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955B1 -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955B1
KR101354955B1 KR1020120129903A KR20120129903A KR101354955B1 KR 101354955 B1 KR101354955 B1 KR 101354955B1 KR 1020120129903 A KR1020120129903 A KR 1020120129903A KR 20120129903 A KR20120129903 A KR 20120129903A KR 101354955 B1 KR101354955 B1 KR 10135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embossing
plate
remova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장지에 일정한 문구의 점자를 연속하여 각인하는 점자 각인 판 을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해 제조하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은, 포장지의 일정한 위치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점자를 각인시키는 점자 각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에는 다수의 오목한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금형에는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금형성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금속판을 배치시킨 후, 프레싱하여 상기 요홈과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엠보싱과 상면에 프레스홈을 형성하는 프레스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엠보싱 중 점자 이외의 부분의 엠보싱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판에 점자의 의미가 부여된 양각판을 형성하는 제거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 THROUGH THE FORMATION AND REMOVAL FOR EMBOSSING METHOD MAKING OF BRAILLE TYPESETTING }
본 발명은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장지에 일정한 문구의 점자를 연속하여 각인하는 점자 각인 판 을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해 제조하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Braille)란 시각장애인(A blind person)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일컫는다.
시각장애인들은 이렇게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접촉해서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시각장애인들도 제품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장지에도 점자를 인쇄하였다.
하지만 포장지에 점자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자 각인 판을 제작하여 연속적으로 포장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자를 인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지에 연속적으로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각인 판으로는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289544에 개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자 각인 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상, 하부 프레스판의 제작과정을 보인 제작과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자 각인 판은, 상, 하부 프레스판(10)(20)에 소망하는 점자의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대응되는 요철부(11)(21)를 형성한 다음, 상기 상, 하부 프레스판(10)(20) 사이에 전지(40)를 넣은 다음, 두 상,하부 프레스판(10)(20)을 소정의 압력으로 프레스하여 전지(40)가 하부로 돌출(엠보싱)되게 함으로서 소망하는 점자를 형성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상, 하부 프레스판(10)(20)을 제작하는 과정은, 하부프레스판(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판에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오목한 홈(11)을 형성하여 하부프레스판(10)을 형성하였고, 상부프레스판(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판 상면에 볼록한 돌기(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공기계로 가공하여 하부프레스판(20)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하부프레스판(10)은 프레스판면에 가공기계로 간단하게 오목한 홈(11)을 형성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해도 되나, 상부프레스판(20)에 볼록한 돌기(21)는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고, 돌기(21)가 없는 부분은 평면 가공을 하여야하기 때문에 볼록한 돌기(21)의 절삭가공이 난 가공이고, 그로 인해 전문적인 제조업체에 의뢰하여야 하며 이는 비용이 증가하고, 빠른 가공을 실현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가공이 쉽고, 제작비 및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업체에서 쉽게 직접 제작하여 비용을 줄이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각판을 제작하는 금형을 양각판에 부여되는 점자의 의미에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은, 포장지의 일정한 위치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점자를 각인시키는 점자 각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에는 다수의 오목한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금형에는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금형성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금속판을 배치시킨 후, 프레싱하여 상기 요홈과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엠보싱과 상면에 프레스홈을 형성하는 프레스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엠보싱 중 점자 이외의 부분의 엠보싱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판에 점자의 의미가 부여된 양각판을 형성하는 제거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 이전에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프레스홈에 메움재를 주입하여 메워주는 홈메움단계와; 상기 프레스홈에 메워진 상기 메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움재는 액체 상태에서 외부작용에 의해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금형성형단계, 상기 프레스단계, 상기 제거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점자 각인 판을 제작함으로써, 가공이 쉽고, 제작비 및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필요한 업체에서 쉽게 직접 제작하여 비용을 줄이고, 빠르게 점자 각인 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금형성형단계에서 제작된 금형은 상기 제거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양각판의 점자의 의미에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관없이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형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홈메움단계와 상기 경화단계에 의해 상기 프레스홈을 메워줌으로써, 제작된 양각판의 돌출부가 포장지에 점자를 각인할 때,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돌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자 각인 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상, 하부 프레스판의 제작과정을 보인 제작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금형성형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프레스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홈메움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제거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금형성형단계를 도시한 과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프레스단계를 도시한 과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홈메움단계를 도시한 과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중 제거단계를 도시한 과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은, 포장지의 일정한 위치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점자를 각인시키는 점자 각인 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성형단계(S10), 프레스단계(S20), 홈메움단계(S30), 경화단계(S40), 제거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성형단계(S10)는 하부금형(10)에는 다수의 오목한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금형(20)에는 상기 요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록한 돌기부(2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형성형단계(S10)는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계를 통해 오목한 상기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금형(20)의 하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계를 통해 볼록한 상기 돌기부(2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는 서로 대응되게 점자를 표시하는 부분에 전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는 후술하는 점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 형성된다.
