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108B1 - 콩 수확기 - Google Patents

콩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108B1
KR101362108B1 KR1020120028168A KR20120028168A KR101362108B1 KR 101362108 B1 KR101362108 B1 KR 101362108B1 KR 1020120028168 A KR1020120028168 A KR 1020120028168A KR 20120028168 A KR20120028168 A KR 20120028168A KR 101362108 B1 KR101362108 B1 KR 10136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beans
harvester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548A (ko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2002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1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콩과 같은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기 위한 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콩 수확기는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를 모아주는 분초판과 상기 분초판에 의해 모아진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를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하는 회전형 예취날을 포함하는 콩 예취부; 상기 콩 예취부에 의해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된 콩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컨베이어벨트와 제2컨베이어벨트 및 각각의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상부구동롤러와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콩 이송부; 및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콩을 수집하여 적재 및 배출시키기 위한 콩 수집 및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구동롤러는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동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는 대체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구동되게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가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콩 예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단된 콩을 점진적으로 수평으로 이송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의 부분 손상에 대응하기 용이하고, 협지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수확하고자 하는 콩의 배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폭을 조정할 수 있어 콩의 수확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콩 수확기 {APPARATUS FOR HARVESTING SOYBEAN}
본 발명은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콩과 같은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기 위한 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대두(大豆)라고도 하는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이의 줄기는 높이가 60cm 내지 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이의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콩의 수확은 일반적으로 재배 농가에서 수작업으로 예취하기 때문에, 작업량이 많고 작업 시간이 길어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상존한다. 본 출원인은 콩 수확을 위한 자동화된 장치로써 콩 수확기를 출원하여 등록받았으며, 이에 의해 콩 예취 작업이 자동화 및 기계화되어 예취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여 재배 효율성이 높아졌다.
이를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1은 콩 수확기의 측면 투사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 예취 장치(100)는 프레임(4)을 기준으로 프레임(4)의 전방에 안내판(1)과 높이 조절 바퀴(2)가, 중앙부에 엔진(31)과 구동부(30,33)가, 후방에 각종 레버(40,50,36)와 수집판(28) 등이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4)은 수직 프레임(27)과 함께 예취 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한다. 안내판(1)은 콩 줄기가 일렬로 벨트(5)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안내판(1)의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콩 줄기가 용이하게 벨트(5) 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절삭 톱날(10)은 안내판(1)을 통해 일렬로 이동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절삭톱날은 원형의 회전 톱날로 구성된다. 벨트(5)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 콩 줄기를 벨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6)를 사용하여 수집판(28)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5)를 구동시키는 롤러는 전방롤러(7)와 상부롤러(16)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방롤러(7)와 하부롤러(17)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방롤러(7)에 대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는 90도 회전되어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롤러(7)에 수직으로 인입된 콩줄기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의 회전위치에 의해 수평으로 수집판(28)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예취 장치(100)는 수집판(28)에 콩줄기를 차곡차곡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집판(28)은 벨트(5)에 의해 이동된 콩 줄기를 수집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프레임(4)의 전방에 위치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콩 줄기의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레버(40)에 의해 지지대(3)의 각도를 변경시켜 높이가 조절된다.
