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37B1 -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37B1
KR101361537B1 KR1020110124409A KR20110124409A KR101361537B1 KR 101361537 B1 KR101361537 B1 KR 101361537B1 KR 1020110124409 A KR1020110124409 A KR 1020110124409A KR 20110124409 A KR20110124409 A KR 20110124409A KR 101361537 B1 KR101361537 B1 KR 10136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object
infrared
camer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414A (ko
Inventor
박찬화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르기술
Priority to KR102011012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4Projection of a pattern, viewing through a pattern, e.g. moiré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6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solids; Preparation of sampl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01N2021/8893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providing a video image and a processed signal for helping visual deci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01N2021/95638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for PC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측부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에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상기 제 1, 2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조명부와 적외선패턴조사부 및 상기 제 1, 2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에서 검사대상물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검사하여 2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및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부분 등의 높이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VISION INSPECTION APPARATUS WITH INFRARED RAY PATTERN PROJECTOR}
본 발명은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광선 영역의 조명과 카메라를 이용하는 종래의 비전검사장치에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적외선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검사하여 2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및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부분 등의 높이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등에 표면실장부품을 조립하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은 표면실장부품(SMD; Surface Mounting Device)을 소형화/집적화하는 기술과, 이러한 표면실장부품을 정밀하게 조립하기 위한 정밀조립장비의 개발 및 각종 조립장비를 운용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표면실장라인은 표면실장기와 비전검사장치와 같은 장비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실장기는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장비로서 Tape, Stick, Tray 형태로 공급되는 각종 표면실장부품을 부품공급기(Feeder)로부터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 상의 실장위치에 올려놓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전검사장치는 표면실장부품의 납땜공정 완료전 또는 완료 후, 표면실장부품의 실장상태를 검사하며 검사결과에 따라 다음공정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비전검사장치는 램프 등을 이용하여 광이 조사되는 조명부(110)와, 상기 조명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대상물에 실장된 각종 부품의 영상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20)와 상기 조명부(11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검사대상물에 비추면서도 검사대상물의 형상을 상기 카메라부에 전달하기 위한 하프 미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110)는 각종의 램프를 복수 개 배열하여 하우징(140) 내에 배치되며, 검사 대상물에 조명을 조사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전검사장치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등의 2차원적인 양호 또는 불량의 여부만을 검사할 수 있었으며,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 부분의 높이 등과 같은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의 여부는 검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 영역의 조명과 카메라를 이용하는 종래의 비전검사장치에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적외선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검사하여 2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및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부분 등의 높이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측부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에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상기 제 1, 2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조명부와 적외선패턴조사부 및 상기 제 1, 2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에서 검사대상물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 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서로 다른 간격의 주기를 가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인접한 발광부의 발광색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색은 흰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에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조명부와 적외선패턴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가시영역이미지센서와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에서 검사대상물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와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 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서로 다른 간격의 주기를 가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인접한 발광부의 발광색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색은 흰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검사하여 2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및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부분 등의 높이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비전검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100)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100)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100)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10)와; 상기 스테이지부(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0)와;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부(30)와; 상기 제 1 카메라부(30)의 하측부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부(40)와; 상기 제 1 카메라부(30)와 제 2 카메라부(40)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50)와; 상기 제 1 카메라부(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적외선패턴(62)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60)와; 상기 제 1, 2 카메라부(30, 40)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미도시)와; 상기 스테이지부(10)와 상기 조명부(20)와 적외선패턴조사부(60) 및 상기 제 1, 2 카메라부(30, 