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37B1 -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 Google Patents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37B1
KR101366337B1 KR1020130094243A KR20130094243A KR101366337B1 KR 101366337 B1 KR101366337 B1 KR 101366337B1 KR 1020130094243 A KR1020130094243 A KR 1020130094243A KR 20130094243 A KR20130094243 A KR 20130094243A KR 101366337 B1 KR101366337 B1 KR 10136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am
filled
tube
bottom horizontal
occu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웅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친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친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제이엠친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13009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이 목재합판이나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과 발포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진 구성을 취함으로써, 바닥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그것의 유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울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DECK ROAD STRUCTURES USING ANGULATED PIPES}
본 발명은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이 보강되고 보행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 구조물은 공원이나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거나 호안 등에 설치되어 주위 경관을 볼 수 있는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는 다리를 말한다.
이러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지지기둥(100), 지지기둥(100)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200), 바닥수평보(200) 상측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300), 바닥부재(300)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어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500), 난간부재(500)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기둥(100)은 지면 또는 지면 구조물(600)에 직립되면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데 지면 또는 지면 구조물(600)에 대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 연결판(110)이 지지기둥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 또는 지면 구조물(600)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통상의 데크로드 구조물에서 바닥수평보(200)는 그 내부가 비여 있는 금속재질의 내공(內空) 각관을 사용하는데, 바닥수평보(200)는 그 내부가 비여있는 내공 각관이기 때문에, 바닥부재(300)가 바닥수평보(400) 상측에 볼트를 통하여 고정될 때, 데크로드 구조물 설치 후에 사용 기간이 오래됨에 따라 볼트 결합이 느슨해지고 결과적으로 바닥부재(300)가 유실되거나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그것의 유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울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이 목재합판이나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과 발포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그 바닥수평보의 내공이 목재합판 및/또는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짐으로써, 바닥수평보의 내공이 비여 있는 구성일 때 비하여 볼트에 의한 바닥수평보와 바닥부재의 결합력이 강해지고 보행자가 바닥면 보행시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에서 그 바닥수평보는 그 내공이 목재합판과 발포 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목재합판은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15~25%을 차지하도록 채우고 발포 콘크리트는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75~85%을 차지하도록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목재합판에 의한 충분한 볼트의 결합력을 발휘하면서 발포 콘크리트에 의한 소음 방지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하중을 최소화시켜 시공시 작업의 불편함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다른 측면에서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고정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이 목재합판이나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과 발포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강부재는 그 내공이 목재합판과 발포 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목재합판은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15~25%을 차지하도록 채우고 발포 콘크리트는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75~85%을 차지하도록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강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데크로드 구조물은, 보강부재뿐만 아니라 바닥수평보도 내공 각관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내공이 상기 비율로 목재합판 및/또는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합판과 발포 콘크리트에 의해 분할하여 채워질 경우 그 바람직한 분할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바닥부재가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는 바닥수평보나 보강부재의 내공이 목재합판 및/또는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짐으로 강한 볼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바닥부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보행자가 그 데크로드 구조물 보행시 바닥수평보나 보강부재 내공의 울리 현상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데크로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바닥수평보의 두께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바닥수평보의 두께 방향 두께 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데크로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데크로드 구조물과 동일하게 지지기둥(100), 지지기둥(100)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200), 바닥수평보(200) 상측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300), 바닥부재(300)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어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500), 난간부재(500)의 사이를 잇는 난간보(510)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상기 바닥수평보(200)의 내공이 목재합판(A) 또는 발포 콘크리트(B)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A) 및 발포 콘크리트(B)가 분할하여 채워져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바닥수평보(2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그 두께 단면이 사각인 내공 각관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내공 각관을 목재합판(A) 및/또는 발포 콘크리트(B)로 채움으로써, 바닥부재(300)가 볼트 결합을 통하여 바닥수평보(200)에 결합될 때, 바닥수평보(200)의 내부가 비여있는 구성일 때 비하여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고 또한 보행자가 바닥면 보행시 각관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바닥부재(300)의 유실이나 바닥부재(300)의 유실에 따른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보행자의 보행시 바닥수평보(200)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여 보행시 보행자에게 안정감과 평온감을 줄 수 있다.