엔진(31)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미션(30)을 통해 구동 바퀴(33)에 동력을 전달하여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절삭 톱날(10)을 동작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이때 손잡이(35)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36)에 의해 구동 바퀴(33)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수집 배출판(29)은 힌지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집판(28)을 통해 수집된 콩줄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수집 배출판(29)의 동작은 배출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배출 조작부(51,52)의 동작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별도의 배출 레버(50) 없이도, 소정량의 콩줄기가 수집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콩 수확기는 컨베이어벨트에 구비되어 있는 파지 돌기가 컨베이어벨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이의 부분 손상으로 컨베이어벨트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콩 수확기는 콩의 배열 폭에 순응하지 못하여 콩의 수확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466호 (2002년 8월 28일 등록, 고안의 명칭 "부추 수확기"), 등록특허공보 제10-0431720호 (2004년 5월 4일 등록, 발명의 명칭 "전동식 부추 수확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92호(2005년 11월 9일 등록, 고안의 명칭 "콩 예취 장치")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에 의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 수확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 수확기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를 모아주는 분초판과 상기 분초판에 의해 모아진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를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하는 회전형 예취날을 포함하는 콩 예취부;
상기 콩 예취부에 의해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된 콩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컨베이어벨트와 제2컨베이어벨트 및 각각의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상부구동롤러와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콩 이송부; 및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콩을 수집하여 적재 및 배출시키기 위한 콩 수집 및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동롤러는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동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는 대체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구동되게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가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콩 예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단된 콩을 점진적으로 수평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적어도 외측 구동면에는 쐐기 형상의 콩 줄기 파지 돌기가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콩 줄기 파지 단위체가 소정의 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내측 구동면에는 구동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 접하는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 부위에 풀 감김 방지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 감김 방지 구조물은 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에 형성된 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풀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수확기는,
상기 하부구동롤러들간 또는 상기 상부구동롤러간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와 상기 하부구동롤러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협지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협지간격조절부재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거리조정부와 구동롤러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조정부에 형성된 장공 중의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부구동롤러와 하부구동롤러간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간격조정부에 형성된 장공 중의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거리조정부와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부구동롤러간 또는 하부구동롤러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구동롤러와 상기 하부구동롤러 사이의 프레임에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 또는 상기 하부구동롤러와 상기 고정판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상부구동롤러 또는 상기 하부구동롤러와 상기 고정판 사이의 볼트 부위에 2개 이상의 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수집 및 배출부는,
콩이 수집되는 수집판과, 콩의 전방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전방 차단막과, 콩의 후방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 차단막과, 상기 수집판, 전방 차단막, 후방 차단막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는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하부는 상기 수집판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상부와 상기 전방 차단막 및 상기 후방 차단막은 서로에 대하여 각각의 연결링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에는 상방향으로 조작을 위한 레버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누름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콩 파지 돌기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컨베이어벨트의 부분 손상에 대응하기 용이하고, 협지간격조절부재에 의해 구동롤러간 간격이 조정되므로 수확하고자 하는 콩의 배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폭을 조정할 수 있어 콩의 수확율을 높일 수 있으며, 콩의 수집 및 배출이 작업 중에 쉽게 이루어져 콩 수확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의 상부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함께 동작하는 컨베이어벨트 그리고 구동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풀 등의 원하지 않는 식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에 적용되는 콩 줄기 파지 단위체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구동롤러와 구동롤러간의 간격(협지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함께 구동롤러에 감겨지는 각각의 컨베이어벨트를 탄지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의 콩 수집 및 배출부의 구성과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의 콩 수집 및 배출부의 구성을 시험 제작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콩 수집 및 배출부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콩 수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콩 수확기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장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 수확기는 동력에 의해 예취날이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동력에 의해 각각의 구동롤러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동롤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466호 (2002년 8월 28일 등록, 고안의 명칭 "부추 수확기"), 등록특허공보 제10-0431720호 (2004년 5월 4일 등록, 발명의 명칭 "전동식 부추 수확기")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92호(2005년 11월 9일 등록, 고안의 명칭 "콩 예취 장치")에 잘 나타나 있으며, 본 출원인의 상기한 바와 같은 등록특허공보 및/또는 실용신안등록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발명과의 충돌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콩 수확기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읽을 때에는 상기 언급한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콩 수확기는 콩의 줄기를 모아 절단하는 콩 예취부(10), 상기 콩 예취부(10)에 의해 절단된 콩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는 콩 이송부(30) 및 상기 콩 이송부(30)로부터 이송된 콩을 수집하여 적재 및 배출시키기 위한 콩 수집 및 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4)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방의 보조바퀴(6)가 포함된다 보조바퀴(6)의 높이 조절 구성은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92호(2005년 11월 9일 등록, 고안의 명칭 "콩 예취 장치")에 잘 나타나 있다.
