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677B1 -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677B1
KR101360677B1 KR1020110142256A KR20110142256A KR101360677B1 KR 101360677 B1 KR101360677 B1 KR 101360677B1 KR 1020110142256 A KR1020110142256 A KR 1020110142256A KR 20110142256 A KR20110142256 A KR 20110142256A KR 101360677 B1 KR101360677 B1 KR 10136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teel sheet
cooling
cooling fluid
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269A (ko
Inventor
김정국
장태인
지창운
권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6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강판(도금강판)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강판 냉각장치는, 진행 강판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냉각유체 분사개구를 포함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다른 구조의 노즐들이 구비되어 냉각유체를 강판에 분사토록 구성된 복합형 노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 특히, 도금강판의 성분이나 두께 등의 조건 변화에 대응하여 복합적인 냉각유체 분사형태를 구현 가능하게 하여, 냉각 능력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면서, 강판의 진동발생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강판의 폭 방향으로 균일냉각을 하여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Strip having Multi Nozzle}
본 발명은 강판(도금강판)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 예컨대, 도금강판의 성분이나 두께 등의 조건 변화에 대응하여 복합적인 냉각유체 분사형태를 구현 가능하게 하여, 냉각 능력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면서, 강판의 진동발생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강판의 폭 방향으로 균일냉각을 하여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강판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특히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용 강판용으로 사용되는 도금강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합금화 도금강판은 스폿 용접성, 도장후 내식성 및 도장 밀착성이 우수하여 최근 건자재용, 가전용 및 자동차용 강판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는 실정이다.
도 1에서는 도금공정 특히, 아연도금공정을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강판(100)은 용접기와 루퍼를 거쳐 열처리 된 후, 스나우트와 도금조(110)의 싱크롤(112)과 안정화 롤(114)을 통과하면서 용융아연(110a)이 강판(100)의 표면에 부착되고, 도금조 상측의 가스 와이핑 기구(120)(에어 나이프)에서 가스(불활성 가스 또는 에어)가 고압으로 와이핑 제트되어 아연부착층이 깍여지면서 강판의 도금두께가 제어된다.
다음, 도금강판(100)은 제진설비(130)와 냉각설비 및 이송롤(150)을 거쳐, 진행되는데, 이때 제진설비(130)는 강판의 진동이나 반곡 등의 형상을 교정한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알려진 도금강판 냉각설비는 상향-냉각 구간(up-pass cooling area)(A)과 하향-냉각 구간(down-pass cooling area)(B)에 제공되는 냉각타워 구조의 냉각설비(140a)(104b)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각설비(140a)(140b)들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up-pass) 또는 하향(down-pass) 이송되는 강판(100)의 양측으로 마주하고 냉각공기나 기체가 공급되는 쳄버(4)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쳄버(4)에는, 도 2a와 같은 슬롯노즐(144)(길게 신장된 일체형 노즐 구조)과 분사노즐(146)(원형의 구멍이 구비된 노즐 구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향-냉각 구간(A)에서는 고온의 도금강판 표면에 부착된 아연 도금층을 응고시키고, 상부 이송롤(150)의 직전까지 강판의 온도를 대략 300℃ 이하로 냉각시킨다.
이때, 도 2a에서와 같이, 도금조(110)를 거친 도금강판(100)이 상향으로 진행되면서 냉각되는 상향-냉각 구간(도 1,2의 'A')에서는 400℃ 이상의 고온 미응고 아연 도금층이 부착된 도금강판을 냉각하기 때문에, 구멍형태의 분사노즐(146)을 사용하는 경우, 분사공기의 강판 충돌에 의한 도금층에서의 줄무늬와 같은 표면 결함이 발행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길게 일자의 슬롯노즐(144)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연 도금층의 응고가 완료된 250℃ 이하의 온도로 강판이 통과하는 하향-냉각 구간(B)에서는 도금층 응고가 어느 정도 완료된 상태이므로 구멍형태의 분사노즐(146)을 사용한다.
