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531B1 -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531B1
KR101353531B1 KR1020120100180A KR20120100180A KR101353531B1 KR 101353531 B1 KR101353531 B1 KR 101353531B1 KR 1020120100180 A KR1020120100180 A KR 1020120100180A KR 20120100180 A KR20120100180 A KR 20120100180A KR 101353531 B1 KR101353531 B1 KR 10135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video
guide
game character
d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훈
오승진
박은애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10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3Resuming a game, e.g. after pausing, malfunction or power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7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daptively or by learning from player actions, e.g. skill level adjustment or by storing successful combat sequenc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이드 동영상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수행된다. 상기 가이드 동영상 방법은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단계,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와 해당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만일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사용자가 상기 해당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을 중지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METHOD OF PROVIDING VIDEO GUID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이드 동영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사하게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게임은 점점 고품질 및 고사양으로 제작됨에 따라 게이머들이 게임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게임 제공자는 게임에 대한 게임 공략집, 효율적인 게임 플레이 비법 또는 다른 게이머들이 게시판에 올려 놓은 플레이 팁(Tip)등과 같은 게임 관련 정보를 온라인 게시판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 관련 정보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므로, 게이머들은 게임을 실행하기 전에 또는 게임을 다 마친 후에 별도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해야 한다. 하지만, 게이머들은 별도의 시간을 내서 이와 같은 학습을 진행해야 하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결과적으로, 게이머들은 게임이 출시되더라도 낮선 인터페이스, 낮선 조작법, 상대적으로 익숙치 않은 퀘스트의 수행과 레벨 업 및 스킬 향상에 시간을 소비하다가 결국 임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2493호는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 분석을 통한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게임 도중에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을 지속적으로 추적, 저장 및 분석하여 게이머의 플레이 성향 내지는 플레이 수준에 따른 적절한 맞춤형식 어드바이스 팁을 게임 중에 온라인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게임에 대한 흥미와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5001호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어는 그린 면의 기울어진 정도를 어렵게 판단할 필요 없이, 최적의 퍼팅 방향이 가상의 캐디에 의해 가이드가 되기 때문에, 초보자는 물론이고 고급자의 경우에도 재미있는 골프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249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500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켜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학습을 시킬 수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고,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게임 캐릭터에게 적합한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이드 동영상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수행된다. 상기 가이드 동영상 방법은 (a)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 및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만일 상기 사망 원인이 상기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로 결정되면, 상기 리스폰 룸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으로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스폰 룸은 복수의 사망 원인들 중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상기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게임 레벨이 특정 게임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수집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서 상기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상기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동영상 방법은 상기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상기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이내에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퇴장시켜 상기 게임의 입장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드 타임은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리스폰 룸 입장부,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와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고, 만일 상기 사망 조건들과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 및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스폰 룸은 복수의 사망 원인들 중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상기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특정 게임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수집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을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상기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상기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이내에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퇴장시켜 상기 게임의 입장을 금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드 타임은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기능;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판단된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 및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는 기능; 및 만일 상기 사망 원인이 상기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로 결정되면, 상기 리스폰 룸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으로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켜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학습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는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는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고,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게임 캐릭터에게 적합한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동영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게임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동영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 동영상 시스템은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와 연결된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게임 서버(100)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분산 처리 가능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진행 과정 중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고,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가이드 동영상을 배포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가이드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와 무관하게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계속해서 협력을 수행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가이드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후에도 사용자 단말(200)은 게임 수행 과정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와 연동할 수 있고,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기존의 저장 내용(예를 들어,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 등)을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로부터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받아 시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10), 리스폰 룸 입장부(120) 및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사망 원인 데이터베이스(140) 및 게임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리스폰 룸 입장부(12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 여기에서, 리스폰 룸은 복수의 사망 원인들 중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과 연관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폰 룸 입장부(120)는 게임 캐릭터에 의한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리스폰 룸 입장부(120)는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상기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폰 룸 입장부(12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특정 게임 레벨 이하인 경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수집하여 사망 원인 데이터베이스(140)를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130)는 가이드 동영상을 리스폰 룸에 각각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130)는 리스폰 룸별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배치하고,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130)는 해당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고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130)는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고,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상기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제어부(150)는 게임 캐릭터에 의한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게임 캐릭터에 의한 게임의 복귀를 금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개시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 또는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나, 당업자는 이로부터 도 3의 다른 일 실시예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개시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 로그인 정보 관리부(170), 사용자 인증부(180)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해당 게임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별(게임 캐릭터 별)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는 게임 캐릭터가 리스폰 룸에 입장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 관리부(170)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와 연관된 로그인 정보의 생성 또는 삭제를 관리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 관리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 정보 생성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로그인 정보 관리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 정보 삭제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로그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8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부(180)는 사용자의 인증을 성공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80)는 만일 그렇다면 해당 사용자의 인증을 성공할 수 있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해당 사용자의 인증을 실패할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90)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90)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식별자(예를 들어,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로그인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패스워드, 주민 등록 번호, 성명, 생년월일 등)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에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단계 S410).
