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242B1 -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242B1
KR101356242B1 KR1020127003629A KR20127003629A KR101356242B1 KR 101356242 B1 KR101356242 B1 KR 101356242B1 KR 1020127003629 A KR1020127003629 A KR 1020127003629A KR 20127003629 A KR20127003629 A KR 20127003629A KR 101356242 B1 KR101356242 B1 KR 10135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insert pin
sliding contact
side edg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237A (ko
Inventor
게이이찌 게야끼
다까노리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4Separable slide fasteners with quick opening devices
    • A44B19/388Bottom end stop means for quick open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09Plural independently movable slider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Buck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는, 상기 인서트 핀(30)이, 박스 핀(40)측에 배치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와, 테이프 내측에 배치된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에,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 박스 핀(40)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30E)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30E)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의 평면부를 인서트 핀 선단측으로 연장한 연장선(EL)과 교차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하부 슬라이더(50, 60)에 인서트 핀(30)을 삽입했을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접하는 또는 상기 안내 기둥(60D)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6, 17)끼리의 개방 분리와 결합을 행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일단 개방 분리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6, 17)끼리를 다시 결합할 때에 있어서의 인서트 핀(30)의 삽입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상방향 개방 및 역방향 개방이 가능하고, 또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이 가능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있어서의 좌우 앞길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 박스 핀 및 인서트 핀을 구비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식의 슬라이드 파스너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한쪽의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 인서트 핀이 연속 설치되고, 다른 쪽의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는 상기 인서트 핀을 끼움 삽입하기 위한 상자체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슬라이더를 상자체와 접촉하는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에 있어서, 인서트 핀이 상자체 및 슬라이더에 대하여 끼우고 빼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45859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2개의 슬라이더의 후방구(rear mouth)끼리를 서로 대향시켜 배치함으로써, 상방 및 하방의 양쪽으로부터의 양방향 개방을 가능하게 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는, 상방 및 하방의 양쪽으로부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의 최하단부까지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내려 후방구끼리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에 대하여 끼우고 빼기 가능한 인서트 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는, 하부 슬라이더를 최하단부에서 걸리게 하기 위한 빠짐 방지 스토퍼가 형성된, 박스 핀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45859호 공보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구비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를, 의복의 좌우 앞길의 개폐용으로 사용하면, 상부 슬라이더를 최하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킨 후에, 엘리먼트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빼내어,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그 후,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에 삽입함으로써, 다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끼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끼리를 결합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특허 문헌 1의 도 6에 기재되어 있는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인서트 핀과, 그 인서트 핀이 장착되어 있는 부근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일단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로부터 빼낸 인서트 핀(930)을, 다시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에 끼움 삽입해 가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파스너 스트링거(916, 17)의 좌표계에 관하여, 파스너 스트링거(916, 17)의 길이 방향 중, 인서트 핀(930) 및 박스 핀(40)이 장착되어 있는 방향을 하방(D방향)으로 정의하고, 하방(D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상방(U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스너 스트링거(916, 17)의 면과 평행하며, 상방(U방향)을 향해 우측을 R방향, 좌측을 L방향으로 정의한다.
우선, 도 11을 사용하여, 인서트 핀(930)이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에는, 대향 단부 테두리에 코어부(14)를 형성한 파스너 테이프(11)와, 상기 코어부(14)에 소정의 피치로 장착한 제1 엘리먼트(12)열과, 제1 엘리먼트(12)열의 하방(D방향)에 연속 설치한 인서트 핀(930)과, 인서트 핀(930) 부근의 강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 필름(24)이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930)의 우측 테두리(R방향의 측부 테두리)에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930F)가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 핀(930)의 좌측 테두리(L방향의 측부 테두리)에는 대향측 테두리(930C)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측 테두리(930C)의 선단부에는,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탄부를 갖는 정상 단부벽(930D)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인서트 핀(930)에서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930F)를 하방(D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EL)은, 정상 단부벽(930D)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고 있었다. 이 연장선(EL)과 정상 단부벽(930D)의 교점을, 교차부(ND)라고 정의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사용하여, 종래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상부 슬라이더(50)의 후방구가 하부 슬라이더(60)의 후방구와 접촉하는 최하단부까지 상부 슬라이더(50)를 내리고,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를 개방시키기 위해 발출되어 있었던 인서트 핀(930)을, 다시 상부 슬라이더(50)의 우측(R방향)의 견구(shoulder mouth)로부터 삽입해 가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파스너 테이프(11)와 대략 평행한 절단면이며,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상부 날개편과,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916, 17) 사이에 있어서의 절단면에서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를 절단하여,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는, 예를 들어 롱 코트 등의 좌측 앞길과 우측 앞길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구이다.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는, 좌우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11)와, 당해 파스너 테이프(11)끼리의 대향 단부 테두리를 따라 각각 형성한 코어부(14)와, 각각의 코어부(14)를 끼움 지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한 다수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삽입 관통하여 상방향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슬라이더(50)와, 역방향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하부 슬라이더(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슬라이더(50)의 후방구와 하부 슬라이더(60)의 후방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916, 17)의 하단부(D방향의 단부)의 표리에는, 수지제 필름 등에 의한 보강 필름(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강 필름(24) 및 코어부(14)를 함께 끼워 넣는 형태로, 각각 인서트 핀(930) 및 박스 핀(40)이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박스 핀(40)의 하단부(D방향의 단부)에는, 훅 형상의 스토퍼(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46)는,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까지 내렸을 때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 부분 또는 플랜지(60F)의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하부 슬라이더(60)가 하방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6)를, 박스 핀(40)의 하단부로부터 좌측 방향(L방향)을 향해 스토퍼(46)를 돌출시킴으로써,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플랜지(60F)의 하단부에 결합시키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상부 슬라이더(50)의 표면 날개편(도시하지 않음) 및 이면 날개편(53)은, 상부 슬라이더(50)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L-R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상부(U방향의 부분)에 있어서, 안내 기둥(50D)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더(50)의 표면 날개편 및 이면 날개편(53)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는, 대향 형상으로 플랜지(50F)가 연장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 이면 날개편(53) 및 플랜지(50F)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부 슬라이더(50)의 내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Y자형의 공간이며 좌우 한 쌍의 제1 엘리먼트(12)열 및 제2 엘리먼트(13)열을 삽입 관통하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50)의 표면 날개편의 표면측(도 12에 도시하는 지면의 전방측)에는, 상부 슬라이더(50)의 손잡이를 경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더(5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50D)의 좌우 양측(L-R방향)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의 견구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더(50)의 하단부(D방향의 단부)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의 후방구가 개방되어 있다. 플랜지(50F)의 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당해 플랜지(50F)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이프 삽입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테이프 삽입 통로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에 삽입 관통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장착하고 있는 파스너 테이프(11)를 통과시키는 간극이며, 상부 슬라이더(50)의 미끄럼 이동 시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1)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하부 슬라이더(60)도, 상술한 상부 슬라이더(50)와 마찬가지로, 표면 날개편(도시하지 않음), 이면 날개편(63), 안내 기둥(60D) 및 플랜지(60F)가 형성되고,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견구, 후방구 및 테이프 삽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의 표면 날개편의 표면에는, 하부 슬라이더(60)의 손잡이를 경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와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를 개방 분리시킨 상태로부터, 다시 결합하는 경우에는, 발출한 인서트 핀(9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우측(R방향)의 견구]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인서트 핀(9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삽입한 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 내에 있어서, 인서트 핀(930)이 박스 핀(40)과 평행해지도록,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 하부의 보강 필름(24) 부근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방(D방향)을 향해 삽입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런데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 하부의 보강 필름(24) 부근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 없이,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인서트 핀(930)을 그냥 직진시키면,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930)의 일측부 테두리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미끄럼 접촉함과 동시에 타측부 테두리가 박스 핀(40)에 미끄럼 접촉했을 때에, 연장선(EL)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정상 단부벽(930D)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특히 안내 기둥(60D)의 정점 근방에] 정면으로 충돌해 버린다.