한편, 슬롯노즐(144)의 경우 강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냉각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강판의 폭방향으로 균일냉각을 구현하기는 하나, 공기 유량 대비 냉각 능력은 분사노즐(146)에 비해 부족하다.
이때, 구멍형태의 분사노즐(146)은, 국부적인 냉각 성능은 슬롯노즐(144)에 비하여 높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판의 폭방향으로 냉각 불균일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분사형태로서, 강판의 진동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도금라인의 냉각설비(140a)(140b)의 경우, 슬롯노즐(144) 또는 분사노즐(146)이 고정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냉각 능력의 가변 제어가 불가능한 것이고, 위에서 설명한 개개의 노즐 사용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종래의 경우에는 냉각설비와 강판 간 간격(분사거리)이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두께가 두꺼운 후물재 도금시, 분사압력을 높여도 상부 이송롤(150)에 도달하기 전에 요구온도 즉, 300℃ 이하의 온도로 강판을 냉각하는 것은 어렵고, 따라서 부득이 강판의 라인 스피드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후물재나 고온의 합금 도금강판의 경우에는 라인 스피드의 감속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결국,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 냉각설비(140a)(140b)의 경우, 슬롯노즐 (144)의 냉각능력 한계와, 분사노즐(146)의 국부적인 냉각 불균일 문제가 있고, 냉각설비를 통과하는 강판의 진동도 더 증폭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강판 특히, 도금강판의 성분이나 두께 등의 조건 변화에 대응하여 복합적인 냉각유체(냉각공기)의 분사형태를 구현 가능하게 하여, 냉각 능력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면서, 강판의 진동발생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강판의 폭 방향으로 균일냉각을 하여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두께가 두꺼운 후물재나, 고온환경이 필요한 합금 도금강판 등의 강판 냉각능력 확보와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 문제가 되는 강판의 라인 스피드의 증가나 표면의 품질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진행 강판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냉각유체 분사개구를 포함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다른 구조의 노즐들이 구비되어 냉각유체를 강판에 분사토록 구성된 복합형 노즐수단;을 포함하여 노즐 복합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본체는 냉각유체 공급을 위한 쳄버나 공급관이 연계되되, 강판 양측으로 적어도 1열 이상 제공되고,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에 구비된 노즐들은, 길이가 제한된 단락형 노즐들과 길게 신장된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여 노즐수단의 회전시 선택된 노즐을 통하여 냉각유체가 분사되는 강판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락형 및 슬롯형 노즐은 각각 라운드노즐과 슬롯노즐로 제공되되,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에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라운드노즐은 노즐수단의 강판 폭방향으로 만곡의 배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라운드노즐은, 노즐수단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는 좁아지고 길이는 확장되거나, 노즐수단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분사방향이 외향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냉각유체 분사개구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된 측벽부에 구동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사이에 일정 폭을 갖고 일체로 제공되고 라운드노즐과 슬롯노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냉각유체의 유동 경로를 라운드노즐과 슬롯노즐로 유도토록 구성된 냉각유체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장치본체의 측벽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일측 회전부의 축부에 연계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와 연계되고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링크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작동수단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의 구동기어가 맞물리는 랙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링크가 연결되는 승강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일측 회전부의 축부에 연계된 작동기어; 및, 상기 작동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기어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 작동수단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의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리는 랙부가 구비된 승강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개구 측의 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분사개구에 인접하여 장치본체의 내측면과 복합형 노즐수단의 노즐부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조를 통과한 도금강판 특히, 상향-냉각 구간에서의 복합형 노즐수단을 매개로 강판의 성분이나 두께 등의 조건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면서 효과적인 냉각능력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구간에서의 강판 진동을 억제하고, 궁극적으로 