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12B1 -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612B1
KR102315612B1 KR1020210011340A KR20210011340A KR102315612B1 KR 102315612 B1 KR102315612 B1 KR 102315612B1 KR 1020210011340 A KR1020210011340 A KR 1020210011340A KR 20210011340 A KR20210011340 A KR 20210011340A KR 102315612 B1 KR102315612 B1 KR 10231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nel
housing
optical cab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1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5Boxes with lateral pivoting co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120)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채 가입자용 광케이블(C1)의 광섬유와 광옥외선(C2)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주는 다수의 광어댑터(130)와, 상기 광어댑터를 지지하기 위한 광어댑터 패널(140)을 구비한 광케이블 단자함(100)으로, 상기 광어댑터 패널(140)은 최상측 양단이 상기 함체의 상측 내벽에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자형의 상부패널(141)과, 최하측 양단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패널(141)과 대칭을 이루도록 역V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패널(142)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패널(141)은 그 최상측 양단에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상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1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141b)과 수직면(141c)이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면(141b)의 중앙에는 고정패널(141d)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130)의 입력부(131)와 출력부(132)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42)은 그 최하측 양단이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2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142b)과 수직면(142c)이 상향으로 연속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면(142b)의 중앙에는 고정패널(142d)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130)의 입력부(131)와 출력부(132)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광케이블(C1)은 상기 함체(110)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141)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부 광케이블(C1-1)과, 상기 함체(110)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상기 하부패널(142)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 광케이블(C1-2)로 이원화되고, 상기 상,하부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입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1a)에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광옥외선(C2)은 상기 함체(110)의 양 측으로 각각 인입되도록 이원화되고, 상기 각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출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2a)에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션고정구(150)는 상기 상부패널(141)의 최상측 수평면과, 상기 하부패널(142)의 최하측 수평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151)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프링(152)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과 스프링을 관통하여 그 말단이 상기 함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으로 인입되며 소정부위에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15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프링(152)을 탄압하는 탄압편(153a)이 마련된 고정핀(153)과, 상기 고정핀의 다른 말단에 마련되어 고정핀을 당김 조작하여 고정핀의 말단이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54)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 파지구(160)는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고정판(161)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반쪽을 수직상태가 되도록 파지하는 반 파지판(162)과,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63)과, 고정블록에 지지되는 당김레버(164)와, 상기 당김레버의 말단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나머지 반쪽을 파지하는 고무재질의 파지블록(165)과, 상기 파지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의 당김레버 상에 설치된 채 탄성력에 의해 파지블록이 광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당김레버를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 때 인장 탄성력에 의해 당김레버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66);으로 구성된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이런 본 발명은 광어댑터 패널의 형상을 계단형 구조로 하고, 각 계단에 광어댑터를 설치함에 따라 광어댑터간에 위치차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광케이블 및 광옥외선의 배선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용이한 배선작업으로 인하여 배선불량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Optical cable terminal box with optical adapter panel for easy assembly}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련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어댑터가 지지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계단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함체의 위아래에 대칭형으로 회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을 광어댑터 패널의 설치구조에 맞게 맞춤 배치함으로써 배선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및 분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 내에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며, 광케이블의 융착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 접속과 같은 접속 기능과, 접속부 보호 기능, 그리고 인입 및 인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설치 위치에 따른 형상에 따라서,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 부착형과 전신주에 부착되는 전주 부착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벽면 부착형 그리고 전주 부착형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가 마련되어 있되, 그 몸체의 측면에는 광 케이블이 끼워지도록 복수개의 광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케이블 인입부의 일측에는 광옥외선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광옥외선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커버가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면 상하부에는 결합공이 마련된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광어댑터 판넬이 설치되어 있고, 그 광어댑터 판넬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광어댑터 입력부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복수개의 광어댑터출력부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 단자함을 설치할 때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광케이블 