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07B1 -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07B1
KR102591007B1 KR1020230047396A KR20230047396A KR102591007B1 KR 102591007 B1 KR102591007 B1 KR 102591007B1 KR 1020230047396 A KR1020230047396 A KR 1020230047396A KR 20230047396 A KR20230047396 A KR 20230047396A KR 102591007 B1 KR102591007 B1 KR 10259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agnet
cable tra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준
Original Assignee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3004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5Cassette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extraction or insertion of the cassette in the distribution frame, e.g. pivoting, sliding, rotating or gli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고정하여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어댑터가 안착구에 배치되고, 자석가드에 끼워지는 투명커버가 어댑터를 고정시키며, 자석수납구에 수납되고 투명커버에 고정된 고정자석이 광케이블이 배치된 케이블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Case for arranging optical cables}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고정하여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어댑터가 안착구에 배치되고, 자석가드에 끼워지는 투명커버가 어댑터를 고정시키며, 자석수납구에 수납되고 투명커버에 고정된 고정자석이 광케이블이 배치된 케이블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방식은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꾼뒤 이를 빛의 강약 또는 광신호로 변환하며, 광섬유를 통해 레이저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방식이다.
이때, 광점퍼코드(OJC:Optical Jumper Cord)는 석영유리를 이용한 광섬유 코어를 플라스틱 재질 2차 코팅하고, 그 위에 피복을 한 광케이블이다.
광점퍼코드는 광섬유를 케이블의 형태로 제작하고, 전송장비간의 접속을 위해 케이블의 양단에 커넥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광어댑터의 접속구에 접속되는데, 광어댑터는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도록 한 장비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방식은 전기 통신에 비해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없고 도청이 힘들며,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최근에 들어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일반 가정에 제공하기 위하여 각 가정까지 광섬유를 부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FTTH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수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특히 각종 대형 건축물의 통신실에는 광케이블의 회선 분배를 위한 광분배함이 구비되어 있다.
빛의 전반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케이블은 원활한 신호전달을 위해 일정 곡률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보다 더 작은 곡률을 형성할 시에는 에러가 나거나 통신 오류가 발생하여 원활한 광통신을 보장할 수 없다.
광통신장비로 사용되는 랙에는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어댑터가 구비되어 있고, 광케이블의 커넥터를 어댑터에 접속시켜 연결상태를 유지하는데, 랙에 다수의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에, 각 광케이블의 상호간에 간섭이 일어나 최소 곡률반경 이하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이 난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가 랙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가 상당히 곤란해진다. 랙이 설치되는 장소가 협소하고 다수의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난잡한 광케이블의 연결상태에 의해 커넥터와 어댑터의 접속상태가 불량하여 데이터 통신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정되지 않은 광케이블은 자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게 되며, 자중에 의한 처짐이 어댑터와 커넥터 사이의 접속의 불안함을 야기하고, 지속되는 피로누적으로 광케이블이 노후화되어 안정적인 광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광통신장비에 광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원활한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접속라인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시각적으로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수의 광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어댑터의 배치가 중요하며, 다수의 어댑터가 수직, 수평 등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광케이블의 접속 관리의 난이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광섬유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광어댑터를 정리하고 고정하여 더욱 깔끔한 선정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광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광케이블 정리 장치가 필요하다.