일반적인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에 있어서는, 안내 기둥(60D)에 충돌하는 것은, 정상 단부벽(930D)과 연장선(EL)이 교차하는 교차부(ND) 부근으로 된다. 이때 인서트 핀(930)의 정상 단부벽(930D)은, 안내 기둥(60D)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법선 방향으로부터 충돌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인서트 핀(930)을 하방(D방향)으로 내릴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인서트 핀(930)은, 안내 기둥(60D)에 충돌한 위치[즉, 인서트 핀(930)이 최하단부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서 정지해 버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삽입한 인서트 핀(930)이 정지한 것을 감촉에 의해 감지하고, 인서트 핀(930)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인서트 핀(930)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했다고 판단해 버리면, 다음으로 사용자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를 닫기 위해, 상부 슬라이더(50)를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930)의 정상 단부벽(930D)이, 안내 기둥(60D)의 상부(U방향의 정상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박스 핀(40)의 바로 위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엘리먼트(13)와 맞물릴 상대방의 제1 엘리먼트(12)가 소정의 위치까지 내려가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슬라이더(50)를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키려고 해도, 박스 핀(40)의 바로 위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엘리먼트(13)가 인서트 핀(930)의 상부에 충돌해 버려, 제2 엘리먼트(13)와 인서트 핀(930)이 맞물리지 못하고,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 내면에 인서트 핀(930)이 걸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50)를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억지로 상부 슬라이더(50)를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키려고 하면,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를 파손시켜 버릴 위험성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부 슬라이더(50)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에 있어서의 조작감의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끼리의 개방 분리와 결합을 행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일단 개방 분리 상태로 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끼리를 다시 결합할 때에,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그냥 직진시키면서 삽입한 경우라도, 소정 위치까지 원활하게 인서트 핀을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와,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의 내측 테두리부 하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인서트 핀 및 박스 핀과,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를 개폐하는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는 후방구끼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핀을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 내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을 상기 하부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의 후방구측 정상부를 넘어 삽입 가능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핀은, 상기 박스 핀측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와,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와는 반대로 배치된 테이프 내측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을 향해 상기 박스 핀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평면부를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측으로 연장한 연장선과 교차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에 상기 인서트 핀을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상기 안내 기둥에 접하는 또는 상기 안내 기둥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있어서의 측면은, 연속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을 향해 상기 박스 핀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의 폭 치수가,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감소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더는, 상기 안내 기둥에 의해 연결된 표리면 날개편과, 상기 표리면 날개편의 한쪽에 배치된 정지 갈고리를 갖고, 상기 인서트 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지 갈고리측의 표면에는,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 상기 인서트 핀의 두께를 점감시키도록 경사진 갈고리 안내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 안내 경사면은, 상기 연장선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인서트 핀이, 박스 핀측에 배치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와, 테이프 내측에 배치된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고,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 박스 핀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형성한 제1 경사부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평면부를 인서트 핀 선단측으로 연장한 연장선과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하부 슬라이더에 인서트 핀을 삽입했을 때에,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접하는 또는 상기 안내 기둥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있다. 특히,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제1 경사부는, 하부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의 인서트 핀측 측면에 접하는 또는 상기 인서트 핀측 측면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따르면, 일단 개방 분리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끼리를 다시 결합할 때에,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그냥 직진시키면서 삽입한 경우라도, 인서트 핀을 그 최하단부의 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상하부 슬라이더 내에 삽입했을 때에, 예를 들어 인서트 핀에 있어서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기단부측이 상부 슬라이더의 플랜지에 미끄럼 접촉함과 동시에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선단부측이 박스 핀에 미끄럼 접촉한 경우,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핀의 정상 단부벽(선단면)이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충돌하기 때문에, 인서트 핀의 삽입 조작이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 핀에 있어서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기단부측이 상부 슬라이더의 플랜지에 미끄럼 접촉함과 동시에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선단부측이 박스 핀에 미끄럼 접촉한 경우라도, 인서트 핀의 제1 경사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특히 안내 기둥의 측면)에 접하고, 인서트 핀 선단이 제1 경사부의 경사에 의해 박스 핀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안내 기둥의 후방구측 정상부를 넘어 삽입된다. 혹은, 인서트 핀의 제1 경사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과 충돌하는 일 없이, 인서트 핀 선단이 안내 기둥의 후방구측 정상부를 넘어 삽입된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을,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과의 충돌에 의해 정지시키는 일 없이, 그 최하단부의 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인서트 핀의 최하단부 위치라 함은, 인서트 핀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의 후방구측 정상부보다도 견구측에 도달하고, 또한, 인서트 핀이 박스 핀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안내 기둥의 측면이라 함은,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 면의 기울기(그 면이 만곡면일 때는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로 되는 안내 기둥의 벽면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의 제1 경사부에 있어서의 측면(특히, 제1 경사부에 있어서의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대향하는 대향측 면)을, 연속한 만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삽입했을 때에, 인서트 핀의 선단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충돌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인서트 핀을 최하단부 위치까지 보다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에 있어서의 측면이 만곡면인 것에 의해, 인서트 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슬라이더를 최하단부 위치까지 내린 상태에서 인서트 핀을 상하부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인서트 핀을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는, 인서트 핀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인서트 핀의 선단부를 향해 박스 핀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있어서의 제1 경사부와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에 있어서의 제2 경사부 사이의 폭 치수를,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감소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 선단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1 경사부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서트 핀의 삽입 시에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가 하부 슬라이더의 플랜지 등과 간섭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 핀의 삽입 조작을 보다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 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에,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 상기 인서트 핀의 두께를 점감시키도록 경사진 갈고리 안내 경사면이, 상기 연장선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갈고리 안내 경사면이 연장선과 교차하고, 상기 연장선을 통과하도록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갈고리 안내 경사면은 제1 경사부의 경사면(만곡면)과 더불어, 인서트 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이 구면 형상을 보이게 된다. 