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494B1 - 끈형상체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끈형상체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494B1
KR101357494B1 KR1020127000741A KR20127000741A KR101357494B1 KR 101357494 B1 KR101357494 B1 KR 101357494B1 KR 1020127000741 A KR1020127000741 A KR 1020127000741A KR 20127000741 A KR20127000741 A KR 20127000741A KR 101357494 B1 KR101357494 B1 KR 10135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ember
male member
string
mal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513A (ko
Inventor
가쿠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2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03Includes separate device for holding drawn portion of lacing
    • Y10T24/3713Includes separate device for holding drawn portion of lacing having relatively movable holding components or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84Alignable aperture and spring pressed moving element

Abstract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대하여, 부세에 저항하여 적어도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기 가능하게 조합시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소정 위치에서 서로 연통하는 수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과 암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에 삽입 통과된 끈형상체에 수형부재의 상기 밀어넣기를 해제함으로써 고정 부착하는 고정구이다. 수형부재에는, 조작용 장척체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용 장척체의 조작에 의해 수형부재가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함께, 암형부재에는, 장비 대상물에의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끈형상체의 고정구{CORD LOCK}
본 발명은 끈형상체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끈형상체의 소망한 위치에 고정 부착되어 사용되는 고정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 로크(cord rock)라고 불리는 끈형상체에 대한 고정구가 있다. 이러한 고정구는 각각 끈형상체를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암형(雌形)부재 및 수형(雄形)부재와, 이 수형부재를 암형부재 내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수형부재의 밀어넣기 조작이 정지되었을 때에, 암형부재의 관통구멍과 수형부재의 관통구멍에 저항이 없이, 혹은 저항이 적게 끈형상체를 삽입 통과시킨 비(非)고정 부착 위치로부터 수형부재를 이동시켜, 위치가 어긋난 암형부재의 관통구멍과 수형부재의 관통구멍에 의해 끈형상체에 고정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구를, 예를 들면, 장갑을 장비 대상물로서 이 장갑의 개구부의 조임끈에 고정 부착한 경우, 수형부재의 밀어넣기 조작을 장갑을 부착한 다른 쪽의 손으로는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수형부재의 안쪽부에 장갑에 더 고정 부착시킨 당김끈을 부착하도록 한 고정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고정구에 의하면, 당김끈의 당김 조작에 의해서도 수형부재를 상기 비고정 부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조임끈에의 고정구가 고정 부착 위치를 바꾸어 조임끈에 의한 조임을 느슨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지만, 장갑에 대하여 암형부재는 유격을 갖기 때문에, 당김끈을 단순하게 당긴 것만으로는 이 조임끈에의 고정구가 고정 부착 상태를 해제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일본실용신안공개 평5-209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고정구에 있어서, 끈형상체에 대한 고정 부착 상태의 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끈형상체의 고정구를,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대하여, 부세(付勢)에 저항하여 적어도 소정 위치까지 밀어 넣기 가능하게 조합시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소정 위치에서 서로 연통하는 수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과 암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에 삽입 통과된 끈형상체에 수형부재의 상기 밀어넣기를 해제함으로써 고정 부착하는 고정구로서,
수형부재에는, 조작용 장척체(長尺體)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용 장척체의 조작에 의해 수형부재가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상기 소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함께,
암형부재에는, 장비 대상물에의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고정구에 있어서는, 암형부재의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장비 대상물에서의 고정구의 배치 위치에 암형부재를 위치결정시켜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첫 번째로, 수형부재 자체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거나 또는 끈형상체를 수형부재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게 하는 크기의 힘으로 인장(引張)하여 이 끈형상체에의 고정구의 고정 부착을 해제하는 조작을 암형부재를 누르지 않아도 이룰 수 있다. 또한, 두 번째로, 조작용 장척체를 인장하여 수형부재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인입하는 조작도 암형부재를 누르지 않아도, 용이하게 이것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수단을, 암형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장비 대상물에 구비되는 장척체의 안내부로 하여 두면, 수형부재의 밀어넣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비 대상물에 구비되는 이러한 장척체로써, 이 밀어넣기에 추종하여 암형부재가 달아나도록 이동하지 않게, 장비 대상물에 암형부재를 안정적으로 위치결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안내부를 암형부재의 측부에 2개소 형성시켜 두면, 2개소의 안내부의 한쪽으로 통하여 인출된 상기 장척체를 이 2개소의 안내부의 다른 쪽으로 통함으로써, 암형부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비 대상물에 위치결정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장척체의 길이 방향에의 암형부재의 이동 조정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종류의 고정구의 끈형상체에 대한 고정 부착 상태의 해제를 더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고정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고정구의 저면도이다.