KR 10-2315612 (B1) 2021.10.15. KR 10-2350854 (B1) 2022.01.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트레이의 안착구에 배치되는 광어댑터가 투명커버로 덮여서 빠지지 않으며, 관리자가 투명커버 너머 있는 광커넥터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점검할 수 있고, 고정자석이 구비되어 케이블트레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자력으로 함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펜스가 광어댑터를 기준으로 어느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광커넥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광커넥터와 광어댑터의 접속부위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펜스가 형성된 방향으로 광커넥터의 접속부위를 보호하되, 광커넥터가 빈번하게 접속 및 해제되는 방향은 케이블펜스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광어댑터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펜스에 방해받지 않고 편리하게 광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자석이 케이블트레이의 자석수납구에 삽입될 시에 그 삽입구의 폭이 단일의 고정자석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삽입되는 고정자석과 자력으로 결합하므로 자석수납구에 유격없이 꽉 채워지고 상부의 자석가드에 의해 자석수납구에서 이탈되지 않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수납구에 삽입된 고정자석이 케이블트레이의 상,하면 및 측면과 밀착되므로, 고정자석의 자력을 통하여 케이블트레이를 관리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며, 광어댑터(10)가 배치되는 안착구(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자석수납구(130)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서 연장된 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자석수납구(130)의 상단과 이격된 틈을 형성하는 자석가드(140)가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를 가리며, 광케이블(20)이 지지되는 지지대(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트레이(100);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되는 고정자석(200); 양단이 상기 고정자석(200) 상부와 자석가드(140)의 하단 사이에 끼워져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단을 덮으며, 케이블트레이(100) 내부에 배치된 광커넥터(21)가 상부로 투영되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된 고정자석(200)을 고정하는 투명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되는 고정자석(200)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서 자석가드(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인 삽입구(131)의 폭(b)이 단일의 고정자석(200)의 폭(c)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고정자석(200)이 자석수납구(130) 내에 수납되며, 상기 자석가드(140)에 간섭받지 않는 고정자석(200)이 자석가드(140)로 막힌 고정자석(200)과 결합하며 상기 투명커버(300)가 없는 상태에서 자석가드(140)에 의하여 자석수납구(13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를 이루어 내측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커넥터(21)가 내부에 수용되고, 광케이블(20)이 관통하는 케이블통공(160)이 형성되는 케이블펜스(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어느 한 쪽 방향에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광어댑터(10)의 접속구(11)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전후방향에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어, 광어댑터(10)가 케이블트레이(1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개의 투명커버(300)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되 광어댑터(10)의 상부에서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투명커버(300)가 외부로의 인출없이 케이블트레이(10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면을 개방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펜스(15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광케이블(20)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여장대(170);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광케이블(20)이 연결된 광융착점을 보호하는 광융착슬리브(22)가 구비되며; 상기 광융착슬리브(22)를 끼워 고정시키는 슬리브고정블록(500)이 상기 안착구(1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는 케이블트레이의 안착구에 배치되는 광어댑터가 투명커버로 덮여서 빠지지 않으며, 관리자가 투명커버 너머 있는 광커넥터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점검할 수 있고, 고정자석이 구비되어 케이블트레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자력으로 함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펜스가 어댑터를 기준으로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광커넥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광커넥터와 광어댑터의 접속부위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블펜스가 형성된 방향으로 광커넥터의 접속부위를 보호하되, 광커넥터가 빈번하게 접속 및 해제되는 방향은 케이블펜스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광어댑터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펜스에 방해받지 않고 편리하게 광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자석이 케이블트레이의 자석수납구에 삽입될 시에 그 삽입구의 폭이 단일의 고정자석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삽입되는 고정자석과 자력으로 결합하므로 자석수납구에 유격없이 꽉 채워지고 상부의 자석가드에 의해 자석수납구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수납구에 삽입된 고정자석이 케이블트레이의 상,하면 및 측면과 밀착되므로, 고정자석의 자력을 통하여 케이블트레이를 관리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안착구가 단일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b)는 안착구가 2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c)는 안착구가 3개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자석수납구에 고정자석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투명커버의 삽입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투명커버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b)는 투명커버가 휨 방식으로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c)는 투명커버가 볼트체결 방식으로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케이블트레이의 형상을 종류별로 나타낸 것으로, (a)는 