단계 S410에 대한 일 실시예예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킬 수 있다. 단계 S41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예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리스폰 룸에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한다(단계 S42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판단된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한다(단계 S430). 단계 S430에 대한 일 실시예예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해당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서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고,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단계 S51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리스폰 룸에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한다(단계 S52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판단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의 여부와,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판단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고(단계 S530), 해당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단계 S540), 사용자가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을 중지하는 것을 금지시킨다(단계 S570).
단계 S570에 대한 일 실시예예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이내에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게임 캐릭터를 퇴장시켜 상기 게임의 입장을 금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드 타임은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드 타임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GT(V) = 1 / C * Load(Server)
GT(V):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C: 상수,
Load(): 해당 서버의 부하량을 산출하는 함수,
Server: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반면,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판단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지 않고(단계 S530), 해당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상이면(단계 S540), 임의의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한다(단계 S540, S560)
도 6은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여 게임 캐릭터를 리스폰 룸에 입장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단계 S61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단계 S620),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630). 반면,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하이면(단계 S620), 해당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
도 7은 도 1에 있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게임 캐릭터가 사망한 후에 게임으로 복귀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에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킨다(단계 S71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리스폰 룸에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한다(단계 S72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판단된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가이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단계 S730).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가이드 동영상이 종료되면(단계 S740), 게임 캐릭터에 의한 게임의 복귀를 허용한다(단계 S750). 반면,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가이드 동영상이 종료되지 않으면(단계 S740), 리스폰 룸에서 게임 캐릭터의 부활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게임 캐릭터에 의한 게임으로의 복귀를 금지한다. 단계 S740에 대한 일 실시예예서,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해당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대한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고,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게임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식별 번호(810)은 가이드 동영상을 한정하고 있다.
도 9는 가이드 동영상 제공 옵션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100)는 도시된 인터페이스에서 제공 옵션이 온 상태이면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이드 동영상 시스템 2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리스폰 룸 입장부
130: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 140: 사망 원인 데이터베이스
150: 게임 제어부 160: 게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170: 로그인 정보 관리부 180: 사용자 인증부
19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Claims (19)

  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에 있어서,
    (a)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 및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만일 상기 사망 원인이 상기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로 결정되면, 상기 리스폰 룸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으로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은
    복수의 사망 원인들 중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a) 단계는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a) 단계는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상기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게임 레벨이 특정 게임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수집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서 상기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상기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상기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이내에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퇴장시켜 상기 게임의 입장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타임은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
  10.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리스폰 룸 입장부;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와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고, 만일 상기 사망 조건들과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 및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은
    복수의 사망 원인들 중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리스폰 룸의 입장 횟수가 특정 입장 횟수 이상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다른 리스폰 룸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상기 리스폰 룸에 설정된 게임 레벨 이하이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입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폰 룸 입장부는
    상기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캐릭터의 게임 레벨이 특정 게임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수집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진행 단계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의 끊긴 시점을 저장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가 재접속 하면 게임 시작 전에 상기 끊긴 시점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리스폰 룸에 있는 게임 캐릭터로부터 상기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피드백 점수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에 상기 피드백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평점을 갱신하여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가드 타임 이내에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게임 캐릭터를 퇴장시켜 상기 게임의 입장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타임은