이처럼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300)와 바닥수평보(200)의 결합력을 높이고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의 울림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을 채우는 것이 필요한데, 각관 내공은 (i) 목재합판(A)만으로 채워지거나 (ii) 발포 콘크리트만(B)으로 채워지거나 (iii)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를 함께 사용하여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콘크리트(B)만으로 채워지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를 함께 사용하여 채워지는 경우이다.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은 목재합판(A)으로만 채워져도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300)와 바닥수평보(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등의 의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목재합판(A)으로만 채워질 경우 목재합판(A)의 하중으로 인하여 시공시 작업이 어렵고 시공을 위한 바닥수평보(A)의 운반시 휨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내부 기공이 거의 없는 목재합판(A)의 특성상 보행자가 데크로드 위를 지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을 발포 콘크리트(B)만으로 채울 경우는 발포 콘크리트의 사용에 따른 의도한 효과 즉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나 충격 흡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300)와 바닥수평보(200)의 결합력이 목재합판(A)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를 모두 사용하여, 바닥수평보(200)의 각관 내공을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로 분할하여 채우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목재합판(A)은 바닥수평보(200)의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15~25%를 차지하도록 채우고 나머지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 하부에는 발포 콘크리트(B)로 채워 발포 콘크리트(B)가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부 부피 75~85%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는 분할하여 채울 경우, 목재합판(A)은 바닥부재(300)가 볼트를 통하여 바닥수평보(200)에 결합할 때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300)와 바닥수평보(200)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사용 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바닥부재(30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필요 충분한 양으로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을 목재합판(A)으로 채우면 되는데, 본 발명자들이 반복 시행을 통하여 확인한 필요 충분한 사용량이 15~25%이다. 15%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300)와 바닥수평보(200)의 결합력이 불충분할 수 있고 25%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결합력은 충분하나 목재합판(A)에 의한 바닥수평보(200) 하중의 증가로 시공시 작업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20%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20%를 사용할 경우 충분한 볼트의 결합력을 발휘하면서 보강 부재의 하중은 최대한 줄여 시공시 작업의 불편함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목재합판(A)을 20%로 사용할 경우 발포 콘크리트(B)는 8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목재합판(A)에 의한 충분할 볼트의 결합력을 발휘하면서 발포 콘크리트(B)의 사용에 의하여 소음 방지 효과와 충격 흡수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로 바닥수평보(200)의 각관 내공을 채우는 공정은, 먼저 목재합판(A)을 바닥수평보(200)의 각관 내공을 채우고자 하는 부피만큼의 두께가 되고(바람직한 두께는 바닥수평보(200) 각관 내공 부피의 20%를 차치하는 두께임) 그 넓이는 바닥수평보(200)의 각관의 내경보다 0.5~2mm이 작도록 제조한 후에 그 제조된 목재합판을 바닥수평보(200)의 각관에 넣은 후 나머지 부피를 발포 콘크리트 조성물로 채워 상온·상압에서 양생하여 제조한다.
목재합판(A)은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보드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목재합판(A)의 사용 목적이 볼트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바람직하게는 합판 또는 파티클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발포 콘크리트(B)는 저비중의 가벼운 재료로서 흡음 효과가 뛰어나고 충격 흡수와 내진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차음, 충격 흡수, 진동 방지 목적으로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발포 콘크리트는 통상 골재(바람직하게는 다공성의 경량 골재)와 시멘트 그리고 발포제와 물을 혼합하여 상온·상압에서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포 콘크리트의 제조시에 특별한 품질을 부여하거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수 목적으로 첨가되는 혼화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혼화제로서는 골재 사이에 스며들어 경화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발포시 생성된 기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경화되는 동안 기공끼리 결합되는 것을 상당 부분 지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재(칼슘 카보네이트, 플라이 애시(fly ash), 무수석고 등)나, 시멘트 입자 표면에 흡착하여 입자 표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서 입자 간 상호 반발력을 발산시키고 응집한 입자를 분산시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목적의 유동화제, 경화 속도를 촉진 또는 지연시킬 목적의 경화 조절제, 흡습성을 방지할 목적의 방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 콘크리트의 사용 목적을 고려할 때, 경량 골재는 다공성의 경량 골재가 바람직하고 다공성의 경량 골재가 사용될 경우 그 경량 골재 자체가 가지는 기공으로 인하여 흡음 등의 효과를 더 증진시킬 수 있다. 다공성의 경량 골재는 실리카 샌드, 화산석 송이(scoria), 화산석 송이 소성물 등을 들 수 있다. 화산석 송이 소성물의 경우 소성 과정에서 송이 내부에 있던 유기물이 탄화되어 없어짐에 따라 발생한 추가적인 기공을 더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데크로드 구조물과 비교할 때 바닥수평보(200)와 바닥부재(300) 사이에 구비된 보강부재(400)가 추가로 구비된 구조이다. 보강부재(400)로서 내공 각관이 사용될 경우 전술한 바의 바닥수평보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내공이 목재합판(A)이나 발포 콘크리트(B)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로 분할하여 채워질 수 있으며, 분할하여 채워질 경우 그 분할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합판(A)이 15% 내지 25%, 특히 20%, 발포 콘크리트 75% 내지 85%, 특히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400)가 추가로 구비된 본 발명의 데크로드 구조물에서 바닥수평보(200)로서 내공 각관이 사용될 경우 그 바닥수평보(200)의 내공도 목재합판(A)이나 발포 콘크리트(B)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A)과 발포 콘크리트(B)로 분할하여 채워질 수 있으며, 분할하여 채워질 경우 그 분할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합판(A)이 15% 내지 25%, 특히 20%, 발포 콘크리트 75% 내지 85%, 특히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지지기둥 200: 바닥수평보
300: 바닥부재 400: 보강부재
500: 난간부재 600: 지면 구조물
A: 목재합판 B: 발포 콘크리트

Claims (7)

  1.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은 목재합판과 발포 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지며,