오픈형의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반울타리형의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c)는 울타리형의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케이블트레이의 여장대와 슬리브고정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광어댑터를 고정시키는 어댑터브래킷을 나타낸 것으로, (a)는 광어댑터가 어댑터브래킷에 끼워지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b)는 광어댑터가 끼워진 어댑터브래킷을 케이블트레이에 끼우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에서 케이블트레이를 함체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케이블트레이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케이블트레이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는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를 정리하는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상단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며, 광어댑터(10)가 배치되는 안착구(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자석수납구(130)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를 가리는 자석가드(140)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광케이블(20)이 지지되는 지지대(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트레이(100);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되며, 자력으로 상기 케이블트레이(100)를 외부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자석(200);
양단이 상기 자석가드(14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단을 덮으며,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케이블트레이(100) 내부에 배치된 광커넥터(21)가 상부로 투영되고, 상기 안착구(110)에 배치된 광어댑터(10)와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된 고정자석(200)을 고정하는 투명커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명커버(300)에서 투명이란 내부에 설치되는 광어댑터(10) 또는 광커넥터(21)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가지는 것으로, 완전 투명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케이블(20)이 광통신장비에 접속될 때에 서로 복잡하게 얽히지 않도록 광케이블(20)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고정시켜 보기 좋고 광케이블(20)의 접속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 광케이블(20)은 광통신장비에 접속되는 광커넥터(21) 부위에서 가장 많은 꺽임이 일어나므로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불량이 야기된다. 따라서 광커넥터(21)가 꺽이지 않고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부위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어댑터(10)와 광커넥터(21)의 접속부위를 보호하는 케이스인 케이블트레이(100)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는 광어댑터(10)가 배치되는 공간인 안착구(110)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고정자석(200)을 수납하는 자석수납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를 일부 가리는 자석가드(140)가 형성되며, 광케이블(20)이 흐트러지지 않게 묶어 고정하는 지지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고정자석(200)이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100) 상면을 덮는 투명커버(300)가 자석가드(140)의 하단에 끼워진다.
따라서 안착구(110)에 끼워진 광어댑터(10)가 안착구(110)와의 유격이 없어 요동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광케이블(20) 또한 지지대(120)에 올려지고 찍찍이(상표명:벨크로)로 묶이므로 지저분하게 흐트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정리된다.
또한,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된 고정자석(200)이 자력으로 케이블트레이(100)를 외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여기서 케이블트레이(100)가 부착되는 '외부'는 함체(600), 또는 또 다른 케이블트레이(100)가 될 수 있다. 케이블트레이(100)의 배치 형태를 관리자의 의도와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투명커버(300)가 상기 자석가드(140)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안착구(110)에 끼워진 광어댑터(10)가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삽입구(131)를 막아서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된 고정자석(200)도 빠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블트레이(100) 내의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가 상호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케이블트레이(100)가 고정자석(200)을 통해 관리자의 의도와 편의에 따라 자유자재로 배치하여서 광케이블(20)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하,전,후,좌,우 방향 지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르며, 좌,우를 통칭할 시에는 양측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내측방향은 케이블트레이(100)의 무게중심을 향한 방향이며, 외측방향은 케이블트레이(10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20)에는 광통신장비에 끼워지는 광커넥터(21)가 구비되고, 상기 광커넥터(21)는 광통신장비 중 광어댑터(10)에 끼워진다. 광어댑터(10)는 광케이블(2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전자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전자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광어댑터(10)는 광커넥터(21)가 접속되는 접속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11)는 광어댑터(10)의 목적과 종류에 따라 그 위치와 개수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어댑터(10)는 접속구(11)가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접속구(11)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접속구(11)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접속구(11)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케이블트레이(100)도 본 발명의 사상이 변형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구조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100)는 그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광케이블(20)을 정리 및 관리하는 관리자의 의도와 편의에 따라 결정되며, 어느 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를 사용하여 광케이블(20)을 정리할지는 관리자의 의도에 따른다.
