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070B1 -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070B1
KR101353070B1 KR1020130051761A KR20130051761A KR101353070B1 KR 101353070 B1 KR101353070 B1 KR 101353070B1 KR 1020130051761 A KR1020130051761 A KR 1020130051761A KR 20130051761 A KR20130051761 A KR 20130051761A KR 101353070 B1 KR101353070 B1 KR 10135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support leg
fixed support
fram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영은
Original Assignee
에디슨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슨이엔지(주) filed Critical 에디슨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3005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을 하지 않는 동안에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작업대를 간편하게 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상판부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드는 동작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작업대를 폴딩한 후 작업대의 하단부에 구비된 이동식 바퀴를 이용하여 폴딩된 작업대를 다른 공간으로 간편하게 이동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부를 지지하는 이동식 지지다리는 하단부에 이동식 지지다리의 무게중심을 고려한 보조 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판부를 간단하게 폴딩하는 경우에도 경우 작업대가 쓰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foldable roller worktable for moving and keeping}
본 발명은 작업을 하지 않는 동안에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작업대를 간편하게 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판부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드는 동작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작업대를 폴딩한 후, 작업대의 하단부에 구비된 이동식 바퀴를 이용하여 폴딩된 작업대를 다른 공간으로 간편하게 이동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 작업대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우체국의 우편물 소통은 통상과 소포로 분류하여 구분 작업이 이루어지며, 통상의 경우 작업대 위에 우편물을 올려놓고 정리와 구분을 하며, 소포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소포 구분 작업은 거의 수작업으로 파렛에 담겨져 온 소포우편물을 바닥에 적재한 후 구분용 파렛에 옮겨 담으면서 작업을 한다.
그리고 통상구분 작업대는 편평한 판(예: 나무나 스테인레스 재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작업대 위에 소형통상우편물 또는 대형통상우편물을 올려놓은 후 정리와 구분 작업을 한다.
그러나 소포구분 작업은 각 국별로 특성이 달라 구분 작업 방법도 가지가색으로 체계화나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아 무거운 소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구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좁은 면적의 우체국 작업장에 많은 우편물이 일시에 도착하면 우편물과 운송용기, 작업대, 인력이 어우러져 매우 혼잡하여 구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우편물 분류에 사용되는 작업대는 무겁고 바퀴가 달려있지 않아 이동이 불편함은 물론이고, 작업대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다른 작업동선에 제한을 주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유리 기판의 절단장치(특허출원 10-2004-0113668)
2.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기판 절단가공 시스템(특허출원 10-2010-0064633)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접은 후 이동보관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는 수평상태에서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고, 일측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타측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상판부; 상판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판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부를 지지하며,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판부와 같이 들리면서 바 형태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폴딩 가능한 고정식 지지다리; 상판부의 하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식 지지다리와 협동하여 상판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부를 지지하고, 고정식 지지다리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상판부의 하면에 폴딩되도록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바 형태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상판부를 지지하며, 하부에는 이동식 바퀴가 구비되어 상판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식 지지다리;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고정식 지지다리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식 지지다리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도 동시에 상판부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때, 이동식 지지다리의 하단부에 바 형태의 보조 프레임이 이동식 지지다리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판부와 고정식 지지다리가 폴딩되는 경우 이동식 지지다리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이동식 바퀴는 보조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식 지지다리와 연결되는 상판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고정식 지지다리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고정식 지지다리가 상판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브라켓; 이동식 지지다리와 연결되는 상판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판부가 세워지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판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식 지지다리의 상부에는 고정식 지지다리를 관통하는 제 1 회동핀이 끼워지고, 제 1 가이드 브라켓에는 제 1 회동핀이 끼워지는 제 1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고정식 지지다리가 회동하는 경우 제 1 회동핀을 유도하고,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부에는 이동식 지지다리를 관통하는 제 2 회동핀이 끼워지고, 제 2 가이드 브라켓에는 제 2 회동핀이 끼워지는 제 2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판부가 회동하는 경우 제 2 회동핀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식 지지다리의 상부에는 고정식 지지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제 1 회동핀이 복수 개 구비되고,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부에는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제 2 회동핀이 복수 개 구비되며, 제 1 가이드 홈을 복수 개의 제 1 회동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우고, 동시에 제 2 가이드 홈을 복수 개의 제 2 회동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 상판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판부는 상면에 물건을 올려 놓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한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판부를 마감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의 상면에 물건이 안착되는 경우 이 물건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롤러가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양단부가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고정 프레임의 일단부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에 홈이 형성된 걸쇠가 고정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고, 걸쇠에 대향하는 고정 프레임의 타단부 하면에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텐션고리가 고정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판부를 연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텐션고리가 소정 탄성력을 가지고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걸쇠에 탈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는,
(1) 상판부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작업대를 폴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이 상판부를 지지하는 이동식 지지다리는 하단부에 이동식 지지다리의 무게중심을 고려한 보조 프레임을 직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판부를 간단하게 폴딩하는 경우에도 경우 작업대가 쓰러지지 않게 된다.