그에 의해, 인서트 핀을 삽입할 때에 인서트 핀의 선단이 직선적인 이동이나 회전을 수반하는 이동을 행해도, 하부 슬라이더의 정지 갈고리를 갈고리 안내 경사면에 확실하게 미끄럼 접촉시켜 상기 갈고리 안내 경사면을 따라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 갈고리를 안정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더를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 슬라이더 부근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개방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인서트 핀과 박스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을 박스 핀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며, Ⅳ-Ⅳ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하의 슬라이더를 최하단부까지 내려 일단 인서트 핀을 빼낸 후, 다시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에 끼움 삽입해 가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를 박스 핀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며, Ⅶ-Ⅶ 화살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 인서트 핀을 삽입해 가, 인서트 핀의 선단부 부근이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대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의 선단부 부근과 안내 기둥의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서트 핀을 최하단부까지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인서트 핀과, 그 인서트 핀이 장착되어 있는 부근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종래의 인서트 핀을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에 끼움 삽입했을 때에, 인서트 핀의 선단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더를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 슬라이더 부근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개방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인서트 핀과 박스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을 박스 핀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며, Ⅳ-Ⅳ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는, 예를 들어 재킷이나 롱 코트 등의 좌측 앞길과 우측 앞길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구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6, 17)와,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6, 17)의 대향 단부 테두리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삽입 관통하여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끼리의 맞물림과 분리를 행하는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는, 서로 맞물림 가능하여, 한쪽의 결합 볼록부가 다른 쪽의 결합 오목부에 인입함으로써 맞물림이 행해진다.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는, 대향측 테두리(내측 테두리)에 코어부(14)를 형성한 파스너 테이프(11)와, 코어부(14)를 끼움 지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나열한 다수의 제1 엘리먼트(12)열과, 제1 엘리먼트(12)열의 한쪽의 종단부에 배치한 상지(top stop)구(18)를 갖고 있다. 상지구(18)는, 제1 엘리먼트(12)열로부터 상부 슬라이더(5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제1 엘리먼트(12)열의 다른 쪽의 종단부에 있어서의 파스너 테이프(11)의 표리에는, 수지제 필름 등에 의한 보강 필름(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강 필름(24) 및 코어부(14)를 함께 끼워 넣는 형태로 인서트 핀(30)이 연속 설치되어 있다.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는, 대향측 테두리(내측 테두리)에 코어부(14)를 형성한 파스너 테이프(11)와, 코어부(14)를 끼움 지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나열한 다수의 제2 엘리먼트(13)열과, 제2 엘리먼트(13)열의 한쪽의 종단부에 배치한 상지구(18)를 갖고 있다. 상지구(18)는, 제2 엘리먼트(13)열로부터 상부 슬라이더(5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제2 엘리먼트(13)열의 다른 쪽의 종단부에 있어서의 파스너 테이프(11)의 표리에는, 수지제 필름 등에 의한 보강 필름(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강 필름(24) 및 코어부(14)를 함께 끼워 넣는 형태로,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에 위치 결정하여 보유하기 위한 박스 핀(40)이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인서트 핀(30)과 박스 핀(40)과 하부 슬라이더(60)로,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2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좌표계에 관하여, 파스너 테이프(11)의 길이 방향을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상하 방향이라 하고,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에 대하여 상지구(18)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상방(U방향),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하방(D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파스너 테이프(11)의 표리 방향 중, 지면에 대하여 전방측을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표면(도 4에 도시하는 T방향)이라 정의하고, 반대측을 이면(도 4에 도시하는 B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11)의 테이프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하고,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표면(T방향)을 향해 우측을 R방향, 좌측을 L방향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U방향과 D방향, T방향과 B방향 및 R방향과 L방향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박스 핀(40)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의 대향 단부 테두리의 하단부에서 제2 엘리먼트(13)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박스 핀(40)은, 파스너 테이프(11)의 코어부(14)를 따라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슬라이더(60)를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의 최하단부에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에 삽입한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는, 상부 슬라이더(50)보다도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부 슬라이더(50)와 하부 슬라이더(60)는, 서로의 후방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막대 형상의 박스 핀(40)의 우측 테두리(R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테이프 내측에 배치된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40F), 좌측 테두리(L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인서트 핀(30)측에 배치된 대향측 테두리(40C)라 정의하면, 박스 핀(4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40F)는, 상하부 슬라이더(50, 60)의 플랜지(50F, 60F)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즉, 하부 슬라이더(60) 및 상부 슬라이더(50)를, 각각 박스 핀(40)측의 단부 위치로 되는 최하단부의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하부 슬라이더(60) 및 상부 슬라이더(5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도 2 및 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10 참조) 내에 있어서, 플랜지(50F, 60F)가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40F)에 미끄럼 접촉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에 있어서의 박스 핀(40)의 하단부에는, 훅 형상의 스토퍼(46)가 우측 방향(R방향)을 향해 돌출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하단부까지 내린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 부분은, 스토퍼(46)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하부 슬라이더(60)가 하방(D방향)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스토퍼(46)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6)의 형상으로서, 박스 핀(40)의 하단부로부터 우측 방향(R방향)을 향해 돌출시킨 형상이 채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스토퍼(46)에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 부분의 플랜지(60F)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토퍼(46)의 형상으로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스토퍼(46)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를 박스 핀의 하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의 표면 방향(T방향) 또는 이면 방향(B방향)으로 팽출시킨 형상으로 해 둠으로써,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표면 날개편(62) 또는 이면 날개편(63)(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7 참조)으로 팽출시킨 부위를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여, 하부 슬라이더(60)가 하방(D방향)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40F)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인서트 핀(30)과 대향하는 대향면이다. 도 3의 평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의 상부(U방향의 부분)에는, 제2 걸림부(44)와 안내면(43)을 형성하는 삼각편 형상의 제2 걸림 안내편(42)이, 대향측 테두리(40C)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부(44)는, 제2 엘리먼트(13)열이 존재하는 상방(U방향)측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43)은, 그 폭 방향의 치수가 상방(U방향)을 향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을 보이고,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로부터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미끄럼 접촉하여 박스 핀(40)의 하단부를 우측 방향(R방향)으로 개방시키는 경사 안내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안내면(43)은, 제1 엘리먼트(12)열과 제2 엘리먼트(13)열에 의한 맞물림 상태로의 이행, 맞물림 상태로부터의 해제로 원활하게 이행시키는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부 슬라이더(50, 60)의 각 안내 기둥(50D, 60D)은, 그 후방구측에 정점을 갖고 있다. 안내 기둥(50D, 60D)은, 그 정점으로부터 견구를 향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경사면을 갖고, 견구측에서는, 변곡점을 통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또한, 견구측의 경사면은, 후방구측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경사면보다도 경사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안내 기둥(50D, 60D)의 정점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있어서, 정점 근방에서,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접선의 기울기가 45°보다도 커지는 벽면을 안내 기둥(50D, 60D)의 후방면이라 하고,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로 되는 좌우의 벽면을 안내 기둥(50D, 60D)의 측면이라 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의 대향 단부 테두리의 하단부에서 제1 엘리먼트(12)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 핀(30)은, 파스너 테이프(11)의 코어부(14)를 따른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에는,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에 대하여, 경사 상방으로부터 삽입해 가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좌측 방향(L방향)으로 만곡시켜져 있다.