단자함 몸체를 접촉시킨 후 상기 몸체의 외측면 상하부에는 설치된 지지편의 결합공으로 체결볼트를 결합하면 상기 몸체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에 형성된 광케이블 인입구의 내부로 광케이블을 끼우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광피그테일 커넥터를 광어댑터 판넬에 설치된 광어댑터 입력부에 각각 결합하면 광케이블의 결합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광옥외선 인입부에 광옥외선을 각각 끼운 후 상기 몸체 내측에 삽입된 광옥외선을 묶거나 별도의 고정끈(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광옥외선이 몸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광옥외선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현장조립형 커넥터를 광어댑터 판넬에 설치된 광어댑터 출력부에 각각 결합하면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어댑터 판넬이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광어댑터 판넬에 설치된 광어댑터 입력부 및 광어댑터 출력부에 광피크테일 커넥터와 현장조립형 커넥터를 분리 결합할 때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인접 케이블에 초과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옥외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광옥외선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그 광옥외선의 단부를 묶을 경우에는 광옥외선의 단선으로 인한 신호전송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고정끈을 이용하여 광옥외선을 고정시킬 경우에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광옥외선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광옥외선에 묶여진 고정끈이 미끄러지면서 광옥외선에서 분리되었으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끈의 결합력을 증가할 경우에는 광옥외선의 단선으로 인한 신호전송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366810호(2014.02.14. 공고)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0795213호(2008.01.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어댑터가 지지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계단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함체의 위아래에 대칭형으로 회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을 광어댑터 패널의 설치구조에 맞게 맞춤 배치함으로써 배선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채 가입자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옥외선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주는 다수의 광어댑터와, 상기 광어댑터를 지지하기 위한 광어댑터 패널을 구비한 광케이블 단자함으로, 상기 광어댑터 패널은 최상측 양단이 상기 함체의 상측 내벽에 텐션고정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자형의 상부패널과, 최하측 양단이 상기 함체의 하측 내벽에 텐션고정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패널과 대칭을 이루도록 역V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패널은 그 최상측 양단에 상기 텐션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의 상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면의 중앙에는 고정패널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의 입력부와 출력부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어 각 광어댑터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패널은 그 최하측 양단이 상기 텐션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의 하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상향으로 연속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면의 중앙에는 고정패널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의 입력부와 출력부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어 각 광어댑터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함체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부 광케이블과, 상기 함체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에 의해 상기 하부패널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 광케이블로 이원화되고, 상기 상,하부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광어댑터의 입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에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광옥외선은 상기 함체의 양 측으로 각각 인입되도록 이원화되고, 상기 각 광옥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광어댑터의 출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에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션고정구는 상기 상부패널의 최상측 수평면과, 상기 하부패널의 최하측 수평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과 스프링을 관통하여 그 말단이 상기 함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인입되며 소정부위에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프링을 탄압하는 탄압편이 마련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다른 말단에 마련되어 고정핀을 당김 조작하여 고정핀의 말단이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상기 함체의 내면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반쪽을 수직상태가 되도록 파지하는 반 파지판과, 상기 함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고정블록에 지지되는 당김레버와, 상기 당김레버의 말단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나머지 반쪽을 파지하는 고무재질의 파지블록과, 상기 파지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의 당김레버 상에 설치된 채 탄성력에 의해 파지블록이 광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당김레버를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 때 인장 탄성력에 의해 당김레버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어댑터 패널의 형상을 계단형 구조로 하고, 각 계단에 광어댑터를 설치함에 따라 광어댑터간에 위치차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광케이블 및 광옥외선의 배선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용이한 배선작업으로 인하여 배선불량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관련하여, 광어댑터 간의 확연한 위치차와, 광케이블과 광옥외선을 광어댑터 설치구조에 맞게 맞춤 배치함으로써 배선의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향후 배선을 철거하는 작업과 배선을 교체하는 작업 등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어댑터를 계단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함체의 한정된 공간안에 최대한 많은 양의 광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어댑터 패널을 함체의 전방으로 회전시켜 인출할 수 있음에 따라 함체의 외부에서 광어댑터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므로 설치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파지구의 파지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이에 파지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이 크거나 또는 작더라도 호환적으로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사시도로서, 광어댑터 패널의 하부패널을 회동에 의해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배선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배선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어댑터 패날의 상,하부 패널을 모두 인출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선 고정구의 