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254B1 - 효도의자 - Google Patents
효도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4254B1 KR101364254B1 KR1020120084355A KR20120084355A KR101364254B1 KR 101364254 B1 KR101364254 B1 KR 101364254B1 KR 1020120084355 A KR1020120084355 A KR 1020120084355A KR 20120084355 A KR20120084355 A KR 20120084355A KR 101364254 B1 KR101364254 B1 KR 101364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ire
- seat plate
- chair
- rotating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flexible height-adjusting means, e.g. rope, chai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도의자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프레임 상면에 고정하되, 타단을 와이어감김부에 감기도록 하고, 프레임의 제1회전롤러 및 좌판부의 제2회전롤러로 경유된 와이어를 와이어감김부에 감거나 혹은 풀어지게 하여 좌판부의 가이드롤러가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타고 승강 이동되게 함으로써,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는,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좌판부가 기립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근까지 승강되되, 좌판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하며, 착석 또는 기립시 무릎 및 허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없고,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낙하할 위험성이 없으며, 와이어감김부 작동 정지 또는 고장시 와이어에 의해 좌판부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는,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좌판부가 기립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근까지 승강되되, 좌판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하며, 착석 또는 기립시 무릎 및 허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없고,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낙하할 위험성이 없으며, 와이어감김부 작동 정지 또는 고장시 와이어에 의해 좌판부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효도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감김부에 감기는 와이어에 의해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사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도의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예상하고 있다. 고령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고령자를 위한 제품 개발 및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자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제품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독거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고령자 자립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생활지원용 보조기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고령친화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령자들은 바닥에 주저앉은 상태에서 행하는 일어서기 동작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기립자세에서의 좌우 중심이동이 커 낙상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는 장애인들이나 기립이 어려운 환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고령자 또는 장애인들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는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좌면(1)과, 상기 의자 좌면(1)에 연결되어 의자 좌면(1)을 움직이는 구동원인 구동기(5)와, 상기 구동기(5)의 작동시 의자 좌면(1)의 운동을 안내하는 시트가이드(4)와, 상기 의자 좌면(1)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판(2)과, 상기 의자좌면(1)에 연결되어 등판(2)을 받치면서 등판가이드(3)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등판지지대(6)와, 상기 의자 좌면(1)의 이동시 연동하여 눕거나 서게 되는 상기 등판지지대(6)의 운동을 안내하는 등판가이드(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가이드(4)는, 전후방향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에 이어지는 상향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진 안내레일 형태의 슬라이딩 안내부(400)를 구비하는 판상체로서, 메인프레임(7)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400)에는 의자 좌면(1) 안쪽에 구비된 롤러(미도시)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등판지지대(6) 상단부에는 등판가이드(3)의 안내홈(300)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홈(30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는, 상기 등판가이드(3)가 고정되는 세로측프레임(7a)과, 상기 세로측프레임(7a)에 소정 사이각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전동식 구동기가 고정되는 가로측프레임(7b)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는 한 개의 선형 구동기(5)를 사용하고, 구동기의 동작에 따라 좌면(1)과 등판(2)이 움직인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5a)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선형 구동기(5)가 구동하면 의자의 좌면(1)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앞으로 밀려나가고 이에 연동하여 등판(2)은 뒤로 기울어진다.
즉, 상기 선형 구동기(5)의 구동에 의해 이를 구성하는 가동로드(5a)가 전진하면 상기 가동로드(5a) 선단에 연결된의자 좌면(1)이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좌면(1)에 연결된 등판지지대(6)가 기울어짐에 따라등판(2)도 뒤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5a)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선형 구동기(5)가 구동하면 의자의 좌면(1)은 뒤로 밀려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등판(2)은 서게 된다.
즉, 선형 구동기(5)의 구동에 의해 이를 구성하는 가동로드(5a)가 후진하면 상기 가동로드(5a) 선단에 연결된좌면(1)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뒤로 밀려나는 좌면(1)은 시트가이드(4)에 구비된 슬라이딩안내부(400)의 상향 곡선구간을 타고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좌면(1)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위로 들어올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등판(2)은 상기 좌면(1)에 연동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서게 된다.