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30)는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40)는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60)에서 검사대상물(100)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표면실장라인에서 표면실장작업을 마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실장부품을 검사할 경우, 선행장비의 컨베이어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비전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선, 후행 장비의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선, 후행장비와 연계시키지 않고 단독 테이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부(10)는 검사될 검사대상물(100)이 착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미도시) 및 고정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부(10)의 상부에는 조명부(20)가 상기 제 1 카메라부(3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조명부(20)는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정확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검사대상물(100)에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22)는 램프 또는 엘이디 전구로 마련되어 상기 검사대상물(100)을 사방에서 조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는 서로 인접한 발광부(22)의 발광색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색은 흰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조명부(20)는, 상이한 각도에서 상이한 색상으로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조명을 제공함에 따라 검사대상물(100)의 미리 설정된 각 부분에 상이한 색상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카메라부에서 검사대상물(100)의 영상획득에 의한 양호 또는 불량을 용이하게 판단하게 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카메라부(30)는 검사대상물(100)을 평면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바람직하게는,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부(30)에 의해 검사대상물(100)의 2차원적 검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60)에 의해 조사된 적외선패턴(62)이 변형된 정도를 상기 제 2 카메라부(40)에서 촬영하여 검사대상물(10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카메라부(30)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 2 카메라부(40)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카메라부(40)는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60)에 의해 검사대상물(100)에 조사된 적외선패턴(62)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60)는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미리 설정된 적외선패턴(62)을 조사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카메라부(3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카메라부(30)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60)는 미리 설정된 제어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 무늬의 적외선패턴(62)을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간격의 주기를 가지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격자무늬의 적외선패턴(62)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적외선패턴(62)이 검사대상물(100) 상에 조사되도록 하고, 적외선패턴(62) 변형된 정도를 상기 제 2 카메라부(40)를 통해 촬영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부품의 높이에 대한 양호 또는 불량을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평면적 영상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부(30)와 상기 검사대상물(100)에 조사된 적외선패턴(62)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부(40) 사이에는 하프미러(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50)는,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카메라부(30)와 제 2 카메라부(40)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켜 이를 상기 제 1 카메라부(30)에 전달하며,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켜 이를 상기 제 2 카메라부(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프미러(50)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전처리부는 상기 제 1, 2 카메라부(30, 40)로부터 획득된 검사대상물(100)의 영상정보를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등의 수학적인 처리를 통해 계산하여, 미리 입력된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상물(100)의 양호 불량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부(10), 조명부(20), 제 1, 2 카메라부(30, 40) 및 적외선패턴조사부(60)의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촬영위치제어와 촬영된 영상의 처리와 조명부 제어 등의 물리적인 제어를 담당함은 물론 검사작업수행 및 데이터 연산 작업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작업내용 및 검사결과를 모니터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제어와 작업자가 제반사항을 설정 및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제어 등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105)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105)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105)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15)와; 상기 스테이지부(1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105)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6)와; 상기 검사대상물(105)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카메라부(35)와; 상기 카메라부(35)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105)에 적외선패턴(42)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45)와; 상기 카메라부(35)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105)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미도시)와; 상기 스테이지부(15)와 상기 조명부(26)와 적외선패턴조사부(45) 및 상기 카메라부(35)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35)는 상기 검사대상물(105)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와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45)에서 검사대상물(105)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는 상기 검사대상물(105)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35)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와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3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38)는, 도 3 에서와 같이, 카메라부(35) 내부에서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와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켜 이를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에 전달하며,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켜 이를 상기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프미러(38)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26)는 상기 검사대상물(105)의 정확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검사대상물(105)에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검사대상물(105)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2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25)는 램프 또는 엘이디 전구로 마련되어 상기 검사대상물(105)을 사방에서 조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검사대상물(105)의 영상획득을 위한 카메라부(35)가 가시영역이미지센서(36)와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37)와 하프미러(3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카메라로 마련되는 점을 제외하면, 스테이지부, 적외선패턴조사부, 비전처리부, 제어부 등의 구성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는,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검사하여 2차원적인 검사대상물의 위치, 실장상태 및 3차원적인 검사대상물 또는 검사대상물의 납땜부분 등의 높이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지부 20 : 조명부