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사시도로서, 광어댑터 패널의 하부패널을 회동에 의해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배선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배선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어댑터 패날의 상,하부 패널을 모두 인출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선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이하, '광케이블 단자함'이라 약칭함)(100)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10)과,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120)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채 가입자용 광케이블(C1)의 광섬유와 광옥외선(C2)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주는 다수의 광어댑터(130)와, 상기 광어댑터를 지지하기 위한 광어댑터 패널(14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광어댑터 패널(140)은 최상측 양단이 상기 함체(110)의 상측 내벽에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141)과, 최하측 양단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패널(14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패널(141,142)은 그 구성은 동일하되, 설치방향이 대칭되는 방향이 된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패널(141)은 V자형이고, 하부패널(142)은 상부패널과 대칭되는 역V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부패널(141)은 그 최상측 양단에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상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1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141b)과 수직면(141c)이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수평면(141b)의 중앙에는 도 1, 2 및 4에서와 같이, 고정패널(141d)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130)의 입력부(131)와 출력부(132)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각 광어댑터(130)는 계단형의 상부패널(141) 구조에 의해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므로 광케이블(C1) 및 광옥외선(C2)을 배선함에 유리하다. 이로써 배선작업에 신속성을 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142)은 상기 상부패널(141)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나, 방향이 반대로 된다. 즉, 그 최하측 양단이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2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142a)로부터 다수개의 수평면(142b)과 수직면(142c)이 상향으로 연속반복되는 계단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면(142b)의 중앙에는 고정패널(142d)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130)의 입력부(131)와 출력부(132)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하부패널(142)도 역시 상기한 상부패널(141)과 같이, 상기 각 광어댑터(130)가 계단형의 상부패널(141) 구조에 의해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므로 광케이블(C1) 및 광옥외선(C2)을 배선함에 유리하다. 이로써 배선작업에 신속성을 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음은 상부패널과 같다
한편, 상기 텐션고정구(150)는 상부패널(141)과 하부패널(142)을 함체(110)로 부터 탈거하거나 또는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패널(141)의 최상측 수평면과, 상기 하부패널(142)의 최하측 수평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151)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프링(152)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151)과 스프링(152)을 관통하여 그 말단이 상기 함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으로 인입되며 소정부위에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15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프링(152)을 탄압하는 탄압편(153a)이 마련된 고정핀(153)과; 상기 고정핀(153)의 다른 말단에 마련되어 고정핀을 당김 조작하여 고정핀의 말단이 상기 결합공(1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5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에는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링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케이블(C1)은 상기 함체(110)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141)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부 광케이블(C1-1)과, 상기 함체(110)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상기 하부패널(142)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 광케이블(C1-2)로 이원화되고, 상기 상,하측의 광케이블(C1-2)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입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1a)에 접속되게 구성된다.
상기 광옥외선(C2)은 상기 함체(110)의 양 측으로 각각 인입되도록 이원화되고, 상기 각 광옥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상기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출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2a)에 접속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파지구(160)는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고정판(161)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반쪽을 수직상태가 되도록 파지하는 반 파지판(162)과,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63)과, 고정블록에 지지되는 당김레버(164)와, 상기 당김레버의 말단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나머지 반쪽을 파지하는 고무재질의 파지블록(165)과, 상기 파지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의 당김레버(164) 상에 설치된 채 탄성력에 의해 파지블록이 광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당김레버를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 때 인장 탄성력에 의해 당김레버(164)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광케이블 단자함
110 : 함체
120 : 커버
130 : 광어댑터
140 : 광어댑터 패널
150 : 텐션고정구
160 : 케이블 파지구

Claims (1)

  1.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120)와,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채 가입자용 광케이블(C1)의 광섬유와 광옥외선(C2)의 광섬유를 일대일로 접속시켜주는 다수의 광어댑터(130)와, 다수개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는 계단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중앙에는 고정패널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전후면으로 광어댑터(130)의 입력부(131)와 출력부(132)가 대향되게 배치된 채 나사로서 체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광어댑터(130)를 지지하기 위한 광어댑터 패널(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광케이블(C1)은 상기 함체(110)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상부패널(141)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부 광케이블(C1-1)과 상기 함체(110)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파지구(160)에 의해 하부패널(142)의 중앙부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 광케이블(C1-2)로 이원화되고 상기 