따라서, 선형 구동기(5)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를 밀어 올려주며 등판(2)을 세워줌으로써 기립을 보조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선형 구동기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엉덩이를 밀어 올려주며, 등판을 세워주는 구조는, 의좌 좌면의 상승 높이가 상당한 제한적이고, 상승 높이로 인해 사용자가 지면에서부터 기립하여 무릎관절에 큰 무리가 발생되며, 좌면이 지면에 근접 위치되어 착석의 어려움이 있으며, 착석시 무릎 및 허리 사용량의 증가로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낙하할 위험성이 있고, 선형 구동기의 고장시 좌면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효도의자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프레임 상면에 고정하되, 타단을 와이어감김부에 감기도록 하고, 프레임의 제1회전롤러 및 좌판부의 제2회전롤러로 경유된 와이어를 와이어감김부에 감거나 혹은 풀어지게 하여 좌판부의 가이드롤러가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타고 승강 이동되게 함으로써,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한 효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회전롤러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고, 와이어감김부에 복수개의 와이어감김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회전롤러에 안내되어 와이어감김부에 감기는 와이어가 와이어감김홈에 순차적으로 감기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단부를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상부로 승강 이동된 좌판부의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용이하게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일단을 프레임 상면에 고정된 장력조절장치에 고정하여 장력조절장치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의 텐션 상태가 유지되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저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이동바퀴를 설치하되, 일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하우징을 프레임 외면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프레임을 다양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는, 전,후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을 이루는 제1회전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과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 제2회전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노출되어 승강 작동되는 좌판부; 상기 프레임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는 와이어감김부;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좌판부의 제2회전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제1회전롤러로 경유되어 말단이 상기 와이어감김부에 감기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회전롤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감김부의 외면에 상기 제1회전롤러로 경유된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와이어감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롤러의 경사 각도는 30도 이상 45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롤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 상면에 상기 와이어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저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외면에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일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 바닥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절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는, 좌판부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좌판부가 기립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근까지 승강되되, 좌판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하며, 착석 또는 기립시 무릎 및 허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없고,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낙하할 위험성이 없으며, 와이어감김부 작동 정지 또는 고장시 와이어에 의해 좌판부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서 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좌판부가 절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서 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좌판부가 절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에서 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의 좌판부가 절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100)은 전,후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을 이루는 제1회전롤러(101)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모터(103)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는 와이어(400)의 일단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도록 안내하되, 타단이 상기 좌판부(200)의 제2회전롤러(202)를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회전롤러(101)는 회전작동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감기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회전롤러(101)는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 외면에 감기도록 안내하는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롤러(101)의 경사 각도는 30도 이상 45도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회전롤러(101)의 경사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시작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롤러(1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롤러는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가이드레일(102)이 상기 좌판부(200)의 가이드롤러(201)를 안내하여, 상기 좌판부(200)의 승강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02)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전방으로 굽어진 상기 가이드레일(102)로 상기 좌판부(200)의 가이드롤러(201)를 안내하여 상기 좌판부(200)가 상단에서 전방으로 정해진 각도 기울어진다.
상기 모터(103)는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를 회전작동시킨다.
상기 모터(103)는 외부전원,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작동된다.
상기 모터(103)는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와 벨트풀리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0)은 내측 상면에 상기 와이어(400)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104)가 설치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104)는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겨지되, 상기 제1, 제2회전롤러(101,202)로 경유된 와이어(400)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400)의 팽팽함이 유지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104)는 턴버클로 제작되어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동바퀴(10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0) 외면에 하우징(1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일면에 손잡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프레임(100)을 커버하되, 상기 좌판부(200)가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모터(10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110a)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이동바퀴(105)에 브레이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11)에 상기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레버(111a)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상기 이동바퀴(105)를 구동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장소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111a)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105)가 브레이크(미도시)에 의해 정지된다.
상기 이동바퀴(105)는 도2의 확대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에 고정부재(105a)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05a)를 사용자가 작동시켜 상기 이동바퀴(105)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바퀴(105)의 유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 바닥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모터(103)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106)가 형성된다.
좌판부(200)는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롤러(201)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 제2회전롤러(2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어 승강 작동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01)는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2회전롤러(202)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와이어(400)를 경유시켜,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로 안내한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400)에 지지되어 승강 작동된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제2회전롤러(202)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400)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와이어(400)를 상기 제1회전롤러(101)로 안내한다.
상기 좌판부(200)는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상기 가이드롤러(201)가 안내되어, 상부에서 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립 또는 착석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착석을 용이하게 하는 좌석(203)이 형성되고, 상기 좌석(203)은 쿠션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석(203)은 전방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이동시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지는 좌석(203)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프레임(100) 내측으로 절첩된다.
상기 좌판부(200)는 프레임(10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203)을 상기 프레임(100) 내측으로 위치시켜, 이동시 상기 좌석(203)의 유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외관 구조가 심플해 진다.
