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00B1 - 용강의 정련방법 - Google Patents

용강의 정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00B1
KR101366300B1 KR20120066123A KR20120066123A KR101366300B1 KR 101366300 B1 KR101366300 B1 KR 101366300B1 KR 20120066123 A KR20120066123 A KR 20120066123A KR 20120066123 A KR20120066123 A KR 20120066123A KR 101366300 B1 KR101366300 B1 KR 10136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onverter
molten steel
additive
l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698A (ko
Inventor
우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06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4Refractor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200/00Recycling of was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78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Means for protecting
    • F27D1/1684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Means for protecting by a special coating applied to the lining
    • F27D2001/1689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Means for protecting by a special coating applied to the lining obtained from materials added to the me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용강의 정련방법으로서, 슬래그를 재활용하며, Al2O3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과, 전로에서 용강을 취련하는 과정과, 상기 전로 내의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 및 상기 전로 내에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로조업에서 전로의 내벽이 융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의 정련방법{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본 발명은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조업에서 전로의 내벽이 융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로조업은 준비단계, 취련작업단계, 출강작업단계 및 배재작업단계 순으로 이루어진다. 준비단계는 전회 슬래그 잔류 정도에 따라 코팅제로서 경소백운석을 투입하여 노체를 경동시켜 슬래그를 노벽에 코팅한 다음, 보호석회를 투입하고 고철과 용선을 장입하는 작업이다. 취련작업단계는 전로에 용선과 고철을 장입하고 송산(산소를 취입)하면서 부원료를 투입하여 송산량과 랜스 높이를 제어하면서 용강을 정련하는 작업이다. 출강작업단계는 전로의 용강을 래들로 장입하는 작업이며, 배재작업단계는 취련작업에 의해 생산된 노내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로 배출시키는 작업이다.
이러한 공정을 거치면서 전로에 장입된 주원료인 용선과 고철에 함유되어 있는 잔류 원소를 취련작업에 의해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정련작업(전로정련작업)이라고 한다. 즉, 전로에 원료를 장입하고, 송산과 동시에 부원료인 생석회(주원료가 CaO 임), 소결광(주성분이 산화철임), 형석(주성분이 CaF2 임) 등을 투입하여 용선 중의 불순물인 탄소, 규소, 망간, 인, 황, 티탄 등을 산화정련에 의해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통해 목표하는 용강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로조업 중 출강작업과 배재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노내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노체를 경동시켜 노벽을 코팅할 때 노 바닥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응고되어 노 바닥이 융기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 바닥이 융기된 상태에서 노 내에 용강을 장입하면, 노내 탕면이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취련작업에서 랜스의 높이는 노 내에 장입된 용강의 양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노 바닥이 융기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탕면이 상승하여 랜스와 탕면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보다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취련작업이 전체적으로 하드블로잉(hard blowing)으로 되기 때문에 취련 중에 슬래그 재화율이 저하되고, 캐치카본 작업의 경우 종점에서 카본이 남지 않아 캐치카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성분의 용강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923793 B KR 325115 B
본 발명은 슬래그의 융점을 낮춰 전로 내벽이 융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로 내벽이 융기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노내 탕면값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취련조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강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은, 용강의 정련방법으로서, 슬래그를 재활용하며, Al2O3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과, 전로에서 용강을 취련하는 과정과, 상기 전로 내의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 및 상기 전로 내에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로 내의 슬래그를 배재하기 전 또는 후에 투입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은 연속주조 완료 후 레이들에 잔류하는 슬래그를 배재하는 과정과, 상기 배재된 슬래그를 냉각시키는 과정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를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의 중량 전체에 대해서 Al2O3를 18 내지 28중량% 함유하는 LSA(Ladle Slag Agent)일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를 투입한 다음 상기 전로를 경동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융기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융기부의 높이가 상기 전로 내부 바닥에서 장입구까지 높이의 20% 이하일 때, 상기 첨가제는 400 내지 1600kg 투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중량에 따라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이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은 상기 잔류하는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2 내지 25중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은, 출강 및 배재 작업으로 노내 온도가 저하되어 노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노 벽에 융착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노 내에 LSA(Ladle slag agent)를 투입하여 노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융점을 저하시켜 슬래그가 노벽에 융착되는 현상을 억제하고, 노벽에 융착된 슬래그를 용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 내에 장입되는 용강의 탕면을 목표하는 높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취련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LSA를 사용함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용강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의 정련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전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LSA 투입에 따른 전로 내벽의 변화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용융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LSA 투입량에 따른 슬래그의 형상 변화를 촬영한 열화상사진.
도 6은 LSA 투입에 의해 슬래그의 융점이 저하되는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열화상 사진.