다양한 형상의 케이블트레이(100) 중,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구성은 안착구(110), 지지대(120), 자석수납구(130), 자석가드(140)이며, 상기 자석가드(140)에 끼워지는 투명커버(300)도 공통적으로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먼저, 안착구(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트레이(100)에 형성되어 광어댑터(10)가 끼워지는 공간이다. 또한, 후술할 슬리브고정블록(500)도 상기 안착구(11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안착구(110)의 양측 벽에는 광어댑터(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댑터고정홈(111)이 형성된다. 광어댑터(10)의 양측에는 고정돌기(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12)가 어댑터고정홈(111)에 끼워짐으로써 광어댑터(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안착구(110)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a)와 같이 안착구(110)가 단일로 형성되는 경우, 단일의 광어댑터(10)만 끼워질 수 있으며, 안착구(110)의 좌,우 양측으로 자석수납구(130)가 위치한다. 따라서 안착구(110)의 양측 벽은 자석수납구(130)의 내측 벽이 되며, 이 벽에 상기 어댑터고정홈(111)이 형성된다.
도 3(b)와 같이 안착구(110)가 2개로 형성되는 경우 광어댑터(10)는 2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구(11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벽이 단일로 형성되고, 이 벽에 형성되는 어댑터고정홈(111)에 각각 다른 고정돌기(12)가 끼워져 광어댑터(10)가 고정된다.
도 3(c)와 같이 안착구(110)가 3개로 형성되는 경우 광어댑터(10)는 3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구(11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벽이 2개로 형성되고, 이 각각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어댑터고정홈(111)에 각각 다른 고정돌기(12)가 끼워져 광어댑터(10)가 고정된다.
또한, 광커넥터(21) 및 광어댑터(10)의 필요 개수에 따라, 그리고 관리자가 광케이블(20)을 정리 및 관리하려는 의도에 따라 4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고정자석(200)을 삽입하기 위한 자석수납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자석수납구(130)는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공간이 형성되어 고정자석(200) 수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자석수납구(130)가 내측으로 약간 돌출됨에 따라 내측 벽이 형성되는데, 이 벽은 고정자석(200)과 더불어 광어댑터(10)를 지지하는 목적으로도 공유된다. 즉, 이 내측 벽이 고정자석(200)과 광어댑터(10)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 역할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는 자석가드(140)가 형성된다. 상기 자석가드(140)는 케이블트레이(100) 가장자리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자석가드(140)는 자석수납구(130)의 상부를 가리게 되는데, 전부를 가리는 것이 아니고 일부만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서 상기 자석가드(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삽입구(131)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31)를 통하여 고정자석(200)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된 고정자석(200)이 상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자석가드(140)가 막아준다. 고정자석(200)이 삽입구(131)로 쉽게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고정자석(200)의 폭은(c) 삽입구(131)의 폭(b)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폭(a)은 복수개의 고정자석(200)이 합쳐진 폭으로 형성된다. 즉, 자석수납구(130)의 폭(a)은 고정자석(200)의 폭(c)을 합한 길이가 된다.