여기서, 막대 형상의 인서트 핀(30)의 좌측 테두리(L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테이프 내측에 배치된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 우측 테두리(R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박스 핀(40)측에 배치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대향측 테두리)(30C)라 정의한다.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는,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도 2 및 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10 참조)에 삽입할 때에,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플랜지(50F, 60F)(도 2 및 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10 참조)에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의 표면측 테두리(T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표면벽(30T), 이면측 테두리(B방향의 측부 테두리)를 이면벽(30B)이라 정의한다. 인서트 핀(30)의 표면벽(30T) 및 이면벽(30B)은,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도 2 및 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10 참조) 내에 삽입 관통할 때에,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표면 날개편(62) 및 이면 날개편(53)의 내벽(후단에서 설명하는 도 7 참조)에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박스 핀(40)과 대향하는 대향면이다. 이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에는, 테이프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보다도 인서트 핀 선단측에 배치되고,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향해 박스 핀(40)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경사부(3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경사부(30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부 슬라이더(50, 60)에 인서트 핀(30)을 삽입하고, 그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미끄럼 접촉하고, 또한, 상기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에 미끄럼 접촉한 경우에,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의 인서트 핀측 측면에 접하는[또는 안내 기둥(60D)의 인서트 핀측 측면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에는, 제1 엘리먼트(12)열측에 테이프 길이 방향에 평행하고, 인서트 핀(30)을 삽입할 때에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접촉하는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향해 박스 핀(40)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3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경사부(30G)는,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측의 제1 경사부(30E)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경사부(30G)와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측의 제1 경사부(30E) 사이의 폭 치수(L-R방향의 치수)가, 인서트 핀(30)의 선단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측의 제2 경사부(30G)는, 그 경사 각도의 변화가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측의 제1 경사부(30E)보다도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 선단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1 경사부(30E)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서트 핀(30)의 삽입 시에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가 하부 슬라이더(60)의 플랜지(60F) 등과 간섭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을 삽입할 때에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접촉하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의 평면부를,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향해 연장했을 때의 직선을 연장선(EL)이라 정의한 경우에,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를 경사지게 한 제1 경사부(30E)가, 연장선(EL)과 교차하도록 그 경사 정도를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연장선(EL)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삽입하고,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박스 핀(40)에 접촉했을 때에,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와 접촉하는 평면부의 연장선이다. 이 경우, 경사지게 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와 연장선(EL)이 교차하는 위치를 교차부(ND)라 정의한다.
인서트 핀(30)에서는, 교차부(ND)의 근방에 있어서의 부위가,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에 삽입했을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대면하는 대면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경사부(30E)에 있어서의 측면의 형상, 특히 상기 대면 영역에 있어서의 측면의 형상[T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10)를 본 형상]은,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 점차 박스 핀(40)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연속하여 만곡한 만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경사부(30E)에 있어서의 측면의 형상은, 만곡면 형상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평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굴곡된 평탄면의 형상이나, 복수의 굴곡부에 의해 다단계로 굴곡된 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상부(U방향의 부분)에는, 걸림면이 하방(D방향)을 향한 평판 형상의 제1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걸림부(34)는, 최하단부에 배치한 하부 슬라이더(60) 및 상부 슬라이더(5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 내에,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삽입했을 때에, 상술한 박스 핀(40)의 제2 걸림부(44)와 결합하여,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에 정지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에는, 표면벽(30T)을 제1 걸림부(34)를 따라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으로 연장시킨 제1 걸림 안내편(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안내편(32)의 박스 핀(40)측의 단부 테두리에는, 제1 걸림부(34)와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를 연결하는 안내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33)은, 그 폭 방향의 치수가 상방(U방향)을 향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을 보이고,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로부터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미끄럼 접촉하여, 인서트 핀(30)의 하단부를 좌측 방향(L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안내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안내편(32)은, 표면벽(30T)를 연장시켜 형성한 부위이기 때문에,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 내에 삽입 관통시켰을 때에는, 제1 걸림 안내편(32)의 이면(B방향)측에, 박스 핀(40)의 제2 걸림 안내편(42)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제2 걸림 안내편(42)의 정상부와, 인서트 핀(30)측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이며, 제1 걸림 안내편(32)과 제1 걸림부(34)로 둘러싸이는 부분에는, 릴리프 홈(36)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안내편(32)은,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제1 걸림부(34)를 보강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제1 엘리먼트(12)열측의 제1 걸림부(34)의 상면에는, 제2 엘리먼트(13)열의 최하단부에 있는 제2 엘리먼트(13)의 맞물림 헤드부에 설치된 결합 오목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30)의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향해 표면벽(30T)을 서서히 이면벽(30B)측으로 경사지게 한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은, 후단에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삽입해 갈 때에, 자동 정지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더로서 기능하는 하부 슬라이더(60)의 정지 갈고리(64)(도 2 참조)를, 표면(T방향)측으로 밀어 젖혀, 원활한 삽입 조작을 행하기 위해 설치한 경사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슬라이더(60)를 하방(D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끼리를 맞물려 가서,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인서트 핀(30)의 선단과, 박스 핀(40)의 선단은,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의 후방구측 정상부보다도 견구측까지 삽입 가능하고, 또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와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의 좌우(L-R방향)의 길이를 정렬시켜 좌우 대칭으로 하여, 외관을 정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를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할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이 인서트 핀(30)과 박스 핀(40) 사이에 걸리는 일 없이 도입할 수 있으므로, 하부 슬라이더(60)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의 길이를 적절히 짧게 설정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더(60)를 하방(D방향)의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에 있어서,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와 박스 핀(40)의 선단부를,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수납하여 숨겨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까지 내린 상태에 있어서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외관을 정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다시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에 끼움 삽입해 가는 과정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단 빼낸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좌측(L측)의 견구로부터 삽입하여, 인서트 핀(30)의 선단부가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를 