도 7은 LSA의 투입량에 따른 슬래그의 융점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의 정련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전로 내에 투입하여 슬래그의 융점을 낮추기 위한 첨가제를 마련(S100)한다. 첨가제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Al2O3를 함유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나중에 하기로 한다.
첨가제가 마련되면, 전 단계, 예컨대 제선공정에서 생산된 용선(용탕)과 고철 등을 전로에 장입(S110)하고, 송산과 동시에 부원료인 생석회, 소결광, 형석 등을 투입하여 용선 중의 불순물인 탄소, 규소, 망간, 인 및 황 등을 제거하는 취련(S112)을 수행하여 원하는 성분을 갖는 용강을 제조한다. 다음, 전로 내의 용강을 후 공정, 예컨대 탈가스 장치 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이들에 출강(S114)한다. 그 후, 취련공정에서 생성된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 등으로 배재(S116)한다.
배재 후 전로 내에는 슬래그가 잔류하게 되는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융점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전로 내에 첨가제를 투입(S118)한다. 이때, 전로 내에 투입되는 첨가제는 LSA(Ladle Slag Agent)가 사용될 수 있다. LSA는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와 반응하여 슬래그의 융점을 저하시킴으로써 출강 및 슬래그 배재 후 전로 내의 온도 저하에 의해 슬래그가 전로 내벽에 융착되어 전로 내벽을 융기시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LSA는 제강 공정 중 전로 출강 이후(2차 정련 시) 발생되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연속 주조 완료 후 레이들 내에 남아 있는 열간 슬래그를 수거하여 냉각시킨 후 일정 크기로 파쇄하여 제조된다. LSA는 아래의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O, Al2O3 및 SiO2를 주성분으로 하고, T.Fe, MnO, MgO 등이 미량 함유되어 있다.
CaO(%) SiO2(%) Al2O3(%) T.Fe(%) MnO(%) MgO(%) P2O5(%) S(%) TiO2(%)
LSA 35~45 9~13 18~28 0.5~10 0.5~5 1~10 >0.1 >0.1 0.1~5
LSA는 전로 내에 투입되어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융점을 낮춘다. 이때, LSA 중에 존재하는 Al2O3 및 SiO2 성분 등이 슬래그와 이온 분리 등의 화학 반응을 일으켜 슬래그의 융점이 낮춘다. 즉, CaO가 주성분인 슬래그 중에 Al2O3, SiO2 등과 같은 산화물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CaO의 융점이 낮아지게 된다. 이는 단독 물질(CaO)보다 복합 화합물((CaAlSiMg)xOy)의 융점이 낮아지는 현상과 같다.
LSA는 정련 과정 중 취련, 슬래그 배재 전 및 후에 투입될 수 있으나, 슬래그 배재 후 투입되는 것이 좋다. 즉, 취련 과정에서 LSA를 투입하게 되면, LSA가 이물질로 작용하여 용강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슬래그가 다량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래그 배재 전에 LSA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노 내에 다량의 슬래그가 잔류하고 있으므로 투입되는 LSA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슬래그의 융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슬래그 배재 후 노 내에 잔류하는 소량의 슬래그에 LSA를 투입함으로써 슬래그의 융점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동시에 투입되는 LSA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다.
LSA를 투입한 후, LSA와 슬래그가 잘 혼합되도록 전로를 1회 이상 경동시킨다. 이에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융점이 낮아지는 동시에 점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후, 전로 내에 경소백운석 등의 코팅제를 투입한 후 전로를 다시 경동시켜 전로 내벽을 코팅(S120)한다. 이때,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는 LSA에 의해 융점 및 점도가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코팅제와 슬래그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SA의 투입량에 따른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전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LSA 투입에 따른 전로 내벽의 변화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용융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LSA 투입량에 따른 슬래그의 형상 변화를 촬영한 열화상사진이고, 도 6은 LSA 투입에 의해 슬래그의 융점이 저하되는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열화상 사진이고, 도 7은 LSA의 투입량에 따른 슬래그의 융점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로(10)는 영구장과, 영구장 내측에 구비되는 내장 연와를 포함하는 내화물(14)과, 이들을 감싸는 철피(12)로 구성된다. 또한, 전로(10)는 하부에 곡면이 형성되는 바닥부(A)와, 바닥부(A)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로(10) 내에서 취련 공정이 수행된 다음, 후공정을 위해 용강을 레이들에 출강한 후, 슬래그를 배재하는 경우 전로(10)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슬래그가 전로(10) 내벽, 특히 바닥부에 융착되어 전로(10)의 내벽이 융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슬래그 배재 전이나 후, 바람직하게는 슬래그 배재가 완료된 전로 내부에 LSA를 투입하여 슬래그의 융점을 낮춤으로써 전로 내벽의 융기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로 내부에 융기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LSA 투입으로 융기부를 용융시킬 수도 있다.