삽입구(131)를 통해 고정자석(200)을 자석수납구(130)에 삽입하고 나면, 고정자석(200)이 삽입구(131)를 통해 다시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정자석(200)을 자석수납구(130)에 더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자석수납구(130)는 2개 이상의 고정자석(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복수개의 고정자석(200)이 삽입되고 나면, 상호 자력으로 일체형처럼 결합한다. 어느 하나의 고정자석(200)이 자석가드(140)에 의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자석가드(140)의 간섭을 받지 않는 고정자석(200)도 자석가드(140)로 막힌 고정자석(200)과 자력으로 결합하여 일체가 되므로 자석가드(140)에 의하여 자석수납구(130)에서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블트레이(100)에는 광케이블(20)이 안착되어 찍찍이로 고정되는 지지대(120)가 형성된다.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지지대(120)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찍찍이가 통과되는 관통슬릿(121)이 형성된다. 관통슬릿(121)에 삽입된 찍찍이는 그 위치가 이탈되지 않으며, 광케이블(20)을 묶음으로 묶어서 견고하게 지지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자석가드(140)는 투명커버(30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케이블트레이(100)의 개방된 상단을 투명커버(300)가 덮은 다음 투명커버(300)를 상기 자석가드(140)에 끼운다. 자석가드(140)의 하부에 투명커버(300)가 끼워져서 투명커버(300)가 빠지지 않도록 자석가드(140)가 고정한다.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상단을 덮기 위하여 투명커버(300)가 구비된다. 상기 투명커버(300)는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투명커버(300)가 덮인 상태에서도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내부공간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연결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투명커버(300)는 양단이 자석가드(140)에 의해 걸리게 되며,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면을 덮은 투명커버(300)는 자석수납구(130)의 삽입구(131)를 폐쇄하며 광어댑터(10)의 상부에 놓여지므로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된 고정자석(200)이 삽입구(131)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고 안착구(110)에 끼워진 광어댑터(10)가 안착구(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커버(300)를 케이블트레이(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도 5(a)와 같이 상기 케이블트레이(100) 상단의 전측 부분, 또는 후측 부분이 약간 개방되어 상기 투명커버(3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투명커버(3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케이블트레이(100)에 단턱, 걸림없이 투명커버(300)가 왕복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도 5(b)와 같이 상기 투명커버(300)가 슬라이딩 되지 않고 살짝 휘어서 자석가드(140)에 넣는 방식이다. 상기 투명커버(300)는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형성되어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커버(300)를 라운드지게 살짝 휘게 한 다음, 일측 단부를 자석가드(140)의 하부에 끼워넣고, 타측 단부를 반대 부분의 자석가드(140)에 끼워넣으면 휘어 있던 투명커버(300)가 펴지면서 케이블트레이(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세번째로는 도 5(c)와 같이 상기 투명커버(300)를 자석가드(140)를 통한 거치 및 고정없이 케이블트레이(100)에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볼트체결 방식은 케이블트레이(100)의 광커넥터(21)에 접근하는 빈도가 적고 견고한 밀폐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 적합한 방식이다. 광커넥터(21)를 광어댑터(10)가 뺐다 꼈다하는 빈도가 적을 때에 투명커버(300)와 케이블트레이(100)와의 볼트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커버(300)의 가장자리와,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를 통한 나사체결로 상기 투명커버(300)와 케이블트레이(100)가 결합된다.
더불어, 도 5(c) 상에 나타난 볼트체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펜스(150)에 케이블통공(160)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는 케이블펜스(150) 내측으로 마련된 공간에 랙, 모뎀과 같은 광통신장비를 수납하고, 광케이블(20)이 이러한 광통신장비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박스 형상의 케이블트레이(100)는 광통신을 중계하는 중간지점이 아닌 터미널 지점으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는 광어댑터(10)에 접속된 광커넥터(21)를 충격이나 간섭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펜스(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펜스(150)는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벽체이며, 광커넥터(21)를 보호함으로써 광어댑터(10)와의 접속상태를 보호한다. 상기 케이블펜스(150)는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를 이루며, 상기 케이블펜스(150)의 내측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블펜스(150)는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하여 어느 한 쪽 또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펜스(150)가 안착구(110)를 중심선으로 하여 도 6(a) 어느 방향으로도 형성되지 않은 케이블트레이(100)를 '오픈형'으로 지칭한다. 오픈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는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와의 접속을 자주 수정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한 형태이며, 부피가 작아 협소한 공간에서 쉽게 배치할 수 있다. 관리자가 광어댑터(10)와 광커넥터(21)의 접속을 자주 수정하여야 하는 경우, 케이블펜스(150)에 걸리적거리지 않고 편리하게 점검 및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어 광커넥터(21)의 접속 부위를 보호하는데, 도 6(b)와 같이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어느 한 쪽에 형성된 케이블트레이(100)를 '반울타리형', 도 6(c)와 같이 전후방향에 형성된 케이블트레이(100)를 '울타리형'으로 지칭한다.