    상기 목재합판은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와 바닥수평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 내공의 상부에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보행자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그 내공의 하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합판은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15~25%을 차지하도록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75~85%을 차지하도록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합판은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20%을 차지하도록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바닥수평보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80%을 차지하도록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4.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고정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은 목재합판과 발포 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지며,
    상기 목재합판은 볼트에 의한 바닥부재와 바닥수평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 내공의 상부에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내공의 울림 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보행자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그 내공의 하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합판은 보강부재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15~25%을 차지하도록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보강부재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75~85%을 차지하도록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합판은 보강부재 각관 내공 상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20%을 차지하도록 채워지고, 상기 발포 콘크리트는 보강부재 각관 내공 하부를 각관의 내부 부피 80%을 차지하도록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7. 삭제
KR1020130094243A 2013-08-08 2013-08-08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36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43A KR101366337B1 (ko) 2013-08-08 2013-08-08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43A KR101366337B1 (ko) 2013-08-08 2013-08-08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337B1 true KR101366337B1 (ko) 2014-02-24

Family

ID=5027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243A KR101366337B1 (ko) 2013-08-08 2013-08-08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3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01A (ko) 2014-12-05 2016-06-15 (주)한국폴리우드 데크로드의 데크보드 결합구조
KR101730120B1 (ko) *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819947B1 (ko) *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에넥스트 데크로드
KR102007365B1 (ko) * 2019-02-18 2019-10-21 (주) 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2119325B1 (ko)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2203010B1 (ko) 2020-05-27 2021-01-15 주식회사 칠성건설 볼트풀림방지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구조물
KR102247045B1 (ko) 2020-06-29 2021-04-30 (주)서해금속산업 데크 패널용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2322993B1 (ko) * 2021-06-15 2021-11-09 (주)제이엠멀티 부식 방지용 체결 구조를 가진 데크로드
KR102348293B1 (ko) * 2021-09-07 2022-01-10 주식회사 엘리스우드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43390B1 (ko) * 2021-11-05 2022-09-19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과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을 이용한 천연목재 데크로드
KR102601740B1 (ko)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KR102622900B1 (ko) 2023-06-09 2024-01-10 ㈜현대그린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80B1 (ko) *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227841B1 (ko) *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20130074281A (ko) * 2011-12-26 2013-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목재 충전 강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41B1 (ko) *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101137580B1 (ko) *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20130074281A (ko) * 2011-12-26 2013-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목재 충전 강관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01A (ko) 2014-12-05 2016-06-15 (주)한국폴리우드 데크로드의 데크보드 결합구조
KR101819947B1 (ko) *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에넥스트 데크로드
KR101730120B1 (ko) *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2119325B1 (ko)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WO2020171383A1 (ko) * 2019-02-18 2020-08-27 (주)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KR102007365B1 (ko) * 2019-02-18 2019-10-21 (주) 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2203010B1 (ko) 2020-05-27 2021-01-15 주식회사 칠성건설 볼트풀림방지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구조물
KR102247045B1 (ko) 2020-06-29 2021-04-30 (주)서해금속산업 데크 패널용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2322993B1 (ko) * 2021-06-15 2021-11-09 (주)제이엠멀티 부식 방지용 체결 구조를 가진 데크로드
KR102348293B1 (ko) * 2021-09-07 2022-01-10 주식회사 엘리스우드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43390B1 (ko) * 2021-11-05 2022-09-19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과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을 이용한 천연목재 데크로드
KR102622900B1 (ko) 2023-06-09 2024-01-10 ㈜현대그린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KR102601740B1 (ko)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337B1 (ko)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2055436B1 (ko) 조립식 강합성 구조 교각 기둥 부재
CN201661021U (zh) 预制钢筋砼楼梯
WO2015192764A1 (zh) 一种空心砌块及用其砌筑的墙体
KR101730120B1 (ko)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CN106812229A (zh) 组合约束双钢板混凝土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01289879A (zh) 混凝土的梁柱节点施工方法
CN206693432U (zh) 装配式剪力墙及建筑物结构
CN102245529A (zh) 利用灰泥建造的轻质房屋结构及其生产方法
CN102767123A (zh) 一种板式轨道减振结构
US20140075854A1 (en) Building blocks
KR101543585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CN103669425B (zh) 玻璃珠砂浆和玻璃珠与细砂混合物的隔震层及其施工方法
CN210798011U (zh) 防火楼板
CN106906945A (zh) 轻质保温墙板、轻质建筑结构和轻质建筑结构的安装方法
JP6865511B2 (ja) ハニカムコンクリート構造
CN205711584U (zh) 用于减弱路基间相互影响的托盘式挡土墙结构
CN217999050U (zh) 一种基于高强度抗开裂混凝土的强化加固构造
KR101695634B1 (ko)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CN213926850U (zh) 一种超高悬臂墙
KR101543587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CN204040270U (zh) 一种下底面外露的组合式填充箱
CN104481059B (zh) 一种机制钢网与轻质无机物复合的自保温墙板
CN2093874U (zh) 钢筋混凝土空心墙
CN214220329U (zh) 一种预制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