    상기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
  19.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동영상 가이드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이드 동영상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게임 진행 과정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게임 캐릭터가 사망하면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을 위해 임시적으로 대기하는 리스폰 룸(re-spawn room)에 상기 게임 캐릭터를 입장시키는 기능;
    상기 입장한 게임 캐릭터의 사망 원인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판단된 사망 원인이 복수의 미리 정의된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 및 소정의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 횟수를 결정하는 기능; 및
    만일 상기 사망 원인이 상기 사망 조건들 중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시청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로 결정되면, 상기 리스폰 룸에서 상기 게임 캐릭터의 부활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게임 캐릭터에 의한 상기 게임으로의 복귀를 금지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20100180A 2012-09-10 2012-09-10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35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80A KR101353531B1 (ko) 2012-09-10 2012-09-10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80A KR101353531B1 (ko) 2012-09-10 2012-09-10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531B1 true KR101353531B1 (ko) 2014-01-21

Family

ID=5014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180A KR101353531B1 (ko) 2012-09-10 2012-09-10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50B1 (ko) * 2014-12-18 2016-03-25 민코넷주식회사 게임 동영상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385408A (zh) * 2016-09-01 2017-02-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运动状态变化的指示、处理方法及装置
CN107029429A (zh) * 2015-09-30 2017-08-11 索尼互动娱乐美国有限责任公司 用于实现云游戏系统的时移辅导的系统和方法
US10179286B2 (en) 2016-08-26 2019-01-15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replaying game video using camera information calibration
US10296940B2 (en) 2016-08-26 2019-05-21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game video
US10376794B2 (en) 2016-08-26 2019-08-13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observing service using event prediction in game
US10406440B2 (en) 2016-08-26 2019-09-10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360 VR game replay vide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93A (ko) * 2005-11-17 2007-05-22 (주)윌비솔루션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 분석을 통한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93A (ko) * 2005-11-17 2007-05-22 (주)윌비솔루션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 분석을 통한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온라인]스페셜포스2, 그랜드 오픈', 다음 블로그 (2011.08.21.) *
'파크라이3 멀티플레이 동영상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2.04.05.)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50B1 (ko) * 2014-12-18 2016-03-25 민코넷주식회사 게임 동영상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029429A (zh) * 2015-09-30 2017-08-11 索尼互动娱乐美国有限责任公司 用于实现云游戏系统的时移辅导的系统和方法
CN107029429B (zh) * 2015-09-30 2020-10-09 索尼互动娱乐美国有限责任公司 用于实现云游戏系统的时移辅导的系统、方法及可读媒体
US10179286B2 (en) 2016-08-26 2019-01-15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replaying game video using camera information calibration
US10296940B2 (en) 2016-08-26 2019-05-21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game video
US10376794B2 (en) 2016-08-26 2019-08-13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observing service using event prediction in game
US10406440B2 (en) 2016-08-26 2019-09-10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360 VR game replay video
CN106385408A (zh) * 2016-09-01 2017-02-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运动状态变化的指示、处理方法及装置
CN106385408B (zh) * 2016-09-01 2019-08-1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运动状态变化的指示、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31B1 (ko) 가이드 동영상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10046240B2 (en) Social networking data augmented gaming kiosk
US8814704B2 (en) Game server that allows online game user to designate proxy to exercise an area limited acquisition right, game controlling method thereof, gam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1246235A (zh) 直播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45516B2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KR20120137223A (ko) 스크린 골프의 네트워크 포인트 매치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773735A (zh) 游戏组队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US10722801B1 (en) Session management for virtual environments
US20140295943A1 (en) Game Control Method And Server For Social Game For Developing A Social Network
KR102596359B1 (ko) 사용자 매칭 장치 및 방법
US20230062695A1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589633B1 (ko) 부정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1275655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추천 아이템을 이용한 아이템 변경 방법 및 아이템 변경 서버
US107911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089151B (zh) 一种展示弹幕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KR101358266B1 (ko) 게임 어뷰저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게임 어뷰저 검출 서버
KR101190497B1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자동 플레이 방지 방법 및 서버
KR101289720B1 (ko) 온라인 게임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085195A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이벤트 참여에 따른 아이템 지급 방법 및 서버
KR102581654B1 (ko) 화면을 분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8093083A1 (ko)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23638A (ko) 게임 가이드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398181B1 (ko) 게임 파트너 추천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076294B1 (ko) Usb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482184B1 (ko) 웹 페이지 정보 추출 장치 및 방법, 및 인터넷 바둑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