콩 예취부(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전방으로 콩의 줄기를 모아주는 분초판(12) 또는 가이드판(12)과 이의 후방으로 분초판(12)에 의해 모아진 콩의 줄기를 수직(콩의 줄기를 기준으로 함)으로 절단하기 위한 예취날(14)이 제공된다. 분초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에 있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동력에 의해 콩 수확기가 전방으로 움직일 때 이의 형상으로 인해 콩의 줄기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마치 벼를 베고자 작업자가 다수의 벼를 손으로 모으는 것과 흡사하다. 예취날은 원형판 주위로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원형판 주위로 톱니 형상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및 이들의 변형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콩 예취부(10)에 의해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된 콩은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에 의해 콩 수확기의 후방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어 후방 상부로 꼬여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제1컨베이어벨트(31a)라 하고, 도 1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어 후방 하부로 꼬여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제2컨베이어벨트(31b)라 칭한다.
제1컨베이어벨트(31a)와 제2컨베이어벨트(31b)는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롤러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도 1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구동롤러를 상부구동롤러(34)라 하고, 도 1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구동롤러를 하부구동롤러(36)라 칭한다.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는 각각 2개씩 1조로 쌍을 이루며 작동한다. 이때, 하부구동롤러(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가 인입되도록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되게 설치되며, 상부구동롤러(34)는 하부구동롤러(36)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되게, 즉, 지면과 수평으로 배향되게 설치된다. 하부구동롤러(36)와 상부구동롤러(34)의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의 인입부에서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콩의 수집부에서는 대체로 수평으로 배향된다. 즉,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대체로 수직으로 절단된콩은 콩 예취부에서는 수직으로 이송되며, 콩 수집부에서는 수평으로, 즉, 눕혀진 상태로 이송 수집되는 것이다.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의 줄기를 콩 수확기의 후방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수의 콩 줄기 파지 단위체(3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콩 줄기 파지 단위체(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의 줄기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부분인 콩 줄기 파지 돌기(33b)와 콩 줄기 파지 돌기(33b)가 고정되며 이를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는 고정부(33a)를 포함한다. 각각의 콩 줄기 파지 돌기(33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벨트(31a)와 제2컨베이어벨트(31b)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그 끝이 어느 정도 아래를 향하도록 배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컨베이어벨트(31a)에 설치되는 콩 줄기 파지 돌기(33b)의 자유 단부와 제2컨베이어벨트(31b)에 설치되는 콩 줄기 파지 돌기(33b)의 자유 단부가 수렴하여 함께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콩 예취부(10)에서 절단된 콩의 줄기가 더욱 더 모아져 결속되므로 콩 수확기로부터 콩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콩의 수확량이 증대됨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33a)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33c)와 복수의 너트(33d)의 결속에 의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콩 줄기 파지 단위체(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에 다수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단위 구성의 복수 배열이 제안되지 않고 각각의 컨베이어벨트에 각각의 파지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들의 부분 파손에 의해 컨베이어벨트 전체를 교체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파지 돌기부가 각각의 파지 단위체에 구비된 채로 개별적으로 설치되므로, 파지 돌기의 부분 손상이 발생한다 해도 컨베이어벨트의 전체 교체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각각의 볼트(33c)가 삽입되고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각각의 너트(33d)가 각각의 볼트(33c)에 체결되는 방식을 취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내측 구동면, 즉 각각의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닿는 부분에 구동방향으로 돌출부(32) 또는 구동안내부(32)가 연장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는 각각의 구동롤러(34, 36)의 원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3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 구성에 의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는 극한 조건에서도 각각의 구동롤러(34, 36)에서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동롤러(34, 36)와의 구동 접촉면이 증대되어 구동전달력이 강해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내측 구동면에 형성된 돌출부(32) 또는 구동안내부(32)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의 선형 이동에서 원형 이동으로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롤러(34, 36)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34a)에 풀과 같은 원하지 않는 식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삽입되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풀 감김 방지 구조물(38)이 설치된다. 