와이어감김부(300)는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0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된다.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는 외면에 상기 와이어(400)가 감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좌판부(300)를 떠받쳐 상기 좌판부(300)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외면에 상기 제1회전롤러(101)로 경유된 와이어(400)가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와이어감김홈(301)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는 상기 와이어감김홈(301)에 상기 와이어(400)가 감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400) 간의 마찰이나 꼬임이 방지된다.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는 상기 모터(103)와 벨트풀리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4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좌판부(200)의 제2회전롤러(202)와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로 경유되어 말단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긴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제1회전롤러(101)에 안내되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되, 상기 제2회전롤러(202)를 떠받쳐 지지함으로써, 상기 좌판부(200)가 승강 이동된다.
상기 와이어(400)는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된 장력조절장치(104)에 연결되어 인장력이 조절됨으로써, 팽팽함이 유지된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제1, 제2회전롤러(101,202)에 안내되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용이하게 감긴다.
상기 와이어(400)는 정해진 각도로 형성된 상기 제1회전롤러(101)에 안내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와이어감김홈(301)에 순차적으로 감겨 꼬임이나 혹은 상기 와이어(400) 간의 마찰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전,후면이 개방되고, 내측 상면에 한 쌍의 제1회전롤러(101)가 설치되되, 내부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2)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모터(103)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0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좌판부(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롤러(201)가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좌판부(200)의 후방에 제2회전롤러(202)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상기 모터(10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는 와이어감김부(300)가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회전롤러(101,202)로 경유되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와이어(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103)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제1회전롤러(101)에 안내되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김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좌판부(200)의 제2회전롤러(202)를 떠받쳐 지지한 상태로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의해 당겨져 상기 좌판부(200)가 승강 이동되고, 상기 좌판부(200)의 가이드롤러(201)가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02)에 안내되어 상기 좌판부(2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좌판부(200)가 승강되어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모터(103)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서 와이어(400)가 풀어짐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400)에 떠받쳐 지지되고 있는 상기 좌판부(200)의 제2회전롤러(202)가 상기 와이어(400)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좌판부(200)가 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는 회전작동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로 용이하게 감기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회전롤러(101)의 경사 각도는 30도 이상 45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시작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롤러(1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02)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전방으로 굽어진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상기 좌판부(200)의 가이드롤러(201)가 안내되어 상기 좌판부(200)가 상단에서 전방으로 정해진 각도 기울어진다.
이때, 정해진 각도 기울어진 상기 좌판부(20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좌판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기립하거나 혹은 기립한 상태에서 상기 좌판부(200)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착석을 용이하게 하는 좌석(203)이 형성되고, 상기 좌석(203)은 쿠션부재로 형성되며, 전방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이동시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지는 좌석(203)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모터(103)는 외부전원,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작동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은 내측 상면에 상기 와이어(400)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104)가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104)는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겨지되, 상기 제1, 제2회전롤러(101,202)로 경유된 와이어(400)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장치(104)는 턴버클로 제작되어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동바퀴(10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0) 외면에 하우징(1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일면에 손잡이(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프레임(100)을 커버하되, 상기 좌판부(200)가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모터(10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11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이동바퀴(105)에 브레이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11)에 상기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레버(111a)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상기 이동바퀴(105)를 구동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장소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111a)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105)가 브레이크(미도시)에 의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퀴(105)는 도2의 확대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에 고정부재(105a)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05a)를 사용자가 작동시켜 상기 이동바퀴(105)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바퀴(105)의 유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 바닥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모터(103)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106)가 형성됨으로써, 타 장소 이동시 모터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을 항시 공급받아, 이동장소에서 상기 좌판부(200)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좌판부(200)는 