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502B1 -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 Google Patents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502B1
KR101357502B1 KR1020120137081A KR20120137081A KR101357502B1 KR 101357502 B1 KR101357502 B1 KR 101357502B1 KR 1020120137081 A KR1020120137081 A KR 1020120137081A KR 20120137081 A KR20120137081 A KR 20120137081A KR 101357502 B1 KR101357502 B1 KR 10135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ipe
holder
spr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나 튜브 또는 호스(파이프)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호스(파이프) 홀더가 고정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서 파이프나 튜브 또는 호스(파이프)가 유동되면서 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 또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자석 고정홈(320)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1자석(350);과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자석 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자석 고정홈(4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2자석(450);과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루버밴드(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adjustable hose or Pape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엔진룸과 같은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호스(파이프)홀더를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로 각각 나누어 형성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에는 각각 자석을 구비하여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를 자석의 힘으로 서로 결합시킨 후 루버 밴드로 고정시켜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각각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유동되더라도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또는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 사이에 탄발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유동되더라도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룸이나 차량의 실내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많은 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엔진룸에는 자동차의 엔진이나 브레이크 및 트렌스밋션 등과 같은 자동차의 중요부품들이 구비되는 것이다.
하지만 차량의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이러한 중요부품들은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차량의 설계 시에 각각의 부품들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치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이나 브레이크 및 트렌스밋션 등과 같은 부품들은 정상적인 작동을 하기 위해서 오일이나 연료 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오일이나 연료 등과 같은 액체를 각각의 부품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호스(파이프)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각각의 부품에 공급되는 연료나 오일 등에 따라 각각의 호스(파이프)는 최적의 굵기와 온도, 각도 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호스(파이프)들은 주로 인정한 공간에 밀집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룸 내부에서 각각의 부품 사이에 설치되는 호스(파이프)들은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호스(파이프) 고정클립이 구비되는 호스(파이프) 홀더를 이용하여 호스(파이프)끼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파이프) 홀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호스(파이프)(10)와 제2호스(파이프)(20)를 고정시키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3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호스(파이프)가 호스(파이프) 홀더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 쌍의 호스(파이프)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차량의 진동에 의해 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분리된 호스(파이프)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일으켜 차량의 운행에 심각한 악영향을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각각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유동되더라도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에는 각각 자석을 구비하여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를 자석의 힘으로 서로 결합시킨 후 루버 밴드로 고정시킴으로써,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호스(파이프)가 호스(파이프) 홀더를 이탈하는 문제점과, 한 쌍의 호스(파이프)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및 차량의 진동에 의해 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분리된 호스(파이프)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일으켜 차량의 운행에 심각한 악영향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 사이에 탄발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유동되더라도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호스(파이프)가 호스(파이프) 홀더를 이탈하는 문제점과, 한 쌍의 호스(파이프)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및 차량의 진동에 의해 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분리된 호스(파이프)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일으켜 차량의 운행에 심각한 악영향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등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자석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의 제1자석 고정홈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1자석;과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자석 고정홈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의 제1자석 고정홈과 제2자석 고정홈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의 제2자석 고정홈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2자석;과 제1호스(파이프) 홀더의 제1자석 고정홈과 제2자석 고정홈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루버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엔진룸 등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스프링 결합홈과 제1스프링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와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스프링 결합홈과 제2스프링 고정홀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의 제1스프링 결합홈과 제2스프링 결합홈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1스프링 결합홈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2스프링 결합홈에 구비되되, 일단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1스프링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타단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2스프링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에는 제1호스(파이프)와 제2호스(파이프)가 각각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과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는 길이 방향으로 루버밴드가 끼워지는 제1루버밴드 고정홈과 제2루버밴드 고정홈을 구비하여, 루버밴드로 제1호스(파이프) 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1스프링 고정홀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의 제2스프링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ㄷ" 형태로 형성하여, 탄발스프링이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호스(파이프) 홀더를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호스(파이프)가 호스(파이프)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호스(파이프) 홀더에 고정되는 한 쌍의 호스(파이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등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자석 고정홈(320)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1자석(350);과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자석 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자석 고정홈(4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2자석(450);과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루버밴드(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엔진룸 등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6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1스프링 고정홀(630)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와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7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스프링 결합홈(720)과 제2스프링 고정홀(730)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600)의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2스프링 결합홈(7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결합홈(720)에 구비되되, 일단(810)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고정홀(630)에 끼워져 고정되며, 타단(820)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고정홀(73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8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에는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각각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과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길이 방향으로 루버밴드(500)가 끼워지는 제1루버밴드 고정홈(360)과 제2루버밴드 고정홈(460)을 구비하여, 루버밴드(500)로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고정홀(63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고정홀(73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800)의 일단(810)과 타단(820)을 각각 "ㄷ" 형태로 형성하여, 탄발스프링(800)이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즉,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제1호스(파이프)(100)를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호스(파이프)(200)를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1호스(파이프)(100)를 고정시킨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200)를 고정시킨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에는 제1자석(350)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자석 고정홈(420)에는 제2자석(450)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1자석(350)과 제2자석(450)이 맞닿으면서 서로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루버밴드(500)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에는 제1루버밴드 고정홈(360)과 제2루버밴드 고정홈(46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루버밴드(500)를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루버밴드 고정홈(360)과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루버밴드 고정홈(460)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루버밴드(500)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에 결합되는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에 결합되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차량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유동될 경우,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가 서로 다른 각도로 유동되면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예로써,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를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61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710)에 각각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61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710)이 구비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700)는 탄발스프링(8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어서,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유동될 경우, 탄발스프링(800)의 탄발력에 의해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700)가 서로 다른 각도로 유동되면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7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600)에는 탄발스프링(800)이 설치되는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탄발스프링(800)의 일단(810)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스프링 고정홀(630)이 형성되며,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700)에는 탄발스프링(800)이 설치되는 제2스프링 결합홈(720)과 탄발스프링(800)의 타단(820)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스프링 고정홀(7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유동 되더라도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를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7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고정홀(63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고정홀(73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800)의 일단(810)과 타단(820)을 각각 "ㄷ"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탄발스프링(800)이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100 : 제1호스(파이프) 200 : 제2호스(파이프)
300 : 제1호스(파이프) 홀더 310 :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
320 : 제1자석 결합홈 350 : 제1자석
360 : 제1루버밴드 고정홈 400 : 제1호스(파이프) 홀더
410 :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 420 : 제2자석 고정홈
450 : 제2자석 460 : 제2루버밴드 고정홈
500 : 루버밴드 600 :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
610 :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
620 : 제1스프링 결합홈 630 : 제1스프링 고정홀 700 :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홀더
710 :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
720 : 제2스프링 결합홈 730 : 제2스프링 고정홀 800 : 탄발스프링 810 : 일단 820 : 타단