하방(D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를 박스 핀(40)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며, 도 6에 도시하는 Ⅶ-Ⅶ 화살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 인서트 핀(30)을 삽입해 가, 인서트 핀(30)의 선단부 부근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대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인서트 핀(30)의 선단부 부근과 안내 기둥(60D)의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까지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부위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6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상부 슬라이더(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더(50)의 저부를 형성하고 있는 이면 날개편(53)에 있어서의 상방의 부분(U방향의 부분)의 좌우 방향(L-R방향) 중앙부로부터는, 안내 기둥(50D)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기둥(50D)은, 그 후방구측에 정점을 갖고 있고, 또한, 그 정점으로부터 견구를 향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경사면을 갖고, 견구측에서는, 변곡점을 통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내 기둥(50D)의 표면(T방향)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표면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의 표면(T방향)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경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더(50)의 표면 날개편 및 이면 날개편(53)의 좌우(L-R방향) 양측 테두리부로부터는, 대향하는 날개편측을 향해 좌우의 플랜지(50F)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 이면 날개편(53) 및 플랜지(50F)에 의해 둘러싸이는 슬라이더의 내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Y자형의 공간이며 좌우 한 쌍의 제1 엘리먼트(12)열 및 제2 엘리먼트(13)열을 삽입 관통하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으로부터는, 자동 정지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더로서 기능시킬 때의 정지 갈고리(54)(도 6, 도 8 참조)가,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내에 진퇴 가능하게 돌출시켜져 있다. 정지 갈고리(54)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로부터 손을 놓으면,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내에 진출하고,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1 엘리먼트(12)열 또는 제2 엘리먼트(13)열의 간극에 인입하여, 상부 슬라이더(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할 때에,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정지 갈고리(54)가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로부터 끌어 올려진다. 그러면, 제1 엘리먼트(12)열 또는 제2 엘리먼트(13)열의 간극으로부터 정지 갈고리(54)가 빠져, 고정되어 있었던 상부 슬라이더(5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부 슬라이더(5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50D)의 좌우 양측(L-R방향)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의 견구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더(50)의 하부(D방향의 부분)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의 후방구가 개방되어 있다. 플랜지(50F)의 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당해 플랜지(50F)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이프 삽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테이프 삽입 통로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에 삽입 관통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장착하고 있는 파스너 테이프(11)를 통과시키는 간극이며, 상부 슬라이더(50)의 미끄럼 이동 시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1)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좌우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내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상부 슬라이더(50)를 도 1에 도시하는 상방(U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분리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상부 슬라이더(50)의 좌우(L-R방향)의 견구로부터 도입한다. 도입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은,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의 플랜지(50F)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합류하고, 맞물림 상태로 되어 도 1에 도시하는 하방(D방향)의 후방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50)를 도 1에 도시하는 하방(D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후방구로부터 도입한다. 도입한 맞물림 상태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은, 안내 기둥(50D)을 따라 좌우 방향(L-R방향)으로 분리한 후에, 도 1에 도시하는 상방(U방향)의 양쪽의 견구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하부 슬라이더(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저부를 형성하고 있는 이면 날개편(63)에 있어서의 하방의 부분(D방향의 부분)의 좌우 방향(L-R방향) 중앙부로부터는, 안내 기둥(60D)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기둥(60D)은, 그 후방구측에 정점을 갖고 있고, 또한, 그 정점으로부터 견구를 향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경사면을 갖고, 견구측에서는, 변곡점을 통해 폭 방향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내 기둥(60D)의 표면(T방향)측에는, 표면 날개편(62)(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62)의 표면(T방향)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경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 슬라이더(60)의 표면 날개편(62) 및 이면 날개편(63)의 좌우(L-R방향) 양측 테두리부로부터는, 대향하는 날개편측을 향해 좌우의 플랜지(60F)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62), 이면 날개편(63) 및 플랜지(60F)에 의해 둘러싸이는 슬라이더의 내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Y자형의 공간이며 좌우 한 쌍의 제1 엘리먼트(12)열 및 제2 엘리먼트(13)열을 삽입 관통하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날개편(62)으로부터는, 자동 정지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더로서 기능시킬 때의 정지 갈고리(64)(도 6 내지 도 10 참조)가,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진퇴 가능하게 돌출시켜져 있다. 정지 갈고리(64)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로부터 손을 놓으면,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진출하고,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1 엘리먼트(12)열 또는 제2 엘리먼트(13)열의 간극에 인입하여, 하부 슬라이더(6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할 때에,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정지 갈고리(64)가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로부터 끌어 올려진다. 그러면, 제1 엘리먼트(12)열 또는 제2 엘리먼트(13)열의 간극으로부터 정지 갈고리(64)가 빠져, 고정되어 있었던 하부 슬라이더(6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의 좌우 양측(L-R방향)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의 견구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하부 슬라이더(60)의 상부(U방향의 부분)에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의 후방구가 개방되어 있다. 플랜지(60F)의 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당해 플랜지(60F)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이프 삽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테이프 삽입 통로는,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에 삽입 관통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장착하고 있는 파스너 테이프(11)를,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로부터 하부 슬라이더(60)의 외부에 취출하는 간극이며, 하부 슬라이더(60)의 미끄럼 이동 시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1)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다.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에 있어서의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는, 각각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 내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더(60)가 상부 슬라이더(50)보다도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부 슬라이더(50)의 후방구와 하부 슬라이더(60)의 후방구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하부 슬라이더(60)를 도 1에 도시하는 상방(U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후방구로부터 도입한다. 도입한 맞물림 상태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은, 안내 기둥(60D)을 따라 좌우 방향(L-R방향)으로 분리한 후에, 도 1에 도시하는 하방(D방향)의 양쪽의 견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좌우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 슬라이더(60)를 도 1에 도시하는 하방(D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분리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을, 하부 슬라이더(60)의 좌우(L-R방향)의 견구로부터 도입한다. 도입한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은,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의 플랜지(50F)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합류하고, 맞물림 상태로 되어 도 1에 도시하는 상방(U방향)의 후방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를 하방(D방향)으로 내려 가면, 박스 핀(40)과 인서트 핀(30)이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로부터 도입되어, 박스 핀(4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46)가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 부분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 위치가 하부 슬라이더(60)의 최하단부로 된다.
