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162B1 - 합성 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162B1
KR101363162B1 KR1020070088417A KR20070088417A KR101363162B1 KR 101363162 B1 KR101363162 B1 KR 101363162B1 KR 1020070088417 A KR1020070088417 A KR 1020070088417A KR 20070088417 A KR20070088417 A KR 20070088417A KR 101363162 B1 KR101363162 B1 KR 10136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tube
cylindrical section
axis direction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555A (ko
Inventor
츠네히로 나바
Original Assignee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이 무거워지지 않고, 수지 소재가 많이 필요함으로 인한 비용 상승 없이,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모서리부의 강도, 특히 양 코너 부분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약해지지 않는 요구되는 내압 변형 강도와, 손상되기 어려운 강도를 구비하고, 제조 상에도 생산 능률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합성 수지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가 관축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을 구비한 관체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가, 꼭지각부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사각형 단면의 통부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가 원호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88417
삭제

Description

합성 수지관{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지중(地中)에 매설하거나 지상의 건물 내외에 배관하고, 관내에 전선이나 전화선·광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삽입 관통시켜 그 보호관으로 하거나, 배수관이나 지하 배수로관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합성 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관벽의 형상을 환상 또는 나선형의 요철 파형 형태로 형성한 합성 수지제 파형관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합성 수지관은 이미 케이블 보호관이나 배수관 등으로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관체는 관 전체의 형상이 원형의 요철 파형이므로, 배관 시에 안정성이 나쁘고,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관시키기 어려우며, 지중 배관의 경우에는 각각의 관체 사이에 토사가 들어가 직행성이 흐트러지기 쉽고, 복수 단으로 적층 배관하기에도 안정성이 나쁘며, 전선 등의 케이블 삽입 관통 작업 시에는 저항이 커지기 쉽고, 또한 유체의 저항도 커지기 쉽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원형 요철형의 파형관이 갖고 있었던 과제의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관체 구조로서, 별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단면 형상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를 관체의 축선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고 있는 구조로 한 관체(P1)를 개발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한 관체는 단면 형상을 거의 사각형으로 한 사각형 단면의 통부(2)가 축선 방향으로 순차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관 시에 안정성이 좋고, 인접시켜 평행하게 배관시키기 쉬우며, 지중 배관의 경우에도 관체 사이에 토사가 들어가 직행성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적고, 안정적이며 복수 단으로 적층 배관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선 등의 케이블 삽입 관통 작업 시에는 적은 저항으로 작업할 수 있고, 또한 유체 이동의 저항도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관체를 양산화하기 위해, 여러 생산 수단에 대해서 여러 실험을 시도한 바, 이러한 구조를 한 관체(P1)는 별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면 원형으로 한 원형 단면의 통부(3)의 두께를 균등 두께로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의 두께가 각 변의 중앙 부분(2b…)의 두께 C에 비해 박육화하는 것과, 도 21에 있어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즉 도 20에 있어서의 F-F선으로 도시한 단면에 있어서, 각 모서리부(2a…)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중간 부분(A)에 비해 양 코너 부분(B, B)이 극단적으로 박육화하여, 이 박육화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극단적으로 내압 변형성이 뒤떨어져 파손되기 쉬워지는 것을 규명하는 것에 이르렀다.
그래서, 이 과제를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여기에서 말하는 내압 변형성이 약하고 파손의 원인이 되기 쉬운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각 모서리부(2a…), 특히 모서리부(2a)의 축선 방향 양 코너 부분(B, B)이 국부적으로 약해지지 않고 요구되는 내압 변형 강도를 가질 정도로 강화시킨 관체를 개발하여, 이미 제안하고 있다.
