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848B1 -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848B1
KR101352848B1 KR1020120028685A KR20120028685A KR101352848B1 KR 101352848 B1 KR101352848 B1 KR 101352848B1 KR 1020120028685 A KR1020120028685 A KR 1020120028685A KR 20120028685 A KR20120028685 A KR 20120028685A KR 101352848 B1 KR101352848 B1 KR 10135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ontainer
seedlings
seedling container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974A (ko
Inventor
손민호
황규호
박정임
Original Assignee
(주)삼우환경컨설탄트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환경컨설탄트,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삼우환경컨설탄트
Priority to KR102012002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8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30Biodegra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와; 발아 성장된 잘피를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잘피 군락지에 고정된 잘피 종묘 용기에 잘피 종자를 수거하여 발아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물고기 및 거센 조류들로부터 잘피 종자들을 보호하여 종자 자체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며, 발아된 잘피 종자의 지하경 및 뿌리가 잘피 종묘 용기의 통공을 통해 해저 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별도의 인공적인 설비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비용 경제적인 면에도 유리하며, 잘피를 이동시킴에 있어 일정 시간 동안 함께한 잘피 종묘 용기를 함께 이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이식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Method for seagrass habitat restoration using the growth attatchment biolytic device of seagrass seeds}
본 발명은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와; 발아 성장된 잘피를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초의 일종인 잘피는 꽃을 피우고 수정하여 열매를 형성하는 해양 현화 식물로서, 잘피의 지하경 및 뿌리 조직은 퇴적물을 안정화시키고, 퇴적물 내의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을 흡수 제거할 수 있는 자연정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뛰어난 광합성 작용으로 잘피 서식지는 해양 생물의 산란장 및 보육장으로 사용되며 생물종 다양성 및 연안환경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 하구 및 연안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자 정화되지 않은 생활 오폐수와 공장의 난립에 의한 무단 방류로 폐수의 유입이 급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연안 오염의 심화로 광합성 작용이 둔화되어 잘피의 개체수가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잘피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잘피 이식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052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7127호가 이러한 기술의 예이다.
이 중에서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0526호는 잘피 종자를 수확하고 이를 발아시킨 다음, 이를 인공적으로 성장시켜 생태계가 파괴된 해저 면에 이식함으로써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잘피 서식지가 급감하는 추세에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 잘피 종자의 발아율이 상당히 낮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위적인 환경에서 잘피 종자의 생존율을 증진시키고자는 함에 그 제안 목적이 있으며, 어느 정도의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잘피 서식지에서 잘피 종자를 수거하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설비 내에서 수거된 잘피 종자를 발아시키고 일정 크기까지 성장시켜야 한다. 즉, 잘피 종자를 수거하고 이를 인공적인 설비에서 일정 기간 발아 성장시키며, 성장된 잘피를 분리하여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까지 운반하여 이를 다시 개별적으로 이식해야 한다는 점에서 장시간이 필요하며, 비용이 너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6605호는 점토를 포함하는 황토 볼을 압축 성형한 다음, 황토 볼 표면에 착생 촉진제를 도포하고 잘피 종자를 받아 발아 및 생장시켜 이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황토 볼을 잘피 종자의 발아 생육 틀로 이용하며, 이 황토 볼을 생장된 잘피와 함께 해저 면에 이식한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이식과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황토 볼을 압축 성형한 다음, 개개 황토 볼에 잘피 종자를 일일이 착생해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의 투입이 필요하며, 나아가 잘피 종자가 착생된 황토 볼을 일정한 온도 및 조도 조건하에서 상당 시간 동안 생육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투입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05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46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71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660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43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과도한 시간 및 비용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잘피 종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복원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아된 