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16B1 -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116B1
KR101358116B1 KR1020110111251A KR20110111251A KR101358116B1 KR 101358116 B1 KR101358116 B1 KR 101358116B1 KR 1020110111251 A KR1020110111251 A KR 1020110111251A KR 20110111251 A KR20110111251 A KR 20110111251A KR 101358116 B1 KR101358116 B1 KR 10135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pipe
flat
cla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714A (ko
Inventor
문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1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클램프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선박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가 놓여지는 지지 플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지지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제1가압 플레이트와, 제1가압 플레이트는 제1파이프를 가압하는 제1평탄부와,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제1평탄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1체결부와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가압 플레이트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제1너트와 체결되는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와 결속된다.

Description

클램프 장치{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박에 사용되는 파이프들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오일 또는 윤활유 등이 흐르는 파이프, 공기 파이프, 워터 파이프 및 각종 전선들이 내장되는 파이프 등 다양한 파이프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들은 선체의 벽면에 클램프 장치를 통해 고정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클램프 장치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5307호(특허문헌 1)에는 파이프들을 한 묶음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밴드구조가 개시된다.
파이프 밴드구조의 일 예로 다수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 체결구멍을 가지는 고정부와, 고정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는 평면부를 가지는 상부그립과, 상부그립과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부그립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프 장치는 선체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파이프 배관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직렬로 추가적인 클램프 장치를 배치하여 파이프들을 고정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클램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 및 볼트 체결홀의 형성 작업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비용 및 작업시간 증가로 인하여 작업 효율은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5307호(1998.07.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의 배관 작업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설치공간 및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선박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가 놓여지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제1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1파이프를 가압하는 제1평탄부와, 상기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상기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제1평탄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제1너트와 체결되는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제2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2파이프를 가압하는 제2평탄부와, 상기 제2평탄부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3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제2너트에 의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면접촉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체결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2체결부와 면접촉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는 다수개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개의 제1가압 플레이트 중 최상층에 적층된 제1가압 플레이트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클램프 장치는 파이프들을 적층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추가 파이프 배관 작업시 필요한 설치공간 및 작업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20)는 선체의 벽면(10) 근방에 배열되는 다수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10)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같은 외부 구조물(11)에 결합되어 다수의 파이프를 다단의 형태로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램프 장치(20)는 외부 구조물(11)에 밀착되는 지지 플레이트(30)와, 지지 플레이트(30) 위에 적층되는 제1가압 플레이트(40)와, 제1가압 플레이트(40) 위에 적층되는 제2가압 플레이트(50)와, 지지 플레이트(30), 제1가압 플레이트(40) 및 제2가압 플레이트(50)를 결속하는 체결부재(8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0)와 제1가압 플레이트(4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60)가 배치되어 지지되고, 제1가압 플레이트(40)와 제2가압 플레이트(5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2파이프(70)가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가압 플레이트(40)는 제1파이프(6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이 가운데 부분보다 낮은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압 플레이트(40)는 지지 플레이트(30)에 놓여진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60)의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제1평탄부(41)와, 제1평탄부(41)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어 지지 플레이트(30)와 결합되기 위한 제1체결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42)는 제1파이프(60)의 직경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벤딩되는 곡선부(42a)와, 곡선부(42a)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체결부재(80)가 관통하는 제1체결공(43)이 마련된 직선부(42b)를 포함한다.