(3) 상판부의 플레이트를 소정 축에 끼워져 회전하는 롤러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상판부의 상면에 무거운 물건이 안착되는 경우에도 쉽게 인접하는 섹셕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4) 작업대를 간편하게 접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장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5) 공간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시간당 처리량을 증가하여 업무효율성이 증대하고, 업무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업무 부하는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복수 개 연결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서 걸쇠와 텐션고리가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5]에서 걸쇠로부터 텐션고리를 해제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러 작업대에 보조 플레이트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상판부의 하부에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는 상판부(100), 고정식 지지다리(200), 이동식 지지다리(300), 가이드 프레임(400), 제 1 가이드 브라켓(500), 제 2 가이드 브라켓(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부(100)는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로 우편물 등의 정리나 분류 작업을 할 수 있다. 상판부(100)는 상면에 직접적으로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한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판부(100)를 마감하는 고정 프레임(120)과,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고 양단부가 고정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10)는 복수 개의 롤러(111)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건이 안착되는 플레이트(110)를 롤러(111)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무거운 물건이 안착된 경우에도 인접 부분에 슬라이드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식 지지다리(200)는 바 형태의 상단부가 상판부(10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판부(100)를 지지하며,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상판부(100)의 하면에 밀착되게 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판부(100)를 폴딩하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200)도 동시에 폴딩하게 된다. 한편,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하단부에는 완충용 패킹이 연결될 수 있는데,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하단부에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지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식 지지다리(300)는 바 형태의 상단부가 상판부(100)의 하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식 지지다리(200)와 협동하여 상판부(100)를 지지한다.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100)가 세워져 폴딩되는 경우에도 상판부(100)를 지지하며, 하부에 이동식 바퀴(310)가 배치되어 상판부(100)가 세워져 폴딩되고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폴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100)가 세워져 폴딩되는 경우에도 상판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하단부에는 바 형태의 보조 프레임(320)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320)은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하단부에 이동식 지지다리(300)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판부(100)와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폴딩되는 경우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동식 바퀴(310)는 보조 프레임(320)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조 프레임(320)은 상판부(100)와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폴딩되는 경우에도 이동식 지지다리(300)가 쓰러지지 않고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때, 보조 프레임(320)은 이동식 지지다리(300)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프레임(400)은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이동식 지지다리(300)에 대해 상판부(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가이드 프레임(400)은 고정식 지지다리(200)도 동시에 상판부(100)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다.
제 1 가이드 브라켓(500)은 고정식 지지다리(200)와 연결되는 상판부(100)의 하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고정되고,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상판부(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제 1 가이드 브라켓(500)은 집게 형태로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고정식 지지다리(200)는 제 1 회동핀(210)을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된 상태의 제 1 가이드 브라켓(500)에 홀딩된 상태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상부에는 고정식 지지다리(200)를 관통하는 제 1 회동핀(210)이 끼워지고, 제 1 가이드 브라켓(500)에는 제 1 회동핀(210)이 끼워지는 제 1 가이드 홈(510)이 형성되어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회동하는 경우 제 1 회동핀(210)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가이드 브라켓(600)은 이동식 지지다리(300)와 연결되는 상판부(100)의 하면에 부착되고,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판부(100)가 세워지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판부(10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제 2 가이드 브라켓(600)은 집게 형태로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이동식 지지다리(300)는 제 2 회동핀(330)을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된 상태의 제 2 가이드 브라켓(600)에 홀딩된 상태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부에는 이동식 지지다리(300)를 관통하는 제 2 회동핀(330)이 끼워지고, 제 2 가이드 브라켓(600)에는 제 2 회동핀(330)이 끼워지는 제 2 가이드 홈(610)이 형성되어 상판부(100)가 회동하는 경우 제 2 회동핀(330)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상부에는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상하방향으로 제 1 회동핀(210)이 복수 개 구비되고,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부에는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하방향으로 제 2 회동핀(330)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이드 홈(510)을 복수 개의 제 1 회동핀(2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우고, 동시에 제 2 가이드 홈(610)을 복수 개의 제 2 회동핀(3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 상판부(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1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2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의 예시도 3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작업이 종료 후 작업대를 폴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손으로 상판부(100)의 일측 하단을 들어올리면 상판부(100)는 제 2 가이드 브라켓(600)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울어지면서 [도 2]의 상태로부터 순차적으로 [도 3]의 상태를 거쳐 [도 4]와 같이 상판부(100)가 이동식 지지다리(300)와 평행하게 폴딩된다.
