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911B1 -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911B1
KR101355911B1 KR1020110139384A KR20110139384A KR101355911B1 KR 101355911 B1 KR101355911 B1 KR 101355911B1 KR 1020110139384 A KR1020110139384 A KR 1020110139384A KR 20110139384 A KR20110139384 A KR 20110139384A KR 101355911 B1 KR101355911 B1 KR 101355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elt
center
marking
guid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905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9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80Identifying, e.g. coding, dating, marking, numb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8Handling tyre parts or semi-finished parts, excluding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는, 이송되는 고무 벨트(2)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안내하고 또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된 한 쌍의 안내수단(3)과; 이송되는 고무벨트(2)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수단(3)을 매개하여 고무벨트의 센터를 설정하여 안내되게 하는 센터링 수단(4); 및 상기 안내수단(3)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에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수단(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는, 재단공정에서 고무 벨트의 폭에 대응하여 그 센터를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표시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 편차를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Center marking apparatus for rubber belt}
본 발명은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mark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단공정에서 고무 벨트의 센터를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표시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 편차를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린 타이어의 성형공정에서는, 반제품 형태로 미리 조립된 고무 시트 또는 벨트 등(이하 '고무 벨트'라 함)의 센터를 성형드럼의 센터와 맞추어 고무 벨트를 부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무 벨트의 센터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성형드럼에 고무 벨트가 와인딩되면, 작업자는 성형드럼에 비치는 레이저 광 등의 센터표시 빛을 기준으로, 고무 벨트의 3-4개 지점에 대하여 좌, 우 폭의 편차를 줄자를 이용하여 고무 벨트의 센터를 측정하고 또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고무 벨트의 센터 확인방식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고무 벨트의 센터를 확인하고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나아가서 고무 벨트의 센터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무 벨트가 그대로 성형공정에 투입되어,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좌, 우 진동이나 쏠림이 발생하는 등 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공개 제2010-0058883호로 재단공정에서 적용하도록 된 '타이어 반제품인 벨트 폭 조절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선형가이드 축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브래킷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브래킷은 안내롤과 강철 와이어를 매개로 무게 추에 연결되어, 고무벨트의 폭에 따라 가이드 롤러의 폭이 가변되면서 고무 벨트의 폭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는 고무 벨트의 센터를 안내하기 위하여 선형 가이드축에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 1열의 안내장치로는 고무 벨트의 일부 재료가 베어링 틈새로 유입됨에 따라 센터조절이 제대로 되지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특히 고무 벨트와 가이드 롤러의 접촉지점이 2개이기 때문에 정확한 센터확인 및 조절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의 규격과는 무관하게 고무 벨트의 센터를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표시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 편차를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는, 이송되는 고무 벨트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안내하고 또 이송되는 고무 벨트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된 한 쌍의 안내수단과; 이송되는 고무벨트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수단을 매개하여 고무벨트의 센터를 설정하여 안내되게 하는 센터링 수단; 및 상기 안내수단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에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내수단은, 이송되는 고무 벨트의 양쪽 에지에 접촉되어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타이밍 벨트를 갖춘 제 1선형가이드 축과; 이 제1 선형가이드 축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타이밍 벨트를 갖춘 제 2선형가이드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센터링 수단은,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와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가 각각 설치된 타이밍 벨트를 조인트를 매개로 각각 서로 엇갈리게 교차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와, 이들 링크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안내 롤러를 매개로 잡아당겨 인장력을 가하는 무게 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킹수단은, 공압으로 신축작동하는 실린더의 로드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무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의 로드는, 그 선단에 결합된 마킹 롤러가 이송되는 고무벨트와 간섭되지않게 상승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킹수단은, 마킹 롤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근접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는, 재단공정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의 폭에 대응하여 그 센터를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표시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 편차를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수단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1)는, 이송되는 고무 벨트(2)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안내하고 또 이송되는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된 한 쌍의 안내수단(3)과;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수단(3)을 매개하여 고무 벨트(2)의 센터를 설정하여 안내되게 하는 센터링 수단(4); 및 상기 안내수단(3)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에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수단(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되어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6a, 6b)가 그 사이 거리가 조절가능하게 브래킷(6c)을 매개로 설치된 타이밍 벨트(6)를 갖춘 제 1선형가이드 축(7)과; 이 제1 선형가이드 축(7)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8a, 8b)가 그 사이 거리가 조절가능하게 브래킷(8c)을 매개로 설치된 타이밍 벨트(8)를 갖춘 제 2선형가이드 축(9)을 포함한다.
