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28B1 -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 Google Patents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28B1
KR101361528B1 KR1020120038206A KR20120038206A KR101361528B1 KR 101361528 B1 KR101361528 B1 KR 101361528B1 KR 1020120038206 A KR1020120038206 A KR 1020120038206A KR 20120038206 A KR20120038206 A KR 20120038206A KR 101361528 B1 KR101361528 B1 KR 10136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ydraulic
flow
pressure source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096A (ko
Inventor
김희준
양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3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28B1/ko
Priority to CN2013101273482A priority patent/CN103373335A/zh
Priority to DE102013006706A priority patent/DE102013006706A1/de
Priority to US13/862,085 priority patent/US20130270894A1/en
Publication of KR2013011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nnecting the brake actuator to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source of fluid pressure, e.g.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4809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 B60T8/4827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60T8/4863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 B60T8/4872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pump-back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은 각각 두 개의 차륜으로 전달되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유압채널을 갖춘 ESC(차량자세제어 시스템)와 연결되고, 제동 초기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오일이 저장되는 압력원 및 상기 압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원으로부터 각 차륜에 설치된 휠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갖춘 유압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Pre-fill module for reducing brake response delay}
본 발명은 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른 제동 응답성의 지연을 감소시켜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유압 브레이크가 마련된다. 이때, 유압 브레이크의 한 종류인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hydraulic brake system)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리저버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마스터실린더에서 가압하여 제동유압을 발생시키고, 이 제동유압을 각 바퀴의 설치된 휠브레이크에 전달함으로써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최근 이러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각 차륜에 설치된 휠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여 각 차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ESC(차량자세제어 시스템 : 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동유압이 전달됨에 따라 차륜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측을 가압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휠브레이크에 제동 압력을 발생시키기 않더라도 디스크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편마모 등에 의해 주행 중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어 잔류 마찰력을 발생시켜 가속 및 주행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휠브레이크에는 공지된 오토-어져스터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디스크와 패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오토-어져스터 메커니즘이 마련됨에 따라 잔류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제동시 응답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른 디스크와의 간격이 멀어지더라도 제동 응답 지연을 감소시켜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은, 각각 두 개의 차륜으로 전달되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유압채널을 갖춘 ESC(차량자세제어 시스템)와 연결되고, 제동 초기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오일이 저장되는 압력원 및 상기 압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원으로부터 각 차륜에 설치된 휠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갖춘 유압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제1 유압채널과 연결되는 제1 유압회로; 및 상기 제2 유압채널과 연결되는 제2 유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회로는 각각 하나의 제1 압력원과 제1 유량제어밸브 및 제2 압력원과 제2 유량제어밸브를 갖추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SC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의 제1포트와 연결되어 휠브레이크로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1 유압채널 및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제2포트와 연결되어 휠브레이크로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2 유압채널을 갖추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채널은 각각 휠브레이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마련되어 제동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NO형 솔레노이드밸브 및 NC형 솔레노이드밸브와, 휠브레이크로부터 빠져나오는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어큐뮬레이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휠브레이크측에서 빠져나온 오일 또는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와, 마스터실린더와 펌프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 상에 마련된 TC밸브와,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마스터실린더의 오일이 펌프의 입구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보조유로 상에 마련되는 셔틀밸브,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회로의 각 압력원에 저장되는 오일은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오일 또는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할 경우, 상기 제1 유압회로는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제1 압력원에 저장하도록 연결된 제1 오일흡입유로 및 상기 제1 압력원에 저장된 오일을 제1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휠브레이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된 제1 연결유로를 갖추고, 상기 제2 유압회로는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제2 압력원에 저장하도록 연결된 제2 오일흡입유로 및 상기 제2 압력원에 저장된 오일을 제2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휠브레이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된 제2 연결유로를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오일흡입유로 상에는 각각 릴리프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휠브레이크에 구비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할 경우, 상기 제1 유압회로는 상기 제1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압력원과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를 갖추고, 상기 제2 유압회로는 상기 제2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제2 압력원과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를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제1 및 제2 압력원에 오일을 저장할 경우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거나,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휠브레이크에 구비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양방향의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은 오일을 저장해두었다가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 경우 제동시 저장된 오일을 휠블레이크에 공급함으로써 제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운전자의 제동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동거리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이 구비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 이 구비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이 구비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제동시 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 Anti-Lock Brake System)과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휠의 슬립을 방지하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TCS : Traction Control System)을 조합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ESC :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이하 ESC라 함)을 일례로 예시하였다.