Claims (4)

  1. 차량의 엔진룸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 또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자석 고정홈(320)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1자석(350);과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자석 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제2자석 고정홈(420)에 기워져 고정되는 제2자석(450);과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의 제1자석 고정홈(320)과 제2자석 고정홈(4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루버밴드(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2. 차량의 엔진룸과 같이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호스 또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1호스(파이프)(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6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1스프링 고정홀(630)이 형성되는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와
    일단에는 제2호스(파이프)(2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 고정클립(7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스프링 결합홈(720)과 제2스프링 고정홀(730)이 형성되되, 제1호스(파이프) 홀더(600)의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2스프링 결합홈(720)이 맞닿아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결합홈(62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결합홈(720)에 구비되되, 일단(810)은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고정홀(630)에 끼워져 고정되며, 타단(820)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고정홀(73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8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에는 제1호스(파이프)(100)와 제2호스(파이프)(200)가 각각 제1호스(파이프) 고정클립(310)과 제2호스(파이프) 고정클립(4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길이방향으로 루버밴드(500)가 끼워지는 제1루버밴드 고정홈(360)과 제2루버밴드 고정홈(460)을 구비하여,
    루버밴드(500)로 제1호스(파이프) 홀더(300)와 제2호스(파이프) 홀더(4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4. 제 2 항에 있어서,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의 제1스프링 고정홀(630)과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의 제2스프링 고정홀(73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발스프링(800)의 일단(810)과 타단(820)을 각각 "ㄷ" 형태로 형성하여,
    탄발스프링(800)이 제1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600)와 제2호스(파이프) 스프링홀더(7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KR1020120137081A 2012-11-29 2012-11-29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KR10135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81A KR101357502B1 (ko) 2012-11-29 2012-11-29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81A KR101357502B1 (ko) 2012-11-29 2012-11-29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02B1 true KR101357502B1 (ko) 2014-02-03

Family

ID=5026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081A KR101357502B1 (ko) 2012-11-29 2012-11-29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038A (en) 1988-05-13 1991-05-21 Yamaha Corporation Clamping apparatus
KR970045744A (ko) * 1995-12-22 1997-07-26 김태구 차량의 에어브레이크 튜브 고정용 클립
KR100704636B1 (ko) 2006-06-23 2007-04-09 주식회사 퍼시스 회전식 칸막이 구조
JP2007277963A (ja) 2006-04-07 2007-10-25 Shiikuresu:Kk クランプ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結合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038A (en) 1988-05-13 1991-05-21 Yamaha Corporation Clamping apparatus
KR970045744A (ko) * 1995-12-22 1997-07-26 김태구 차량의 에어브레이크 튜브 고정용 클립
JP2007277963A (ja) 2006-04-07 2007-10-25 Shiikuresu:Kk クランプ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結合具
KR100704636B1 (ko) 2006-06-23 2007-04-09 주식회사 퍼시스 회전식 칸막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7755B1 (en) Piping fixing structure
CN107757332B (zh) 发动机悬置的喷嘴板
US7506619B1 (en) Tunable hybrid bracket assembly
US20150060633A1 (en) Mounting device for absorbing vibration
KR101495544B1 (ko) 인터쿨러파이프의 장착구조
US10589615B2 (en) Decoupler for a hydraulic engine mount
CN105263682A (zh) 便携式作业机械
KR101755517B1 (ko) 차량의 쿨링 모듈용 마운팅 유닛
JP6618078B2 (ja) 吸気ダクトの取付構造
KR101357502B1 (ko) 자유도를 갖는 자동차용 호스 또는 파이프 홀더
CN103759076B (zh) 一种带减振结构的管卡
KR101818344B1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JP6513354B2 (ja) 防振装置
KR101655527B1 (ko) 차량의 흡기 덕트
CN108223675B (zh) 防振装置
CN110382343B (zh) 防振装置和防振发动机
US9850978B2 (en) Roll mount
KR100836100B1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JP2009209767A (ja) エンジンのオイル戻し通路構造
KR10135739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맥동 저감용 금속 댐퍼
JP2020034120A (ja) 防振グロメット
US20070113901A1 (en) Cooling apparatus
JP2019049309A (ja) 防振装置及び取付部材
CN207989915U (zh) 新型汽车隔振管夹
CN108189957B (zh) 摇架减振结构及踏板式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