도 9는 고정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암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암형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암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암형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암형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G-G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서의 E-E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에서의 F-F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수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수형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수형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의 K-K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수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수형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0에서의 J-J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0에서의 H-H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0에서의 I-I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28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1)는 끈형상체(5)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끈형상체(5)의 소망의 위치에 고정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구(1)는 전형적으로는 조임끈이나 당김끈의 장비 대상물로부터의 인출 개소(個所)에 구비되어, 이 조임끈 등에 대하여 고정 부착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장비 대상물의 조이는 개소를 둘러싸는 조임끈 등의 길이를 바꾸어, 이 개소를 결합시키거나, 혹은 느슨하게 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고정구(1)는 일반적으로는 코드 로크 등이라고도 불리워진다. 장비 대상물로서는, 이러한 끈형상체(5)를 구비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사용 빈도가 높은 장비 대상물로서는, 피복이나 가방류, 자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1)는 상기 조임끈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끈형상체(5)이라면, 그것에 고정 부착 가능하고, 고정 부착 대상으로 되는 끈형상체(5)의 재질이나 성상(性狀)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정구(1)는 수형부재(2)와 암형부재(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형부재(2)는 암형부재(3)에 대하여, 부세에 저항하여 적어도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기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그것과 함께, 이 소정 위치에서 서로 연통하는 수형부재(2)의 측부 관통구멍(20)과 암형부재(3)의 측부 관통구멍(30)에 삽입 통과된 끈형상체(5)에 수형부재(2)의 상기 밀어넣기(혹은 후술하는 조작용 장척체(6)를 이용한 당김 조작에 의한 밀어넣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고정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끈형상체(5)의 삽입 통과되는 측부 관통구멍(20, 30)은 2개소 이상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러한 측부 관통구멍(20, 30)은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하는 예에서는, 한 개의 끈형상체(5)에서의 도시하지 않는 장비 대상물로부터 인출된 양단부를 동시에 하나의 고정구(1)에 삽입 통과시켜 이에 대한 고정 부착을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암형부재(3)는 폭이 넓은 전면부(31) 및 배면부(32)와, 폭이 좁은 좌우 양측면부(33, 33)를 구비한 편평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암형부재(3)의 통 양단은 모두 개방되어 있다.
수형부재(2)는 통형상 헤드부(21)와, 다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상 헤드부(21)는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斷面) 외곽 형상을, 이 방향에서의 암형부재(3)의 단면 내곽 형상을 따르게 하고 있다. 즉, 통형상 헤드부(21)도, 폭이 넓은 전면부(21a) 및 배면부(21b)와, 폭이 좁은 좌우 양측면부(21c, 21c)를 구비한 편평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헤드부(21)는, 통 일단(一端)이 폐색되며, 통 외단(外端)이 개방되어 있다. 이 통형상 헤드부(21)의 폐색된 통 일단이 상기 밀어넣기를 이룰 때의 조작부(21d)로 되어 있다. 다리부(22)는 통형상 헤드부(21)의 배면부(21b)에 연속하여 이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으로부터 상기 밀어넣기 방향으로 더 뻗는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암형부재(3)는 그 통 일단과 통 외단 사이에, 구획판부(34)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판부(34)는 전면부(31)의 내면으로부터 배면부(32)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암형부재(3)의 배면부(32)는 통 외단으로부터 이 구획판부(34)의 돌출단의 근방까지의 사이에서 절제(切除)되어 배면 개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부재(2)는 암형부재(3)의 통 일단으로부터 다리부(22)를 먼저 이 암형부재(3) 내에 수납하여, 암형부재(3)와 조합되어 있다.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의 전면부(21a)는 암형부재(3)의 전면부(31)의 내면으로 안내되고,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의 배면부(21b)는 암형부재(3)의 배면부(32)의 내면으로 안내되며,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의 측면부(21c)는 암형부재(3)의 측면부(33)의 내면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양단 사이의 치수는 암형부재(3)의 통 일단으로부터 구획판부(34)까지의 치수로 대략 같아지게 되어 있고, 수형부재(2)는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최대로,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이 이 구획판부(34)에 부딪치는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리부(22)는 구획판부(34)와 암형부재(3)의 배면부(32) 사이로부터 암형부재(3)의 통 외단 측으로 뻗어 있고, 상기 배면 개방부(35)에 접하여 있다.