이러한 풀 감김 방지 구조물(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38a) 및 제2연장부(38b)와, 상기 제1연장부(38a)와 상기 제2연장부(38b)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거치부(38c)와, 상기 거치부(38c)로부터 상기 구동롤러(34, 36)의 원주면에 형성된 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풀 제거부(38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풀 감김 방지 구조물(38)은 상부구동롤러(34)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하부구동롤러(36)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풀 감김 방지 구조물(38)이 이송된 콩을 후술되어 있는 콩 수집 및 배출부로 그 굴곡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수집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직접 시험 제작한 콩 수확기의 사진(도 9 및 도 10)을 통해서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롤러(34, 36) 사이의 간격("협지 간격"이라 칭함)을 임의로 조정하여 구동롤러(34, 36)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31a, 31b)간 거리가 조정되게 하고,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이들에 의해 구동되는 각각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장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협지간격조정부재(40)가 제공된다. 이러한 협지간격조정부재(40)는 하부구동롤러(36) 및/또는 상부구동롤러(36)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구동롤러(36)에만 한정하여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지간격조절부재(40)는 프레임(2)으로부터 분기되거나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분기부(2a)에 설치되는 거리조정부(40a)와 구동롤러(36)에 설치되는 간격조정부(42)로 구성된다. 여기서 거리조정부(40a)는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31a, 31b)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간격조정부(42)는 하부구동롤러(36)와 하부구동롤러(36) 및/또는 상부구동롤러(34)와 상부구동롤러(3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는 예를 들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컨베이어벨트(31a, 31b)가 느슨해졌을 때 그 장력을 증대시켜 그 구동력을 회복시키는 경우에 유용하고, 후자는 수확하고자 하는 콩의 배열간격을 확인하여 수확의 손실 없이 선택적으로 예취 및 인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즉, 콩 수확기의 효율 저하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수확량이 증대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먼저, 구동롤러간 간격을 조정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프레임 분기부(2a)에 설치되어 있는 거리조정부(40a)와 하부구동롤러(36)에 설치되는 간격조정부(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정부(42)에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장공(42a, 42b)과 이를 통해 체결되는 결속구(41a, 41b)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하부구동롤러(36)간 간격은, 간격조정부(42)에 형성된 장공(42a, 42b)에 대한 결속구(41a, 41b)의 결속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구동롤러(36)간의 간격 조정 방식은 도 4와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도 4에는 간격조정부(42)에 형성된 2개의 장공을 이용하여 하부구동롤러(36)간의 거리를 좁혔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간격조정부(42)에 형성된 2개의 장공을 이용하여 하부구동롤러(36)간의 거리를 늘렸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 사이의 거리 조정 방식을 살펴보면, 각각의 거리조정부(40a)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장공(44a, 44b)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거리조정 보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 사이의 거리 조정은 거리조정부(40a)에 형성된 장공(44a, 44b)과 프레임 분기부(2a) 사이의 선택적 위치에서의 체결구(43a, 43b)에 의한 체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에도 불구하고 그 거리 조정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의 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조정 보조구가 추가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거리조정 보조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분기부(2a)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5)과 거리조정부(40a)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46) 그리고 상기 고정판(45)과 상기 거리조정부(40a) 사이의 안쪽으로 체결되는 2개의 너트(46a, 47a)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의 구동 중에 이들의 거리가 좁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 사이의 거리 조정 방식은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 도 6의 (a)에는 거리조정부(40a)에 형성된 2개의 장공(44a, 44b)을 이용하여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간의 거리를 늘렸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거리조정부(40a)에 형성된 2개의 장공(44a, 44b)을 이용하여 상부구동롤러(34)와 하부구동롤러(36)간의 거리를 좁혔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1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31a, 31b)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콩은 프레임(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콩 수집 및 배출부(50)로 수집 및 적재된다.