반울타리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는 안착구(110)에 끼워진 광어댑터(10)의 어느 한 쪽이 외부로 노출되며, 타측은 케이블펜스(150)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광어댑터(10)는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쪽에 배치되어 접속구(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에는 광어댑터(10)와 자주 뺐다가 껴야 하는 광커넥터(21)를 배치하고,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된 방향에는 적은 빈도로 접속상태를 수정해도 되는 광커넥터(2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울타리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는 광어댑터(1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된 케이블트레이(100)이다. 오픈형태, 반울타리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보다 보호효과가 뛰어나서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 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울타리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에 안착되는 광어댑터(10)는 케이블트레이(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접속구(11)가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떨어져 있다.
더불어, 울타리형태의 케이블트레이(100)에는 투명커버(300)의 개폐형태가 두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첫번째는 단일의 투명커버(300)가 구비되며,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는 방식이다. 두번째는 투명커버(300)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상기 케이블트레이(10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케이블트레이(100) 상면을 개방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광어댑터(10)가 배치된 위치를 기준선으로 하여 어느 어느 한 쪽 방향만 개방되게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투명커버(30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놓여져 있고 안착구(110)의 위치에서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구(110)에 놓이는 광어댑터(10)의 상부에서 중첩되는 것이다. 두번째의 슬라이딩 방식은 케이블트레이(100)의 개방된 상면을 모두 개방하지 않고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방향만 투명커버(300)를 슬라이딩해서 개방한 후 점검 및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된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상기 케이블펜스(150)에 광케이블(20)이 관통하는 구멍인 케이블통공(160)이 형성되고, 지지대(120)는 상기 상기 케이블통공(160)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광케이블(20)이 지지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블통공(160)을 지나 케이블트레이(100) 내부의 광어댑터(10)에 접속된다.
상기 케이블통공(160)은 광어댑터(10)의 위치를 기준선으로 하여 어느 한 쪽 방향의 케이블펜스(150)에 대하여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 내에 구비되는 광케이블(20)의 개수가 많으면 상기 케이블통공(16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블통공(160)의 개수와 동일하게 지지대(120)도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많은 개수의 광케이블(20)이 단일의 케이블통공(160)을 지나게 되면 한 묶음으로 묶이는 광케이블(20)이 과다하고, 다시 광어댑터(10)의 접속구(11)로 분산됨에 있어 과도한 곡률이 발생하여 광통신에 문제가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많은 개수의 광케이블(20)을 분산하기 위해 지지대(120) 및 케이블통공(160)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케이블트레이(100) 내측공간으로 광케이블(20)이 유입될 때부터 분산시켜서 광케이블(20)이 과다하게 굴곡지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 광케이블(20)을 설비할 때에 케이블 절단이나 접속 처리, 사후 고장복구 등을 고려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더 길게 빼는데, 그 여유분을 여장이라 한다.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이러한 여장 케이블을 보관할 수 있는 여장대(1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장대(170)는 상기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된 케이블트레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되, 광케이블(20)을 걸착(거치)할 수 있도록 걸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장대(170)는 광케이블(20)을 최소 곡률 이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이 확보된 케이블트레이(100)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광케이블(20)을 설치할 때 서로 다른 광케이블(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광케이블(20) 파이버를 열로 녹여 결합시키는 광융착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광융착점에는 광융착슬리브(22)를 배치하여 광융착점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서 도 7과 같이 광융착점이 지나치게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고정블록(500)이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고정블록(500)에 광융착슬리브(22)를 끼워서 고정시킴으로써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리브고정블록(500)은 케이블트레이(100)의 안착구(11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구(110)에는 광어댑터(10)와 슬리브고정블록(500)이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어댑터(10)와 슬리브고정블록(500)을 케이블트레이(10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트레이(100)에 안착구(110)가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케이블트레이(100) 내에 안착구(110)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도 8과 같이 상기 광어댑터(10) 및 슬리브고정블록(500)을 고정시키는 어댑터브래킷(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브래킷(400)은 케이블트레이(10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져 탈착식으로 구비되며, 관통구(410)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410)에 광어댑터(10), 또는 슬리브고정블록(50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어댑터(10) 및 슬리브고정블록(500)에는 클립(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13)은 어댑터브래킷(400)과 결합되는 형태이며, 탄성력이 있어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어댑터브래킷(400)과 걸림구조를 이루어 광어댑터(10) 및 슬리브고정블록(500)이 어댑터브래킷(400)에 이탈되지 않는다.