수형부재(2)에서는, 측부 관통구멍(20)은 통형상 헤드부(21)의 전면부(21a)와 배면부(21b)에서 각각, 이 통형상 헤드부(21)의 좌우 방향의 중간 정도의 위치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부 관통구멍(20)은 둥근 구멍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전면부(21a)에 형성되어 있는 측부 관통구멍(20)의 중심과 배면부(21b)에 형성되어 있는 측부 관통구멍(20)의 중심은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의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암형부재(3)에서는, 측부 관통구멍(30)은 그 전면부(31)와 배면부(32)에서 각각, 상기 구획판부(34)와 통 일단 사이에서, 이 암형부재(3)의 좌우 방향의 중간 정도의 위치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부 관통구멍(30)은 둥근 구멍부(30a)와 이 둥근 구멍부(30a)에서의 그 통 외단측을 절결하여 형성된 보조 구멍부(30b)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부(31)에 형성되어 있는 측부 관통구멍(30)의 둥근 구멍부(30a)의 중심과 배면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측부 관통구멍(30)의 둥근 구멍부(30a)의 중심은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의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에서의 좌우의 측부 관통구멍(30, 30) 사이에, 압축 코일스프링(4)의 유지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 유지부(21e)에 스프링의 중심축을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유지된 압축 코일스프링(4)의 스프링 일단이 암형부재(3)의 통형상 헤드부(21)의 조작부(21d)의 내면에 맞닿게 되고, 또한 이 압축 코일스프링(4)의 스프링 외단이 구획판부(34)에 맞닿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지부(21e)는 도시하는 예에서는, 통형상 헤드부(21)의 전면부(21a)와 배면부(21b)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이러한 압축 코일스프링(4)의 감김부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 오목부(21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압축 코일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구획판부(34)에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이 접하는 위치까지 암형부재(3) 내에 수형부재(2)를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에서의 측부 관통구멍(20)과 이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 사이에, 전면부(21a)와 배면부(21b)에서 각각, 빠짐방지 돌기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4)을 유지부(21e)에 유지시킨 상태로부터, 수형부재(2)를 암형부재(3) 내에 빠짐방지 돌기부(21g)가 암형부재(3)의 측부 관통구멍(30)에 들어가는 위치까지 들어가게 함으로써, 이러한 압축 코일스프링(4)의 부세에 관계없이, 빠짐방지 돌기부(21g)를 암형부재(3)의 측부 관통구멍(30)에서의 암형부재(3)의 통 일단(도 5의 상측에 위치되는 암형부재(3)의 통 끝) 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걸치는 위치보다 먼저 수형부재(2)가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빠짐방지 돌기부(21g)에서의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 측으로 향해진 측에는, 경사면(21h)이 형성되어 있고, 암형부재(3)에 수형부재(2)를 조합할 때, 이 경사면(21h)에 의해 수형부재(2)의 통형상 헤드부(21)는 약간 탄성적으로 접혀지고, 또한 암형부재(3)는 약간 탄성적으로 펼쳐져서, 이 조합은 원활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기 구획판부(34)에 통형상 헤드부(21)의 통 외단이 접하는 위치까지 암형부재(3) 내에 수형부재(2)를 밀어넣었을 때에는, 암형부재(3)의 측부 관통구멍(30)의 상기 보조 구멍부(30b)에 상기 빠짐방지 돌기부(21g)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형부재(2)에는, 조작용 장척체(6)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용 장척체(6)의 조작에 의해 수형부재(2)는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용 장척체(6)는 전형적으로는 수형부재(2)에만 부착되어 그 손잡이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조작용 장척체(6)는 고정구(1)의 장비 대상물에 일단을 고정 부착하는 등으로 되어 이러한 고정구(1)를 장비 대상물에 연결하는 계류체(繫留體)로서 구성되기도 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부재(2)의 다리부(22)에,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슬롯(slot)(22a)이 형성되어 있고, 띠모양을 이루는 조작용 장척체(6)를 암형부재(3)의 배면 개방부(35)를 이용하여 이 슬롯(22a)을 통하여 수형부재(2)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러한 슬롯(22a)이 상기 부착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형부재(3)에는, 장비 대상물에의 위치결정수단(3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위치결정수단(36)은 암형부재(3)의 측부에 형성된, 장비 대상물에 구비되는 장척체(7)의 안내부(36b)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36b)는 암형부재(3)의 측부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암형부재(3)는 그 좌우 양면부에 각각 귀형상부(36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귀형상부(36a)의 배면은 암형부재(3)의 배면부(32)와 동일 면(面) 상에 위치하고, 귀형상부(36a)의 전면과 암형부재(3)의 전면부(31)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러한 귀형상부(36a)에 각각, 이 귀형상부(36a)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으로 긴 슬롯형상을 이루는 상기 안내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고정구(1)에 있어서는, 암형부재(3)의 위치결정수단(36)에 의해, 장비 대상물에서의 고정구(1)의 배치 위치에 암형부재(3)를 위치결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첫 번째로, 수형부재(2) 자체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거나 또는 끈형상체(5)를 수형부재(2)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게 하는 크기의 힘으로 인장하여 고정구(1)의 이 끈형상체(5)에의 고정 부착을 해제하는 조작을 암형부재(3)를 누르지 않아도 이룰 수 있다. 또한, 두 번째로, 조작용 장척체(6)를 인장하여 수형부재(2)를 상기 소정 위치까지 인입하는 조작도 암형부재(3)를 누르지 않아도, 용이하게 이것을 이룰 수 있다.