잘피 종자가 용이하게 성장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보다 빨리 적응하여 군락지를 형성할 수 있는 복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된 잘피 종자를 새로운 해저 환경으로 옮기거나 또는 일정 크기 이상 자란 잘피를 새로운 해저 환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식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식된 잘피 종자들이 성장하여 군락지를 형성한 이후에 별도의 수거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복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자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와; 발아 성장된 잘피를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자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잘피 종자를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잘피 종묘 용기의 하부에는 천연 소재의 이동용 그물 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잘피 군락지에 고정된 잘피 종묘 용기에 잘피 종자를 수거하여 발아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물고기 및 거센 조류들로부터 잘피 종자들을 보호하여 종자 자체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잘피 종묘 용기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발아된 잘피 종자의 지하경 및 뿌리가 잘피 종묘 용기를 관통해 해저 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공적인 설비 없이 잘피 종자를 자기들이 태어난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 경제적인 면에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잘피 종자들이 성장할 때 잘피 종묘 용기가 자연 분해되면서 거름 역할을 할 수 있어 해저 면에 새로운 잘피 군락의 형성을 용이하게 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잘피를 이동시킴에 있어 일정 시간 동안 함께한 잘피 종묘 용기를 함께 이동시키거나 또는, 수거된 잘피 종자를 새로운 환경으로 미리 옮겨 발아 성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의 개략적인 단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잘피 종묘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잘피 종묘 용기를 이용하여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해저 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그리고 잘피 종자를 발아 성장시켜 잘피 종묘 용기를 다른 해저 면에 이동시키거나 또는 잘피 종묘 용기를 다른 해저 면에 이동시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먼저,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잘피 종묘 용기는 낙하하는 잘피 종자를 수거하고, 수거된 잘피 종자를 그 상태에서 발아 및 성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거된 잘피 종자가 안정적으로 발아 및 성장하기 위해 일정 량의 흙을 담아야 하며, 잘피의 지하경 및 뿌리가 해저 면에 안정적으로 고착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수용부(12) 및 복수 개의 통공(16)이 형성되는 잘피 종묘 용기 구성을 제안한다. 상기 수용부(12)에는 잘피 종자가 안착된 다음 발아 및 생육할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진다. 수용부(12)에 채워진 흙 속에서 생육된 잘피의 지하경 및 뿌리 등은 상기 통공(16)을 지나 해저 면에 안정적으로 고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수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영양 물질 및 산소 등은 통공(16)을 통해 수용부(12)에 채워지는 흙, 또는 잘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잘피 종묘 용기는 해수에서 자연 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잘피 종자가 발아 성장하면서 뿌리가 해저 면에 안정적으로 고착하게 되면, 잘피 종묘 판이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잘피 종묘 판에 의한 환경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될 뿐 아니라,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물이 거름으로 작용하여 잘피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잘피 종묘 용기가 도자기, 생분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재질 중 도자기란 우리가 통상적으로 도자기라 부르는 용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재질을 통칭한다. 만일 잘피 종묘 용기로서 도자기를 사용하는 경우, 잘피 종자를 받고 이를 발아 및 생육시키는 과정이 대략 6 내지 9 개월 정도 소요됨을 감안하면, 도자기는 유약을 바르지 않는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점토 등을 이용하여 성형한 다음 초벌 구이 정도만 하여 이용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6 내지 9 개월 이후 생육된 잘피의 지하경 및 뿌리가 잘피 종묘 용기의 통공을 거쳐 해저 면에 단단히 고착되면 잘피 종묘 용기는 효용 가치를 다한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해저 면의 흙과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은 잘피 종묘 용기(10)를 잘피 군락지의 인접 해저 면에 위치시킴에 있어, 잘피 종묘 용기(10)의 하부에 이동용 그물 망(20)을 부가하는 경우를 제안한다. 잘피 종묘 용기(10)가 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장시간 해저 면에 방치할 경우, 해수 또는 해양 생물에 의해 손상될 수가 있는데 이럴 경우 잘피 종묘 용기의 이동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잘피 종묘 용기(10) 하부에 이동용 그물 망(20)을 부가하여 해수 면에 고정하면, 잘피 종묘 용기(10)의 일부가 손상된다 할지라도 이동용 그물 망(20)을 이용하여 잘피 종묘 용기를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잘피 종묘 용기가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을 감안하면 상기 이동용 그물 망(20) 역시 생분해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서 야자 나무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2는 손잡이이다.