즉, 그 기술 해결 수단으로서, 본 출원인은 별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체를 형성하는 수지 튜브(parison)(T)를, 둘레 방향의 4부위에 있어서 두께(T1)를 다른 부분의 두께(T2)보다도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있는 비균일 두께의 수지 튜브(도 16)로 하여, 이 둘레 방향 4부위의 두꺼운 두께(T1…) 부분으로 하여금, 관체(P2)에 있어서의 상기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각 모서리부(2a…)를 형성하도록 하고, 각 모서리부(2a…)를 특히, 모서리부(2a)에서의 축선 방향 양 코너 부분(B, B)을 강화시킨 관체(P2)를 개발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08-21933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325490호 공보
이 관체(P2)는, 전자(前者)의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모서리부(2a)가 내압 변형성이 부족하여 파손의 원인이 되기 쉽다고 하는 과제를 가진 특허 문헌 1의 관체(P1)에 비해,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모서리부(2a)의 강도, 특히 양 코너 부분(B, B)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약해지지 않고 요구되는 내압 변형 강도를 구비하고 있어, 손상되기 어려울 정도로 강화된 관체라는 점에서, 실용성이 우수하고, 산업상에 있어서 바람직한 관체이다.
그러나 이 관체(P2)의 경우는, 제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두께를 두껍게 한 부위를 부분적으로 형성한 비균일 두께의 수지 튜브(T)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자의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관체(P1)에 비해, 관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관 형성을 위한 수지 소재를 많이 필요로 하여, 조금이라도 제품의 비용 상승이 초래된다고 하는 간과할 수 없는 새로운 과제를 갖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수지 소재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자의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관체에 비해, 중량이 무거워지지 않고, 제품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도록 관 형성 수지 소재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며, 후자의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관체가 갖는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모서리부의 강도, 특히 양 코너 부분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약해지지 않고 요구되는 내압 변형 강도와, 손상되기 어려울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관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구나, 제조상에 있어서도 생산 능률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상기 특허 문헌 1·2에 기재한 관체와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합성 수지 관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합성 수지관의 제1 구성은,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가 관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1)을 관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한 관체(P)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가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2 구성은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가 관축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1)을 구비한 관체(P)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가 원호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또한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가 관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의 형상을 갖는 합성 수지관으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의 구조를,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각 꼭지각부가 관축 방향을 향해 크게 팽창하지 않으므로, 상기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각 꼭지각부에서 박육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관축 방향의 양 코너 부분(B, B)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약해져 요구되는 내압 변형 강도를 유지시킬 수 없으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결함을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고, 상기 양 코너 부분(B, B)의 강도가 확실하게 강화된 관체를, 둘레 방향으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 수지 튜브에 의해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둘레 방향의 4부위에 있어서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텁게 한 비균일 두께의 수지 튜브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관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거나, 관 형성 수지 소재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과제도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사각형 단면의 통부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의 형상이, 원호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각 꼭지각부의 강도, 특히 관축 방향 양 코너 부분(B, B)의 강도가 한층 더 확실하게 강화된 관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내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입수의 용이성도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지 소재를 특정하는 것의 이점은 없으므로, 예컨대 폴리염화비닐이나 기타 임의의 합성 수지 소재를 선택 사용하더라도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관체(P)의 외관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의 절단 단부면측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D-D선에 따른 원형 단면의 통부의 단면과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일부를 파단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E-E선에 따라 관체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관체(P)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관벽(1)의 외면 형상을 관축 방향으로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원형 단면의 통부(3)를 교대로 배치해 둔 상태로 형성하고 있는 합성 수지관이다. 그렇게 하여, 이 관체(P)는 도 1, 도 2 및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4개의 각 변(2b)을 관축 방향으로 폭이 있는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4개의 각 모서리부(2a)의 형상을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5 및 도 6의 하반부에 단면 형상을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각부(t)에 있어서도 두께가 국부적으로 극단적으로 얇아지지 않고, 원형 단면의 통부(3)에 있어서의 두께(w)보다도 조금 얇은 두께가 되는 정도로서, 팽출되는 기부(a)의 두께와 다르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관체(P)를 형성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블로-성형 수단에 의한 성형 방법이 있다. 이 블로-성형법에 의한 경우는, 도면은 생략했지만, 수지 압출 장치에 있어서의 수지 압출구로부터, 전체 둘레면에 있어서 균등한 두께로 한 수지 튜브를 압출하고, 이 수지 튜브를 블로-성형 금형 내에 도입하며, 내부 압력을 걸어 둘레 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금형 내면에 대어 성형하는 성형 방법을 채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제2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의 꼭지각부(t)를 비스듬하게 절단하고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상의 꼭지각부(t)의 최정상까지 팽출하지 않게 하여, 국부적인 박육화 현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와 같은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를 꼭지각부(t)로 갈수록 관축 방향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두께의 균일화를 더욱 효과 있게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준한 구조로 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를 꼭지각부(t)의 단면이 원호형이 되도록, 상기 실시예 도면에 있어서는, 도 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통부(3)와 동심의 원형 곡선(S1)을 따라, 그 내측의 마찬가지로 동심인 원형 곡선(S2)의 부분으로부터 꼭지각부(t)측을 향해 관축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원호형 단면을 갖게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점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와 동일한 구조로 한 것이다.