상,하부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입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1a)에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광옥외선(C2)은 상기 함체(110)의 양 측으로 각각 인입되도록 이원화되고 상기 각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는 각 고정패널(141d,142d)에 고정되는 광어댑터(130)의 출력측 광피그테일 커넥터(132a)에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널(141)의 최상측 수평면과 상기 하부패널(142)의 최하측 수평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151)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프링(152)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과 스프링을 관통하여 그 말단이 상기 함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으로 인입되며 소정부위에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15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프링(152)을 탄압하는 탄압편(153a)이 마련된 고정핀(153)과 상기 고정핀의 다른 말단에 마련되어 고정핀을 당김 조작하여 고정핀의 말단이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54)를 갖는 텐션고정구(150)와,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고정판(161)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반쪽을 수직상태가 되도록 파지하는 반 파지판(162)을 갖는 케이블 파지구(160)로 구성되는 광케이블 단자함(100)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 패널(140)은, 최상측 양단이 상기 함체의 상측 내벽에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자형의 상부패널(141)과, 최하측 양단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패널(141)과 대칭을 이루도록 역V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패널(142)로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패널(141)은 그 최상측 양단에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상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1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141a)로부터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패널(142)은 그 최하측 양단이 상기 텐션고정구(150)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하측 내벽에 결속되는 결속부(142a)가 마련되고 상기 양 쪽 결속부(142a)로부터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 파지구(160)는, 상기 함체(1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63)과, 고정블록에 지지되는 당김레버(164)와, 상기 당김레버의 말단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광케이블의 외주면 나머지 반쪽을 파지하는 고무재질의 파지블록(165)과, 상기 파지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의 당김레버 상에 설치된 채 탄성력에 의해 파지블록이 광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당김레버를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 때 인장 탄성력에 의해 당김레버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210011340A 2021-01-27 2021-01-27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31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40A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40A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612B1 true KR102315612B1 (ko) 2021-10-21

Family

ID=7826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340A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07B1 (ko) 2023-04-11 2023-10-19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13B1 (ko) 2000-07-25 2008-01-16 아르코 케미컬 테크날러쥐. 엘.피. 혼합 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직접적 에폭시화 방법
KR100796212B1 (ko) * 2007-10-26 2008-01-21 동양정보통신기술(주)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JP2010061143A (ja) * 2008-09-02 2010-03-18 Corning Cable Systems Llc 光ファイバ通信用の高密度パッチパネル組立体
KR101366810B1 (ko) 2012-02-21 2014-02-21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87361B1 (ko) * 2017-12-13 2018-08-10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초고속 정보통신건물용 광분배함
KR102171084B1 (ko) * 2020-06-19 2020-10-29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용 광분배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13B1 (ko) 2000-07-25 2008-01-16 아르코 케미컬 테크날러쥐. 엘.피. 혼합 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직접적 에폭시화 방법
KR100796212B1 (ko) * 2007-10-26 2008-01-21 동양정보통신기술(주)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JP2010061143A (ja) * 2008-09-02 2010-03-18 Corning Cable Systems Llc 光ファイバ通信用の高密度パッチパネル組立体
US20110085776A1 (en) * 2008-09-02 2011-04-14 Eric Biribuze High-Density Patch-Panel Assemblies for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KR101366810B1 (ko) 2012-02-21 2014-02-21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87361B1 (ko) * 2017-12-13 2018-08-10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초고속 정보통신건물용 광분배함
KR102171084B1 (ko) * 2020-06-19 2020-10-29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용 광분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07B1 (ko) 2023-04-11 2023-10-19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43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ростков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US8270797B2 (en) Splice holder for communication socket
US10082635B2 (en) Fiber splice and distribution module and fiber splice and distribution frame
US7970251B2 (en) Outlet device
KR20020006481A (ko) 이중 기능의 먼지 덮개
JP2008514988A (ja) コネクタおよびスプライスホルダ装置
KR102315612B1 (ko)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0964278B1 (ko) 광접속함체
JP4458538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JP2006235557A (ja) 光コンセント
KR100796212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350854B1 (ko) 단자함
JP5415905B2 (ja) 二芯光コンセント
JP2003139964A (ja) メディア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208334717U (zh) 光电混合式面板装置
KR20080047268A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JP5289718B2 (ja) 光配線システム
JP2003344665A (ja) 光ケーブル接続具
KR101777272B1 (ko)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JP4458539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KR102602179B1 (ko)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광섬유 커넥터 모듈
CN218497219U (zh) 光纤同轴综合面板
JP4855306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CN210155374U (zh) 垂直型光纤路由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