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808B1 -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808B1
KR101361808B1 KR1020120036684A KR20120036684A KR101361808B1 KR 101361808 B1 KR101361808 B1 KR 101361808B1 KR 1020120036684 A KR1020120036684 A KR 1020120036684A KR 20120036684 A KR20120036684 A KR 20120036684A KR 101361808 B1 KR101361808 B1 KR 10136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ed
drum
polishing drum
polishing
shot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381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신원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원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8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3Transfer or fee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4Apparatus using im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내부로 연마대상 제품이 이송되는 연마 드럼, 연마대상 제품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 및 연마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어 연마대상 제품의 전면(全面)에 연마제가 투사될 수 있도록 연마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스팅 작업 환경이 청결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작업시의 진동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블라스팅의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Cross Bar Tumbling Type Shot Blasting Device}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스팅 작업 환경이 청결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작업시의 진동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블라스팅의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투사실 내부에 다각 반원형 드럼을 설치하고, 유압모터를 사용하여 드럼을 좌우 대략 60˚로 스윙시키면서 피가공물을 블라스팅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유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고가의 부품을 수입에 의존해왔으며 유압 방식으로 인해 장치 주변이 쉽게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드럼의 좌우 60˚회전으로 인한 피가공물의 불안정한 낙하로 인해 블라스팅의 정밀도가 떨어지며, 유압에 의한 정회전, 역회전 및 제품을 뒤집기 위해 드럼을 강제 정지시 자체 진동과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956호(공개일자 2011년 1월 17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스팅 작업 환경이 청결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작업시의 진동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블라스팅의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내부로 연마대상 제품이 이송되는 연마 드럼(100); 상기 연마 드럼(100) 내부의 상기 연마대상 제품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200); 및 상기 연마 드럼(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전면(全面)에 상기 연마제가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마 드럼(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유입되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입구부에는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유출되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마대상 제품의 중앙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전도되도록 유도하는 전도 부재(1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스팅 작업 환경이 청결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작업시의 진동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블라스팅의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의 연마 드럼의 회전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의 연마 드럼의 내부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입구 드럼부(110), 중앙 드럼부(130), 출구 드럼부(150)으로 구성된 연마 드럼(100)을 구비하고 있다.
연마 드럼(100)의 입구부를 이루는 입구 드럼부(110)에는 연마대상 제품이 유입되며, 입구 드럼부(110)의 내부면에는 연마대상 제품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마대상 제품이 유입되는 연마 드럼(100)의 입구 드럼부(110)의 내주면에는 입구 드럼부(110)의 회전에 따라 연마대상 제품의 유입을 유도하는 스크류 형태의 날개가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마 드럼(100)의 중앙부를 이루는 중앙 드럼부(130)의 내부로 이송된 연마대상 제품에는 블라스트 캐비넷(250)의 개구부(133)를 통해 임펠러(200)가 투사하는 연마제가 분출된다.
아울러, 연마 드럼(100)의 출구부를 이루는 출구 드럼부(150)을 통해 연마대상 제품이 유출되며, 출구 드럼부(150)의 내부면에는 연마대상 제품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마대상 제품이 유출되는 연마 드럼(100)의 출구부의 내주면에는 출구 드럼부(150)의 회전에 따라 연마대상 제품의 유출을 유도하는 스크류 형태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의 연마 드럼의 회전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의 임펠러(200)가 설치된 블라스트 캐비넷(250) 내부의 연마 드럼(100)은 연마 드럼(100)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 수단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360도로 연속하여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라스트 캐비넷(250)의 내측에는 하나의 장축으로 연결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 기어(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 기어(33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연마 드럼(100)의 측면과 면접하는 벨트 형상의 환형 회전 체인(350)이 체결되어 있다.
환형 회전 체인(350)은 연마 드럼(100)의 입구 드럼부(110) 및 출구 드럼부(150)의 외부면과 톱니 방식으로 결합되며, 전기식 회전 모터에 의해 복수의 회전 기어(3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환형 회전 체인(350)과 톱니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마 드럼(100)은 회전 기어(3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360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마 드럼(100)이 도 2에서의 회전 수단에 의해 지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구부(133)를 통해 연마제는 내부의 연마대상 제품들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벨트형 환형 회전 체인(350)에서의 연마 드럼(100)의 중앙 드럼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은 도 2에서와 같이 전도 부재(13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도 부재(135)는 연마 드럼(100)의 중앙 드럼부(130)의 내부면으로부터 연마 드럼(100)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바(Cross Bar)로서, 중앙 드럼부(130)의 내부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싸이크로 감속기 및 인버터를 사용하여 연마 드럼(100)의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압 구동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식 구동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설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작업시의 진동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의 연마 드럼의 내부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연마 드럼(100)의 입구 드럼부(110)의 내부면에는 스크류 형태로 돌출 형성된 유도 부재(155)인 유도 날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마 드럼(100)의 출구 드럼부(150)의 내부면에도 스크류 형태로 돌출 형성된 유도 부재(155)인 유도 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연마 드럼(100)이 설치된 블라스트 캐비넷(250) 상부에는 임펠러(200)가 연마 드럼(100) 내부의 연마대상 제품에 연마제를 분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연마 드럼(100)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인 연마 드럼(100)의 축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전도 부재(135)가 연마 드럼(100)의 중앙 드럼부(130)의 내부면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 부재(135)는 도 2에서의 환형 회전 체인(350)의 외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연마 드럼(100)의 내부면으로부터 연마 드럼(100)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Cross Bar)의 형태를 구비하며, 이와 같이 연마 드럼(10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전도 부재(135)에 의하면,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내부의 연마대상 제품의 연마 드럼(100)의 내부면에 닿아 있는 하부가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바인 전도 부재(135)에 걸림으로써 연마대상 제품이 뒤집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마대상 제품은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연마 드럼(100) 내부에서 전도 부재(135)에 의해 뒤집어짐(Tumbling)을 반복함으로써, 각각의 연마대상 제품은 전 표면에서의 균등한 연마가 가능하게 되어 블라스팅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마 드럼(100)의 내부에 연마대상 제품을 뒤집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도 부재(135)를 도 3에서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연마 드럼(1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인 스윙 회전 방식이 아닌 360도 연속 회전 방식으로도 연마대상 제품을 효과적으로 블라스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연마 드럼, 110: 입구 드럼부,
130: 중앙 드럼부, 133: 개구부,
135: 전도 부재, 150: 출구 드럼부,
155: 유도 부재, 200: 임펠러,
250: 블라스트 캐비넷, 330: 회전 기어,
350: 환형 회전 체인.