안내부(36b)는 암형부재(3)의 측부, 즉 측면부(3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부재(2)의 밀어넣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비 대상물에 구비되는 장척체(7), 도시하는 예에서는, 띠모양체를 가지고, 이 밀어넣기에 추종하여 암형부재(3)가 달아나도록 이동하지 않게, 장비 대상물에 암형부재(3)를 안정적으로 위치결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안내부(36b)는 암형부재(3)의 측부에 2개소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소의 안내부(36b)의 한쪽을 통하여 인출된 상기 장척체(7)를 이 2개소의 안내부(36b)의 다른 쪽을 통함으로써, 암형부재(3)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비 대상물에 위치결정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장척체(7)의 길이 방향으로의 암형부재(3)의 이동 조정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암형부재(3)의 좌측의 안내부(36b)에 암형부재(3)의 배면부(32)측으로부터 통과된 장척체(7)으로서의 띠모양체를, 암형부재(3)의 전면부(31)측으로부터 암형부재(3)의 우측의 안내부(36b)를 통하여 다시 배면부(32)측으로 인출되어, 이 장척체(7)로서의 띠형상체와 장비 대상물 사이에 암형부재(3)를 사이에 두고 부착하도록 하여 장착 대상물의 소정 위치에 암형부재(3)를 위치결정하도록 하여 있다.
2009년 7월 1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16586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되는 것이다.

Claims (3)

  1. 수형(雄形)부재를 암형(雌形)부재에 대하여, 부세(付勢)에 저항하여 적어도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기 가능하게 조합시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소정 위치에서 서로 연통하는 수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과 암형부재의 측부 관통구멍에 삽입 통과된 끈형상체에 수형부재의 상기 밀어넣기를 해제함으로써 고정 부착하는 고정구로서,
    수형부재에는, 조작용 장척체(長尺體)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용 장척체의 조작에 의해 수형부재가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함께,
    암형부재에는, 장비 대상물에의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수단은 암형부재의 좌우에 형성된 한쌍의 끈안내부로 되어 있으며, 이 끈안내부는 수형부재의 밀어넣기 방향으로 긴 슬롯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수단은 암형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장비 대상물에 구비되는 장척체의 안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암형부재의 측부에, 2개소의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KR1020127000741A 2009-07-14 2010-07-08 끈형상체의 고정구 KR101357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5868A JP2011019622A (ja) 2009-07-14 2009-07-14 紐状体の留め具
JPJP-P-2009-165868 2009-07-14
PCT/JP2010/061644 WO2011007715A1 (ja) 2009-07-14 2010-07-08 紐状体の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13A KR20120027513A (ko) 2012-03-21
KR101357494B1 true KR101357494B1 (ko) 2014-02-11

Family

ID=4344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41A KR101357494B1 (ko) 2009-07-14 2010-07-08 끈형상체의 고정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97314B2 (ko)
EP (1) EP2454963A1 (ko)
JP (1) JP2011019622A (ko)
KR (1) KR101357494B1 (ko)
CN (1) CN102469861B (ko)
HK (1) HK1166452A1 (ko)
TW (1) TWI391582B (ko)
WO (1) WO2011007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3392A (ja) * 2011-04-20 2012-11-15 Nifco Inc コードロック
CN202125566U (zh) * 2011-07-01 2012-01-25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绳扣
JP5819658B2 (ja) * 2011-07-15 2015-11-24 モリト株式会社 コードロック
JP2013106675A (ja) * 2011-11-18 2013-06-06 Nifco Inc 紐留め具
US20150059091A1 (en) * 2013-09-05 2015-03-05 Sophia S.H. Jung Self-storing Beach Blanket
JP6199750B2 (ja) * 2014-01-17 2017-09-20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具
JP6758193B2 (ja) * 2014-04-14 2020-09-23 フライクリップ エルエルシー 運動動作の可視化及び計測に使用されるフィードバック・アセンブリを含むひも調節器アセンブリ
CN204032930U (zh) * 2014-06-24 2014-12-24 际诺思(厦门)轻工制品有限公司 一种可变形多功能抱枕