즉, 점자는 한 음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6개의 위치 중 어느 부분이 돌출되어 있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렇게 돌출되는 부분과 상관없이 6개의 위치 모두에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11)의 최대 직경(D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1)의 직경(D2)과 후술하는 프레스단계(S20)에서 상기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판(30) 두께의 두 배를 합한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요홈(11)에 상기 프레스단계(S20)에서 상기 돌기부(21)와 상기 금속판(30)이 함께 삽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프레스단계(S20)는 상기 하부금형(10)과 상기 상부금형(20) 사이에 금속판(30)을 배치시킨 후, 프레싱하여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상기 금속판(30)의 배면에 엠보싱(31)과 상면에 프레스홈(3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스단계(S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11)이 형성된 하부금형(10)과 상기 돌기부(21)가 형성된 상기 상부금형(20) 사이에 상기 금속판(30)을 배치시킨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10) 및/또는 상기 상부금형(20)을 프레싱 즉, 눌러서 상기 금속판(30)의 배면에는 상기 요홈(11)에 의해 상기 엠보싱(31)이 형성되면서 상기 금속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상기 프레스홈(32)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렇게 상기 프레스단계(S20)에서 상기 금속판(30)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31)은, 점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 형성된다.
즉, 전술한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와 같이 점자는 한 음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6개의 위치 중 어느 부분이 돌출되어 있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렇게 돌출되는 부분과 상관없이 6개의 위치 모두에 상기 엠보싱(31)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요홈(11)과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상기 엠보싱(31)이 형성되기 때문에 똑같이 상기 엠보싱(31)이 6개의 위치 모두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엠보싱(31)은 후술하는 상기 제거단계(S50)에서 돌출이 필요한 부분을 제외 한 나머지 상기 엠보싱(31)은 제거되어 양각판(100)에 점자의 의미에 따라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홈메움단계(S30)는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상기 금속판(3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프레스홈(32)에 메움재(40)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메움단계(S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단계(S20)에서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프레스홈(32)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움재(40)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메움재(40)를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프레스홈(32)에 하나하나 주입할 수도 있고, 상기 금속판(30)의 배면에 메움재(40)를 도포하여 상기 메움재(40)가 상기 프레스홈(32)에 주입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의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스홈(32)에 상기 메움재(40)를 주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움재(40)는 액체 상태로 주입하여 상기 프레스홈(32)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움재(40)는 후술하는 상기 경화단계(S40)에서와 같이 외부작용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움재(40)의 일예로는 합성수지, UV경화제 등이 있다.
