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362Y1 - 랙타입 광분배함 - Google Patents

랙타입 광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362Y1
KR200411362Y1 KR2020050036544U KR20050036544U KR200411362Y1 KR 200411362 Y1 KR200411362 Y1 KR 200411362Y1 KR 2020050036544 U KR2020050036544 U KR 2020050036544U KR 20050036544 U KR20050036544 U KR 20050036544U KR 200411362 Y1 KR200411362 Y1 KR 20041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ack
cable
optical cabl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석
Original Assignee
(주) 노브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노브컴 filed Critical (주) 노브컴
Priority to KR2020050036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광섬유가 피복에 의해 보호되는 다수의 광케이블로 이루어진 주광케이블이 인입되고, 인입된 주광케이블이 다수의 광케이블로 분기되어 인출되는 광분배함에 있어서,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함체와 이 함체의 내부에 칸막이로 구획되어 인입된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함과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여장함에서 인출된 다수의 광케이블과 피그테일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스플라이스트레이 및 함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광어댑터가 장착되는 광어댑터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랙타입 광분배함에 의하면,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에 탈부착 가능하며, 주광케이블에서 분기된 광케이블을 정렬할 수 있고, 인입된 여분의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어 필요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분배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다량의 광케이블을 분배, 여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광분배함, 랙, 광케이블, 광섬유, 광어댑터, 함체, 정렬