이러한 콩 수집 및 배출부(50)는 공간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후방과 후방으로 이송된 콩이 수집되는 수집판(57)과 수집된 콩이 외부로, 특히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막(62)의 내부 공간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콩 수집 및 배출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회동축(5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링크부재(54)와 상기 작동링크부재(56)를 손으로 조작하는 레버(52), 상기 작동링크부재(56)의 하단에 설치되어 작동링크부재(54)를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 형태의 누름구(54)를 포함한다. 작동링크부재(56)의 회동은 회동축(55)의 양 옆에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스토퍼(58a, 58b)에 의해 제한되게 구성된다. 작동링크부재(56)의 상단에는 대체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방연결링크(64)와 후방연결링크(60)가 상기 작동링크부재(56)의 상단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방연결링크(60)의 일측단은 상기 차단막(62)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연결링크(64)의 일측단은 도면부호 66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방 차단막(6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부호 62로 도시되어 있는 차단막은 일측은 콩 수확기의 프레임 중 손잡이가 위치하는 부근에 사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작동링크부재(56)의 하단에는 상기한 수집판(57)이 지면과 대체로 나란하게 고정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재(56)의 회동 조작에 의해 함께 움직이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러한 콩 수집 및 배출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콩을 배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레버(52)를 후방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잡아당기거나 작업자가 발로 바(bar) 형태의 누름구(54)를 밟을 때, 작동링크부재(54)의 하단은 전방,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링크부재(54)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수집판(57)의 전방으로 밀리면서 개방된다. 또한, 이에 따라 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후방연결링크(60)가 후방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밀리면서 도면부호 62로 도시되어 있는 차단막이 개방된다. 이와 함께 후방연결링크(6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면부호 66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방 차단막의 하단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즉,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링크부재(54)가 작동하면서 수집판(57)의 일부와 후방의 차단막(62)이 개방되는 동시에 전방의 차단막(66)이 콩 수집 및 배출부(50)에 수집 적재된 콩을 후방으로 밀게 됨으로써 콩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링크부재(54)의 회동은 도면부호 58b로 도시되어 있는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콩 수집 및 배출부(50)의 원위치 복원은 중력에 의한 원위치 복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수확하고자 하는 대상을 콩과 식물로 한정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콩과 식물 이외의 작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2 : 프레임 2a : 프레임 분기부
4 : 구동바퀴 6 : 보조바퀴
10 : 콩 예취부 12 : 분초판 또는 가이드판
14 : 예취날 30 : 콩 이송부
31a : 제1컨베이어벨트 31b : 제2컨베이어벨트
34 : 상부구동롤러 36 : 하부구동롤러
38 : 풀 감김 방지 구조물 50 : 콩 수집 및 배출부
57 : 수집판 62 : (후방) 차단막

Claims (8)

  1.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예취하고자 하는 콩의 줄기를 모아주는 분초판과 상기 분초판에 의해 모아진 콩의 줄기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회전형 예취날을 포함하는 콩 예취부; 상기 콩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콩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컨베이어벨트와 제2컨베이어벨트 및 각각의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부구동롤러와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콩 이송부; 및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콩을 수집하여 적재 및 배출시키기 위한 콩 수집 및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콩 수집 및 배출부는, 콩이 수집되는 수집판과, 콩의 전방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전방 차단막과, 콩의 후방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 차단막과, 상기 수집판, 전방 차단막, 후방 차단막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는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하부는 상기 수집판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상부와 상기 전방 차단막 및 상기 후방 차단막은 서로에 대하여 각각의 연결링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에는 상방향으로 조작을 위한 레버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누름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적어도 외측 구동면에는 쐐기 형상의 콩 줄기 파지 돌기가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콩 줄기 파지 단위체가 소정의 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내측 구동면에는 구동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 접하는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 부위에 풀 감김 방지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풀 감김 방지 구조물은 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구동롤러의 원주면에 형성된 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풀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콩 수확기는,
    상기 하부구동롤러들간 또는 상기 상부구동롤러간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와 상기 하부구동롤러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협지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협지간격조절부재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거리조정부와 구동롤러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조정부에 형성된 장공 중의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부구동롤러와 하부구동롤러간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간격조정부에 형성된 장공 중의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거리조정부와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부구동롤러간 또는 하부구동롤러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동롤러와 상기 하부구동롤러 사이의 프레임에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구동롤러 또는 상기 하부구동롤러와 상기 고정판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상부구동롤러 또는 상기 하부구동롤러와 상기 고정판 사이의 볼트 부위에 2개 이상의 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수확기.