ESC(40)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을 배가시키는 브레이크 부스터(11)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되어 각 차륜(FL, FR, RL, RR)에 설치된 휠브레이크(30)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ESC(40)는 마스터실린더(20)의 제1 포트(21)와 두 개의 휠브레이크(30)를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1 유압채널(40A)과, 마스터실린더(20)의 제2 포트(22)와 나머지 두 개의 휠브레이크(30)를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2 유압채널(40B)을 구비한다. 이때, 제1 유압채널(40A)과 제 2 유압채널(40B)은 유압 블록(미도시)에 콤팩트하게 설치된다.
제1 유압채널(40A) 및 제2 유압채널(40B)은 각각 두 개씩의 휠브레이크(30)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41, 42)들과,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휠브레이크(30)측에서 빠져나온 오일 또는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44)와, 휠브레이크(30)에서 빠져나오는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어큐뮬레이터(43)와, 펌프(44)의 토출구와 마스터실린더(20)를 연결하는 메인유로(47a)와, 마스터실린더(20)의 오일이 펌프(44)의 입구으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보조유로(48a),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와 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는 휠브레이크(30)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연계되는데, 이것은 각 휠브레이크(30)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오픈형(NO형) 솔레노이드밸브(41)와, 각 휠브레이크(30)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클로즈형(NC형) 솔레노이드밸브(42)로 구별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41, 42)의 개폐작동은 각 차륜(FL, FR, RL, RR)의 휠 측에 배치된 휠 속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차량속도를 감지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감압 제동에 따라 NC형 솔레노이드밸브(42)가 개방되어 휠브레이크(30)측에서 빠져나온 오일은 저압어큐뮬레이터(4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펌프(44)는 모터(45)에 의해 구동되어 저압어큐뮬레이터(43)에 저장된 오일을 흡입하여 토출함으로써 액압을 휠브레이크(30)측 또는 마스터실린더(2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마스터실린더(20)와 펌프(44)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47a)에는 평시 개방형 TC밸브(47)가 설치된다. 이 TC밸브(47)는 평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브레이크 페달(10)을 통한 일반 제동시 마스터실린더(20)에서 형성된 제동 액압이 메인유로(47a)를 통해 휠 실린더(3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유로(48a)는 메인유로(47a)에서 분기되어 마스터실린더(20)의 오일을 펌프(44)의 입구 측으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오일이 펌프(44) 입구로만 흐르도록 하는 셔틀밸브(48)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셔틀밸브(48)는 보조유로(48a)의 중도에 설치되어 평상시 폐쇄되고 TCS 모드시 개방되게 작동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49'는 오일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한 유로의 위치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이고, 참조부호 '50'은 TC밸브(47)와 셔틀밸브(48)로 전달되는 제동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이다.
이와 같은 ESC(40)에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이 연결된다. 상기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은 휠브레이크(30)로 전달되는 오일의 유량을 증대시켜 제동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브레이크(30)의 브레이크 패드(미도시)가 마모되어 디스크(미도시)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될 경우 제동 응답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은 제동 초기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오일이 저장되는 압력원(111, 121) 및 압력원(111, 121)과 연결되어 압력원(111, 121)으로부터 각 차륜(FL, FR, RL, RR)에 설치된 휠브레이크(30)로 전달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12, 122)를 갖춘 유압회로(110, 1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압회로(110, 120)는 제1 유압채널(40A)과 연결되는 제1 유압회로(110) 및 제2 유압채널(40B)과 연결되는 제2 유압회로(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압회로(110, 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유압회로(110, 120)는 각각 하나의 제1 압력원(111)과 제1 유량제어밸브(112) 및 제2 압력원(121)과 제2 유량제어밸브(122)를 갖는다. 이때, 제2 유압회로(120)의 구성은 제1 유압회로(1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유압회로(11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2 유압회로(120)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유압회로(110, 120)는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압회로(110)의 제1 압력원(111)은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유량제어밸브(112)는 평상시에서는 닫혀있다가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된다. 예컨대,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휠브레이크(30)에 마련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출력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압회로(110)의 제1 압력원(111)은 제1 오일흡입유로(113)에 의해 마스터실린더(20) 및 TC밸브(47)를 연결하는 유로와 연결되어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의 일부를 저장한다. 또한, 제1 압력원(111)의 토출구 측에는 제1 연결유로(114)에 의해 제1 유압채널(40A)의 메인유로(47a)와 연결되어 제1 입력원(111)에 저장된 오일을 토출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유로(114) 상에는 제1 유량제어밸브(112)가 마련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량제어밸브(112)는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휠브레이크(30)에 구비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함으로써, 메인유로(47a)를 통해 휠브레이크(30)로 전달되는 오일의 유량을 증가시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더라도 제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오일흡입유로(113) 상에는 제1 릴리프 밸브(1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릴리프 밸브(115)는 제1 오일흡입유로(113)를 통해 제1 압력원(111)에 공급된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며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압력원(121)과 제2 유량제어밸브(122)를 갖는 제2 유압회로(120)는 전술된 제1 유압회로(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제2 유압회로(120)는 제2 유압채널(40B)과 연결되어 제2 유압채널(40B)에 의해 제어되는 두 개의 차륜(FL, RR)으로 제2 압력원(121)에 저장된 오일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력원(121)은 제2 오일흡입유로(123)에 의해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의 일부를 저장하고, 제2 유량제어밸브(122)의 동작에 의하여 제2 연결유로(124)를 통해 메인유로(47a)로 오일을 토출시켜 오일의 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제2 오일흡입유로(123) 상에는 제2 릴리프 밸브(125)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유압회로(110, 120)를 갖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은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오일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저장하여 오일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구비된 초기 유량 증대 모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200)은 각각 하나의 압력원(211, 221)과 유량제어밸브(212, 222)를 갖는 제1 및 제2 유압회로(210, 220)를 갖추고, 각 압력원(211, 221)은 제1 연결유로(214)와 제2 연결유로(224)에 의해 각각 제1 유압채널(40A) 및 제2 유압채널(40B)과 연결된다. 