강판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냉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라운드노즐 또는 슬롯노즐을 실시간으로 선택하여 보다 복합적인 냉각공기 분사가 가능하여, 종래 불균일 냉각, 진동 발생 또는 냉각능력 부족 을 보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꺼운 후물재나, 고온환경이 필요한 합금 도금강판 등의 냉각능력 확보와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강판의 라인 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특정 강판의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각설비를 포함하는 도금라인을 도시한 공정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상향-냉각 구간(A)과 하향-냉각 구간(B)의 냉각설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냉각장치의 라인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분새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의 라운드노즐과 슬롯노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 및 도 9는 제1 실시예의 구동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10은 도 8,9의 일부 구성 상세도
도 11은 제2 실시예의 구동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12a 및 도 12b는 슬롯노즐과 라운드노즐의 냉각공기 분사분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1)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냉각 구간(A)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다음에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냉각장치(1)가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을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능력도 확보되면서 동시에, 종래 분사노즐(도 2의 146)에 의한 상향-냉각 구간에서의 줄무늬 등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강판 냉각장치(1)는, 서로 다른 구조의 노즐들은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한 노즐 복합형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을 도금강판(100)으로 설명하고, 본 발명에서 냉각유체는 냉각공기, 냉각기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냉각공기로 설명하고, 도금설비 관련구성은 도 1과 같은 10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냉각장치(1)는, 진행 강판(100)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냉각공기 분사개구(12)를 포함하는 장치본체(10) 및, 상기 장치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다른 구조의 노즐들이 구비되어 냉각공기를 강판에 분사토록 구성된 복합형 노즐수단(30)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장치본체(10)의 후방에는 냉각공기 공급용 쳄버(4)나 냉각공기 공급관이 연계되어 있어, 각각의 장치본체에 냉각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에 서로 다른 구조로 제공되는 노즐들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길이가 제한된 단락형 노즐들 즉, 라운드노즐(32)과 슬롯형 노즐 즉, 길게 신장된 (일체형의) 슬롯노즐(34)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라운드노즐(32)은, 슬롯노즐(34)과 같이 길게 일자로 형성된 것이 아닌, 길이가 제한되는 단락형 노즐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도 2의 종래 구멍형태의 분사노즐(146) 보다는 국부적인 냉각 집중은 덜 발생되게 하면서, 기존의 슬롯노즐(144)과 같이 냉각능력은 더 제공하는 형태이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이와 같은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은 냉각공기 분사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라운드노즐(32)의 경우 냉각공기의 분사방향으로 강판 폭 방향으로 중앙에서 에지부분 즉, 장치의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노즐수단의 노즐부(38)의 노즐개구부분을 두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도 12a와 같이, 라운드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각공기(F2)의 방향을 양측으로 갈수록 외향을 향하도록 하면, 강판의 폭방향으로 종래 분사노즐(도 2의 146)과 같은 국부적인 냉각공기의 집중 분사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냉각 균일성을 제공하게 한다.
다만, 도 12b와 같이 슬롯노즐(34)의 경우에는 노즐 구조가 일자형이므로 로냉각공기(F1)의 분사방향을 도 12a의 라운드노즐(12a)의 냉각공기(F2)와 같이 조정할 수는 없다.
이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형 노즐수단(30)은, 서로 다른 분사구조를 갖는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운드노즐(32)은 노즐수단의 강판 폭방향으로 만곡의 배열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강판의 에지로 갈수록 강판의 냉각은 쉽게 되고, 따라서 라운드 노즐(32)은 중앙측 노즐의 길이(D1)가 강판 에지측(노즐수단의 양단부측)의 길이(D2) 보다 작고, 반대로 중앙측 노즐의 두께(T1)는 강판 에지측(노즐수단의 양단부측)의 두께(T2) 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운드노즐(32)은 중앙에서 강판 에지보다 더 냉각능력이 높은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강판 냉각장치(1)의 경우에는, 강판(100)의 두께 등의 냉각 조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냉각공기의 분사 형태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장치(1)에서 상기 장치본체(10)는, 상기 냉각공기 분사개구(12)가 일측에 형성되는 단면상 원형의 본체부(14)와, 상기 본체부(14)의 양측에 장착되는 측벽부(16)를 포함한다.
