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774B1 -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 Google Patents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774B1
KR101366774B1 KR1020120065758A KR20120065758A KR101366774B1 KR 101366774 B1 KR101366774 B1 KR 101366774B1 KR 1020120065758 A KR1020120065758 A KR 1020120065758A KR 20120065758 A KR20120065758 A KR 20120065758A KR 101366774 B1 KR101366774 B1 KR 10136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vehicle
power
separated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496A (ko
Inventor
신상훈
박근수
강춘길
이동민
이세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6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774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5Umbilical 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회동하는 제1 및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분리하는 분리장치는 분리구조물과 함께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2 바디는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스스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장치에 대한 별도의 분리장치를 장착하지 아니하여도 되며, 상기 분리구조물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SEPARABLE ROTARY ELECTRIC CONNECTOR AND FLYING OBJECT}
본 발명은 분리구조물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행체에 붙어 있다가 비행 중 분리되는 구조물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구조물이 분리될 때 분리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원부가 분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 분리형 전원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로켓이나 유도탄, 항공기 등 비행체는 사전 계획에 따라 비행체 내부에 탑재물을 탑재하여 발사되고, 계획된 고도 또는 특정 속도에서 임무수행을 위하여 내부 탑재물을 보호하는 노즈 캡이나 슈라우드 같은 분리구조물을 분리시키도록 설계된다.
분리구조물 내부에는 분리 전까지 비행체와 분리구조물과 연결 상태를 구속하는 고정장치, 임의의 분리력을 이용하여 분리구조물을 비행체로터 분리시키는 분리장치, 상기 고정장치와 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장치가 배치된다.
특히 고속 비행체에서의 노즈 캡이나 슈라우드 같은 분리구조물 분리는 분리과정에서 비행체 구조물과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리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비행체 설계에서 분리구조물 분리기능과 관련한 고정장치와 분리장치, 전원 연결장치는 경량 구조로서 작동기능이 단순하며, 고신뢰도를 갖도록 설계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행체와 분리구조물의 전원연결 신뢰성과 분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 및 제2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는 비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행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비행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태,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제3 상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축은 상기 제3 상태에서 복수의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을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는 접촉패드 및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접촉패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패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접촉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접촉단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상기 제1 라인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접촉단자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는 제2 라인이 장착되어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는 비행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비행체는 비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행체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비행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구조물에 고정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태,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제3 상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분리구조물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비행체는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분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장치를 상기 분리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비행체와 분리구조물 사이에배치되어 분리구조물에 설치되는 분리장치에 전원을 전달한다. 따라서, 분리장치가 분리구조물과 함께 비행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므로 비행체와 분리구조물이 분리될 때, 제1 및 제2 바디부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연결장치에 별도의 분리력을 가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분리구조물을 포함하는 비행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원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
도 4a는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제1 바디의 사시도.
도 4b는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제2 바디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는 전원연결장치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분리구조물을 포함하는 비행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비행체의 본체(1)는 비행중 상기 본체(1)의 일영역에 설치되는 분리구조물(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구조물(2)은 상기 본체(1)로부터 일정각도를 이루면서 회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본체(1)와 상기 분리구조물(2)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상기 본체(1)에 상기 분리구조물(2)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본체(1)로부터 상기 분리구조물(2)이 회동하여 분리될 때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분리구조물(2)의 효과적인 분리를 돕는다. 이하, 상기 전원연결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검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원연결장치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전원연결장치의 제1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원연결장치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100)는 상기 비행체 바디(1, 도1 참조)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200)는 상기 분리구조물(2, 도 1 참조)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는 상기 비행체 바디(1, 도 1 참조)와 상기 분리구조물(2, 도 1 참조)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00)는 상기 비행체 본체(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200)는 상기 분리구조물(2)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 사이에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 각각의 일단은 분리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상기 비행체 바디(1)와 상기 분리구조물(2)의 상대운동에 따라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일정의 각도를 이루는 열린 상태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서로 완전히 중첩된 닫힌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일단부에 힌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서로 연결되도록 고정하고, 분리되는 때 복수의 부재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힌지축(300)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힌지축(300)이 끼워지도록 중공을 포함하고,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두 