슬래그 배재가 완료된 전로 내에 LSA를 투입한다. 이때, LSA의 투입량은 전로 내벽에 형성된 융기부(전로의 내벽에 융착된 슬래그)가 형성되는 높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x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래그 배재가 완료된 전로 내벽, 즉 내화물(14) 상부에는 슬래그(100)가 잔류한다. 이때, 슬래그(100)는 출강 및 슬래그 배재로 인해 전로 내부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내화물(14)에 융착되어 융기된 상태로 있게 된다(도 3의 (a)). 이후, LSA(120)가 투입되면 LSA(120)는 슬래그(100) 상에 위치(도 3의 (b))하다가 전로의 경동을 통해 슬래그(100)와 반응 및 혼합되어 슬래그(100')의 융점이 낮아지게 되고, 유동성을 갖게 된다(도 3의 (c)).
융기부는 전로의 바닥부(A) 및 측벽을 따라 적층되는데, 예컨대 융기부가 전로의 바닥으로부터 약 6% 정도 높이(A)까지 형성되는 경우, 전로의 바닥으로부터 약 12% 정도 높이까지 형성되는 경우(B), 전로의 바닥으로부터 약 20% 정도 높이까지 형성되는 경우로 나누어 LSA의 투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융기부가 형성되는 높이는 작업자의 목측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A 구간 B 구간 C 구간
LSA 투입량 400 ~ 600kg 900 ~ 1100kg 1400 ~ 1600kg
LSA의 투입량은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LSA의 투입량이 제시된 범위보다 적게 투입되는 경우에는 슬래그의 융점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없으며, 제시된 범위보다 많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슬래그의 융점은 저하되지만 LSA 중의 Al2O3에 의해 내화물이 침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로 내화물인 MgO-C는 LSA 중의 Al2O3의 함량이 증가하면 접촉 부위에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슬래그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이어서 이루어지는 전로 내벽의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LSA의 투입량을 전로 내에서 융기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제시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슬래그의 융점을 조절할 수 있다.
[실험 예]
전술한 바와 같이 첨가제, 즉 LSA를 투입함으로써 슬래그의 융점이 저하되는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재된 슬래그를 냉각시켜 소정 크기로 분쇄한 후, LSA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여러 개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LSA의 투입량은 슬래그의 중량에 대하여 0중량%, 2중량%, 4중량%, 6중량%, 8중량%, 10중량% 및 15중량%로 하였다.
이후, 제조된 시편을 용융점 측정장치에 장착하고 가열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로 온도에 따른 시편 형상의 변화를 촬영하였다.
그 중, LSA가 첨가되지 않은 시편의 형상이 변화하는 상태를 촬영한 열화상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고, LSA가 6중량% 첨가된 시편의 형상이 변화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사진들은 소결점(sintering), 연화점(softening), 유동점(sphere) 및 용융점(fusion)에서 시편의 형상을 각각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LSA가 첨가되지 않은 시편의 경우, 소결점은 1366℃이고, 용융점은 1382℃로 측정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LSA가 6중량% 첨가된 시편의 경우, 소결점은 1352℃이고, 용융점은 1367℃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시편은 용융점이 1382℃와 1367℃로 측정되어, LSA가 6중량% 첨가되는 경우 시편의 용융점이 15℃ 정도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a)는 도 4에서 소결점에서의 시편(LSA 첨가 안됨)의 사진이고, (b)는 도 5에서 용융점에서의 시편(LSA 6% 첨가) 사진인데, 이들을 비교해보면 LSA의 첨가로 인해 시편, 즉 슬래그의 융점이 낮아진 것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즉, (a)의 경우 1366℃이고, (b)의 경우 1367℃로 거의 비슷한 온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a)의 경우에는 시편의 형상이 원형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에, (b)의 경우에는 시편이 용융된 상태로, LSA 첨가로 시편의 융점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을 살펴보면, 시편에 첨가된 LSA의 양이 증가할수록 융점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LSA를 잔류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2중량% 투입한 경우 LSA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슬래그의 융점이 6℃ 정도 낮아졌고, LSA의 투입량이 2중량%씩 증가할 때마다 2 ~ 5℃의 범위 내에서 슬래그의 융점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LSA를 잔류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15중량% 투입한 경우, LSA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슬래그의 융점이 약 29 ℃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LSA의 투입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슬래그의 융점 변화를 측정한 결과, LSA의 투입량이 잔류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2중량% 내지 25중량%까지는 슬래그의 융점이 최대 40℃ 정도까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LSA의 투입량을 25중량% 이상 투입한 경우 슬래그의 융점이 더 낮아지기는 했지만, LSA의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슬래그의 점도가 낮아져, 즉 유동성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어 이어서 수행되는 전로 내벽 코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고, 전로의 내화물이 침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전로 12 : 철피
14 : 내화물 100, 100' : 슬래그
120 : LSA

Claims (9)

  1. 용강의 정련방법으로서,
    슬래그를 재활용하며, Al2O3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과,
    전로에서 용강을 취련하는 과정과,
    상기 전로 내의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 및
    상기 전로 내에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융기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용강의 정련방법.
