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19B1 - 키패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19B1
KR101366319B1 KR1020070012183A KR20070012183A KR101366319B1 KR 101366319 B1 KR101366319 B1 KR 101366319B1 KR 1020070012183 A KR1020070012183 A KR 1020070012183A KR 20070012183 A KR20070012183 A KR 20070012183A KR 101366319 B1 KR101366319 B1 KR 10136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erminal
fastening
fram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492A (ko
Inventor
안택모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키패드는 전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마련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단말기에 의하면, 키패드의 가장자리에 후크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키패드가 측면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키패드, 프레임, 체결부

Description

키패드 및 단말기{A keypad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말기를 구성하는 키패드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키패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단말기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케이스 22: 상부케이스
24: 하부케이스 26: 결합돌기
28: 체결돌기 29: 체결홈
30: LCD창 40: 키패드
42: 버튼부 44: 인쇄회로기판
46: 프레임 48: 체결부
49: 결합공간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키패드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말기의 경우 플립형과 폴더형으로 나뉘어져 있고, 폴더형이 더욱 대중화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단말기의 경우, 전체적으로 개폐가능한 폴더부(미도시)와 상기 폴더부와 연결되는 본체부(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에는, 상부케이스(4)와, 상기 상부케이스(4)의 하부에 마련된 키패드(6)와, 상기 키패드(6)의 하부에 마련된 인쇄회로기판(8)과, 이를 수용하는 하부케이스(1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키패드가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될 때, 키패드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키가 빠지지 않게 되거나 키패드 바닥면에 임의의 돌기 등을 형성하여 걸어주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를 상기 단말기 내에 결합시키려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에 별도의 체결공간이 필요하여, 상기 케이스가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말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키패드를 케이스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케이스가 커지지 않는 키패드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키패드는 전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마련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제 1수직부; 상기 제 1수직부와 직교되어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상기 수평부와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제 2수직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 2수직부가 형성된 부분이 단말기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단말기는 상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술한 구성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키패드; 그리고,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인 단말기는 전면 및 측면의 외관을 상부케이스; 상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키패드; 그리고,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수직부가 삽입되도록 요입된 체결홈이 마련되는 체결돌기가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체결돌기의 선단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단말기는 상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패드; 상기 버튼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상부케이스; 그리고,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단말기에 의하면, 키패드의 가장자리에 후크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키패드가 측면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은 도 2의 단말기를 구성하는 키패드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면, 도 4에는 도 3의 키패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의 단말기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LED창(30)과, 상기 단말기를 구동할 수 있는 키패드(40)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0)는 수지계열의 재료나 금속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2)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24)로 구 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20)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2)는 내측부분이 상기 키패드(40)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케이스(22)의 내측에는 결합돌기(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6)는 아래에서 설명될 키패드(40)의 결합공간(49)에 삽입됨으로써 형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2)에 키패드(40)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내측에는 돌출된 체결돌기(28)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돌기(28)에는 상면에 체결홈(29)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홈(29)은 아래에서 설명될 키패드(40)의 제 2수직부(48c)가 삽입되어 상기 키패드(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28)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될 키패드(40)의 수평부(48b)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LCD창(30)은 상기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LCD모듈(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시각정보를 상기 단말기 외부로 표시하여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시각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40)는 다수개의 각종 버튼이 마련되어, 상기 단말기를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써, 그 구성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40)는, 사용자가 키패드의 작동을 위한 버튼부(42), 상기 버튼부(42)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장부품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기적신호를 전달 및 발생시키는 PCB(44), 상기 버튼부(42)가 상기 단말기 내에 안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프레임(46) 그리고, 상기 프레임(46)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의 케이스(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부(42)에는 다수개의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버튼의 작동방식은 압압방식, 터치패드방식 등 당업자의 수준에서 여러가지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42)의 하방에는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PCB(44)가 마련된다.
상기 PCB(44)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구동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단말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단말기 내부의 각종 전장부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부(42)의 하방에는 상기 버튼부(42)가 눌러졌을때, 개개의 버튼이 함몰되지 않도록 하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46)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46)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버튼부(4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만 되면 어떤 재질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프레임(46)의 가장자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48)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48)는 상기 버튼이 눌러질때, 상기 버튼부(42)가 상기 단말기 내부로 함몰되지 않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부(4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6)에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제 1수직부(48a)와, 상기 제 1수직부(48a)와 직교되어 상기 프레임(4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48b), 그리고, 상기 수평부(48b)의 일단에 상기 수평부(48b)와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제 2수직부(4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48)는 상기 프레임(46)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46)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46)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6)의 가장자리 즉 상기 제 1수직부(48a)와 상기 프레임(46)이 만나는 부분은 상기 버튼부(42)의 가장자리보다 상기 버튼부(42)의 중심으로부터 가깝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버튼부(42)와 상기 수평부(48b)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튼부(42)와 상기 수평부(48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소정의 공간은 결합공간(49)으로 상기 상부케이스(22)의 결합돌기(26)가 상기 결합공간(49)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상기 키패드(40)가 상기 상부케이스(22)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48b)는 상기 하부케이스(24)의 체결돌기(28)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기(28)가 상기 수평부(48b)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수직부(48c)는 상기 체결돌기(28)의 체결홈(29)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2) 및 하부케이스(24)에 맞물려져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8)에서 상기 수평부(48b)와 상기 제 2수직부(48c)가 만나는 부분이 상기 버튼부(42)의 가장자리보다 상기 키패드(4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단말기의 테두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가 장착된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키패드(40)를 살펴보면, PCB(44)와 버튼부(42)가 조립된 키패드(40)의 하방에 프레임(46)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46)의 가장자리에는 제 1수직부(48a), 수평부(48b) 및 제 2수직부(48c)로 구성된 체결부(48)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40)가 상기 단말기의 케이스(20)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하부케이스(24)의 체결돌기(28)의 체결홈(29)에 상기 키패드(40)의 제 2수직부(48c)를 삽입한다. 상기 제 2수직부(48c)가 상기 체결홈(29)에 다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28)의 상면이 상기 키패드(40)의 수평부(48b)의 하면과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 2수직부(48c)가 상기 체결홈(29)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돌기(28)의 상면이 상기 수평부(48b)의 하면과 밀착되면, 상부케이스(22)를 상기 키패드(40) 및 하부케이스(24)가 결합된 부분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케이스(22)의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6)를 상기 버튼부(42)의 하면과 상기 수평부(48b)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간(49)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2) 및 하부케이스(24)를 각종 볼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조립하면 상기 단말기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단말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키패드의 가장자리에 후크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키패드가 측면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면 및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결합돌기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전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마련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키패드;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상면에 요입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버튼부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와 직교되어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체결돌기 선단에 지지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상기 수평부와 직교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키패드를 고정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수직부가 형성된 부분이 단말기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70012183A 2007-02-06 2007-02-06 키패드 및 단말기 KR10136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83A KR101366319B1 (ko) 2007-02-06 2007-02-06 키패드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83A KR101366319B1 (ko) 2007-02-06 2007-02-06 키패드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492A KR20080073492A (ko) 2008-08-11
KR101366319B1 true KR101366319B1 (ko) 2014-02-20