즉, 제1 ,2가이드 롤러(6a, 6b, 8a, 8b)는 제 1,2 선형가이드 축(7, 9)상에서 각각 그 위치, 즉 그 사이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송되는 벨트(2)의 규격 및 종류가 변화하여 이송벨트(2)의 폭이 달라지면, 후술하는 센터링 수단(4)의 작동에 의하여 그 폭에 대응하여 이송벨트(2)의 양쪽의 에지에 4개 지점에서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된다.
여기서, 센터링 수단(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가이드 롤러(6a, 6b, 8a, 8b)가 브래킷(6c, 8c)을 매개로 연결된 타이밍 벨트(6, 8)를 조인트(10)를 통해 각각 서로 엇갈리게 교차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11), 이들 링크(11)를 와이어(12)로 연결하여 안내 롤러(13)를 매개로 잡아당겨 인장력을 가하는 무게 추(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선형가이드 축(7)의 타이밍 벨트(6)에 설치된 왼쪽의 제1 가이드 롤러(6a)와 제2 선형가이드 축(9)의 타이밍 벨트(8)에 설치된 오른쪽의 제2 가이드 롤러(8b)가, 그리고 제 1선형가이드 축(6)의 타이밍 벨트(6)에 설치된 오른쪽의 제1 가이드 롤러(6b)와 제 2선형가이드 축(9)의 타이밍 벨트(8)에 설치된 왼쪽의 제2 가이드 롤러(8a)가, 이들 타이밍 벨트(6, 8)와 링크(11)를 거쳐, 조인트(10)를 매개로 각각 서로 엇갈리게,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교차연결된다.
따라서, 무게 추(14)의 중량에 의하여 와이어(12), 링크(11) 및 타이밍 벨트(6, 8)를 매개로 상기 제1 ,2 가이드 롤러(6a, 6b, 8a, 8b)는 그 위치가 제 1, 2 선형가이드 축(6, 9) 상에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폭이 변화하게 되면, 제1 ,2 가이드 롤러(6a, 6b, 8a, 8b)는 4개 지점에서 각각 고무벨트(2)의 에지에 접촉하면서 가압하여 고무 벨트(2)의 센터가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안내되어, 이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이 고무 벨트(2) 상의 센터와 성형드럼(도시 안 됨)에 레이저로 표시되는 센터 마킹표시가 일치되는 지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마킹수단(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으로 신축작동하는 실린더(15)의 로드(16)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무벨트(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예컨대 스크래치를 내어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 롤러(17)를 포함한다. 그런데 마킹롤러(17)는 이송되는 고무 벨트(2)와의 접촉에 따른 진동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게추(도시 안 됨)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6)는, 그 선단에 결합된 마킹 롤러(17)가 이송되는 고무벨트(2)가 반대로 후진하는 경우에도, 이와 간섭되지 않도록 도 1에서 가상선으로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킹수단(5)은, 설비의 진동이나 이상 떨림에 의하여 마킹 롤러(17)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확인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18)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의 마킹장치(1)는,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폭이 변화하게 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안내수단(3)의 제1 ,2 가이드 롤러(6a, 6b, 8a, 8b)가 센터링 수단(4)의 작동에 의하여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4개 지점에서 각각 고무 벨트(2)의 에지에 접촉하여 가압하면서 안내하므로, 고무 벨트(2)의 센터가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이송되고, 이와 같이 이송되는 고무벨트(2)에 마킹수단(5)으로 고무 벨트(2)의 센터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 편차를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2: 고무 벨트 3: 안내수단
4: 센터링수단 5: 마킹수단
6,9: 제 1,2 선형가이드 축 6a, 6b, 8a, 8b: 제1 ,2 가이드 롤러
6, 8: 타이밍 벨트 11: 링크
12: 와이어 14: 무게추
15: 실린더 17: 마킹 롤러

Claims (6)

  1. 이송되는 고무 벨트(2)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안내하고 또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된 한 쌍의 안내수단(3)과;
    이송되는 고무벨트(2)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수단(3)을 매개하여 고무벨트의 센터를 설정하여 안내되게 하는 센터링 수단(4); 및
    상기 안내수단(3)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에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수단(5)을 포함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은,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되어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6a, 6b)가 설치된 타이밍 벨트(6)를 갖춘 제1 선형가이드 축(6)과; 이 제1 선형가이드 축(6)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되는 고무 벨트(2)의 양쪽 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8a, 8b)가 설치된 타이밍 벨트(8)를 갖춘 제 2선형가이드 축(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4)은,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6a, 