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212B1 - 전방 교통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전방 교통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212B1
KR101354212B1 KR1020130090488A KR20130090488A KR101354212B1 KR 101354212 B1 KR101354212 B1 KR 101354212B1 KR 1020130090488 A KR1020130090488 A KR 1020130090488A KR 20130090488 A KR20130090488 A KR 20130090488A KR 101354212 B1 KR101354212 B1 KR 10135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traffic control
holder
control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한해수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교통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지주, 이 지주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을 막는 차단부재, 및 이 차단부재를 부풀리도록 하거나 오그라들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로써 차량의 전방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차단부재로부터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전방 통제 상황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 교통통제장치{TRAFFIC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방 교통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로써 차량의 전방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차단부재로부터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전방 통제 상황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전방 교통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널은 주행거리의 최단거리화 및 고속화를 위해 해당 지형에 대응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터널은 주로 산 등을 관통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터널은 그 내부가 어둡고 공기소통이 원활치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전등설비 및 공기환풍기 등이 설치되게 된다.
근처의 전력설비를 이용하여 전등설비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며, 공기환풍기의 팬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터널내 공기를 환기시키고 있다.
그런데, 터널 내에서 누전 등으로 인해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화염 및 유독가스 등의 발생으로 터널내의 공기환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나, 실제적으로 화염에 의해 전등설비 및 공기환풍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불타게 되어 전원공급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유독가스의 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터널 내 사고가 있을 경우에는 원천적으로 터널 내 진입을 금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차량 진입 경고장치에 관련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691742호(발명의 명칭: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차량 진입 경고장치는 터널 전방에 스크린을 하강시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스크린이 펄럭임으로 인해 운전자의 급제동으로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차량 진입 경고장치는 스크린의 펄럭임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나 무게바를 스크린 하측에 삽입함에 따라 차량이 부딪히면서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차량 진입 경고장치는 도로 상부에서 스크린이 하강하도록 프레임을 제작해야 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로써 차량의 전방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차량이 차단부재에 부딪히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를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방향으로 부풀려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전방 통제 상황을 명확히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는: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을 막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부풀리도록 하거나 오그라들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주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며 오그라든 상기 차단부재를 수용하는 홀더,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에 외기를 불어넣거나 배기시키는 송풍부재, 및 부풀려진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며 오그라드는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홀더 내부로 수용 안내하는 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심부재는, 상기 홀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단부재의 단부 내측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배기시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홀더 내측으로 탄성 복귀 유도하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표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지주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 개폐밸브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는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경고문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경고문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는 전방 교통 통제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전광판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는 상기 차단부재의 부풀려짐에 따른 운전자의 주의를 위해 알림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로써 차량의 전방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차량이 차단부재에 부딪히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차단부재를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방향으로 부풀려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전방 통제 상황을 명확히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미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미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100)는 지주(110), 차단부재(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주(110)는 도로(2)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세워진다. 즉, 지주(110)는 도로변에 세워진다.
이때, 지주(110)는 터널이나 교량 등 차량 진입 통제가 필요한 곳으로부터 전방으로 설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세워진다. 편의상, 지주(110)는 도로(2)의 양측 가장자리변에 세워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특히, 지주(110)는 도로변에서 지상으로 설정거리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차단부재(120)는 지주(110) 각각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차단부재(120)는 합성수지, 멤브레인, 및 원단 등의 재질로 이뤄져 차량이 부딪히더라도 차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부(130)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할 시 차단부재(120)를 부풀리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차량의 진행에 간섭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초기 상태로 오그라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차단부재(120)는 주입되는 외기(外氣)에 의해 부풀려지거나, 외기의 강제 배기로 인해 오그라들게 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재(120)는 외기의 주입 및 배기를 위해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부(130)는 홀더(132), 송풍부재(134), 및 심부재(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더(132)는 지주(110)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홀더(132)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주(1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홀더(132)는 차단부재(120)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이는, 차단부재(120)에 주입되는 외기에 의해 차단부재(120)와 홀더(13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차단부재(120)의 개방측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홀더(132)와 연결된다.
아울러, 홀더(13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오그라든 차단부재(1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홀더(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홀더(132)는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송풍부재(134)는 홀더(132)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고, 차단부재(120)의 개방측은 홀더(132)의 개방된 타측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재(134)는 홀더(132)를 통해 차단부재(120) 내부로 외기를 불어넣거나, 또는 차단부재(120) 내부의 외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차단부재(120)가 외기에 의해 부풀린 상태에서 펄럭일 경우, 운전자는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차단부재(120)가 외기의 배기시 홀더(132) 내부로 삽입되어야 한다.