Family

ID=3988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83A KR101366319B1 (ko) 2007-02-06 2007-02-06 키패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705A (ko) * 2002-10-02 200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장치
KR20070013943A (ko) * 2005-07-27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루 타입 안테나를 갖는 이동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705A (ko) * 2002-10-02 200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장치
KR20070013943A (ko) * 2005-07-27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루 타입 안테나를 갖는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492A (ko)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512B2 (en) Card edge connector
JP4820720B2 (ja) 携帯型電子時計
AU2012367474B2 (en) Battery holder
US8282252B2 (en) Vehicle interior light source unit
US738427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7914323B2 (en) Connector apparatus
JP2002259051A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lcdにおいてのタッチコントローラとlcdモジュールコントローラとの結合構造
JP5367863B2 (ja) 電子機器
US8833179B2 (en) Pressing type input device
KR101366319B1 (ko) 키패드 및 단말기
KR100813692B1 (ko) 휴대 단말기
US7312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CA2665992C (en) Ruggedized housing and components for a handheld device
JP4309732B2 (ja) 情報機器
US20070139357A1 (en) Flat panel display
JP4347260B2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装置
JPH04315715A (ja) スイッチ用一体形キーボタン装置
KR100786157B1 (ko)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CN211545585U (zh) 一种用于电梯召唤盒的显示盖板及电梯召唤盒
JP4708104B2 (ja) メータ係止構造
JP4692767B2 (ja) カードホルダ基板取付構造
JP2005191029A (ja)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KR20070114670A (ko) 호환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인디케이터 장치
JP3104909U (ja) ディスクプレーヤ内蔵テレビジョンおよび電子機器
JP3108352U (ja) 防水キー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