개의 제1 힌지부재(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바디(210)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힌지부재(310)의 이격되는 공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00)이 끼워지도록 중공를 포함하는 제2 힌지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310, 320)이 결합하고, 상기 힌지축(300)이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310, 320)에 끼워져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상기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각도를 이루며 회전 운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도 회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 사이에는 상기 비행체 본체(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분리구조물(2)에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에 의하여 분리구조물(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바디(110)에 형성되는 탄성접촉부(111)와 상기 제2 바디(210)에 형성되는 접촉패드(2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접촉부(111)는 상기 제1 바디(110)의 사기 제2 바디(210)와 마주보는 일 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접촉패드(221)는 상기 탄성접촉부(1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접촉부(111)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행체 본체(1)와 상기 분리구조물(2)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원을 상기 분리구조물(2)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0)의 일면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라인(113)이 연결되도록 제1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접촉부(111)가 형성되는 일면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면과 수직하는 면에 상기 제1 연결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중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라인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바디(210)의 일 면에 상기 전원을 상기 분리구조물(2)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라인(223)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결부(220)는 상기 접촉패드(221)가 형성되는 제2 바디(210)의 일면과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돌기(222)와 가이드홈(11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22)는 상기 제2 바디(210)의 상기 제1 바디(110)와 마주보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2)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1 바디(110)에 상기 가이드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2)와 상기 가이드홈(112)은 각각 상기 접촉패드(221)와 상기 탄성접촉단자(111)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중첩되어 결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112)에 상기 가이드돌기(222)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중첩되어 결합하면, 상기 탄성접촉단자(111)와 상기 접촉패드(221)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접촉단자(111)는 상기 제1 바디(110)와 연결되는 제1 라인(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비행체는 전원공급장치(500)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는 상기 제1 라인(113)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라인(113)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탄성접촉단자(111)를 통하여 상기 접촉패드(221)로 전달된다. 상기 제2 라인(223)은 상기 접촉패드(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을 분리구조물(2)에 전달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 사이에 분리장치(400)가 배치된다. 상기 부리장치(40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를 분리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힌지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장치(40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의 상기 힌지부와 이격되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가 서로 멀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분리장치(400)는 순간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가 각도를 이루면서 멀어지고, 이에 따라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상기 각도를 이루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400)는 상기 제2 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400)를 상기 제2 지지부(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400)는 상기 제2 라인(223)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상기 분리구조물(2)에 상기 분리장치(4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구조물(2)가 상기 비행체 본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제2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상기 분리장치(400)도 상기 비행체 본체(1)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구조물(2)이 분리된 이후에 상기 비행체 본체(1)에 불필요한 분리장치(400)를 함께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장치(400)의 분리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다 벌어지게 된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게 되면 분리되게 된다.
즉, 상기 제2 힌지부재(32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상대회전을 차단하는 차단부(30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301)은 회전하다가 상기 제1 바디부(110)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2 바디(210)의 상대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차단부(301)가 상기 제1 바디부(110)와 충돌하였음에도 상기 분리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상기 힌지부에 가해지는 상기 분리력을 상기 힌지축(300)이 견디지 못하면 상기 힌지축(300)이 손상되어 복수의 부재로 분리된다.
상기 힌지축(300)이 분리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결합이 파괴되어 분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110, 210), 제1 및 제2 지지부(100, 200)와 비행체 본체 및 분리구조물이 각각 분리되게 된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때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제1 및 제2 바디의 동작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닫힌 상태이다. 이를 제1 상태로 정의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분리구조체(20)가 상기 비행체 본체(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상태에서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2)에 상기 가이드돌기(222)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의 결합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단자(111)와 상기 접촉패드(221)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은 상기 제1 라인(113) 및 상기 제2 라인(223)을 통하여 상기 분리장치(400)에 공급된다.
도 2,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는 일정각도를 이루며 상기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 사이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를 제2 상태로 정의한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상대회전 운동한다. 이는 상기 분리장치(400)에 의한 분리력에 의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12)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돌기(210)가 분리되고, 상기 탄성접촉단자(111)와 상기 접촉패드(221)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긴다. 따라서, 상기 분리장치(400)으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제거된다.
상기 회전이 진행되면서 상기 차단부(301)와 상기 제1 바디(110)가 충돌하여 상기 회전이 제한된다.