이때, 상판부(100)가 폴딩되는 과정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400)도 폴딩되는데, 가이드 프레임(400)은 상판부(100)와 평행하게 양단부가 각각 이동식 지지다리(300)와 고정식 지지다리(200)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판부(100)가 기울어지면 가이드 프레임(400)도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다.
이렇게 가이드 프레임(400)이 기울어면서 제 1 가이드 브라켓(500)을 회전축으로 움직이는 고정식 지지다리(200)가 [도 2]의 상태로부터 순차적으로 [도 3]의 상태를 거쳐 [도 4]와 같이 상판부(100)와 평행하게 폴딩된다.
즉, 상판부(100)의 일측부 하면을 들어올리는 하나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작업대를 완전히 폴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서, 작업대의 중앙부를 폴딩시키고, 이어서 다른 구성들도 따로따로 폴딩해야 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을 극복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복수 개 연결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걸쇠와 텐션고리가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걸쇠로부터 텐션고리를 해제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걸쇠(710)와 텐션고리(7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쇠(710)는 고정 프레임(120)의 일단부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에 홈이 형성된 것으로 고정 프레임(120)과 일체로 연결된다. 하나의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걸쇠(710)는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텐션고리(720)와 소정의 탄성력으로 탈착되면서 각각의 고정 프레임(120)을 일체로 연결하거나 분리시킨다. 즉, 상판부(100)를 연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텐션고리(720)가 소정 탄성력을 가지고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걸쇠(710)에 탈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걸쇠(710)는 상판부(100)가 이동식 지지다리(300)에 평행하게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소정 탄성력으로 착탈되면서 폴딩된 상판부(100)를 이동식 지지다리(300)에 고정시킨다.
텐션고리(720)은 걸쇠(710)에 대향하는 고정 프레임(120)의 타단부 하면에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정 프레임(120)과 일체로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러 작업대에 보조 플레이트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러 작업대를 상판부의 하부에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단의 롤러(111)로 이루어진 상판부(100)의 상면에 외표면이 밋밋한 형태의 보조 플레이트(8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120)의 높이가 롤러(111)의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이 바랍직하다. 이로 인해 보조 플레이트(800)를 상판부(10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보조 플레이트(800)가 측방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조 플레이트(8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판부(100)의 하면에 거치할 수 있는데, 이때 보조 플레이트(800)의 테두리부가 걸쳐지도록 보조 플레이트(800)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는 상판부(100)의 하면에 복수 개의 고정 브라켓(81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플레이트(800)가 상판부(100)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810)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판부(100)와 고정식 지지다리(200)를 폴딩하는 경우에도 보조 플레이트(800)는 고정 브라켓(810)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0 : 상판부 110 : 플레이트
111 : 롤러 120 : 고정 프레임
130 : 지지 프레임 200 : 고정식 지지다리
210 : 제 1 회동핀 300 : 이동식 지지다리
310 : 이동식 바퀴 320 : 보조 프레임
330 : 제 2 회동핀 400 : 가이드 프레임
500 : 제 1 가이드 브라켓 510 : 제 1 가이드 홈
600 : 제 2 가이드 브라켓 610 : 제 2 가이드 홈
710 : 걸쇠 720 : 텐션고리
800 : 보조 플레이트 810 : 고정 브라켓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수평상태에서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한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마감하는 고정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타측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상판부(100)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판부가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하며,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판부와 같이 들리면서 바 형태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폴딩가능한 고정식 지지다리(200)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판부가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하며, 고정식 지지다리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바 형태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상판부를 지지하고, 하부에는 양단부에 이동식 바퀴(310)가 구비된 보조프레임(320)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판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식 지지다리(300)와;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고정식 지지다리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식 지지다리의 