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774B1 -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774B1
KR101362774B1 KR1020130035466A KR20130035466A KR101362774B1 KR 101362774 B1 KR101362774 B1 KR 101362774B1 KR 1020130035466 A KR1020130035466 A KR 1020130035466A KR 20130035466 A KR20130035466 A KR 20130035466A KR 101362774 B1 KR101362774 B1 KR 10136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playback mode
displayed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875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 진입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앞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며,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플레이백 모드에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언제나 최종으로 촬영되어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플레이백 모드에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플레이백 모드를 종료하면, 다시 플레이백 모드로 진입할 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에 최종으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원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사용자가 탐색 조작을 계속 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플레이백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확인하는 과정 중 사용자의 키 조작 등의 실수로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되었을 경우, 이러한 불편함이 특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작 시,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 진입 시, (i)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함과, (ii)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과, (iii)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앞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며,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며,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미도시)를 통하여 디지털 촬영장치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미도시)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컨대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하여 디지털 촬영장치 프로세서에 입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36),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 플레이백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부(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다양한 동작 모드들, 예컨대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등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1)의 특정 기능들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고, 디스플레이부(35) 상에 이미지 재생 시 이미지의 이동 등에 사용되기도 하며, 디스플레이부(35) 상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플레이백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을 누르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 상의 제2이미지의 축소율 또는 확대율을 낮출 수도 있다.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 상의 제2이미지의 축소율 또는 확대율을 높일 수도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백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촬영 모드로의 전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카메라일 경우 SLR(single lens reflex) 카메라와 같은 렌즈교환식 카메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플레이백 모드에서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기능 버튼들(15)을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의 전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35)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 여기서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된다는 것은 플레이백 모드에서 다른 모들도 전환되거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원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와 같이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될 시, 디스플레이부(35)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 여기서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고 함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에 해당 이미지 파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디지털 촬영장치에 별도의 메모리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 메모리에 저장매체에 있어서 해당 이미지 파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될 시 디스플레이부(35)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 후, 플레이백 모드를 다시 시작하게 되면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어느 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35)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35)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35)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추후 플레이백 모드 시작 시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키 조작 실수 등으로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되더라도, 플레이백 모드를 재개하면 사용자가 확인하고 있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플레이백 모드 시작 시 언제나 최종으로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달리,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5)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와 같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13).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21).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달리,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11)을 거치게 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한 후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에는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확인하려는 것이 아니라 직전에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확인하려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세팅에 의해 동일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는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를 진행한다(S141). 여기서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를 진행한다는 것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전후의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를 종료할 시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S143).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플레이백 모드 진입 시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와 같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13).
그러나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그 제어방법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앞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유무를 판단한다(S121'). 이에 따라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그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23). 그러나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31).
CF 카드, SD 카드 또는 메모리스틱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기록매체는 통상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로부터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레이백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일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플레이백 모드를 종료한 후, 기록매체를 디지털 촬영장치로부터 탈착하여 컴퓨터 등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상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삭제될 수도 있다. 그 후 기록매체를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하여 플레이백 모드를 시작하게 되면,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찾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일 경우, 즉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31).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는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를 진행하며(S141),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를 종료할 시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한다(S143).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플레이백 모드 진입 시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을 경우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기록매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이다(S113').
상황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가 종료된 후 복수회에 걸쳐 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한 후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복수회에 걸친 촬영이 있었다면,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13'). 여기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은, 먼저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경하게 될 경우, 상기 이미지 파일이 기록매체에 저장되기 직전에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추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또 있으며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도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기록매체에 저장되기 직전에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후 사용자에 의해 촬영하여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이, 플레이백 모드 시작 시 바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상이한 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S113),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S115). 여기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라 함은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경하라는 신호,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서 삭제하라는 신호 등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판단을 통해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를 진행한다(S141). 예컨대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기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판단을 통해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그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17).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 플레이백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일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모드로 변환되어 촬영이 있은 후 다시 플레이백 모드로 변환되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경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경우,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플레이백 모드에서 이미지를 확인하다가 이와 유사한 촬영을 실시하여, 이전 플레이백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새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싶은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변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에 진입할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1), 이에 따라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있었다면,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13).
그러나 사용자로부터의 신호, 예컨대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경하라는 신호,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서 삭제하라는 신호 등이 있을 시,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는 (a)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것인가, 아니면 (b)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전 플레이백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를 진행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플레이백 모드라고 함은 예컨대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기 직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 셀프-타이머 램프 12: 플래시
13: 셔터 릴리즈 버튼 14: 모드 다이얼
15: 기능 버튼들 17a: 뷰 파인더
17b: 뷰 파인더 19: 플래시-광량 센서
20: 렌즈부 31: 전원 스위치
32: 모니터 버튼 33: 자동-초점 램프
34: 플래시 대기 램프 35: 디스플레이부
36: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 37: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
41: 원격 수신부 42: 재생 모드 버튼

Claims (3)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기억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 모드 진입 시,
    플레이백 모드 진입 전 촬영이 없었다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앞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백(playback) 모드 종료 시 디스플레이부에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여,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최종으로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할 대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130035466A 2013-04-01 2013-04-01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136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66A KR101362774B1 (ko) 2013-04-01 2013-04-01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66A KR101362774B1 (ko) 2013-04-01 2013-04-01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594A Division KR101314827B1 (ko) 2006-12-05 2006-12-05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75A KR20130041875A (ko) 2013-04-25
KR101362774B1 true KR101362774B1 (ko) 2014-02-14

Family

ID=4844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466A KR101362774B1 (ko) 2013-04-01 2013-04-01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591A (ja) 1998-08-07 2000-05-30 Hewlett Packard Co <Hp> 画像捕捉通信装置
JP2003032522A (ja) 2001-07-13 2003-01-31 Nikon Corp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591A (ja) 1998-08-07 2000-05-30 Hewlett Packard Co <Hp> 画像捕捉通信装置
JP2003032522A (ja) 2001-07-13 2003-01-31 Nikon Corp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75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159B2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972674B2 (en) Electronic apparatus
JP574357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00069497A (ko) 순간 포착을 위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547320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7096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6679409B2 (ja) 撮像装置、遠隔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854633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36277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JP7380025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314827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09042367A (ja) 撮像装置
JP520793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4977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717137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06567B2 (ja)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4776967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865202B2 (ja) ファイル転送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278689B2 (ja) アルバム生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79695A1 (en) Imaging apparatus
JP5723168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0086306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19928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33708A (ja) ファイル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421240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