Description

랙타입 광분배함{Fiber Ditribution Frame for Rack Typ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타입 광분배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타입 광분배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렬부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랙타입 광분배함 110...함체
120...여장함 121...여장정리구
130...주광케이블 131...광케이블
140...스플라이스트레이 141...광케이블하우징
150...광어댑터브래킷 151...광어댑터
152...피그테일 160...고정부
170...정렬부 171...상부정렬부재
172...하부정렬부재 173...중간정렬부재
174...반원형홈 175...관통홀
176...나사 177...원형홈
180...결합커버
본 고안은 광분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Rack)에 탈착 가능하고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으며, 주광케이블에서 분기된 광케이블을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는 랙타입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분배함은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등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에 연결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다수의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하여 광케이블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한 광분배함의 활용은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다입주사무실, 다밀집주택의 아파트, 상가 등에 이용되는 벽취부용 광분배함이 그 첫번째 예가 될 것이며, 또한, 허브와 사용자단을 연계하여 중계하는 광기지국, 중계국 등에서 활용된다.
상기한 예 중 광기지국이나 중계국에서는 한정된 공간에서 수많은 광케이블을 연결, 분배시켜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랙이라는 탑형식의 광케이블 분배수단를 통하여 광케이블 라인을 접속,연결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랙은 높이 2.2m, 폭 19인치, 깊이 0.9m의 크기이며, 랙에 수납되는 전산장비는 그 높이가 U단위로 규격화되어 있다. 여기서 1U는 약 44.5㎜의 높이를 뜻하므로, 5U의 장비이면 그 높이가 222.5㎜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1800㎜의 높이를 갖는 랙에 전산장비들을 수용한다면, 1U의 높이인 장비를 36대 정도 장착할 수 있으나, 케이블 처리 문제로 인하여 36대를 모두 장착하지는 않는다.
랙은 U단위로 규격화된 각각의 전산장비들을 체계적으로 수용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랙에 장착되는 개별적인 광분배함은 단순히 광케이블을 보관하는 간이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선의 처리문제를 위하여 여유공간을 남기는 등 광케이블을 보관, 여장함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많은 광케이블이 난립하여 외관상으로도 정리되지 않은 채 미려한 형태를 가지지 못하며, 향후 문제가 발생한 경우 문제가 발생한 광케이블라인을 선별적으로 교체, 수리하는 작업에서도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광단말장치의 접속변경이나 중간 허브로부터 인입되는 주 광케이블의 위치와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효율적 작업이 힘든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고 여분의 주광케이블을 용이하게 여장할 수 있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광케이블을 분기된 광케이블로 분배함에 있어, 광케이블의 배선이 혼선되거나 단락되지 않도록 주광케이블에서 직접적으로 광케이블로 분기시키지 않고 정렬부를 두어 광케이블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향후 피복작업이나 광섬유 또는 광케이블의 교체작업에 효율성을 배가할 수 있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 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랙타입 광분배함은,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인입된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함,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장함에서 인출된 다수의 광케이블과 피그테일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스플라이스트레이 및 상기 함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광어댑터가 장착되는 광어댑터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의 채용된 구성을 통하여 추가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여분의 주광케이블이 여장되는 본 고안의 랙타입 광분배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은 상기 주광케이블이 상기 광케이블로 분기 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분기된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를 정렬하여 고정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는 하면에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상부정렬부재와 상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하부정렬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정렬부재 사이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면과 하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정렬부재가 대면하 는 부분에 상기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원형홈에 상기 광섬유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에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가 상기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함체의 저면과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바람직하게 추가된 구성을 통하여, 단락작업이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이 용이한 랙타입 광분배함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타입 광분배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타입 광분배함(100)은, 함체(110), 스플라이스트레이(140), 광어댑터브래킷(150) 및 여장함(120)을 구비한다.
함체(110)는 본 고안에 의한 랙타입 광분배함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한 여러 구성요소와 부품들이 장착되거나 배치되는 공간이 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는 랙에 수납 가능하도록 규격화된 크기를 갖으며, 좌측면 및 우측면에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부(160)를 구비하여 랙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60)는 함체(110)와 랙이 탈착되는 위치와 부위에 따라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도록 함체와 연결되는 나사통공쌍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부(160)는 역 기역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여분의 통공을 이용해 함체와 상기 고정부(160)가 결합되어 기역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우측 고정부(160) 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트레이(140)는 피그테일(152)과 주광케이블(130)에서 분기된 광케이블(131)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광섬유 보호 슬리브 홀더(미도시)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피그테일(131)은 일단이 기계적 처리에 의하여 광커넥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커넥터 처리된 광섬유로서 광접속부와 광어댑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광섬유 보호 슬리브(미도시)는 상기 광접속되는 부분이 단선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튜브형태의 보호막을 의미한다.
상기 스플라이스트레이(140)는 광접속의 방법이 융착접속인 경우 광섬유 보호 슬리브가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며 인입된 광케이블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적층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플라이스트레이(140)는 광접속되는 지점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기된 광케이블(광섬유)을 색깔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색깔마다 접속된 광단말장치를 명기할 수 있도록 색인을 스티커 형식으로 상기 스플라이스트레이(140)에 부착할 수도 있다.
광어댑터브래킷(150)은 광단국으로 분기되는 광섬유와 외부 인입된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광축선상에서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광어댑터( 151)가 장착되도록 함체의 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을 의미한다.
상기한 광어댑터(151)는 광케이블과의 연결접속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타입의 예로서는 SC타입, MTRJ타입, FRJ타입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함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상기한 스플라이스트레이(140) 및 광어댑터브 래킷(150)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 칸막이로 구획되어 있는 공간에 외부로부터 인입된 주광케이블(130)이 여장되는 여장함(1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100)으로 인입된 상기 여분의 주광케이블(130)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함(120)을 구비하므로, 필요시 여장된 주광케이블(13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여장된 주광케이블(13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광분함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타입 광분배함의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타입 광분배함(100)은 함체(110), 광케이블하우징(141), 광어댑터브래킷(150) 및 여장함(120)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랙타입 광분배함은(100)은 외부에서 인입된 광케이블을 광단국 등으로 분배함에 있어서 광케이블하우징(141)을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케이블하우징(141)은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함체(110)의 저면과 장착되며 상기 인입 주광케이블(130)에서 분기되어 광어댑터(151)로 연결되는 광케이블(131)을 여장 및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어댑터(151)와 연결접속되는 광케이블(131)은 폴리싱 기법에 의하여 광케 이블 일단을 가공하여 광커넥터에 의해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접속부를 연결, 보호하는 상기 스플라이스트레이(140) 대신에 광케이블하우징(141)을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여분의 광케이블(131)을 여장, 보호하여 향후 유지보수, 수리, 연장작업 등에서 효율적으로 광케이블(131)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광케이블하우징(141)은 상기 목적한 바를 실현하기 위하여 함체(110)의 저면과 탈착 또는 용접하여 밀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광케이블(131)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1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상기 광케이블하우징(141)이 장착되는 부분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광케이블하우징(141)을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경우에도 나사가 상기 함체(110)의 저면을 뚫고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가피할 경우, 저면으로 나사구멍을 내어 나사로 광케이블하우징(141)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광케이블하우징(141)의 상면은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두어 슬라이딩운동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힌지수단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형, 적용 실시례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랙타입 광분배함에 있어, 광케이블을 정렬하는 정렬부를 도 3과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렬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100)은, 상기한 함체(110) 내부 공간 중 상기 주광케이블(130)이 상기 광케이블(131)로 분기 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분기된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131)을 정렬하여 고정하는 정렬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광케이블(130)이 상기 광케이블(131)로 분기 되는 부분은 상기 함체(110)내의 상기 여장함(12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170)는 하면에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174)이 형성된 상부정렬부재(171)와 상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174)이 형성된 하부정렬부재(172)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정렬부재(171, 172) 사이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면과 하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174)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173)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정렬부재(171, 172, 173)가 대면하는 부분에 상기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원형홈(177)에 상기 광케이블(131)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간격은 8㎜인 것이 적당하고, 상기 반원형홈(174)은 지름이 5㎜인 것이 적당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중간정렬부재(173)는 2개가 적당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정렬부재(173)는 인입된 주광케이블(130)이 내장하고 있는 주광케이블(131)의 개수에 따라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반원형홈(174)이 형성된 소정간격은 광케이블로 분기되는 회선의 개수와 함체의 크기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간격으로서 상기한 8 mm는 일 실시예 에 지나지 않으며 앞서 기술된 여러 결정인자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형례의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반원형홈(174)은 분기되는 광케이블(131)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되는 광케이블(131)의 지름보다 아주 조금 작게 지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원형홈(174)의 지름을 5mm로 구성한 것은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분기되는 광케이블(131)의 지름의 크기에 따라 당업자에게 다양하고도 변형가능한 적용예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원고안에 의한 정렬부(170) 구성을 통하여 상기 분기된 광케이블(181)이 정렬되므로 서로 혼선되지 않고 랙타입 광분배함 설치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
이는 추가적으로 피복을 벗기는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타단부에서 광케이블 피복 스트리퍼 등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171, 172, 173)에는 나사(176)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7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171, 172, 173)가 상기 형성된 관통홀(175)을 통하여 상기 함체(110)의 저면과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100)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와 슬라이딩 결합하고 잠금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결합커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커버(180)는 상기 함체(110)의 배면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커버(180)의 전단부분은 상기 광어댑터브래킷(150)까지 연장되어 상기 함체(110)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1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필요시에는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1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컴팩트한 느낌과 미려한 미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함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앞부분에는 다수의 광케이블이 인출되는 통공을 구비하여 다수의 광케이블이 분기되는 다양한 변형례에 적합하게 이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뒷부분에는 상기 광분배함(100)으로 주광케이블(130)이 인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인입환경에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장함(120)내부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여장정리구(121)를 구비하여 주광케이블(130)이 정리되어 여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여장정리구(121)는 케이블타이 등의 주광케이블(130) 묶음 수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 모양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랙타입 광분배함에 의하면,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며, 인입된 여분의 주광케이블을 여장함에 여장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여장된 주광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주광케이블에서 분기된 광케이블을 정렬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광분배함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6)