좌우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끼리의 모든 맞물림을 분리시킬 때에는,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부 슬라이더(50)의 후방구가 하부 슬라이더(60)의 후방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상부 슬라이더(50)를 더욱 하방(D방향)으로 내린다. 그러면, 모든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열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의 하단부의 보강 필름(24) 부분을 파지하여, 인서트 핀(30)을 상방(U방향)으로 끌어 올린다. 그러면,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T)로부터 빼낼 수 있고, 좌우의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와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를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일단, 좌우의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와 제2 파스너 스트링거(17)를 개방 분리시킨 상태로부터, 다시 결합시킬 때에는,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의 하단부의 보강 필름(24) 부분을 파지하여,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좌측 방향(L방향)의 견구로부터 삽입한다.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삽입해 가, 인서트 핀(30)의 선단부가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를 하방(D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하고 있는 상태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인서트 핀(30)을 더욱 깊게 삽입해 가는 경우에 있어서는,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가 미끄럼 접촉하고, 인서트 핀(30)의 안내면(33)과 상부 슬라이더(50)의 안내 기둥(50D)이 미끄럼 접촉하면서, 인서트 핀(30)이 하방(D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인서트 핀(30)을 더욱 깊게 삽입해 가면,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표면벽(30T)에 정지 갈고리(64)가 접촉한다.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에는, 인서트 핀(30)의 두께를 점감시키도록 표면벽(30T)을 서서히 이면벽(30B)측을 향해 경사지게 한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에 정지 갈고리(64)가 접촉한다.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에 정지 갈고리(64)가 접촉한 상태에서, 더욱 인서트 핀(30)을 하방(D방향)을 향해 삽입해 가면, 인서트 핀(30)의 갈고리 안내 경사면(39) 상을 정지 갈고리(64)가 미끄럼 접촉하면서, 정지 갈고리(64)가 표면(T방향)측을 향해 퇴피한다(도 7을 참조). 이렇게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는, 하부 슬라이더(60)의 정지 갈고리(64)가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통과할 수 있어, 인서트 핀(30)을 더욱 하방(D방향)을 향해 삽입해 갈 수 있다.
이 경우,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이 형성된 인서트 핀(30)의 선단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핀(30)의 표리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이면벽(30B)측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의 선단은, 정지 갈고리(64)가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에 돌출한 상태에 있어서, 정지 갈고리(64)의 돌출 단부보다도 이면(B방향)측에 위치한다.
특히, 이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은, 제1 경사부(30E)가 형성되는 개소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은, 상기 연장선(EL)을 통과하도록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은, 연장선(EL)과 교차하고 있는 제1 경사부(30E)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은, 갈고리 안내 경사면(39)과 제1 경사부(30E)의 만곡면이 서로 어울려 구면 형상을 보이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인서트 핀(30)을 삽입할 때에, 인서트 핀(30)의 삽입을 직선적으로 또는 회전을 수반하면서 행해도, 하부 슬라이더(60)의 정지 갈고리(64)를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표면(T방향)측에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정지 갈고리(64)를 안정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인서트 핀(30)을 직진시키면서 더욱 삽입해 가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측의 제1 경사부(30E)가,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대면한다. 이때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는,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와 접촉하고 있고,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는,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와 접촉하고,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과는 근소하게 이격되어 있지만, 안내 기둥(60D)과 대면한 상태로 된다[또한,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와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은 접촉한 상태이어도 됨].
이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과 가장 근접한 부분을 근접점(CP)이라 정의한다. 또한,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50T, 60) 내에 삽입해 갈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과 대향하는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만곡 형상의 범위를, 대면 영역이라 정의한다.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서트 핀(30)을 삽입하여,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와 접촉하고,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와 접촉한 상태에 있을 때,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와의 접촉점으로부터 인서트 핀(30)의 선단을 향하는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범위를, 대면 영역이라 정의한다.
또한,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와 안내 기둥(60D)이 대향 또는 대면한다라 함은,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면과 안내 기둥(60D)의 표리 방향(T-B방향)을 형성하는 벽면이 서로 마주 향하는 것이며, 그들 면이 수직으로 되는 경우에는 대면은 아니다. 또한, 인서트 핀(30)과 안내 기둥(60D)은 이격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서로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근접점(CP)은, 교차부(ND)보다도 박스 핀(40)측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종래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도 12 참조)에서는, 인서트 핀(930)의 정상 단부벽(930D)이 안내 기둥(60D)에 접촉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의식하여 제1 파스너 스트링거(916)의 하단부의 보강 필름(24)을 회전시키면서, 인서트 핀(930)을 삽입해 갈 필요가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910)에서는, 인서트 핀(9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930F)를,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와 접촉시키고, 또한, 인서트 핀(30)의 대향측 테두리(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930C)를,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와 접촉시키도록 인서트 핀(930)을 삽입한 경우, 인서트 핀(930)의 정상 단부벽(930D)이 안내 기둥(60D)에 충돌하여, 인서트 핀(930)의 삽입이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측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제1 경사부(30E)를,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향해 박스 핀(40)측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킨 경사면(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인서트 핀(30)의 선단부가,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측으로 경사지게 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과 대면하는 대면 영역으로 되도록, 안내 기둥(60D)과의 위치 관계를 정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경사부(30E)의 경사면은,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미끄럼 접촉하고, 또한,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일 때에,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으로부터 이격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또한, 제1 경사부(30E)의 경사면은, 안내 기둥(60D)의 인서트 핀측 측면에 접하는 각도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됨]. 이러한 제1 경사부(30E)를 갖는 인서트 핀(30)을 구성함으로써, 인서트 핀(30)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인서트 핀(30)의 대면 영역이 안내 기둥(60D)과 접촉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인서트 핀 삽입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인서트 핀(30)은,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박스 핀(40)과 접촉하는 접촉점과,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연장선(EL)과 교차하는 교차부(ND) 사이의 간격(거리)을, 상기 접촉점으로부터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의 정점까지의 간격(거리)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의 제1 경사부(30E)에 있어서의 측면 형상은, 연속한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30)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인서트 핀 삽입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측에 형성한 제2 경사부(30G)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30E)보다도 경사 각도의 변화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서트 핀(30)을 삽입할 때에, 인서트 핀(30)의 제2 경사부(30G)가 하부 슬라이더(60)의 플랜지(60F)에 접촉하는 일도 없다.