  8. 삭제
KR1020120028168A 2012-03-20 2012-03-20 콩 수확기 KR101362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68A KR101362108B1 (ko) 2012-03-20 2012-03-20 콩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68A KR101362108B1 (ko) 2012-03-20 2012-03-20 콩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48A KR20130106548A (ko) 2013-09-30
KR101362108B1 true KR101362108B1 (ko) 2014-02-13

Family

ID=4945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68A KR101362108B1 (ko) 2012-03-20 2012-03-20 콩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9365A (zh) * 2017-03-20 2019-04-26 株式会社Lg化学 用于防止袋型二次电池卷曲的平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77B1 (ko) 2014-07-15 2017-02-20 (주)한서정공 2조식 콩 수확기
CN108770480A (zh) * 2018-05-05 2018-11-09 东莞市皓奇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智能割麻机器人的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501A (ja) * 1999-05-27 2000-12-05 Iseki & Co Ltd ロ−タリ耕耘機の巻付き防止装置
JP2001251927A (ja) * 2000-03-14 2001-09-18 Suzutec Co Ltd にら等の葉菜収穫装置
JP2003116320A (ja) * 2001-10-09 2003-04-22 Kubota Corp 豆類収穫機
KR101030783B1 (ko) * 2011-01-25 2011-04-28 서종태 부추 수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501A (ja) * 1999-05-27 2000-12-05 Iseki & Co Ltd ロ−タリ耕耘機の巻付き防止装置
JP2001251927A (ja) * 2000-03-14 2001-09-18 Suzutec Co Ltd にら等の葉菜収穫装置
JP2003116320A (ja) * 2001-10-09 2003-04-22 Kubota Corp 豆類収穫機
KR101030783B1 (ko) * 2011-01-25 2011-04-28 서종태 부추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9365A (zh) * 2017-03-20 2019-04-26 株式会社Lg化学 用于防止袋型二次电池卷曲的平整设备
CN109689365B (zh) * 2017-03-20 2021-04-09 株式会社Lg化学 用于防止袋型二次电池卷曲的平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48A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0470B1 (en) A seed gathering device for use by an agricultural harvester
EP2210469B1 (en) A seed gathering device for use by an agricultural harvester
US20170055448A1 (en) Stalked crop harvesting header structure
KR101362108B1 (ko) 콩 수확기
JP2008149785A5 (ko)
CN101312643B (zh) 选择性收割机
CN110574544A (zh) 一种葵花收获割台
CN217470767U (zh) 一种用于玉米大豆带状复合种植的双系统收获机
US202202404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textile hemp
KR101232269B1 (ko) 2조식 콩 수확기
CN107197652B (zh) 一种土豆收割播种机
BR102016003222A2 (pt) dispositivo de colheitadeira de espiga de milho e colheitadeira debulhadora
CN210868798U (zh) 一种葵花收获割台
JP2016036278A (ja) 鱗茎野菜収穫機
JP6476428B2 (ja) 自走式鱗茎野菜収穫機
CN110637606A (zh) 兼收鲜食玉米型收获机
RU2498553C2 (ru) Комбайн для уборки сорго
CN211982667U (zh) 一种自走式收获机
KR102010845B1 (ko) 작물 수확기
US20190200528A1 (en) Combine having conveyor chain slat assembly and method of harvesting crop thereof
JP4781250B2 (ja) 豆刈り装置の刈取り刃体
JP2009232739A (ja) 収穫機
JP3800579B2 (ja) 収穫機
KR102018574B1 (ko)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KR20130005044A (ko) 야채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