직선부(42b)는 체결부재(80)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제1가압 플레이트(40)가 제1파이프(60)를 고정시키는 결속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 플레이트(30)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부분이다.
제1평탄부(41)는 그 위에 제2파이프(70)가 놓여질 수 있도록 평편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제1평탄부(41)의 양측으로는 제1평탄부(41)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2체결부(44)가 마련된다.
제2체결부(44)에는 제1체결공(43)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재(80)가 관통하는 제2체결공(45)이 마련된다.
제1체결부(42)의 직선부(42b)와 제2체결부(44)는 상하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3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체결공(43,45)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재(80)가 관통하는 관통공(31)이 마련된다.
체결부재(80)는 지지 플레이트(30)와 제1가압 플레이트(40)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볼트(81) 및 제1너트(82)와, 제1가압 플레이트(40)와 제2가압 플레이트(50)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해 볼트(81)에 체결되는 제2너트(83)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파이프(60)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지지 플레이트(30) 위에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60)를 놓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60)가 제1평탄부(41)와 지지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가압 플레이트(40)를 지지 플레이트(30) 위에 적층시킨다. 그리고, 제1체결부(42)와 제2체결부(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1너트(82)를 삽입시킨 후 볼트(81)가 관통공(31), 제1체결공(43), 제1너트(82) 및 제2체결공(4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볼트(81)를 체결한다. 이후, 제1너트(82)를 조이게 되면 제1가압 플레이트(40)는 볼트(81)의 체결력에 의하여 지지 플레이트(30)에 밀착됨으로써 제1파이프(60)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제2가압 플레이트(50)는 판상의 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되 제1가압 플레이트(40)의 제1평탄부(41)에 놓여진 제2파이프(7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2파이프(70)의 일부분을 가압하는 제2평탄부(51)와, 제2평탄부(51)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어 제1가압 플레이트(40)와 결합되기 위한 제3체결부(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52)는 제2파이프(70)의 직경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벤딩되는 곡선부(52a)와, 곡선부(52a)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체결부재(80)가 관통하는 제3체결공(53)이 마련된 직선부(52b)를 포함한다.
직선부(52b)는 체결부재(80)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제2가압 플레이트(50)가 제2파이프(70)를 고정시키는 결속력을 향상시키도록 제1가압 플레이트(40)의 제2체결부(44)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제2파이프(70)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1가압 플레이트(40)의 제1평탄부(41) 위에 하나 이상의 제2파이프(70)를 놓은 상태에서 제2가압 플레이트(50)를 제1가압 플레이트(40) 위에 적층시킨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30)와 제1가압 플레이트(40)를 결속시키도록 체결된 볼트(81)는 체3체결공(53)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돌출된 볼트(81) 부분은 제2너트(83)와 체결됨으로써 제2가압 플레이트(50)는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2너트(83)는 외부로 노출된 위치에 마련됨으로 작업자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클램프 장치(20)는 파이프들을 고정하기 위한 일 예로서 2단의 구조를 가진 예를 들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단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30) 위에 복수개의 제1가압 플레이트(40a,40b)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다단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파이프(61)를 고정하도록 지지 플레이트(30) 위에 제1가압 플레이트(40a)를 적층시키고, 제1가압 플레이트(40a) 위에 놓여진 제2파이프(62)를 고정하도록 제1가압 플레이트(40a) 위에 또 다른 제1가압 플레이트(40b)를 적층시킨다.
그리고, 제1가압 플레이트(40a,40b)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각 제1너트(82a,82b)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81)를 통해 체결하면 지지 플레이트(30)와 복수개의 제1가압 플레이트(40a,40b)는 서로 결속되게 된다.
이후, 최상층의 제1가압 플레이트(40b) 위에 제3파이프(63)를 놓은 후 제2 가압 플레이트(5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기 체결된 볼트(81)와 제2너트(83)를 체결하게 되면 클램프 장치(20)는 다단의 형태로 파이프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는 필요한 수만큼 제1가압 플레이트(40)를 적층함에 따라 다단 형태의 파이프 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 설치된 파이프 배관구조에 추가적인 파이프 배관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별도의 추가 설치공간이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클램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외부 구조물(11)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홀 가공 등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작업 시간의 감소에 따라 생산성은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가압 플레이트와 제2가압 플레이트의 결속을 통해 다단의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다수개의 제1가압 플레이트 만으로도 다단의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0: 클램프 장치, 30: 지지 플레이트,
40: 제1가압 플레이트, 41: 제1평탄부,
42: 제1체결부, 43: 제1체결공,
44: 제2체결부, 45: 제2체결공,
50: 제2가압 플레이트, 51: 제2평탄부,
52: 제3체결부, 53: 제3체결공,
60: 제1파이프, 70: 제2파이프,
80: 체결부재, 81: 볼트,
82: 제1너트, 83: 제2너트.