  2. 용강의 정련방법으로서,
    슬래그를 재활용하며, Al2O3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과,
    전로에서 용강을 취련하는 과정과,
    상기 전로 내의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 및
    상기 전로 내에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전로 내에 잔류하는 슬래그의 중량에 따라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용강의 정련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로 내의 슬래그를 배재하기 전 또는 후에 투입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마련하는 과정은
    연속주조 완료 후 레이들에 잔류하는 슬래그를 배재하는 과정과,
    상기 배재된 슬래그를 냉각시키는 과정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를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의 중량 전체에 대해서 Al2O3를 18 내지 28중량% 함유하는 LSA(Ladle Slag Agent)인 용강의 정련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투입한 다음 상기 전로를 경동시키는 용강의 정련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높이가 상기 전로 내부 바닥에서 장입구까지 높이의 20% 이하일 때, 상기 첨가제는 400 내지 1600kg 투입되는 용강의 정련방법.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투입량은 상기 잔류하는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2 내지 25중량%인 용강의 정련방법.
KR20120066123A 2012-06-20 2012-06-20 용강의 정련방법 KR10136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123A KR101366300B1 (ko) 2012-06-20 2012-06-20 용강의 정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123A KR101366300B1 (ko) 2012-06-20 2012-06-20 용강의 정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698A KR20130142698A (ko) 2013-12-30
KR101366300B1 true KR101366300B1 (ko) 2014-02-20

Family

ID=4998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6123A KR101366300B1 (ko) 2012-06-20 2012-06-20 용강의 정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010B1 (ko) *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노의 잔류 슬래그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898A (ko) * 1999-12-21 2001-07-09 이구택 Si탈산강용 턴디쉬플럭스의 제조방법
KR20050014467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 공취시 노내 분위기 온도 상승 방법
KR20050084699A (ko) * 2004-02-24 2005-08-29 호남석회공업(주) 미니밀 정련슬래그로 조성된 플럭스 대체제
KR101091957B1 (ko) 2004-11-11 2011-12-08 주식회사 포스코 무형석의 전로 정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898A (ko) * 1999-12-21 2001-07-09 이구택 Si탈산강용 턴디쉬플럭스의 제조방법
KR20050014467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 공취시 노내 분위기 온도 상승 방법
KR20050084699A (ko) * 2004-02-24 2005-08-29 호남석회공업(주) 미니밀 정련슬래그로 조성된 플럭스 대체제
KR101091957B1 (ko) 2004-11-11 2011-12-08 주식회사 포스코 무형석의 전로 정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698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606B1 (en) Steel slag reduction equipment and steel slag reduction system
EP3557170A1 (en) Electric furnace
KR101366300B1 (ko) 용강의 정련방법
KR20190082843A (ko) 전기로
KR102042845B1 (ko) Fe 함유 슬래그 중 Fe의 회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환원제
KR20180021167A (ko) 용철의 탈린제, 정련제 및 탈린 방법
KR101252644B1 (ko)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전로 정련 방법
CN109971974B (zh) 一种粗铜精炼的生产工艺
JP2008063645A (ja) 製鋼方法
EP269287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inless steel
KR101300617B1 (ko) 잔류 슬래그를 이용한 전로 정련 방법 및 전로 정련 장치
KR101185240B1 (ko) Kr 탈황공정에서 생성된 슬래그를 이용한 반송용강의 탈황 처리방법
KR101697670B1 (ko) 첨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강 처리 방법
KR101606986B1 (ko) 전로 취련 방법
KR102103380B1 (ko) 용강 제조 방법
KR101207333B1 (ko) 저류강 제조방법
KR101821368B1 (ko) 난류발생부를 포함하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크롬 산화물 환원방법
KR20170019530A (ko) 전기로에서의 용강 탈린 방법
JP4422318B2 (ja) 耐火物溶損の少ない溶銑脱燐方法
KR101660774B1 (ko) 전로 조업 방법
KR101818370B1 (ko) 전기로 조업 방법
KR20180060095A (ko) Fe 함유 슬래그 중 Fe의 회수 방법
JP5404269B2 (ja) 脱りん方法
EP1028166B1 (en) Composition for hindering the formation of iron oxides in steel-melting slag and EAF scrap- based steelmak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1552143B1 (ko) 용선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