별지 도 13 내지 도 18은 제4, 제5, 제6 실시예에 대해 관체(P)의 외관 형상과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그렇게 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제4 실시예의 관체(P)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에 있어서 각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각 모서리부(2a)에 이르는 관축 방향으로 협소한 폭의 형상을, 원형 단면의 통부(3)로부터 점차로 각 모서리부(2a)의 방향을 향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진 형상으로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실시예의 관체(P)에서는, 원형 단면의 통부(3)가 짧은 원통의 상태로 존재하고, 그 관축 방향 양끝으로부터 사각형 단면의 통부(2)를 형성하는 관축 방향의 측벽이 일단 연직 방향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 연직 방향벽이 각 모서리부(2a)에서 관축 방향으로 협소한 폭을 가진 형상을 형성된 것이지만, 상기 제4 실시예의 관체(P)는, 각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에 대향하는 부분의 원형 단면의 통부(3)가 상기의 연직벽을 통하지 않고, 원형 단면의 통부(3)로부터 바로 각 모서리부(2a)의 방향을 향해 적절한 각도로 관축 방향으로 협소한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외의 점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관체(P)와 동일한 구조로 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제5 실시예의 관체(P)는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관체(P)와,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제6 실시예의 관체(P)는, 상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제3 실시예의 관체(P)와 대비했을 때, 각각 상기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원형 단면의 통부(3)의 형상과 동일하게, 각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와 대향하는 부분에 존재하는 원형 단면의 통부(3)가 연직벽을 통하지 않고,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각 모서리부(2a) 방향을 향해 관축 방향으로 협소한 폭을 가진 구조로 형성한 것이다. 그 외의 점은 각각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관체(P)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관체는 사각형 단면의 통부(2)의 각 모서리부(2a)의 박육화와, 특히 그 관축 방향으로의 양 코너 부분의 국부적인 박육화와, 그에 수반하는 취약화의 발생을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꼭지각부(t)의 곡선(S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통부(3)와 동심원의 곡선으로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동심원 곡선이 되도록 해 두면, 상기 곡선(S1)의 전체 곡선 부분의 원형 단면의 통부(3)로부터의 팽출율을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꼭지각부(t)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곡선(S1)은 원형 단면의 통부(3)와의 동심원 곡선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P)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소재에는, 합성 고무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조하는 관체의 크기나 사용 장소 등에 의해 관체의 경도는 변경해야 하므로, 사용하는 수지 소재도 임의의 경도의 것을 선정 사용하면 좋다. 그러나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관의 경우에는 관벽(1)에서 받게 되는 외압을 고려하여 충분한 내압 편평 강도를 갖는 두께의 관체로 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나타낸 관체(P)는 단면이 거의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단면이 거의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가 관축 방향으로 각각 1개씩 교대로, 또한, 관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나타내었지만, 이들 통부(2, 3)는 각각 1개씩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또한 관 전체가 아니라 관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 실시예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말하는 상기한 구성 요건을 구비하고,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목적을 달성하여, 상기한 효과를 갖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개변(改變)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는, 단면을 거의 사각형으로 한 사각형 단면의 통부를 관축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배관에 있어서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면서, 국부적인 취약부가 없고, 더구나, 관체의 중량이 무거워지지 않으며, 사용 소재를 많이 필요하게 되지 않으므로, 시장에서 크게 애용되어 사용될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관체의 우측 정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관체의 좌측 정면도.
도 5는 도 2의 D-D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로,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일부도 파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관체의 좌측 정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의 관체의 좌측 정면도.
도 13은 제4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제4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15는 제5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제5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17은 제6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제6 실시예의 관체의 측면도.