도 2, 도 3,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부(301)와 상기 제1 바디(110)의 충돌에 의하여 상기 충돌영역을 중심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한다. 상기 회전모멘트는 상기 힌지축(300)에 전단력을 작용하여 상기 힌지축(300) 모재 강도 이상으로 작용되면, 상기 힌지축(300)이 복수의 부재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310, 320)에 끼워진 채로 3개의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연결장치 자체도 기 설정된 위치에서 스스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분리장치(400)가 상기 전원연결장치에게 까지 분리력을 제공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분리장치(400)의 효율이 향상되고, 분리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분리하므로 별도의 분리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상기 힌지축(300)이 분리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210)을 결합시키는 힘이해제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바다(110, 210)는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비행체 본체(1)로부터 상기 분리구조물(2)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비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행체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비행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구조물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태,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제3 상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3 상태에서 복수의 부재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을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는 접촉패드; 및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접촉패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패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단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상기 제1 라인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접촉단자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는 제2 라인이 장착되어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11. 비행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구조물; 및
    제1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전원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분리구조물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분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분리구조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장치를 상기 분리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KR1020120065758A 2012-06-19 2012-06-19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KR10136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58A KR101366774B1 (ko) 2012-06-19 2012-06-19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58A KR101366774B1 (ko) 2012-06-19 2012-06-19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96A KR20130142496A (ko) 2013-12-30
KR101366774B1 true KR101366774B1 (ko) 2014-02-21

Family

ID=4998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58A KR101366774B1 (ko) 2012-06-19 2012-06-19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915U1 (ru) * 2021-10-19 2022-03-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Радуга" Имени А.Я. Березняка" Люк отрывного электроразъем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2995A (ja) * 1991-02-18 1992-09-18 Shin Meiwa Ind Co Ltd パルスジェットエンジンを具えた無人飛行体
US5671899A (en) * 1996-02-26 1997-09-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irborne vehicle with wing extension and roll control
JP2001141396A (ja) 1999-11-11 200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飛しょう体の翼展開装置
KR20110062088A (ko) * 2009-12-02 2011-06-10 국방과학연구소 접이식 날개의 전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2995A (ja) * 1991-02-18 1992-09-18 Shin Meiwa Ind Co Ltd パルスジェットエンジンを具えた無人飛行体
US5671899A (en) * 1996-02-26 1997-09-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irborne vehicle with wing extension and roll control
JP2001141396A (ja) 1999-11-11 200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飛しょう体の翼展開装置
KR20110062088A (ko) * 2009-12-02 2011-06-10 국방과학연구소 접이식 날개의 전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915U1 (ru) * 2021-10-19 2022-03-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Радуга" Имени А.Я. Березняка" Люк отрывного электроразъем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96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738B2 (en) Releasable radome cover
AU2016338690B2 (en) Parachute deployment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10294117B (zh) 旋翼组件及具有旋翼组件的无人飞行器
EP3176082B1 (en) A vortex generator arrangement for an aircraft
CN201895770U (zh) 一种用于飞行器翼面的制锁解锁机构
CN108216573B (zh) 锁定装置
CN105253298A (zh) 用于将附件快速固定到无人机主体上的系统
KR101013851B1 (ko) 무인항공기 발사대용 셔틀장치
IL252808B (en) Unmanned aircraft launched
KR101366774B1 (ko) 회전분리형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CN205499336U (zh) 螺旋桨、电机、动力套装及无人飞行器
JPS61208499A (ja) 尾翼付の飛行体
EP3247477B1 (en) A toy comprising a rotor
JP7185498B2 (ja) 回転翼航空機及び回転翼航空機の制御方法
KR20170125588A (ko) 무인 비행체
JP2021070469A (ja) ロータマウントアセンブリ、ロータシート、推進システム、および無人航空機(uav)
KR100964986B1 (ko) 유도탄용 고정 날개 전개 장치
US20220041306A1 (en) Nose fairing
KR20190088208A (ko) 무인 비행체용 붐 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인 비행체
CN212373650U (zh) 螺旋桨组件、动力装置及无人机
RU2422327C1 (ru) Модульный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CN109383774A (zh) 智能悬浮式无人机
JP2014159212A (ja) 航空機等用安全安心リチウム電池システム
JP2015223963A (ja) ロケットの開頭装置
EP3177887B1 (en) Air vehicle with control system with mechanical cou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