도 8(a)와 같이 상기 광어댑터(10) 및 슬리브고정블록(500)을 어댑터브래킷(400)에 끼운 후, 도 8(b)와 같이 상기 어댑터브래킷(400)을 케이블트레이(100)에 끼운다. 이때, 어댑터브래킷(400)을 케이블트레이(100)에 형성된 어댑터고정홈(11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를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단자함과 같은 함체(60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주로 설명하나, 광케이블(20)의 배치되는 장소의 환경과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발명의 케이블트레이(100)가 함체(600)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함체(600) 내에는 상기 케이블트레이(100) 내의 고정자석(200)이 자력으로 부착되는 부착면(610)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면(6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케이블트레이(100) 내의 고정자석(200)과 자력으로 결합된다. 케이블트레이(100)를 상기 부착면(610)에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100)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610)과의 결합을 위해 고정자석(200)을 자석수납구(130)에 구비하나,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블트레이(10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610)이 자력을 띄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트레이(100)에는 자력을 띄는 소재가 아니기에 케이블트레이(100)끼리의 결합이 불가능하고 상기 함체(600)에 구비된 자력의 부착면(610)과의 결합만 가능하다.
어느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는 부착면(610)에 하면(또는 상면)이 맞닿도록 할 수 있으며, 좌,우 어느 일측면이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수의 케이블트레이(100)가 도 9(a)와 같이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 하면이 다른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 상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함체(600) 내에서 많은 수의 광케이블(20)을 수용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20)이 오밀조밀 모아지고 공간적으로 여유가 발생하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배치 방식으로 케이블트레이(100)가 도 9(b)와 같이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 일측면이 다른 하나의 케이블트레이(100) 일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관리자가 함체(600)를 열어서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트레이(10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하는 경우 모두 함체(600)와의 고정은 고정자석(200)과 부착면(610)과의 자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된 고정자석(200)을 통하여 설치현장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관리자의 의도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광케이블(20)을 더욱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투명커버(300)가 고정자석(200) 및 광어댑터(10)를 고정시켜서 자석수납구(130) 및 안착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관리자도 투명커버(300)를 통하여 광커넥터(21)와 광어댑터(10)의 접속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광커넥터(21)가 접속상태를 수정하는 빈도에 따라 케이블트레이(100)를 오픈형, 반울타리형 또는 울타리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관리의 편의성이 뛰어나고 광케이블(20)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10:광어댑터 11:접속구 12:고정돌기 13:클립
20:광케이블 21:광커넥터 22:광융착슬리브
100:케이블트레이 110:안착구 111:어댑터고정홈 120:지지대 121:관통슬릿
130:자석수납구 131:삽입구 140:자석가드 150:케이블펜스
160:케이블통공 170:여장대
200:고정자석 300:투명커버 400:어댑터브래킷 410:관통구
500:슬리브고정블록 600:함체 610:부착면

Claims (8)

  1. 상단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며, 광어댑터(10)가 배치되는 안착구(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자석수납구(130)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서 연장된 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자석수납구(130)의 상단과 이격된 틈을 형성하는 자석가드(140)가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를 가리며, 광케이블(20)이 지지되는 지지대(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트레이(100);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되는 고정자석(200);
    양단이 상기 고정자석(200) 상부와 자석가드(140)의 하단 사이에 끼워져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단을 덮으며, 케이블트레이(100) 내부에 배치된 광커넥터(21)가 상부로 투영되고,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삽입된 고정자석(200)을 고정하는 투명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에 수납되는 고정자석(200)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자석수납구(130)의 상부에서 자석가드(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인 삽입구(131)의 폭(b)이 단일의 고정자석(200)의 폭(c)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고정자석(200)이 자석수납구(130) 내에 수납되며;