6b)와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8a, 8b)가 각각 설치된 타이밍 벨트(6, 8)를 조인트(10)를 매개로 각각 서로 엇갈리게 교차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11)와, 이들 링크(11)를 와이어(12)로 연결하여 안내 롤러(13)를 매개로 잡아당겨 인장력을 가하는 무게 추(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5)은, 공압으로 신축작동하는 실린더(15)의 로드(16)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무벨트(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센터를 표시하는 마킹 롤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5)의 로드(16)는, 그 선단에 결합된 마킹 롤러(17)가 이송되는 고무벨트(2)와 간섭되지 않게 상승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5)은, 마킹 롤러(17)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근접센서(1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KR1020110139384A 2011-12-21 2011-12-21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KR10135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84A KR101355911B1 (ko) 2011-12-21 2011-12-21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84A KR101355911B1 (ko) 2011-12-21 2011-12-21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05A KR20130071905A (ko) 2013-07-01
KR101355911B1 true KR101355911B1 (ko) 2014-01-28

Family

ID=4898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384A KR101355911B1 (ko) 2011-12-21 2011-12-21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2245B1 (ja) * 2021-08-31 2022-06-2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825A (ko) * 2003-12-01 2005-06-0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벨트 센터 가이딩 장치
KR100716228B1 (ko) * 2006-05-19 2007-05-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KR20100058883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인 벨트 폭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825A (ko) * 2003-12-01 2005-06-0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벨트 센터 가이딩 장치
KR100716228B1 (ko) * 2006-05-19 2007-05-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KR20100058883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인 벨트 폭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05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39830T1 (de) Biegemaschine zum biegen eines länglichen werkstückes nach vorbestimmten krümmungsradien
US9302853B2 (en) Installation with at least one continuous conveyor belt for conveying materials and products
KR20100123820A (ko) 시트의 처짐 평가방법 및 평가장치
AU2019236697A1 (en) Blanked refuse winding apparatus for continuous label paper
KR101820690B1 (ko) 강판 두께 측정장치
CN106182851A (zh) 胎面自动供料架
KR101355911B1 (ko) 고무 벨트의 센터 마킹장치
KR20130014837A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장치의 가압력 유지방법
JP2022532312A (ja) 細長い要素の形状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US8279454B2 (en) Method of measuring a length of sections of extrados or intrados curves of an elongated workpiece, and relevant length measuring instrument
US20180361446A1 (en) Closed loop roller leveler with oscillating laser sensors
CN111755989B (zh) 实时监测电缆受力的组合式输送机构架
JP2013515623A (ja) 切断前にプライ角度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746109B1 (ko) 트레드 자동 접합장치
KR20170021503A (ko) 핀치 롤러 장치
KR20100078176A (ko) 권취기 보조장치
JP5509739B2 (ja) 厚板剪断設備、鋼板蛇行制御方法および鋼板蛇行防止方法
KR20080032237A (ko) 타이어 벨트 제조 기계 스트립 정렬 시스템
JP6314642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走行抵抗力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374254B1 (ko) 실시간 압연시트 두께 측정장치
KR101967957B1 (ko) 밸런스 표시유닛 및, 롤의 정렬상태 측정장치
US85345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paper roll
WO2021251474A1 (ja) 光ファイバの曲げ損失測定方法
KR101440346B1 (ko) 압연기의 롤 크라운 측정기
JP4851635B1 (ja) 狭幅多条スリッタの各個独立駆動式精密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