30 : 제 1 카메라부 40 : 제 2 카메라부
50 : 하프미러 60 : 적외선패턴조사부

Claims (17)

  1.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측부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와;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에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상기 제 1, 2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조명부와 적외선패턴조사부 및 상기 제 1, 2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에서 검사대상물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하프미러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서로 다른 간격의 주기를 가지는 가로 또는 세로 격자 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인접한 발광부의 발광색이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색은 흰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5. 부품 조립과정에서 조립 또는 실장된 검사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로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위치에 고정 또는 이송시키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사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에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패턴조사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양호 또는 불량을 판별하는 비전처리부와;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조명부와 적외선패턴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가시영역이미지센서와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에서 검사대상물로 조사된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는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부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가시영역이미지센서와 적외선영역이미지센서의 사이에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프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미러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영상은 반사시키는 2파장 하프미러로 마련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조사부는 서로 다른 간격의 주기를 가지는 가로 또는 세로 격자무늬의 적외선패턴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에 서로 상이한 각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인접한 발광부의 발광색이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색은 흰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124409A 2011-11-25 2011-11-25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KR10136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09A KR101361537B1 (ko) 2011-11-25 2011-11-25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09A KR101361537B1 (ko) 2011-11-25 2011-11-25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14A KR20130058414A (ko) 2013-06-04
KR101361537B1 true KR101361537B1 (ko) 2014-02-13

Family

ID=488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09A KR101361537B1 (ko) 2011-11-25 2011-11-25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7574A (zh) * 2014-07-22 2016-01-27 牧德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重复曝光的多曝光影像混合的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662B1 (ko) * 2017-12-06 2020-05-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led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TWI744610B (zh) * 2018-03-01 2021-11-0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場景重建系統、方法以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CN114460093B (zh) * 2022-01-29 2024-05-28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航空发动机缺陷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194A (ja) * 2000-03-28 2001-10-12 Sony Corp 回路基板の外観検査方法及び回路基板の外観検査装置
JP2005337943A (ja) * 2004-05-28 2005-12-08 Ckd Corp 三次元計測装置
KR20100039958A (ko) * 2008-10-09 2010-04-19 (주) 인텍플러스 가림막을 구비한 비전검사 장치
KR101056393B1 (ko) * 2009-05-25 2011-08-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cb 결함검사를 위한 마이크로 비젼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194A (ja) * 2000-03-28 2001-10-12 Sony Corp 回路基板の外観検査方法及び回路基板の外観検査装置
JP2005337943A (ja) * 2004-05-28 2005-12-08 Ckd Corp 三次元計測装置
KR20100039958A (ko) * 2008-10-09 2010-04-19 (주) 인텍플러스 가림막을 구비한 비전검사 장치
KR101056393B1 (ko) * 2009-05-25 2011-08-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cb 결함검사를 위한 마이크로 비젼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7574A (zh) * 2014-07-22 2016-01-27 牧德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重复曝光的多曝光影像混合的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14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48B1 (ko) 영상 선명도가 개선된 비전검사장치
KR101295760B1 (ko) 다중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101175595B1 (ko) 비접촉식 부품검사장치 및 부품검사방법
KR101241175B1 (ko) 실장기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000047B1 (ko) 비전 검사 시스템
KR101245622B1 (ko) 스테레오 비전과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101361537B1 (ko) 적외선패턴조사부를 구비하는 비전검사장치
KR101363520B1 (ko) 광조사 각도 조절가능한 조명부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CN107110789B (zh) 贴装有部件的基板检查方法及检查装置
KR100956547B1 (ko) 3차원형상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268549B1 (ko) 편광판과 다중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101245623B1 (ko) 가시광선의 격자무늬와 자외선 또는 적외선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101245621B1 (ko) 서로 다른 색깔의 다중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20100129846A (ko) 비전검사장치
KR101405427B1 (ko) 단일주기격자를 이용한 멀티 모아레 비전검사장치
KR101314592B1 (ko) 검사속도가 개선된 비전검사장치
KR101442666B1 (ko) 복수 행의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JP6461692B2 (ja) 基板検査装置
KR101123051B1 (ko) 비전검사장치
KR20130127758A (ko) 영상 선명도가 개선된 비전검사장치
JP6067407B2 (ja) 検査装置
JPH0625713U (ja) 半田付部検査装置
KR101390368B1 (ko) 광량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KR20110133125A (ko) 비전 검사장치
JP2021076569A (ja) 外観イメージキャプチャ装置及びそれを含む外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