    상기 자석가드(140)에 간섭받지 않는 고정자석(200)이 자석가드(140)로 막힌 고정자석(200)과 결합하며 상기 투명커버(300)가 없는 상태에서 자석가드(140)에 의하여 자석수납구(130)에서 이탈되지 않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의 가장자리를 이루어 내측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커넥터(21)가 내부에 수용되고, 광케이블(20)이 관통하는 케이블통공(160)이 형성되는 케이블펜스(150);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어느 한 쪽 방향에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광어댑터(10)의 접속구(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100)에서 안착구(110)를 기준선으로 전후방향에 케이블펜스(150)가 형성되어, 광어댑터(10)가 케이블트레이(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투명커버(300)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되 광어댑터(10)의 상부에서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투명커버(300)가 외부로의 인출없이 케이블트레이(10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케이블트레이(100)의 상면을 개방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펜스(15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광케이블(20)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여장대(170);가 더 형성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광케이블(20)이 연결된 광융착점을 보호하는 광융착슬리브(22)가 구비되며;
    상기 광융착슬리브(22)를 끼워 고정시키는 슬리브고정블록(500)이 상기 안착구(110)에 고정되는;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KR1020230047396A 2023-04-11 2023-04-11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KR10259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96A KR102591007B1 (ko) 2023-04-11 2023-04-11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96A KR102591007B1 (ko) 2023-04-11 2023-04-11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07B1 true KR102591007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396A KR102591007B1 (ko) 2023-04-11 2023-04-11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50Y1 (ko) * 2005-12-08 2006-02-22 신광정보통신 주식회사 회전식 광어댑터 판넬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배반
KR20200000013U (ko) * 2018-02-27 2020-01-02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US20210239930A1 (en) * 2018-08-24 2021-08-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Hybrid enclosures for power and optical fiber, and enclosures including multiple protective lids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10-2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350854B1 (ko) 2019-10-25 2022-01-1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50Y1 (ko) * 2005-12-08 2006-02-22 신광정보통신 주식회사 회전식 광어댑터 판넬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배반
KR20200000013U (ko) * 2018-02-27 2020-01-02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US20210239930A1 (en) * 2018-08-24 2021-08-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Hybrid enclosures for power and optical fiber, and enclosures including multiple protective lids
KR102350854B1 (ko) 2019-10-25 2022-01-1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KR102315612B1 (ko) 2021-01-27 2021-10-2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1053B2 (en) Fiber optic wall mount cabinet
US8718435B2 (en) Terminal enclosure with extractable fiber organizer tray
US5825962A (en) Optical fiber splice housing
US9201206B2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with connector storage
US4840449A (en) Optical fiber splice organizer
TWI432808B (zh) 具有搖動框及模組終端面板之光纖分布集線器
US7941026B2 (en) Adapter block including connector storage
US5978540A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CA2714849C (en) Vertical cable management system with ribcage structure
WO1985004960A1 (en) Lightguide distributing unit
AU2003241518A1 (en) Optical fiber management module with cable storage spools
EP2788808B1 (en) Fibre-optic distribution enclosure
US10295773B2 (en) Segregated fiber in a splice cassette
US7848608B2 (en) Fiber routing system with drop-in device
US10641980B2 (en) Rack-mountable fiber optic splice enclosure
KR102591007B1 (ko) 광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스
KR101535597B1 (ko) 광분배함
WO2016154092A1 (en) Fiber optic module and chassis with cable slack management
EP2521234A1 (en) Wall mounted plate with integrated ducts
WO2006125952A1 (en) Cable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