JP6272169B2 (ja) * 2014-07-24 2018-01-31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US10021944B2 (en) 2015-02-06 2018-07-17 Nifco Inc. Cord lock
CN111828547B (zh) * 2016-05-31 2022-05-1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绳锁定件
US10527129B2 (en) 2016-08-26 2020-01-07 Nike, Inc. Cord lock
CN110522127A (zh) * 2018-05-25 2019-12-03 香港多耐福有限公司 绳扣
US11644083B1 (en) * 2022-06-10 2023-05-09 Charissa Jarrett Fastener with independently operating loc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16A (ja) * 1994-09-21 1996-04-09 Sukoobill Japan Kk 衣類への固定手段付き紐止め具
KR20040105559A (ko) * 2003-06-09 2004-12-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끈형상체의 고정구 및 끈형상체의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0A (ja) 1991-06-24 1993-01-08 Nuclear Fuel Ind Ltd 沸騰水型原子炉用燃料集合体
JP3463984B2 (ja) 1998-12-28 2003-11-05 Ykk株式会社 紐固定具
JP2002348715A (ja) 2001-05-25 2002-12-04 Ykk Corp 衣服用締付調節具
CA2418792C (en) * 2002-02-13 2010-01-12 Clyde Donald Hillier Rope or cable securing device
JP4376699B2 (ja) * 2004-06-03 2009-12-02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および、物品保持機構
JP4496058B2 (ja) * 2004-10-27 2010-07-07 Ykk株式会社 保持具
US7254871B2 (en) * 2005-03-28 2007-08-14 Nifco Inc. Cord lock holder with cord lock, and structure thereof
TWM285936U (en) 2005-10-21 2006-01-21 Taiwan Ind Fastener Corp Rope buckle
JP2009016586A (ja) 2007-07-05 2009-01-22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1597A (ja) * 2007-07-05 2009-01-22 Morito Co Ltd 連結具
CA2685600C (en) 2007-07-17 2012-04-24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lock assembly
US7722219B2 (en) * 2008-01-04 2010-05-25 Scott Hartley Combination cord-stop and ligh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16A (ja) * 1994-09-21 1996-04-09 Sukoobill Japan Kk 衣類への固定手段付き紐止め具
KR20040105559A (ko) * 2003-06-09 2004-12-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끈형상체의 고정구 및 끈형상체의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13A (ko) 2012-03-21
US8997314B2 (en) 2015-04-07
TW201109546A (en) 2011-03-16
CN102469861B (zh) 2016-03-02
HK1166452A1 (zh) 2012-11-02
EP2454963A1 (en) 2012-05-23
CN102469861A (zh) 2012-05-23
US20120159752A1 (en) 2012-06-28
TWI391582B (zh) 2013-04-01
JP2011019622A (ja) 2011-02-03
WO2011007715A1 (ja)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94B1 (ko) 끈형상체의 고정구
US10478977B2 (en) Utility knife
US7513492B1 (en) Hand held quick-clamping device
US20060075609A1 (en) Web position adjusting device
US20060213037A1 (en) Cord lock, cord lock holder, and structure with the same
JP5926678B2 (ja) タング
US20120175473A1 (en) Tube holder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US20120198665A1 (en) Seat belt buckle
US20150040356A1 (en) Buckle for Fastening a Belt
JP2015047652A (ja) 打込み工具
JP3973604B2 (ja) 紐状体の留め具、および、紐状体の留め付け構造
JP2008178593A (ja) 紐留め具
KR200438450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CN107205529B (zh) 绳扣
JP2008061842A (ja) 装身具バンドの中留構造
US9271545B2 (en) Clamping apparatus for clamping at least one strap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9219365B (zh) 绳扣
JP2012086634A (ja) ウェビングガイド構造
WO2012173150A1 (ja) コードロック
US4025991A (en) Belt buckle
KR200376460Y1 (ko) 버클
JP2014030999A (ja) 紐係止具
JP2005058583A (ja) コードロック、コードロックホルダーおよび絞り紐や引き締め紐などの紐によって締め込まれる箇所を備え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