이때, 제2 유압회로(220)의 구성은 제1 유압회로(2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유압회로(21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2 유압회로(220)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유압회로(210)는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제1 압력원(211)에 저장하도록 제1 연결유로(214)를 통해 메인유로(47a)와 제1 압력원(211)을 연결한다. 이때, 제1 연결유로(214) 상에는 제1 유량제어밸브(2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유량제어밸브(212)는 평상시 닫혀있다가 제1 압력원(211)에 오일을 저장할 경우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거나,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된다. 즉, 제1 유량제어밸브(212)는 양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제2 압력원(221)과 제2 유량제어밸브(222)를 갖는 제2 유압회로(220)는 전술된 제1 유압회로(2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제2 연결유로(224)에 의하여 제2 유압채널(40B)의 메인유로(47a)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 20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및 제2 오일흡입유로(113, 123)를 통해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거나 제1 및 제2 연결유로(114, 124)를 통해 펌프(44)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하여 유량을 증대시키는 동작 상태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제동이 정상적으로 작동시 마스터실린더로(20)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1 및 제2 압력원(111, 121)에 저장시켜두게 된다. 이때, 각 압력원(111, 12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112, 122)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브레이크 패드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에 의하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면, 이를 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하여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112, 122)를 개방시켜 제1 및 제2 압력원(111, 121)에 저장된 오일을 휠브레이크(30)로 전달한다. 따라서, 휠브레이크(30)로 전달되는 오일의 유량이 증가하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증가된 간격에 따른 제동 응답 지연을 보상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100)의 각 유압회로(110, 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 초기 유량 증대 모듈
110, 210 : 제1 유압회로
111, 211 : 제1 압력원
112, 212 : 제1 유량제어밸브
120, 220 : 제2 유압회로
121, 221 : 제2 압력원
122, 222 : 제2 유량제어밸브

Claims (8)

  1. 각각 두 개의 차륜으로 전달되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유압채널을 갖춘 ESC(차량자세제어 시스템)와 연결되고,
    제동 초기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오일이 저장되는 압력원 및 상기 압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원으로부터 각 차륜에 설치된 휠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갖춘 유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제1 유압채널과 연결되는 제1 유압회로; 및
    상기 제2 유압채널과 연결되는 제2 유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회로는 각각 하나의 제1 압력원과 제1 유량제어밸브 및 제2 압력원과 제2 유량제어밸브를 갖추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SC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의 제1포트와 연결되어 휠브레이크로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1 유압채널 및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제2포트와 연결되어 휠브레이크로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2 유압채널을 갖추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채널은 각각 휠브레이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마련되어 제동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NO형 솔레노이드밸브 및 NC형 솔레노이드밸브와, 휠브레이크로부터 빠져나오는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어큐뮬레이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휠브레이크측에서 빠져나온 오일 또는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와, 마스터실린더와 펌프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 상에 마련된 TC밸브와,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마스터실린더의 오일이 펌프의 입구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보조유로 상에 마련되는 셔틀밸브,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회로의 각 압력원에 저장되는 오일은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오일 또는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할 경우,
    상기 제1 유압회로는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제1 압력원에 저장하도록 연결된 제1 오일흡입유로 및 상기 제1 압력원에 저장된 오일을 제1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휠브레이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된 제1 연결유로를 갖추고,
    상기 제2 유압회로는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제2 압력원에 저장하도록 연결된 제2 오일흡입유로 및 상기 제2 압력원에 저장된 오일을 제2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휠브레이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된 제2 연결유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오일흡입유로 상에는 각각 릴리프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휠브레이크에 구비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저장할 경우,
    상기 제1 유압회로는 상기 제1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압력원과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를 갖추고,
    상기 제2 유압회로는 상기 제2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제2 압력원과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량제어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제1 및 제2 압력원에 오일을 저장할 경우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거나,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다가 상기 휠브레이크에 구비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경우 제동작용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양방향의 노말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유량 증대 모듈.