동시에,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은, 상기 장치본체의 측벽부(16)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는 회전부(36) 및, 상기 회전부(36)사이에 일정 폭을 갖고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노즐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부(38)는 단면상 반원형 보다는 작은 원통체로서,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라운드노즐의 만곡 배열을 고려하는 크기이면 되고, 이와 같은 라운드노즐과 슬롯노즐의 간격은 회전부(36)의 회전의 폭으로 결정된다.
즉, 양측의 원형 판 구조의 회전부(36)사이에 일체로 단면상 반원형의 노즐부(38)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38)에 앞에서 설명한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장치본체(10)의 본체부 일측에 형성된 분사개구(1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부(38)의 길이방향으로 만곡의 배열을 갖는 라운드노즐(32)들의 중앙과 양끝 사이의 폭을 커버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형 노즐수단(30)의 회전부(36)와 노즐부(38)는 일체로 성형되는 성형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개구(12)측의 본체부(12a)(12b)는 상,하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만곡된 분사개구의 분체부는 분사개구를 통한 냉각공기의 분사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도금강판의 진행시 진동이 발생되어 강판의 표면이 상기 분사개구(12)에 접촉하는 경우 표면에 흠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만곡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분사개구(12)에 인접하여 장치본체(10)의 본체부(14)의 내측면과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의 노즐부(38)의 선단부 사이에는 실링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실링부재(90)는 노즐부의 회전에 따라 장치본체(10)의 원형 본체부(14)와 노즐부(38)사이의 갭을 차단하여, 냉각공기의 분사시 노즐수단의 노즐부의 라운드노즐(32)과 슬릿노즐(36)을 벗어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의 노즐부(38)의 내측면에는 덧살 구조의 냉각공기 안내부(42)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각공기 안내부(42)는, 냉각공기의 라운드노즐(32) 또는 슬롯노즐(34)을 통하여 분사되는 경우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안내할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형 노즐수단 (30)의 원판 구조의 회전부(36)에는 장치본체의 측벽부(16)에 형성된 구멍(16a)을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축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유닛이 상기 일측의 축부(40)에 연계되고, 이에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축부(40)와 일체로 회전부(36)와 노즐부(38)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고, 이와 같은 회전에 따라서, 도 5와 같이 스롯노즐(34)이 장치본체의 분사개구(12)에 위치되거나, 라운드노즐(32)이 장치본체의 분사개구(12)에 위치되게 된다.
즉, 본 발명 장치는, 구동유닛의 가동을 통하여 원하는 시점에서 온라인 상태로 신속하게 라운드노즐(32) 또는 슬롯노즐(34)을 통한 다른 형태의 냉각공기 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1에서는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구동유닛(50)(70)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의 구동유닛(50)은, 복합형 노즐수단(30)의 일측 회전부(36)의 축부(40)에 연계되는 작동링크(52)와, 상기 작동링크와 연계되고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링크 작동수단(54)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링크 작동수단(54)이 작동하면 상기 작동링크(52)는 상하로 회전하고, 따라서 연계된 일측 축부(40)는 소정 각도로 회전하고, 도 6 및 도 7과 같은 슬롯노즐(34)과 라운드노즐(32)의 선택적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축부(40)에는 작동링크(52)의 구멍을 통과한 나사(40a)가 체결되어 작동링크와 연계 조립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링크의 일단은 다음에 설명하는 링크 작동수단(54)의 승강바아(62)의 폭을 보상하는 돌출부(미부호)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상기 링크 작동수단(54)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56)의 구동기어(58)가 맞물리는 랙부(60)가 일부 구비되고 상기 작동링크가 연결되는 승강바아(62)를 포함한다.