또한, 예를 들어 인서트 핀(30)을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삽입할 때에, 상기 인서트 핀(30)을 조금 회전시키면서 삽입함으로써, 인서트 핀(30)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가 상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0F)에 미끄럼 접촉하지만, 인서트 핀(30)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가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에 미끄럼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서트 핀(30)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여, 인서트 핀 삽입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 인서트 핀(30)을 하방(D방향)을 향해 삽입해 가면, 서서히 인서트 핀(30)은 박스 핀(40)과 평행해지도록 회전해 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인서트 핀(30)의 제1 걸림부(34)(도 3 참조)가 박스 핀(40)의 제2 걸림부(44)(도 3 참조)에 접촉함으로써,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핀(30)이 박스 핀(40)과 평행해진다라 함은, 인서트 핀(30)에 있어서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평면부 또는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의 평면부와, 박스 핀(40)의 대향측 테두리(40C)가 서로 평행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는, 종래에는 인서트 핀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의 안내 기둥에 충돌하는 각도로 인서트 핀을 삽입한 경우라도, 인서트 핀(30)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상기 인서트 핀(30)을 최하단부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와, 박스 핀(40)의 선단부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의 위치는,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의 상방(U방향) 정상부(후방구측 정상부)로부터, 인서트 핀 하단부 위치까지의 치수(DP)만큼 하방(D방향)으로 내린 위치이다.
인서트 핀(30)의 선단이, 하부 슬라이더(60)의 안내 기둥(60D)보다도 하방(U방향)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하부 슬라이더(60)를 최하단부로부터 상방(U방향)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인서트 핀(30)의 선단부를 하부 슬라이더(60)의 견구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원활한 개방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와 인서트 핀(30)이 최하단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인서트 핀(30)의 선단부와 박스 핀(40)의 선단부는 하부 슬라이더(60)의 엘리먼트 안내 통로(60T) 내에 숨은 상태로 되어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12, 13)에는, 금속제나 수지제의 엘리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 형상의 모노 필라멘트를 코일 형상으로 권회한 코일 형상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봉착해도 되고,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보통 사용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방향 개방 및 역방향 개방이 가능하고, 또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이 가능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의 용도로서는, 재킷이나 코트에 있어서의 좌우의 앞길을 개폐하는 용도, 스포츠웨어, 그 밖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0, 910 :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11 : 파스너 테이프
12 : 제1 엘리먼트
13 : 제2 엘리먼트
14 : 코어부
16, 916 : 제1 파스너 스트링거
17 : 제2 파스너 스트링거
18 : 상지구
22 :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24 : 보강 필름
30, 930 : 인서트 핀
30C :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
30E : 제1 경사부
30F, 40F, 930F :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
30G : 제2 경사부
30T : 표면벽
30B : 이면벽
32 : 제1 걸림 안내편
33, 43 : 안내면
34 : 제1 걸림부
36 : 릴리프 홈
37, 937 : 기둥 안내 경사면
38 : 맞물림 돌기
39 : 갈고리 안내 경사면
40 : 박스 핀
40C, 930C : 대향측 테두리
42 : 제2 걸림 안내편
44 : 제2 걸림부
46 : 스토퍼
50 : 상부 슬라이더
50D, 60D : 안내 기둥
50F, 60F : 플랜지
50T, 60T : 엘리먼트 안내 통로
53, 63 : 이면 날개편
54, 64 : 정지 갈고리
60 : 하부 슬라이더
62 : 표면 날개편
64 : 정지 갈고리
930D : 정상 단부벽
CP : 근접점
DP : 안내 기둥의 상방 정상부로부터 인서트 핀 하단부 위치까지의 치수
EL : 연장선
ND : 교차부

Claims (4)

  1.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6, 17)와,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6, 17)의 대향측 테두리부 하단부에 배치된 인서트 핀(30) 및 박스 핀(40)과,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6, 17)를 개폐하는 상부 슬라이더(50) 및 하부 슬라이더(60)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50, 60)는 후방구끼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핀(30)을 상기 상부 슬라이더(50)의 견구로부터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50, 60)의 표면 날개편(62)과 이면 날개편(53, 63) 사이에 배치된 엘리먼트 안내 통로 내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을 상기 하부 슬라이더(60)에 있어서의 안내 기둥(60D)의 후방구측 정상부를 넘어 삽입 가능한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핀(30)은, 상기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의 제1 엘리먼트열의 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파스너 스트링거(16)의 파스너 테이프(11)의 테이프 대향 측부 테두리를 따라 테이프 표면 및 이면에 고착된 막대 형상 부분과, 인서트 핀 선단에 걸쳐서 상기 박스 핀(4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하는 선단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핀(30)은, 상기 박스 핀(40)측의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와,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의 반대측에 배치된 테이프 내측의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에,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에 걸쳐서 상기 박스 핀(4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30E)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에, 테이프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부와,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에 걸쳐서 상기 박스 핀(4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30G)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30E)의 상기 박스 핀(40) 측의 측면은,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50, 60)로의 상기 인서트 핀(30)의 삽입시에, 상기 하부 슬라이더(60)의 상기 안내 기둥(60D)으로부터 회피하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은,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표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의 상기 평면부를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측으로 연장한 연장선(EL)을 포함하는 테이프 표리 방향을 따른 평면에 대하여,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60)는, 상기 표면 날개편(62)에 배치되고, 상기 엘리먼트 안내 통로 내에 돌출하는 정지 갈고리(64)를 갖고,
    상기 인서트 핀(30)의 만곡하는 상기 선단 부분의 상기 정지 갈고리(64)측의 표면에,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로부터 인서트 핀 선단에 걸쳐서, 상기 인서트 핀 선단을 향해서 상기 인서트 핀(30)의 두께를 점감시키는 동시에,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를 향해서 상기 인서트 핀(30)의 두께를 점감시키도록 경사진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핀(30)은, 상기 파스너 테이프(11)의 하단부 테두리로부터 연장한 연장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은,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 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중심 위치보다 테이프 이면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C)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경사부(30E)와 상기 플랜지 미끄럼 접촉측 테두리(30F)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경사부(30G)와의 사이의 폭 치수가, 상기 인서트 핀(30)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안내 경사면(39)은, 상기 연장선(EL)을 가로 질러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4. 삭제