그래서, 차단부재(120)는 심부재(136)를 구비한다.
심부재(136)는 부풀려진 차단부재(120)를 지지함으로써 처짐이나 펄럭임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고, 오그라드는 차단부재(120)를 홀더(132) 내부로 수용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심부재(136)는 탄성부재(135) 및 표피부재(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35)는 일측이 홀더(132)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차단부재(120)의 단부 내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35)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35)는 항상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을 작용한다. 즉, 차단부재(120)는 탄성부재(135)에 의해 홀더(132)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탄성부재(135)는 걸고리나 박음질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홀더(132) 및 차단부재(120)에 연결된다.
이때, 탄성부재(135)가 차단부재(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단부재(120) 내측면과 접촉한 채 수축될 경우, 차단부재(120)는 탄성부재(135) 사이에 끼이게 되어 손상 또는 찢어지게 된다.
그래서, 표피부재(137)가 구비된다. 표피부재(137)는 탄성부재(135)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표피부재(137)는 탄성부재(135)의 수축 이완시 차단부재(120)와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여 차단부재(1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표피부재(137)는 배기시 탄성부재(135)의 하측 휘어짐을 방지하여 차단부재(120)와 탄성부재(135)를 홀더(132) 내측으로 탄성 복귀 유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표피부재(137)는 원단 등 가요성을 갖고 통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표피부재(137)는 탄성부재(135)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를 탄성부재(135)를 감싼 상태로 박음질 처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부재(135)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홀더(132)는 지주(11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지주(110)는 마주하도록 한 쌍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지주(110)는 동일한 개수의 홀더(132)를 구비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지주(110)의 홀더(132)는 일직선상으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홀더(132) 각각은 개폐밸브(138)를 구비하고, 각 개폐밸브(138)는 송풍부재(134)로부터 송풍되는 외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지주(110) 각각은 내측에 외기 안내용 채널(112)을 형성하고, 채널(112)과 연결되게 일측으로 개방된다. 편의상, 지주(110)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하측에 송풍부재(134)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하나의 지주(110)에 구비된 홀더(132) 각각의 개폐밸브(138)는 하나의 송풍부재(134)가 작동시 동시에 개방[ON] 되거나 또는 시간 차이를 두고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특히, 진입하는 차량이 부풀어오르는 차단부재(120)와 부딪히지 않도록, 지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최상측에 위치한 차단부재(120)부터 최하측의 차단부재(120)가 순서대로 부풀어오름이 바람직하다. 물론, 어느 하나의 지주(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차단부재(120)가 부풀어오르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풍부재(134)와 개폐밸브(138)는 자동 또는 수동 제어에 의해 가동된다.
이때, 마주하여 일대일 대응되는 차단부재(120)는 동시에 부풀어오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로(2)에 나란하도록 마주한 차단부재(120)는 동시에 도로(2)의 중앙 방향으로 부풀려지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송풍부재(134)가 차단부재(120) 내부의 외기를 배기하도록 작동되면, 도로(2)에 나란하도록 마주한 차단부재(120)는 동시에 도로(2)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오그라들면서 대응되는 홀더(132) 내측으로 수용되다.
물론, 송풍부재(134)는 개폐밸브(138)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송풍부재(134)는 차단부재(120)의 부풀기 시간 및 오그라들기 시간 설정에 따라 송풍량이 결정된다.
한편, 차단부재(120)는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경고문구(140)를 형성한다. 이는, 차단부재(120)가 부풀려지며 차량을 통제하는 것임을 문구로서 운전자에게 확인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때, 경고문구(140)는 각각의 차단부재(120)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의 차단부재(120)에 형성되며, 다양한 글귀 또는 문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고문구(140)는 형광물질로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주(110)는 부풀려진 차단부재(120)의 경고문구(14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15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단부재(120)의 부풀려진 상태와 경고문구(140)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조명부재(150)는 차단부재(120)에 외기 주입을 위해 개폐밸브(138)의 개방 작동시 자동 발광 제어되거나 또는 수동 조작된다.
물론, 조명부재(150)는 도로(2) 가장자리변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는 차단부재(120)의 부풀림시 아무런 이유 없이 통제함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그래서, 지주(110)는 전방 교통 통제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전광판(16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광판(160)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지주(11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전광판(160)은 엘이디 디스플레이패널로 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전방 교통 통제상황을 문구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전광판(160)에 '전방화재' 문구가 새겨지도록 하여 전방 교통 통제 사유를 도시한다. 물론, 전광판(160)에는 교통 통제 사유에 따라 다양한 문구로 표시될 수 있다. 전광판(160)은 지주(110) 각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주(110)는 차단부재(120)의 부풀려짐에 따른 운전자의 주의를 위해 알림부(17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알림부(17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편의상, 지주(110)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광등으로 도시된다.