Claims (4)

  1. 내부로 연마대상 제품이 이송되는 연마 드럼(100);
    상기 연마 드럼(100) 내부의 상기 연마대상 제품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200); 및
    상기 연마 드럼(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전면(全面)에 상기 연마제가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마 드럼(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마 드럼(100)의 중앙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상기 연마 드럼(100)의 내부면과 닿아 있는 하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전도되도록 유도하되, 상기 연마 드럼(100)의 중앙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연마 드럼(100)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인 상기 연마 드럼(100)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바(Cross Bar)로서, 중앙 드럼부(130)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전도 부재(135)가 구비된 것인 쇼트 블라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유입되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입구부에는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구비된 것인 쇼트 블라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대상 제품이 유출되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마 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마대상 제품의 유출을 유도하는 유도 부재(155)가 구비된 것인 쇼트 블라스팅 장치.
  4. 삭제
KR1020120036684A 2012-04-09 2012-04-09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136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84A KR101361808B1 (ko) 2012-04-09 2012-04-09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84A KR101361808B1 (ko) 2012-04-09 2012-04-09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81A KR20130114381A (ko) 2013-10-17
KR101361808B1 true KR101361808B1 (ko) 2014-02-12

Family

ID=4963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84A KR101361808B1 (ko) 2012-04-09 2012-04-09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8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778A (ko) * 1997-10-15 1998-03-30 이규범 다각 드럼식 쇼트블라스팅장치
KR19980014349A (ko) * 1996-08-10 1998-05-25 이규범 연속식 쇼트 블라스팅 기계
KR20110004956A (ko) * 2009-07-09 2011-01-17 중앙산업 (주)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2011079120A (ja) * 2009-09-08 2011-04-21 Sintokogio Ltd 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49A (ko) * 1996-08-10 1998-05-25 이규범 연속식 쇼트 블라스팅 기계
KR980000778A (ko) * 1997-10-15 1998-03-30 이규범 다각 드럼식 쇼트블라스팅장치
KR20110004956A (ko) * 2009-07-09 2011-01-17 중앙산업 (주)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2011079120A (ja) * 2009-09-08 2011-04-21 Sintokogio Ltd 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81A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2434B1 (en) Apparatus for stress shot peening of coil spring
US9248546B1 (en) Idler assembly for part processing
CN202668369U (zh) 毛边处理机转盘送料装置
KR101361808B1 (ko) 크로스바 텀블링 타입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1096062B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2009166166A (ja) バレル研磨装置およびバレル研磨方法
WO2017212721A1 (ja) 穴内面処理装置及び穴内面処理方法
CN102615583A (zh) 研磨装置
KR100815871B1 (ko) 연속식 쇼트 블라스트 장치
TW201611954A (en) Shot blasting apparatus
KR102177732B1 (ko) 수평 드럼형 쇼트블래스터
JP2014108494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CN114453997A (zh) 一种全自动粗精抛光的抛光机
JP2005046923A (ja) 球体加工方法及び球体加工装置
KR940002006A (ko) 휠 연마세정용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06272017A (zh) 适用于钢管加工的抛光机及其操作方法
JP7402254B2 (ja) ブラストホイールマシンのためのインペラ
TWI755660B (zh) 軸狀工件的表面處理裝置
TWI438061B (zh) 研磨裝置
KR200438268Y1 (ko) 이물질 침투방지 및 배출이 가능한 고속 스핀들 마감구조
JP7298521B2 (ja) バリ取り装置
KR101640422B1 (ko) 화강암 표면 가공장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화강암
CN211217860U (zh) 一种抛丸机钢球清洁装置
JP2013031891A (ja) 連続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RU2110393C1 (ru) Способ дробеметной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