잘피 종묘 용기가 준비되면,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기 위치한 해저 면으로 이동시킨다. 잘피 종묘 용기의 바람직한 재질을 감안하면 잘피 종자가 성숙되어 방출되기 직전에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피 종묘 용기가 잘피 군락지의 적절한 해저 면에 위치하면, 해저 면의 흙을 잘피 종묘 용기의 수용부에 채워넣으면서 잘피 종묘 용기를 해저 면에 고정한다. 이동용 그물 망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잘피 종묘 용기와 이동용 그물 망을 동시에 해저 면에 고정하게 된다. 잘피 종묘 용기의 고정 위치는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해당 지점의 조류 및 기타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할 일이다. 잘피 종묘 용기
잘피 종자들이 잘피로부터 방출되어 잘피 종묘 용기로 수거되면(더욱 구체적으로는 잘피 종묘 용기의 수용부에 채워진 흙으로 수거), 잘피 종묘 용기를 일정 기간 방치하여 수거된 잘피 종자들이 제자리에서 발아되고 성장하도록 유도한다. 이 단계에서 발아된 잘피 종자들은 지하경 및 뿌리가 흙속으로 침투하여 안정적으로 고착되거나 또는 잘피 종묘 용기의 통공을 통해 해저 면에 고착된다. 발아된 잘피 종자들의 뿌리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고착되면, 잘피 종묘 용기를 복원이 필요한 특정 해저 면으로 옮겨 위치시킨다.
특정 해저 면에 잘피 종묘 용기가 옮겨진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잘피 종묘 용기에서 성장하고 있는 잘피 종자들의 뿌리는 잘피 종묘 용기의 통공을 통해 해저 면 내부로 깊숙이 파고들어가 안정적으로 고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잘피 종자들에 의한 새로운 잘피 군락지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잘피 종묘 용기는(또는 잘피 종묘 용기 및 이동용 그물 망) 자연 분해되어 거름이 되어 잘피의 생육을 도와주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잘피 종묘 용기를 특정 해저 면에 위치시킴에 있어 별도의 부가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잘피 종묘 용기에 수거된 잘피 종자를 발아시킴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잘피 종자를 포함한 잘피 종묘 용기를 복원이 필요한 특정 해저 면에 이동시켜 발아 성장시키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방출된 잘피 종자의 수거 단계, 잘피 종자를 포함한 잘피 종묘 용기의 이동 단계, 그리고 잘피 종자의 발아 성장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즉, 잘피 종자들이 발아되기 이전에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에 미리 잘피 종묘 용기를 위치시켜 잘피 종자들을 발아 성장시킴으로써, 잘피 종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보다 빨리 적응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 성장한 잘피 개체를 다른 환경으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수거된 잘피 종자들을 복원이 필요한 특정 해저 면에서 발아 성장시킨다는 점을 제외한 다른 기술적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이 그대로 적용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이처럼 잘피 군락지에 고정된 잘피 종묘 용기를 이용하여 잘피 종자들을 발아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잘피 종묘 용기를 이용하여 잘피 종자들을 수거함으로써 물고기 및 거센 조류들로부터 잘피 종자들을 보호하여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아된 잘피 종자의 지하경 및 뿌리가 잘피 종묘 용기의 통공을 통해 해저 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어, 잘피는 보다 안정적인 성장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잘피 종묘 용기가 자연 분해되면서 거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잘피 종자를 자기들이 태어난 환경에서 발아 생육시킬 수 있어 자연스러운 생장을 유도할 수 있어 비용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잘피 종묘 용기 12 : 수용부
16 : 통공 20 : 이동용 그물 망
22 : 손잡이

Claims (4)

  1.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자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와;
    발아 성장된 잘피를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
  2. 잘피의 종자를 발아시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자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되는 생분해성 재질의 잘피 종묘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지의 해저 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잘피로부터 방출되는 잘피 종자가 잘피 종묘 용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잘피 종묘 용기를 잘피 군락의 인근 지점에 고정하는 단계와;
    낙하한 잘피 종자들을 잘피 종묘 용기와 함께 복원이 필요한 해저 면으로 옮겨 고정하는 단계를;
    잘피 종자를 잘피 종묘 용기에서 발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 종묘 용기의 하부에는 천연 소재의 이동용 그물 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 복원방법.
