또는 랙과 같은 접속판의 저장공간과 접속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야하며, 쉘프 또는 랙의 높은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광분배함은 광접속을 위한 공간과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며, 다수의 광점퍼코드의 여장으로 광점퍼코드가 꼬이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광접속 여장판이 내장된 광분배함의 경우에는 다수의 여장판 설치를 위한 공간 부족과 광점퍼코드의 곡률반경의 문제점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광접속과 광분기가 각각 이루어짐에 따라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뿐만 아니라 광커넥터로도 인입이 가능하며, 인입되는 종류에 따라 광어뎁터 또는 더미어뎁터를 인입부에 설치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접속을 위한 공간과 광섬유를 여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광섬유 접속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분기기를 실장할 수 있으며, 광섬유를 여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광섬유 접속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광접속 작업과 광분기 작업이 가능하며, 두 작업이 하나의 접속판에서 가능하여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한 광섬유 접속판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접속과 광분기기를 실장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판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 또는 광커넥터가 인입되는 인입부 및 인출되는 인출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광섬유를 여장하고, 광섬유와 광분기기 입력광심선을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광분기기 입력광심선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나누는 광분기기를 실장하는 분기부와 상기 접속부를 보호하며, 투명한 PC재질로 접속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접속부 커버와 상기 분기부를 보호하며, 상기 인출부의 광어뎁터를 고정하기 위한 분기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접속 작업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접속판에서 가능하게 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접속 작업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접속판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 및 설비 공간이 좁은 공간으로도 가능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의 곡률반경을 고려한 여장 공간이 구비되어 광분기기 입력광심선과 광분기기 인출광심선이 서로 꼬이거나, 곡률반경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통신용 함체, 쉘프, 벽면 등에 고정이 가능하며, 분기부 커버에 형성된 부가적인 연결홀을 이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등록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더미어뎁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접속부에 실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분기부에 실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판은 광접속 및 광분기를 할 수 있는 광통신기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220) 또는 광커넥터(180)가 인입되는 인입부(200) 및 인출되는 인출부(50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된 광섬유(220)를 여장하고, 광섬유(220)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을 접속하는 접속부(300), 상기 접속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나누는 광분기기(410)를 실장하는 분기부(400), 상기 접속부(300)와 분기부(400)를 보호하는 접속부 커버(600) 및 분기부 커버(700)를 포함한다.
바디(100)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부(200)는 광섬유(220) 또는 광커넥터(180)를 인입시킬 수 있다. 광섬유(220)가 인입될 때에는 더미어뎁터(140)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광커넥터(180)가 인입될 때에는 광어뎁터(1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더미어뎁터(140)는 인입부(200)의 광어뎁터(130)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광어뎁터(130)의 외형과 유사하지만, 내부에 광섬유(220)가 관통할 수 있는 작은 홀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500)의 분기수에 따라 분기수 이외의 광어뎁터(130)는 더미어뎁터(14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디(100)의 상하면 중 일면은 접속부(300)가, 타면에는 분기부(400)가 구비되며, 상하 양면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속부 커버(600)와 분기부 커버(700)와의 체결을 위해 접속부 커버 체결용 브라켓(110)과 분기부 커버 체결용 브라켓(120)이 바디(100)의 평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간편한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분기부 커버(700)와의 체결을 위해 홀이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한 체결도 가능하다.
접속부(300)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150)가 광섬유(220)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다수개 돌출되어 광섬유(220)를 여장할 수 있으며, 여장된 광섬유(22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돌기(150)의 상부에 광섬유 고정브라켓(160)이 형성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광섬유(220) 여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광섬유(220)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의 접속점을 보호하기 위한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310)를 고정할 수 있는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 고정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접속부(300)의 배선정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기부(400)도 원기둥 형상의 돌기(150)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과 광분기기 인출광심선(440)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다수개 형성되어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과 광분기기 인출광심선(440)을 안전하게 여장할 수 있으며, 광분기기(410) 를 실장할 수 있도록 광분기기 고정브라켓(420)이 형성되어 분기부(400)의 배선정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접속부(300)와 분기부(4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인입부(200) 내측으로 바디(100)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접속부/분기부 연결홀(170)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부(500)는 광분기기(410)의 분기수에 따라 광어뎁터(130) 또는 더미어뎁터(140)로 구성되며, 광어뎁터(130) 또는 더미어뎁터(140)는 바디(100)에 형성된 어뎁터 고정용 슬릿(510)과 분기부 커버(700)에 형성된 어뎁터 고정용 슬롯(730)에 의해 고정된다.