상기 경화단계(S40)는 상기 프레스홈(32)에 메워진 상기 메움재(4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단계(S40)는 상기 프레스홈(32)에 액체 상태로 주입된 상기 메움재(40)를 고체 상태로 경화시켜 상기 프레스홈(32)에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메움재(40)가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상기 프레스홈(32)에 주입될 때, 높은 온도에서 용융된 액체 상태로 주입되고, 상기 경화단계(S40)에서는 낮은 온도에 배치하여 경화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메움재(40)가 UV경화제일 경우에는 액체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홈(32)에 주입되고, 상기 경화단계(S40)에서 UV(자외선)에 노출시켜 상기 UV경화제가 경화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움재(40)는 액체 상태에서 외부작용에 의해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쉽게 상기 프레스홈(32)을 메울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양각판(100)의 돌출부(110)가 포장지(P)에 점자를 각인할 때, 반복되는 사용으로 피로가 누적되어 상기 양각판(100)의 돌출부(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움재(40)로 상기 프레스홈(32)을 메우지 않을 경우, 제작된 상기 양각판(100)의 반속되는 사용에 의해 상기 프레스홈(32)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10)가 압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메움재(40)에 의해 상기 돌출부(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거단계(S50)는 상기 금속판(3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엠보싱(31) 중 점자 이외의 부분의 엠보싱(31)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판(30)에 점자의 의미가 부여된 양각판(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거단계(S5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이외의 부분의 상기 엠보싱(31)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판(30)에 돌출이 필요한 부분의 엠보싱(31)은 그대도 두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P)에 점자의 의미에 따라 점자를 각인시키는 상기 돌출부(110)가 형성된 상기 양각판(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거단계(S50)는 점자의 의미에 상관없이 6개의 모든 부분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엠보싱(31) 중 점자의 의미에 따라 필요없는 상기 엠보싱(31)을 제거하여 포장지(P)에 점자의 의미에 따라 각인시키는 상기 돌출부(110)가 형성되게 상기 엠보싱(31)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거단계(S50)는 점자의 의미에 따라 돌출부(110)가 돌출 형성된 상기 양각판(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거단계(S50)에서 상기 메움재(40)가 상기 금속판(30)의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함께 제거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양각판(10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음각판(200)에는 상기 양각판(100)의 돌출부(110)가 삽입되는 삽입홈(2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음각판(200)에 상기 삽입홈(210)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자 각인 판을 제조함으로써, 가공이 쉽고, 제작비 및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필요한 업체에서 쉽게 직접 제작하여 비용을 줄이고, 빠르게 점자 각인 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금형성형단계(S10)에서 제작된 금형은 상기 제거단계(S50)에서 형성되는 상기 양각판(100)의 돌출부(110)에 상관없이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형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점자 각인 판의 사용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포장지(P)에 점자를 각인시키는 방법으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스(310)에는 상기 양각판(100)을 부착하고, 하부프레스(320)에는 상기 음각판(200)을 부착한다.
이후 포장지(P)를 그 사이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프레스(310, 320)를 이동시켜 포장지(P)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10)가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면서 상기 포장지(P)도 함께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10)가 상기 삽입홈(210)에 상기 포장지(P)도 함께 삽입되면서 포장지(P)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점자를 형성하게 된다.
또 다른 사용방법으로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음각판(200)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410)의 외주면에 부착시키다.
그리고 상부롤러(4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양각판(100)을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양각판(100)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돌출부(110)가 상기 음각판(200)의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부착한다.
이후 상기 상부롤러(420)와 상기 하부롤러(410)를 회전시키면서 그 사이를 포장지(P)가 지나가게 한다.