도 19는 종래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종래예의 관체의 좌측 확대 정면도로, 사각형 단면의 통부의 일부도 파단한 단면도.
도 21은 종래예의 관체의 모서리부를 관축 방향 도면인 도 20의 F-F선을 따라 관축 방향으로 절단한 확대 단면도.
도 22는 비교예를 도시하는 관체를 형성하는 튜브의 사시도.
도 23은 비교예의 관체의 도 5 상당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4는 비교예의 관체의 도 6 상당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벽 2: 사각형 단면의 통부
2a: 모서리부 2b: 변 부분
t: 꼭지각부 3: 원형 단면의 통부
w: 원형 단면의 통부의 두께 P: 관체

Claims (4)

  1.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筒部)(2)와 단면이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가 관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1)을 관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한 관체(P)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가,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합성 수지관.
  2.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형 단면의 통부(2)와 단면이 원형인 원형 단면의 통부(3)가 관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관벽(1)을 구비한 관체(P)로서, 사각형 단면의 통부(2)에 있어서의 각 모서리부(2a)가 원호(圓弧)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며, 꼭지각부(t)의 방향으로 갈수록 관축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합성 수지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관은 균등한 두께의 수지 튜브를 이용한 블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인 합성 수지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형 단면의 통부(3)는 둘레 방향의 두께가 균일한 것인 합성 수지관.
KR1020070088417A 2006-08-31 2007-08-31 합성 수지관 KR101363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5207 2006-08-31
JP2006235207A JP4744399B2 (ja) 2006-08-31 2006-08-31 合成樹脂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55A KR20080021555A (ko) 2008-03-07
KR101363162B1 true KR101363162B1 (ko) 2014-02-13

Family

ID=3924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417A KR101363162B1 (ko) 2006-08-31 2007-08-31 합성 수지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44399B2 (ko)
KR (1) KR101363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281A (ko) * 1997-05-26 1998-12-05 오오마츠 세이이치 합성수지관체
KR20050034519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놀리지 플라스틱관
KR100526711B1 (ko) * 2004-10-26 2005-11-08 배재관 고강도 플라스틱관
JP2006170315A (ja) * 2004-12-15 2006-06-29 Totaku Industries Inc 可撓性二層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376B2 (ja) * 1995-02-14 2002-10-07 金尾 茂樹 ケーブル保護管
JP2005057848A (ja) * 2003-08-07 2005-03-03 Totaku Industries Inc 合成樹脂製ケーブル保護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281A (ko) * 1997-05-26 1998-12-05 오오마츠 세이이치 합성수지관체
KR20050034519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놀리지 플라스틱관
KR100526711B1 (ko) * 2004-10-26 2005-11-08 배재관 고강도 플라스틱관
JP2006170315A (ja) * 2004-12-15 2006-06-29 Totaku Industries Inc 可撓性二層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4399B2 (ja) 2011-08-10
KR20080021555A (ko) 2008-03-07
JP2008057656A (ja)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9342B1 (en) A coupler for coupling to a pip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coupler.
KR100319182B1 (ko) 합성수지관체
US8820801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JPH08219333A (ja) 合成樹脂波形管
BR112015025999B1 (pt) elemento de fita alongado
US9662826B2 (en) Coilable dual wall corrugated pipe and related method
KR100486948B1 (ko) 암거관
US11221094B2 (en) Corrugated tube
US8733405B2 (en) Corrugated pipe with outer layer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KR101363162B1 (ko) 합성 수지관
KR100904550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와 그 성형방법
KR20120113274A (ko) 파이프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프로파일
JP2005057848A (ja) 合成樹脂製ケーブル保護管
JP6030881B2 (ja) 波付合成樹脂管
US20180209645A1 (en) Conduit and hot water supply system
CN210179171U (zh) 一种燃气管道钢塑转换接头用抗沉降剪切力护套管
CN211574432U (zh) 一种外多边形增强波纹管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JP4690587B2 (ja) 合成樹脂管体
KR100908475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의 성형방법
CN216009857U (zh) 一种mupo双层双波管结构
JP2008236976A (ja) 地中管路形成筒材
JP5391116B2 (ja) 枕体付き波付け管体
CA3218349A1 (en) Pipelin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