Claims (5)

  1. 선박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가 놓여지는 지지 플레이트(30);
    상기 하나 이상의 제1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제1가압 플레이트(40); 및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 위에 놓여진 하나 이상의 제2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제2가압 플레이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0)는 상기 제1파이프를 가압하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제1평탄부(41)와, 상기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며 제1체결공(43)이 형성된 제1체결부(42)와, 상기 제1평탄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제1평탄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제2체결공(45)이 형성된 제2체결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2파이프를 가압하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제2평탄부(51)와, 상기 제2평탄부 양측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3체결공(53)이 형성된 제3체결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제1너트(82)와 체결되는 볼트(81)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속되며,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3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볼트(81)와 체결되는 제2너트(83)에 의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와 결속되는 클램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면접촉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체결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2체결부와 면접촉 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는 다수개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개의 제1가압 플레이트 중 최상층에 적층된 제1가압 플레이트 위에 적층되는 것을 포함하는 클램프 장치.
KR1020110111251A 2011-10-28 2011-10-28 클램프 장치 KR10135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251A KR101358116B1 (ko) 2011-10-28 2011-10-28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251A KR101358116B1 (ko) 2011-10-28 2011-10-28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14A KR20130046714A (ko) 2013-05-08
KR101358116B1 true KR101358116B1 (ko) 2014-02-24

Family

ID=4865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251A KR101358116B1 (ko) 2011-10-28 2011-10-28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5625B1 (fr) * 2013-12-20 2015-12-11 Snecma Bras de guidage d'elements de forme allongee, en particulier pour une turbomachine
CN106224647A (zh) * 2016-08-30 2016-12-14 中铁隧道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组合式固定管卡
CN114542806B (zh) * 2020-11-24 2023-11-2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送管装置和具有其的抹灰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07U (ko) * 1998-05-14 1998-07-25 이윤옥 선박용 엔진 파이프 밴드구조
KR19990084038A (ko) * 1999-09-08 1999-12-06 이태원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JP2001187982A (ja) 1999-12-28 2001-07-10 Showa Corporation 配管支持具
JP2006136074A (ja) 2004-11-04 2006-05-25 Ntt Infranet Co Ltd 円管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07U (ko) * 1998-05-14 1998-07-25 이윤옥 선박용 엔진 파이프 밴드구조
KR19990084038A (ko) * 1999-09-08 1999-12-06 이태원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JP2001187982A (ja) 1999-12-28 2001-07-10 Showa Corporation 配管支持具
JP2006136074A (ja) 2004-11-04 2006-05-25 Ntt Infranet Co Ltd 円管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14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116B1 (ko) 클램프 장치
JP6115734B2 (ja) 燃料電池の組み立て方法及び組み立て装置
CN102005484A (zh) 一种用于光伏电池板组件固定的紧固装置
KR101008020B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102051657B1 (ko) 비닐고정패드 일체형 비닐하우스용 서까래
JP5126725B2 (ja) ケーブル支持金具
CN102548343A (zh) 风扇固定装置
JP6331957B2 (ja) エレベーター用レール固定装置
JP5285498B2 (ja) 梁の接合構造
JP2013100654A (ja) 立ち上げボルト用取付具
JP2016035142A (ja) 連結部材及び天井下地材施工方法
CN210624745U (zh) 一种空调器室外机顶盖板及空调器
FI130480B (fi) Järjestely aurinkopaneelien kiinnittämiseksi
JP4800858B2 (ja) トンネルの覆工に板状体を固定する固定具
KR20080105327A (ko) 클램프 구조
JP5287551B2 (ja) 据付脚、貯湯式給湯機
JP5770243B2 (ja) 配線支持金具用台座具
JP2014148827A (ja) 吊りボルト連結金具
CN214588375U (zh) 一种节能磁场增强型线圈结构
CN211490536U (zh) 用于切割机的辅助切割装置
CN202900861U (zh) 消防喷洒器固定卡
CN215060459U (zh) 新型燃气工程安全保护装置
JP3120292U (ja) ガスメータ用支持装置の支持具
JP492496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架台
CN213752287U (zh) 一种大容量变压器铁芯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