KR1020120038206A 2012-04-13 2012-04-13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KR10136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06A KR101361528B1 (ko) 2012-04-13 2012-04-13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CN2013101273482A CN103373335A (zh) 2012-04-13 2013-04-12 用于减小制动响应的延迟的初始流量增大模块
DE102013006706A DE102013006706A1 (de) 2012-04-13 2013-04-12 Anfangsströmungs-Vergrößerungsmodul zum Verkürzen der Verzögerung der Bremsreaktion
US13/862,085 US20130270894A1 (en) 2012-04-13 2013-04-12 Initial flow increasing module for reducing delay of brake respon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06A KR101361528B1 (ko) 2012-04-13 2012-04-13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96A KR20130116096A (ko) 2013-10-23
KR101361528B1 true KR101361528B1 (ko) 2014-02-13

Family

ID=4923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06A KR101361528B1 (ko) 2012-04-13 2012-04-13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70894A1 (ko)
KR (1) KR101361528B1 (ko)
CN (1) CN103373335A (ko)
DE (1) DE102013006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0129A (ja) * 2014-07-14 2016-02-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4290737A (zh) * 2014-10-19 2015-01-21 吉林大学 带有制动间隙自动消除功能的制动主缸
KR102054447B1 (ko) * 2019-01-25 2019-12-10 이병재 Abs용 유압조정유닛의 검사·수리장치 및 검사·수리방법
KR102663045B1 (ko) * 2019-08-20 2024-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sc 통합형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337A (ja) * 1993-08-26 1995-03-07 Aisin Seiki Co Ltd 車輪ブレーキのリトラクト機構付きブレーキ装置
JPH10329674A (ja) * 1997-05-29 1998-12-15 Toyota Motor Corp 液圧ブレーキ装置
JP2002302031A (ja) * 2001-01-31 2002-10-15 Denso Corp 車両用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8756A1 (de) * 1990-10-05 1992-09-24 Teves Gmbh Alfred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schlupfabhaengiger regelung des bremsdruckes
KR100482959B1 (ko) * 2002-02-05 2005-04-1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06161899A (ja) * 2004-12-03 2006-06-22 Honda Motor Co Ltd 制動装置
JP2009173082A (ja) * 2008-01-22 2009-08-06 Hitachi Ltd ブレーキ装置
JP2010241389A (ja) * 2009-04-10 2010-10-28 Toyota Motor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GB2478348B (en) * 2010-03-05 2016-09-14 Gm Global Tech Operation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and brake system with reduced energy losses as well as computer program product, software and signal sequence for carrying
KR101187196B1 (ko) * 2010-07-28 2012-10-0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337A (ja) * 1993-08-26 1995-03-07 Aisin Seiki Co Ltd 車輪ブレーキのリトラクト機構付きブレーキ装置
JPH10329674A (ja) * 1997-05-29 1998-12-15 Toyota Motor Corp 液圧ブレーキ装置
JP2002302031A (ja) * 2001-01-31 2002-10-15 Denso Corp 車両用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0894A1 (en) 2013-10-17
KR20130116096A (ko) 2013-10-23
CN103373335A (zh) 2013-10-30
DE102013006706A1 (de)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461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KR101901043B1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액압 발생 방법
US8205949B2 (en) Anti-lock hydraulic braking system, in particular for motorized two-wheel vehicles
KR101187196B1 (ko) 브레이크 시스템
KR20160052686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361528B1 (ko) 제동 응답지연 감소를 위한 초기 유량 증대 모듈
US20170240154A1 (en) Braking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JP2003226232A (ja) 車両用電子制御式ブレーキシステム
KR10141520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50849B1 (ko) 모듈레이터 블록 및 이를 채용한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5084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 완충장치
KR101947063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CN113056397B (zh) 车辆用制动装置
KR101350842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US6132013A (en) Anti-lock and traction control braking system using non-driven wheel brake de-isolation
KR20140104260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6502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20100138186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07238084A (ja) オートバイブレーキ装置
KR101351344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5294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WO2020027068A1 (ja) 制動制御装置
KR10033165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37078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WO2018109577A1 (ja) 車両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液圧制御ユニット、及び、車両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