KR1020127003629A 2009-09-11 2009-09-11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KR101356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5943 WO2011030448A1 (ja) 2009-09-11 2009-09-11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237A KR20120031237A (ko) 2012-03-30
KR101356242B1 true KR101356242B1 (ko) 2014-01-28

Family

ID=4373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629A KR101356242B1 (ko) 2009-09-11 2009-09-11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167354A1 (ko)
EP (1) EP2476332B1 (ko)
JP (1) JP5430664B2 (ko)
KR (1) KR101356242B1 (ko)
CN (1) CN102481039B (ko)
ES (1) ES2621201T3 (ko)
HK (1) HK1167582A1 (ko)
TW (1) TWI403285B (ko)
WO (1) WO2011030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29B1 (ko) * 2008-12-26 2013-04-2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
WO2011077544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1161784A1 (ja) * 2010-06-23 2011-12-29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TWI631916B (zh) * 2017-05-24 2018-08-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梢狀組件
CN107692413A (zh) 2017-11-17 2018-02-16 理想拉链(江苏)有限公司 一种船坞拉头
WO2019116514A1 (ja) * 2017-12-14 2019-06-2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08685286B (zh) * 2018-07-24 2023-12-19 江苏戴世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拉链用插销组件
JP6712623B2 (ja) * 2018-08-20 2020-06-24 松本ナ−ス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付き縫製品
USD887895S1 (en) * 2018-08-31 2020-06-23 Ykk Corporation Insert pin for slide fastener
CN114340440A (zh) * 2019-10-10 2022-04-12 Ykk株式会社 金属制链牙以及拉链
WO2021090494A1 (ja) * 2019-11-08 2021-05-1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7356879B2 (ja) * 2019-11-22 2023-10-05 Ykk株式会社 開具及び逆開スライドファスナー
DE102019008395B4 (de) * 2019-12-03 2021-08-12 Cosimo Emanuel Jann Magnetisches Verschlussystem mit Dreheinrastmechanismus
CN116348010A (zh) * 2020-10-28 2023-06-27 Ykk株式会社 双开尾拉链用分离嵌插件
US11877629B1 (en) * 2023-02-04 2024-01-23 Kcc Zipper Co., Ltd. Bottom stop device of double-open end zipper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476A (ko) * 1998-09-30 2000-04-25 요시다 다다히로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JP2006346364A (ja) 2005-06-20 2006-12-28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KR20080035983A (ko) * 2006-10-20 2008-04-2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5268A (en) * 1963-10-23 1965-03-30 Louis H Morin Dual slider stop
JPS5925227Y2 (ja) * 1978-06-15 1984-07-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の開離嵌插具
AU519818B2 (en) * 1978-10-09 1981-12-24 Yoshida Kogyo K.K. A separable slide fastener
JPS5925220Y2 (ja) * 1978-10-09 1984-07-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
JPS6014731U (ja) * 1983-07-11 1985-01-31 斎藤 利世 植毛部を曲げ2本を1組にした歯の裏側用の歯刷子
JPS6014713U (ja) * 1983-07-12 1985-01-3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
JP2587759Y2 (ja) * 1992-10-29 1998-12-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GB2327709A (en) * 1997-07-25 1999-02-03 Ykk Europ Ltd Snap fitted bottom stop for zip fastener
JP3589440B2 (ja) * 1997-11-28 2004-11-17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3622885B2 (ja) * 1997-12-18 2005-02-23 Ykk株式会社 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用の開離嵌挿具
JP3621006B2 (ja) * 1999-09-30 2005-02-16 Ykk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およびスライダー
JP3621040B2 (ja) * 2000-10-31 2005-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JP3733327B2 (ja) * 2001-12-20 2006-01-11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2003334108A (ja) * 2002-05-20 2003-11-25 Ykk Corp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155933B2 (ja) 2004-03-05 2008-09-2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逆開き具
GB0506680D0 (en) * 2005-04-01 2005-05-11 Ykk Europ Ltd A readily burstable slide fastener
JP4726876B2 (ja) * 2007-10-15 2011-07-2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0067459A1 (ja) * 2008-12-12 2010-06-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US20100299887A1 (en) * 2009-06-02 2010-12-02 Yu-Pau Lin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assembly for zipper
WO2011077544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9072347B2 (en) * 2010-09-06 2015-07-07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and slider for slide faste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476A (ko) * 1998-09-30 2000-04-25 요시다 다다히로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JP2006346364A (ja) 2005-06-20 2006-12-28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KR20080035983A (ko) * 2006-10-20 2008-04-2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JP2008099975A (ja) 2006-10-20 2008-05-01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6332A4 (en) 2015-12-30
WO2011030448A1 (ja) 2011-03-17
TW201108963A (en) 2011-03-16
JP5430664B2 (ja) 2014-03-05
HK1167582A1 (en) 2012-12-07
ES2621201T3 (es) 2017-07-03
TWI403285B (zh) 2013-08-01
CN102481039B (zh) 2014-10-29
KR20120031237A (ko) 2012-03-30
CN102481039A (zh) 2012-05-30
US20120167354A1 (en) 2012-07-05
EP2476332B1 (en) 2016-12-14
EP2476332A1 (en) 2012-07-18
JPWO2011030448A1 (ja)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242B1 (ko) 역방향 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KR100761182B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8844101B2 (e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JP5220127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4762108B2 (ja) 逆開き開離嵌挿具付き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1938706B1 (en) Slide fastener with top end stop
JP4628329B2 (ja)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1153549B1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은폐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0821892B1 (en) Auto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EP1969958B1 (en) Concealed type slide fastener
EP1886592A2 (en) Slide fastener slider
EP1192871B1 (en) Slider for linear slide fastener
EP2904922B1 (en) Slide fastener
KR20130124580A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CN100571563C (zh) 具有自动锁紧装置的拉链拉头
JP2002136309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EP2460430B1 (en) Slide fastener
EP2380454A1 (en) Slide zipper with slider insert
JP2005111248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
CN114641219A (zh) 拉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