  4. 삭제
KR1020120028685A 2012-03-21 2012-03-21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KR101352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85A KR101352848B1 (ko) 2012-03-21 2012-03-21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85A KR101352848B1 (ko) 2012-03-21 2012-03-21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74A KR20130106974A (ko) 2013-10-01
KR101352848B1 true KR101352848B1 (ko) 2014-01-27

Family

ID=4963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85A KR101352848B1 (ko) 2012-03-21 2012-03-21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8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90B1 (ko) 2014-07-08 2015-10-30 주식회사 세일이엠에스 바퀴 구조를 갖는 잘피 이식장치
KR101858475B1 (ko) * 2017-03-24 2018-05-16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거머리말속 해초 종자의 해저면 파종 방법
KR102252960B1 (ko) 2021-01-26 2021-05-17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갯벌용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38B1 (ko) * 2020-12-08 2021-05-07 에스비비 주식회사 해초류 재배를 위한 친환경 다공성 모판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조성된 바다숲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207A (ja) * 2005-04-05 2006-10-2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アマモ移植用基盤シート及びアマモ場の造成方法
JP2008043246A (ja) * 2006-08-14 2008-02-28 Kajima Corp 植栽基盤及びこれを用いた植栽基盤ユニット
JP2008253195A (ja) 2007-04-05 2008-10-23 Kajima Corp 海草類種苗の移植方法
JP2011000104A (ja) 2009-06-16 2011-01-06 Kansai Kako Kk アマモ着生用基盤材、アマモ場造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207A (ja) * 2005-04-05 2006-10-2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アマモ移植用基盤シート及びアマモ場の造成方法
JP2008043246A (ja) * 2006-08-14 2008-02-28 Kajima Corp 植栽基盤及びこれを用いた植栽基盤ユニット
JP2008253195A (ja) 2007-04-05 2008-10-23 Kajima Corp 海草類種苗の移植方法
JP2011000104A (ja) 2009-06-16 2011-01-06 Kansai Kako Kk アマモ着生用基盤材、アマモ場造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90B1 (ko) 2014-07-08 2015-10-30 주식회사 세일이엠에스 바퀴 구조를 갖는 잘피 이식장치
KR101858475B1 (ko) * 2017-03-24 2018-05-16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거머리말속 해초 종자의 해저면 파종 방법
KR102252960B1 (ko) 2021-01-26 2021-05-17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갯벌용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74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803B1 (ko) 잘피 이식용 구조물
CN106386353A (zh) 一种江南油杉嫩枝扦插的育苗方法
KR101352848B1 (ko)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CN101278642A (zh) 一种番茄组培苗炼苗方法
JP4463754B2 (ja) 水草の種子の発芽処理方法および植付け方法
KR20120086018A (ko) 잘피 종묘 판을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KR100715629B1 (ko) 해저 바닥에의 잘피 이식방법
US20120073195A1 (en) Plant growth and garden bags and method of cultivating plants therein
KR101101343B1 (ko) 잘피의 용이한 안착을 도모하는 잘피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CN103718969A (zh) 一种诗琳通含笑离体培养再生植株方法
CN106212180A (zh) 濒危植物大果青冈的人工育苗方法
KR101858475B1 (ko) 거머리말속 해초 종자의 해저면 파종 방법
CN103430764B (zh) 木麻黄无纺布轻基质苗木的生产方法
CN103238470B (zh) 用于诱导兰科植物内生真菌的方法
KR100863673B1 (ko) 수생식물 종근블록 및 그 식재방법
CN105660282B (zh) 一种土沉香快速造林的方法
JP3003090B2 (ja) ラン類の栽培方法
JP4168121B2 (ja) 苗の順化・移植方法
CN104012382A (zh) 一种美容杜鹃规模化育苗技术
CN217826031U (zh) 一种林业育苗扦插装置
KR101243020B1 (ko) 수경재배용 발아육모포트
KR200421141Y1 (ko) 해저 잘피의 육묘판
KR100899947B1 (ko) 스펀지를 이용한 고품질 이끼의 재배방법
JP2016154467A (ja) 植物栽培器具
JP3054710U (ja) 育苗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