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판부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도 동시에 상판부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프레임(400)과; 상기 고정식 지지다리와 연결되는 상판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고정식 지지다리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고정식 지지다리가 상판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고정식 지지다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브라켓(500)과; 상기 이동식 지지다리와 연결되는 상판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단부 양측면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판부가 세워지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판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브라켓(600)을 포함하는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지다리(200)의 상부에는 고정식 지지다리를 관통하는 제1회동핀(210)이 끼워지고, 상기 제1가이드 브라켓(500)에는 제1가이드 홈(510)이 형성되어 고정식 지지다리가 회동하는 경우 제1회동핀을 유도하고; 상기 이동식 지지다리(300)의 상부에는 이동식 지지다리를 관통하는 제2회동핀(330)이 끼워지고, 상기 제2가이드 브라켓(600)에는 제2가이드 홈(610)이 형성되어 상판부가 회동하는 경우 제2회동핀을 유도하며;
    상기 제1회동핀(210)과 제2회동핀(330)은 상판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식 지지다리와 이동식 지지다리의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에는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30)의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판부(100)를 연접하여 연결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120)의 일단부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에 홈이 형성된 걸쇠(710)가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고, 이 걸쇠에 대향하는 고정프레임의 타단부 하면에는 각도 회전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갖는 텐션고리(720)가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KR1020130051761A 2013-05-08 2013-05-08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KR10135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61A KR101353070B1 (ko) 2013-05-08 2013-05-08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61A KR101353070B1 (ko) 2013-05-08 2013-05-08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070B1 true KR101353070B1 (ko) 2014-01-17

Family

ID=5014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761A KR101353070B1 (ko) 2013-05-08 2013-05-08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7763A (zh) * 2016-11-04 2017-01-04 钦州学院 灵活移动的折叠式乒乓球台
KR102083130B1 (ko) * 2019-10-01 2020-05-26 (주)예닮 변형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5U (ja) * 1993-06-16 1995-01-13 重治 黒田 脚の折り畳み構造
JPH0713230U (ja) * 1993-08-17 1995-03-07 博則 村上 折りたたみテーブル
JPH10510016A (ja) * 1994-11-10 1998-09-29 シ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式折り畳み型ステー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5U (ja) * 1993-06-16 1995-01-13 重治 黒田 脚の折り畳み構造
JPH0713230U (ja) * 1993-08-17 1995-03-07 博則 村上 折りたたみテーブル
JPH10510016A (ja) * 1994-11-10 1998-09-29 シ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式折り畳み型ステー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7763A (zh) * 2016-11-04 2017-01-04 钦州学院 灵活移动的折叠式乒乓球台
KR102083130B1 (ko) * 2019-10-01 2020-05-26 (주)예닮 변형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83857B (en) System for the automatic loading and/or unloading of products
US8567795B2 (en) Lower frame for a product holder, holder and operating procedure
KR101353070B1 (ko) 이동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ES2447822T3 (es) Procedimiento y un sistema de carga para la preparación de pedidos de artículos
US20130167471A1 (en) Adjustable lift table
CN108423531A (zh) 一种码垛装置
KR101914155B1 (ko) 유리포장블록 반전장치
KR101011981B1 (ko) 고상에 보관된 광물 시료박스 조사용 탑승형 테이블 리프트
KR101284227B1 (ko) 이동 대차 리프트
JP2019059254A (ja) 運搬具
CN205413648U (zh) 环形交叉带分拣机自动检测机构
KR20130122287A (ko)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
CN208100299U (zh) 一种模具生产用双面工作台
CN107595011B (zh) 一种货架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CN112357550A (zh) 一种提取上料设备
CN207640028U (zh) 一种可旋转移动的货架
CN104108530A (zh) 一种玻璃短距离运输装置
CN212893694U (zh) 一种用于液化石油气瓶的升降装置
KR101712547B1 (ko) 컨테이너 x-ray검색 이송장치
KR20080003460U (ko) 수리 운반용 대차
CN211303864U (zh) 一种区分重量和大小的分拣运输线
KR102083130B1 (ko) 변형 가능한 접이식 롤러 작업대
CN215749095U (zh) 一种用于滑板加工时方便取放料的辅助架
CN216269435U (zh) 一种摆臂总成专用工位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