알림부(170)는 개폐밸브(138)가 작동으로 차단부재(120)가 부풀려짐과 동시에 발광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알림부(170)는 수동 조작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 교통통제장치(100)는 홀더(132) 각각에 송풍부재(134)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포함된 개폐밸브(138)는 필요치 않게 된다.
아울러, 각 송풍부재(13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거나 시간차이를 두고 작동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교통통제장치 110: 지주
120: 차단부재 130: 작동부
132: 홀더 134: 송풍부재
136: 심부재 135: 탄성부재
137: 표피부재 138: 개폐밸브
140: 경고문구 150: 조명부재
160: 전광판 170: 알림부

Claims (7)

  1.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을 막는 차단부재; 및
    외기의 주입이나 배기 유도하면서 상기 차단부재를 부풀리도록 하거나 오그라들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주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며, 오그라든 상기 차단부재를 수용하는 홀더;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에 외기를 불어넣거나 배기시키는 송풍부재; 및
    부풀려진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며, 오그라드는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홀더 내부로 수용 안내하는 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부재는, 상기 홀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단부재의 단부 내측에 연결되며,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표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피부재는 수축 이완되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차단부재를 보호하고,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지주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경고문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경고문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전방 교통 통제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전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차단부재의 부풀려짐에 따른 운전자의 주의를 위해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교통통제장치.
KR1020130090488A 2013-07-30 2013-07-30 전방 교통통제장치 KR10135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88A KR101354212B1 (ko) 2013-07-30 2013-07-30 전방 교통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88A KR101354212B1 (ko) 2013-07-30 2013-07-30 전방 교통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212B1 true KR101354212B1 (ko) 2014-01-23

Family

ID=5014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488A KR101354212B1 (ko) 2013-07-30 2013-07-30 전방 교통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44B1 (ko) 2014-06-23 2016-02-04 심이택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867U (ko) * 1980-08-06 1982-02-22
JPH11301484A (ja) * 1998-04-15 1999-11-02 Nippon Signal Co Ltd:The 伸縮式遮断ゲートバー
KR20100004741U (ko) * 2008-10-29 2010-05-10 위너기술주식회사 광고판과 신호등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차단기
JP4482831B2 (ja) * 2007-06-19 2010-06-16 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化協会 伸縮自在な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867U (ko) * 1980-08-06 1982-02-22
JPH11301484A (ja) * 1998-04-15 1999-11-02 Nippon Signal Co Ltd:The 伸縮式遮断ゲートバー
JP4482831B2 (ja) * 2007-06-19 2010-06-16 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化協会 伸縮自在な遮断装置
KR20100004741U (ko) * 2008-10-29 2010-05-10 위너기술주식회사 광고판과 신호등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44B1 (ko) 2014-06-23 2016-02-04 심이택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742B1 (ko)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CN102310835B (zh) 膝部气囊设备
CN101024389B (zh) 膝部安全气囊
KR101717149B1 (ko) 차량진입차단장치
MX9401288A (es) Sistema de proteccion de golpe en la cabeza de impacto lateral.
KR20190084622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ES2103695T1 (es) Instalacion de proteccion de bolsa de aire para impacto lateral.
ES2189261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inflable para ocupantes de un vehiculo, destinado para proteger en caso de impacto lateral la zona de la cabeza y del torax.
KR101354212B1 (ko) 전방 교통통제장치
ATE372903T1 (de) Airbag mit doppelt gesteuerter entlüftung
US20080216416A1 (en) Portable modular inflatable barrier
KR102042560B1 (ko)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100637879B1 (ko) 맨홀 공사시 안전장치
KR101607318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101630441B1 (ko) 좌우회전형 튜브 안전표시판
DE602005003846D1 (de) Sicherheitsanordnung mit einem aufblasbaren element und verfahren zum aufblasen eines aufblasbaren elements
CN101875338B (zh) 车辆气囊系统
ES2282031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200500161 referente a dispositivo señalizador de vehiculos accidentados.
KR101776677B1 (ko) 차량용 비상신호 장치
GB2577304A (en) A vehicular breakdown emergency refuge device
GB2520971A (en) Roadside rescue pod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200306767Y1 (ko) 보행자 및 운전자를 위한 안전 신호등
ITMI99080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strad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