프레임(10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203)을 상기 프레임(100) 내측으로 위치시켜, 이동시 상기 좌석(203)의 유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외관 구조가 심플해 진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외면에 상기 제1회전롤러(202)로 경유된 와이어(400)가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와이어감김홈(30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감김부(300)는 상기 와이어감김홈(301)에 상기 와이어(400)가 감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400) 간의 마찰이나 꼬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와이어(400)가 제1,제2회전롤러(101,202)로 경유되어 좌판부(200)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조는, 좌판부(200)의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좌판부(200)가 기립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근까지 승강되되, 좌판부(20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이 용이하며, 착석 또는 기립시 무릎 및 허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없고,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낙하할 위험성이 없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효도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01 : 제1회전롤러
102 : 가이드레일 103 : 모터
104 : 장력조절장치 105 : 이동바퀴
106 : 충전부 110 : 하우징
110a : 작동버튼 111 : 손잡이
111a : 레버 200 : 좌판부
201 : 가이드롤러 202 : 제2회전롤러
203 : 좌석 300 : 와이어감김부
301 : 와이어감김홈 400 : 와이어
102 : 가이드레일 103 : 모터
104 : 장력조절장치 105 : 이동바퀴
106 : 충전부 110 : 하우징
110a : 작동버튼 111 : 손잡이
111a : 레버 200 : 좌판부
201 : 가이드롤러 202 : 제2회전롤러
203 : 좌석 300 : 와이어감김부
301 : 와이어감김홈 400 : 와이어
Claims (9)
- 전,후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을 이루는 제1회전롤러(101)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모터(103)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00);과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롤러(201)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 제2회전롤러(2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 전방으로 노출되어 승강 작동되는 좌판부(200);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0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는 와이어감김부(300);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좌판부(200)의 제2회전롤러(202)와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로 경유되어 말단이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에 감기는 와이어(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제1회전롤러(1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감김부(300)의 외면에 상기 제1회전롤러(101)로 경유된 와이어(400)가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와이어감김홈(3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롤러(101)의 경사 각도는 30도 이상 45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02)은 상단부가 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내측 상면에 상기 와이어(400)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10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동바퀴(10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0) 외면에 하우징(1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일면에 손잡이(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 바닥면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모터(103)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1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355A KR101364254B1 (ko) | 2012-08-01 | 2012-08-01 | 효도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355A KR101364254B1 (ko) | 2012-08-01 | 2012-08-01 | 효도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7369A KR20140017369A (ko) | 2014-02-11 |
KR101364254B1 true KR101364254B1 (ko) | 2014-02-14 |
Family
ID=5026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4355A KR101364254B1 (ko) | 2012-08-01 | 2012-08-01 | 효도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42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6748A (zh) * | 2017-12-28 | 2018-06-19 | 重庆飞适动力汽车座椅部件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滑轨保持架档点冲压机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711U (ko) * | 1989-06-20 | 1991-01-30 | ||
JPH0690982A (ja) * | 1992-09-11 | 1994-04-05 | Komura Seisakusho:Kk | 椅 子 |
JPH0626591U (ja) * | 1992-09-19 | 1994-04-12 |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 椅 子 |
JP2000300383A (ja) | 1999-04-16 | 2000-10-31 | Kokuyo Co Ltd | 椅 子 |
-
2012
- 2012-08-01 KR KR1020120084355A patent/KR1013642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711U (ko) * | 1989-06-20 | 1991-01-30 | ||
JPH0690982A (ja) * | 1992-09-11 | 1994-04-05 | Komura Seisakusho:Kk | 椅 子 |
JPH0626591U (ja) * | 1992-09-19 | 1994-04-12 |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 椅 子 |
JP2000300383A (ja) | 1999-04-16 | 2000-10-31 | Kokuyo Co Ltd | 椅 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7369A (ko) | 2014-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6581B2 (en) |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 person | |
KR100960094B1 (ko) |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 |
JP6733906B2 (ja) | 入浴介護装置 | |
CN104146841B (zh) | 一种手动抬背屈腿病人护理多功能按摩床 | |
JP6255024B2 (ja) | 横臥者を立ち上がらせるための装置 | |
AU2008303054A1 (en) | Improved patient lifting apparatus | |
JP2011098005A (ja) | 介護用ストレッチャー | |
CN106420224A (zh) | 护理过渡架 | |
CN106074018B (zh) | 一种适用于瘫痪患者的起居装置 | |
US20150202102A1 (en) | Wheelchair with Automatic Seat Lift Mechanism | |
CN111840902B (zh) | 一种舞蹈用腿部韧带拉伸及侧身腿部伸展装置及使用方法 | |
KR101191139B1 (ko) | 다기능 전동체어 | |
CN203001276U (zh) | 多功能轮椅 | |
CN202682114U (zh) | 自动颈椎牵引治疗椅 | |
KR101364254B1 (ko) | 효도의자 | |
CN201290855Y (zh) | 门框型助行器 | |
US8024824B1 (en) | Person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406144B1 (ko) | 효도의자 | |
CA2512220A1 (en) | Manually driven bathtub lift | |
CN203341952U (zh) | 一种便于便后清理的护理轮椅 | |
KR20120114559A (ko) |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침대, 휠체어 및 이를 채용한 장애인 보조 시스템 | |
CN207370827U (zh) | 爬梯机 | |
CN104173149B (zh) | 一种手动抬背屈腿病人护理振动按摩床 | |
CN209091905U (zh) | 一种具有输液装置的轮椅 | |
TW201018450A (en) | Wheelchair with shifting function and auxiliary equipment included the wheel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