접속부 커버(600)는 접속부(300)를 보호하고, 투명한 PC재질로 접속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바디(100)에 형성된 접속부 커버 체결용 브라켓(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바디(100)와 분리할 때 용이하도록 중앙에 두 개의 접속부 커버 손잡이 홀(610)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 커버(700)는 인출부(500)의 광어뎁터(130) 및 더미어뎁터(140)를 고정하기 위한 슬롯(730)과 측면에 각종 통신용 함체, 쉘프,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 고정용 홀(7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100)와의 간편한 체결을 위해 바디 체결용 브라켓(7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부에는 쉽게 절단되도록 형성된 원형의 슬롯을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연결홀(74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740)을 서로 맞대어 사용함으로써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더미어뎁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접속부에 실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분기부에 실시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바디 110: 접속부 커버 체결용 브라켓
120: 분기부 커버 체결용 브라켓 130: 광어뎁터
140: 더미어뎁터 150: 돌기
160: 광섬유 고정브라켓 170: 접속부/분기부 연결홀
180: 광커넥터 200: 인입부
210: 인입부 어뎁터 고정브라켓 220: 광섬유
300: 접속부 310: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
320: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 고정브라켓 400: 분기부
410: 광분기기 420: 광분기기 고정브라켓
430: 광분기기 인입광심선 440: 광분기기 인출광심선
500: 인출부 510: 어뎁터 고정용 슬릿
600: 접속부 커버 610: 접속부 커버 손잡이 홀
700: 분기부 커버 710: 외부 고정용 홀
720: 바디 체결용 브라켓 730: 어뎁터 고정용 슬롯
740: 연결홀

Claims (7)

  1. 광섬유(220) 또는 광커텍터(180)가 인입되는 인입부(200) 및 인출되는 인출부(50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며, 상기 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된 광섬유(220)를 여장하고, 상기 광섬유(220)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을 접속하는 접속부(300);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430)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나누는 광분기기(410)를 실장하는 분기부(400);
    상기 접속부(300)를 보호하며,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속부 커버(600);
    상기 분기부(400)를 보호하며, 상기 인출부(500)의 광어뎁터(130) 또는 더미어뎁터(140)를 고정하기 위한 어뎁터 고정용 슬롯(730)이 형성된 분기부 커버(700);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부 커버(700)에는 통신용 함체 및 쉘프,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 고정용 홀(710)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700)의 중심부에 쉽게 절단되도록 형성된 원형의 슬롯을 제거함으로써 광분기기 인출광심선(440)의 연결홀(74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740)을 서로 맞대어 두 개의 접속판을 포개어 사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 접속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어뎁터(140)는 광섬유(220)의 인입이 가능한 홀이 형성된 광섬유 접속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00)는 인입되는 종류가 광섬유(220) 또는 광커넥터(180)인지에 따라 광어뎁터(130) 또는 상기 더미어뎁터(140)로 구성되는 광섬유 접속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500)는 상기 분기부(400)의 분기수에 따라 광어뎁터(130) 또는 더미어뎁터(140)로 구성되고, 상기 광어뎁터(130) 또는 더미어뎁터(140)를 고정하기 위한 어뎁터 고정용 슬릿(510)이 형성된 광섬유 접속판.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판의 상하면 중 일면은 접속부(300), 타면은 분기부(400)로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접속판에서 광접속과 광분기 작업이 가능한 광섬유 접속판.
KR1020090103490A 2009-10-29 2009-10-29 광섬유 접속판 KR10097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490A KR100975118B1 (ko) 2009-10-29 2009-10-29 광섬유 접속판
PCT/KR2010/007521 WO2011053042A2 (ko) 2009-10-29 2010-10-29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490A KR100975118B1 (ko) 2009-10-29 2009-10-29 광섬유 접속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118B1 true KR100975118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490A KR100975118B1 (ko) 2009-10-29 2009-10-29 광섬유 접속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3143A1 (zh) * 2012-03-31 2013-10-03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熔接配线模块
WO2022192973A1 (pt) * 2021-03-15 2022-09-22 VICENTE, Luis Carlos Caixa de alojamento de fibras óptica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225A (ja) * 1994-03-04 1995-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接続替え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424278B1 (ko) 2001-06-16 2004-03-24 나라터주식회사 양면구조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225A (ja) * 1994-03-04 1995-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接続替え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424278B1 (ko) 2001-06-16 2004-03-24 나라터주식회사 양면구조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3143A1 (zh) * 2012-03-31 2013-10-03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熔接配线模块
WO2022192973A1 (pt) * 2021-03-15 2022-09-22 VICENTE, Luis Carlos Caixa de alojamento de fibras óptic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034B2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systems and components
US20190339471A1 (en) Integrated distribution enabling access apparatus
US7496269B1 (en) Fiber optic enclosure
US8315057B2 (en) Embedded communication enclosure
US8718435B2 (en) Terminal enclosure with extractable fiber organizer tray
EP2639613B1 (en) Fiber optic management unit and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US11150428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WO2010077856A1 (en) Modular fiber distribution unit
KR100975118B1 (ko) 광섬유 접속판
KR101093439B1 (ko)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200410218Y1 (ko) 광분배함
RU191609U1 (ru) Сплиттерный модуль
US8842958B2 (en) Exchange cabling storage apparatus
KR200411362Y1 (ko) 랙타입 광분배함
CN214954269U (zh) 一种便于安装的光纤分光器
US9835814B2 (en) Fiber termination point with overlength storage
US20100104247A1 (en)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US20180284382A1 (en) Bi-directional data center architectures employing a jacketless trunk cable
WO2011053042A2 (ko)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200256919Y1 (ko) 양면구조 트레이
EP3844971A1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cabinet
KR20020095859A (ko) 양면구조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