동시에, 상기 작동링크(52)에는 장홈(52a)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장홈(52a)을 통과하는 승강 바아측의 핀(62a)은 고정볼트(62b)가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6)의 구동방향이나 회전폭에 따라, 상기 승강바아(62)는 상승 또는 하강하고, 따라서 상기 작동링크는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바아(62)의 일측에는 가이드(66)의 돌기(66a)가 위에서 체결되는 가이드홈(62b)이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승강바아(62)는 그 상승 또는 하강폭은 크지 않지만,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승강바아와 모터 및 가이드 등은 장치 프레임 구조물(6a)(6b)에 적당하게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11에서는 제2 실시예의 구동유닛(7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동유닛(70)은, 노즐수단(30)의 일측 회전부(36)의 축부(40)에 연계된 작동기어(72) 및, 상기 작동기어(72)를 회전 가능하게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기어 작동수단(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 작동수단(74)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76)의 구동기어(78) 및, 상기 구동기어(78)가 맞물리는 랙부(80)가 구비된 승강바아(82)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모터(76)가 가동되면 구동기어(78)는 랙부(80)와 일체로 승강바아(82)가 상승 또는 하강하고, 따라서 승강바아(82)에 길게 신장된 형태의 랙부(80)는, 노즐수단의 축부(40)에 체결되는 작동기어(72)와 맞물려 회전시키게 된다.
결국, 모터 구동에 따라 승강바아(82)가 상승 또는 하강하고, 이를 통하여 축부(40)는 작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노즐부(38)의 회전으로 라운드노즐(32) 또는 슬롯노즐(34)이 장치본체의 분사개구(12)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랙부(80)가 전면에 일체로 제공된 상기 승강바아(82)의 후면에는 가이드(8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82a)가 체결되는 레일홈(84a)이 형성된 가이드바아(84)가 수직으로 설비 프레임(6a)들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의 구동유닛(70)의 경우에도 승강바아(82)의 상승 또는 하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1)는, 장치 하나에 적어도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선택적으로 냉각공기를 강판에 다른 분사형태로 분사 가능하게 하여, 강판 조건에 대응하여 보다 적절한 냉각을 구현하고, 이에 냉각구간에서의 강판 진동도 증폭되지 않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냉각장치(1)는 도금조를 통과한 강판이 상향 이동하는 상향-냉각 구간(A)에 배치되는 것이나, 도 1의 하향 냉각구간(B)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10.... 장치본체
12.... 분사개구 14.... 본체부
16.... 측벽부 30.... 복합형 노즐수단
32.... 라운드노즐 34.... 슬롯노즐
36.... 회전부 38.... 노즐부
40.... 축부 42.... 냉각유체 안내부
50,70.... 구동유닛 52.... 작동링크
54.... 링크 작동수단 62.... 승강바아
72.... 작동기어 74.... 기어 작동수단
82.... 승강바아 90.... 실링부재

Claims (12)

  1. 진행 강판(100)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냉각유체 분사개구(12)를 포함하는 장치본체(10); 및, 상기 장치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다른 구조의 노즐들을 구비하여 냉각유체를 강판에 분사토록 구성된 복합형 노즐수단(30);을 포함하여 노즐 복합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본체(10)는 냉각유체 공급을 위한 쳄버(4)나 공급관이 연계되되, 강판 양측으로 적어도 1열 이상 제공되고,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에 구비된 노즐들은, 길이가 제한된 단락형 노즐들과 길게 신장된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여 노즐수단의 회전시 선택된 노즐을 통하여 냉각유체가 분사되는 강판 냉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 및 슬롯형 노즐은 각각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로 제공되되,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에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라운드노즐(32)은 노즐수단의 강판 폭방향으로 만곡의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노즐은, 노즐수단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는 좁아지고 길이가 확장되거나, 노즐수단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분사방향이 외향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0)는, 상기 냉각유체 분사개구(12)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부(14)와, 상기 본체부(14)의 양측에 장착되는 측벽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30)은,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된 측벽부(16)에 구동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는 회전부(36); 및,
    상기 회전부(36)사이에 일정 폭으로 일체로 제공되고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노즐부(38);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38)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냉각유체의 유동 경로를 라운드노즐(32)과 슬롯노즐(34)로 유도토록 구성된 냉각유체 안내부(4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6)에는 상기 장치본체의 측벽부(16)에 형성된 구멍(16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축부(4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50)은, 상기 일측 회전부(36)의 축부(40)에 연계되는 작동링크(52)와, 상기 작동링크와 연계되고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링크 작동수단(5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작동수단(54)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56)의 구동기어(58)가 맞물리는 랙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링크가 연결되는 승강바아(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70)은, 상기 일측 회전부(36)의 축부(40)에 연계된 작동기어(72); 및,