이렇게 포장지(P)가 상기 상부롤러(420)와 상기 하부롤러(410)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양각판(10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10)가 상기 음각판(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맞물리면서 포장지(P)도 함께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포장지(P)에 점자가 각인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지(P)가 상기 상부롤러(420)와 상기 하부롤러(410)에 부착된 상기 음각판(200)과 상기 양각판(100) 사이를 지내게 되면서 점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빠르고 쉽게 포장지(P)에 점자를 각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품에 특징에 따라 점자 각인 판을 쉽고 간단하게 제작하여 포장지(P)에 점자를 각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게 제품마다 제품을 특징 등 다양한 정보를 쉽게 알 수는 포장지(P)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상태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다른 다양한 사용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S10: 금형성형단계 S20: 프레스단계 S30: 홈메움단계
S40: 경화단계 S50: 제거단계
10: 하부금형 11: 요홈 20: 상부금형
21: 돌기부 30: 금속판 31: 엠보싱
32: 프레스홈 40: 메움재
100: 양각판 110: 돌출부 200: 음각판
210: 삽입홈 310: 상부프레스 320: 하부프레스
410: 하부롤러 420: 상부롤러
P: 포장지

Claims (2)

  1. 포장지의 일정한 위치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점자를 각인시키는 점자 각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에는 다수의 오목한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금형에는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금형성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금속판을 배치시킨 후, 프레싱하여 상기 요홈과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엠보싱과 상면에 프레스홈을 형성하는 프레스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엠보싱 중 점자 이외의 부분의 엠보싱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판에 점자의 의미가 부여된 양각판을 형성하는 제거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 이전에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프레스홈에 메움재를 주입하여 메워주는 홈메움단계와;
    상기 프레스홈에 메워진 상기 메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움재는 액체 상태에서 외부작용에 의해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KR1020120129903A 2012-11-16 2012-11-16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KR10135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03A KR101354955B1 (ko) 2012-11-16 2012-11-16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03A KR101354955B1 (ko) 2012-11-16 2012-11-16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955B1 true KR101354955B1 (ko) 2014-01-22

Family

ID=5014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903A KR101354955B1 (ko) 2012-11-16 2012-11-16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273A (ko) 2022-08-23 2024-03-04 박초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제품 혹은 상품 생산 공정, 그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품 혹은 상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775A (ja) 2000-10-06 2002-04-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凹凸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89544Y1 (ko) 2002-06-28 2002-09-16 김형기 맹인 점자용 포장박스
KR200423545Y1 (ko) 2006-05-22 2006-08-10 최병현 점자 블록
KR100643522B1 (ko)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775A (ja) 2000-10-06 2002-04-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凹凸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89544Y1 (ko) 2002-06-28 2002-09-16 김형기 맹인 점자용 포장박스
KR100643522B1 (ko)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KR200423545Y1 (ko) 2006-05-22 2006-08-10 최병현 점자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273A (ko) 2022-08-23 2024-03-04 박초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제품 혹은 상품 생산 공정, 그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품 혹은 상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9044569A1 (ja) 容器の加飾方法、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加飾容器、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マンドレル、ドラムおよび加飾装置
CN110561839B (zh) 一种纸张印刷品深压纹凹凸版的生产工艺
TW201350355A (zh) 一種字模、使用該字模之手工具壓字方法及其製品
KR101354955B1 (ko) 엠보싱 형성과 제거를 통한 점자 각인 판 제조방법
CN204340371U (zh) 一种凹凸模切一体印刷板
CN206277783U (zh) 模切产品的钢印成型烫金一体设备
CN106346945B (zh) 用于制造出全息图的印版和用于制造印版的方法
CN207026262U (zh) 螺旋槽成型模及具有螺旋槽的油箱加油口
US2872861A (en) Forming or molding apparatus
JPH09141366A (ja) 小形プレス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1333566U (zh) 用于从材料切割形状或图案的模具和包括该模具的套件
JP5662673B2 (ja) 複合品の製造方法
CN203236864U (zh) 刻字字模
KR100317544B1 (ko) 아크릴판 제조방법
CN202156108U (zh) 一种凹凸压印机的凹版结构
ATE340397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nzen und prägen von faltschachtelzuschnitten
KR200289544Y1 (ko) 맹인 점자용 포장박스
CN205022198U (zh) 组合式面条印字模具
KR101614757B1 (ko) 입체 인쇄면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방법
JP2004314465A (ja) 段ボールの刻印及び成形体
CN209851095U (zh) 压印模切板
CN203061659U (zh) 一种压凸治具
CN208614956U (zh) 冲压贴合模
KR101129496B1 (ko) 판넬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325963B1 (ko) 수지성형 조각장식을 갖는 차량용 계기명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