  1. 광섬유가 피복에 의해 보호되는 다수의 광케이블로 이루어진 주광케이블이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주광케이블이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로 분기되어 인출되는 랙타입 광분배함에 있어서,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인입된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함;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장함에서 인출된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과 피그테일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스플라이스트레이; 및
    상기 함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광어댑터가 장착되는 광어댑터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2. 광섬유가 피복에 의해 보호되는 다수의 광케이블로 이루어진 주광케이블이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주광케이블이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로 분기되어 인출되는 랙타입 광분배함에 있어서,
    전산장비를 수용하는 랙(Rack)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인입된 주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함;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장함에서 인출되어 광어댑터로 연결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여장 및 보호하는 광케이블하우징; 및
    상기 함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광어댑터가 장착되는 광어댑터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광케이블하우징은 상면이 개폐가능하며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은,
    상기 주광케이블이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로 분기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분기된 상기 다수의 광케이블을 정렬하여 고정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하면에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상부정렬부재;
    상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하부정렬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정렬부재 사이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면과 하면에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반원형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정렬부재가 대면하는 부분에 상기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원형홈에 상기 광케이블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에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하나 이상의 중간정렬부재가 상기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함체의 저면과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타입 광분배함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함체와 결합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타입 광분배함.
KR2020050036544U 2005-12-27 2005-12-27 랙타입 광분배함 KR20041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44U KR200411362Y1 (ko) 2005-12-27 2005-12-27 랙타입 광분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44U KR200411362Y1 (ko) 2005-12-27 2005-12-27 랙타입 광분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362Y1 true KR200411362Y1 (ko) 2006-03-15

Family

ID=4176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544U KR200411362Y1 (ko) 2005-12-27 2005-12-27 랙타입 광분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80B1 (ko) 2009-04-10 2011-07-22 주식회사 엔티코아 통신기기함의 광케이블 배선설치방법과 그 배선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80B1 (ko) 2009-04-10 2011-07-22 주식회사 엔티코아 통신기기함의 광케이블 배선설치방법과 그 배선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153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配線フレーム
US7583885B2 (en) Fiber distribution enclosure
US7577331B2 (en) Optical fiber coupler module
EP1621907B1 (en) Distribution frame for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US10082635B2 (en) Fiber splice and distribution module and fiber splice and distribution frame
CA2563448C (en)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US20100278499A1 (en) Fiber Optic Panels Configured to Retain Fiber Optic Components in a Depth Space of a Chassis
CA2801783C (en) Exterior distribution pedestal cabinet
US10295773B2 (en) Segregated fiber in a splice cassette
US11467359B2 (en) Carriage for patching, splitting, and/or guiding fiber optic cables
EP2255234A1 (en) Optical fibre organiser
US20200233168A1 (en) Fiber optic management device
US20140133822A1 (en) Rotatable furcation assembly
KR200410218Y1 (ko) 광분배함
JP2008224998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及び光配線システム
KR200411362Y1 (ko) 랙타입 광분배함
WO1999047960A1 (en) Optical fibre overlength storage
KR20000019859A (ko)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KR200228295Y1 (ko) 광 접속셀프
KR200228293Y1 (ko) 광 분배셀프
JP2006113380A (ja) 光配線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