    상기 작동기어(72)를 회전 가능하게 장치본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기어 작동수단(7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작동수단(74)은, 장치 상측에 제공된 모터(76)의 구동기어(78) 및, 상기 구동기어(78)가 맞물리는 랙부(80)가 구비된 승강바아(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개구(12)측의 본체부(12a)(12b)는 상,하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분사개구에 인접하여 장치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복합형 노즐수단의 노즐부(38)사이에는 실링부재(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냉각장치.
KR1020110142256A 2011-12-26 2011-12-26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KR10136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56A KR101360677B1 (ko) 2011-12-26 2011-12-26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56A KR101360677B1 (ko) 2011-12-26 2011-12-26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269A KR20130074269A (ko) 2013-07-04
KR101360677B1 true KR101360677B1 (ko) 2014-02-10

Family

ID=4898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256A KR101360677B1 (ko) 2011-12-26 2011-12-26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567B1 (ko) 2014-01-27 2015-11-11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냉각장치
KR101819386B1 (ko) * 2016-12-02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소재냉각장치
KR102180798B1 (ko) * 2018-10-19 2020-11-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102180809B1 (ko) * 2018-12-17 2020-11-19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소재 냉각장치
KR20220146586A (ko) * 2020-03-30 2022-11-01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용융 도금 강판
KR102364700B1 (ko) * 2020-09-25 2022-02-1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에지부의 과냉각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97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20070009830A (ko) *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냉각용 가스 노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97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20070009830A (ko) *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냉각용 가스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269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677B1 (ko) 노즐 복합형 강판 냉각장치
KR102180798B1 (ko)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JP5061198B2 (ja) 多段ノズル型ガスワイピング装置
JP6295338B2 (ja) めっき鋼板冷却装置
US100118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hot-dip coating a metal strip with a metal covering
JP5109671B2 (ja) 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溶融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20130034355A (ko) 강판 냉각장치
KR101360748B1 (ko) 도금강판 냉각장치
KR20190094384A (ko) 금속 시트를 처리하기 위한 연속 라인의 급속 냉각을 위한 방법 및 섹션
KR102175565B1 (ko) 용융도금강판의 산화방지장치
KR101988751B1 (ko) 강판 냉각 장치
US20220064773A1 (en) Apparatus for cooling metal material
KR100887534B1 (ko) 아연-알루미늄 합금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101353547B1 (ko) 용융 아연 도금 설비의 냉각장치
KR102255908B1 (ko) Ga/gi 양면강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5171336A (ja)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設備
JP3915615B2 (ja) 電気錫めっき鋼板リフロー処理冷却用ノズル、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H03287752A (ja) 鋼帯の連続溶融めっき装置
JPH07150327A (ja) ガスワイピ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10242140A (ja) 溶融金属めっき設備
JP2007197781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2018080364A (ja) 鋼板の冷却方法
JP2013185227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H09157890A (ja) 錫めっき鋼板の冷却装置
JP2000008150A (ja) 溶融金属めっき鋼板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